KR20170044297A -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 Google Patents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297A
KR20170044297A KR1020150143806A KR20150143806A KR20170044297A KR 20170044297 A KR20170044297 A KR 20170044297A KR 1020150143806 A KR1020150143806 A KR 1020150143806A KR 20150143806 A KR20150143806 A KR 20150143806A KR 20170044297 A KR20170044297 A KR 20170044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tilting
lower jaw
jaw portion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웅
Original Assignee
박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웅 filed Critical 박철웅
Priority to KR1020150143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4297A/ko
Publication of KR2017004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2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는, 하부 조우부와, 상기 하부 조우부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조우부와 교합되는 상부 조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조우부의 상단에는 회동 가능하게 틸팅레버가 연결되고, 상기 틸팅레버는 하부 조우부의 측면에 직립구성된 바디패널부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힌지샤프트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힌지샤프트에는 그 일단이 상기 바디패널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틸팅레버에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이 장착된다.
상기 하부 조우부와 상부 조우부의 교합면에는 전력선을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강선이 형성된다.
상기 틸팅레버의 선단에는 작업자에 의한 상방 회동 조작이 용이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조우부의 후선단에는 애자와의 연결을 위한 걸림후크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후크의 선단에는 굴곡된 형태의 고리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의 선단에는 고리부의 굴곡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굴곡된 형태의 테일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는 비틀림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력선을 클램핑하기 때문에, 기구적인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선의 체결 분리 작업을 안정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tilting clamp}
본 발명은 전신주에서 전력선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선에 대한 클램핑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은 발전소로부터 각 수용가에 이르기까지 지상 내지는 지하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는데, 지상구간에서의 설치방법으로는 전신주를 사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신주를 사용하여 전력선을 지지하는 방법에 의하면 일정구간마다 전신주를 설치하고 전신주에 의해 전력선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선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전신주와 전력선은 전류가 전신주로 통하지 않도록 하는 절연구조로 연결되는데, 이 같은 절연구조는 전신주에 장착되는 가로지지대와 전력선 사이에 절연애자를 개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로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한쌍의 절연애자에 의해 전력선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전력선의 전류가 전신주 측으로 흐르지 않게 되며, 전력선은 상기 절연애자와 체결된 연결클램프에 의해 고정지지된다.
상기 연결클램프는 전방으로 가면서 점차 폭이 좁아지는 쐐기형태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장착되는 한쌍의 조우(jaw)와, 상기 조우와 연동되도록 하우징부에 장착된 지지판(도면에서는 가려서 안보임)과, 조우에 설치되어 지지판에 의해 압박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결클램프에 의하면 양 조우가 코일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하우징부의 전방으로 압박되어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됨으로써, 양 조우의 사이에 개재된 전력선이 양 조우 사이에 끼어서 압착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의 연결클램프는 조우를 움직이는 조작만으로, 전력선을 고정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하우징내에서 각 조우가 슬라이딩되면서 움직여야 하는데, 하우징 내면과 조우 표면의 연마상태가 고르지 못하여 하우징과 조우 사이에 강한 마찰저항이 발생하게 되면, 조우가 원활하게 움직이지 못하게 됨으로써 전력선에 대한 압박상태가 느슨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조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 정렬이 흐트러짐으로써 하우징내부에서 조우가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조우의 움직임이 원활하지 못하여 전력선에 대한 클램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력선을 클램핑하는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는, 하부 조우부와, 상기 하부 조우부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조우부와 교합되는 상부 조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조우부의 상단에는 회동 가능하게 틸팅레버가 연결되고, 상기 틸팅레버는 하부 조우부의 측면에 직립구성된 바디패널부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힌지샤프트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힌지샤프트에는 그 일단이 상기 바디패널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틸팅레버에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이 장착된다.
상기 하부 조우부와 상부 조우부의 교합면에는 전력선을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강선이 형성된다.
상기 틸팅레버의 선단에는 작업자에 의한 상방 회동 조작이 용이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조우부의 후선단에는 애자와의 연결을 위한 걸림후크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후크의 선단에는 굴곡된 형태의 고리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의 선단에는 고리부의 굴곡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굴곡된 형태의 테일(tail)부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는 비틀림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력선을 클램핑하기 때문에, 기구적인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선의 체결 분리 작업을 안정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력선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효율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에 의하여 전력선이 클램핑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1 부터 도 2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10)는 하부 조우부(12)와, 상기 하부 조우부(12)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조우부(12)와 교합되는 상부 조우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조우부(14)의 상단에는 틸팅레버(18)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틸팅레버(18)는 하부 조우부(12)의 측면에 직립구성된 바디패널부(16)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힌지샤프트(18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힌지샤프트(181)에는 그 일단이 상기 바디패널부(16)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틸팅레버(18)에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19)이 장착되어 상기 상부 조우부(14)가 상기 비틀림스프링(19)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적인 회동압력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조우부(12)와 상부 조우부(14)의 교합면에는 전력선을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강선이 형성된다.
상기 틸팅레버(18)의 선단에는 작업자에 의한 상방 회동 조작이 용이하도록 걸림부(18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조우부(12)의 후선단에는 애자와의 연결을 위한 걸림후크(20)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후크(20)의 선단에는 굴곡된 형태의 고리부(22)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부(22)의 선단에는 고리부(22)의 굴곡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굴곡된 형태의 테일(tail)부(24)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10)에 의하면, 상기 비틀림스프링(19)에 의해 틸팅레버(18)가 하방으로 탄성적인 압력을 받는 상태가 유지되며 틸팅레버(18)에 연결된 상부 조우부(14) 역시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회동 압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예시적으로 작업자가 상기 틸팅레버(18)의 걸림부(181)에 손가락을 걸어서 틸팅레버(18)를 파지하고, 틸팅레버(18)를 상방으로 회전 시켜서 상부 조우부(14)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전력선(S)을 양 조우부 사이에서 놓고, 틸팅레버(18)를 놓으면, 비틀림스프링(19)의 탄성 비틀림 작동에 의해 상부 조우부(14)가 아래로 틸팅되면서 하부 조우부(12)와 교합되어 전력선(S)이 클램핑된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전력선(S)이 클램핑된 상태에서는 양 조우부(12)(14)의 교합면에 강선이 형성된 특성상 교합면과 전력선(S)의 표면이 강하게 마찰되기 때문에 전력선(S)의 길이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전력선(S)이 슬립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틸팅클램프(10)로 부터 전력선(S)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상기 틸팅레버(18)를 상방으로 회전 시켜서 상부 조우부(14)를 들어올린 다음 전력선을 양 조우부(12)(14) 사이에서 간단히 꺼낼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틸팅클램프(10)는 상기 걸림후크(20)의 고리부(22)가 애자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홀에 끼워짐으로써 간단하게 애자와 연결된다.
상기 고리부(22)의 선단에 테일부(24)가 형성된 특성상, 강한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가해짐으로써 애자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애자가 고리부(22)로 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애자를 고리부(22)에서 분리되려면 애자가 회전되어 테일부(24)로 부터 이탈되어야 하는 바, 이 같은 애자의 움직임은 작업자에 의한 인위적인 조작으로만 가능하기 때문에 자연상태에서 애자가 고리부(22)로 부터 이탈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10: 틸팅클램프 12: 하부 죠우부
14: 상부 죠우부 16: 바디패널부
18: 틸팅레버 181: 걸림부
19: 비틀림스프링 20: 걸림후크
22: 고리부 24: 테일부

Claims (6)

  1. 하부 조우부와, 상기 하부 조우부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조우부와 교합되는 상부 조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조우부의 상단에는 회동 가능하게 틸팅레버가 연결되고,
    상기 틸팅레버는 하부 조우부의 측면에 직립구성된 바디패널부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힌지샤프트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힌지샤프트에는 그 일단이 상기 바디패널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틸팅레버에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상부 조우부가 상기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적인 회동압력을 받게 됨으로써
    상기 하부 조우부와 상부 조우부 사이에 개재된 전력선이 클램핑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조우부와 상부 조우부의 교합면에는 전력선을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강선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레버의 선단에는 작업자에 의한 상방 회동 조작이 용이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조우부의 후선단에는 애자와의 연결을 위한 걸림후크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후크의 선단에는 굴곡된 형태의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의 선단에는 고리부의 굴곡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굴곡된 형태의 테일(tail)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KR1020150143806A 2015-10-15 2015-10-15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KR20170044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806A KR20170044297A (ko) 2015-10-15 2015-10-15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806A KR20170044297A (ko) 2015-10-15 2015-10-15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297A true KR20170044297A (ko) 2017-04-25

Family

ID=5870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806A KR20170044297A (ko) 2015-10-15 2015-10-15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42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894B1 (ko) * 2019-03-26 2019-12-04 강성래 케이블 터보 클램프
KR20220138959A (ko) * 2021-04-07 2022-10-14 이디아이(주) 쐐기형 인류 클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894B1 (ko) * 2019-03-26 2019-12-04 강성래 케이블 터보 클램프
WO2020197118A1 (ko) * 2019-03-26 2020-10-01 강성래 케이블 터보 클램프
KR20220138959A (ko) * 2021-04-07 2022-10-14 이디아이(주) 쐐기형 인류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49991A (zh) 一种可任意角度使用的钳子
KR20170044297A (ko) 전력선 연결용 틸팅클램프
KR101700919B1 (ko) 전주에 케이블을 인장하여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고정 클램프
JP4859580B2 (ja) 巻付バインド着脱工具
US8453993B2 (en) Post removal device
US4383668A (en) Cable clamp
CN108988229A (zh) 电缆支撑架
CN109531491B (zh) 拉拔紧固器
CN204167839U (zh) 一种自紧式电缆连接线夹
CN204868160U (zh) 直角工件定位装置
US2986721A (en) Clamp holding tool
EP2128512A3 (en) Clamp installation tool
US9624690B2 (en) Post puller and related method using a lifting action of a working machine to actuate cam-shaped grippers of the post puller
CN105127777A (zh) 直角工件定位装置
KR20190000956U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US20100072332A1 (en) Saxophone-supporting stand
CN213288984U (zh) 一种对接电缆芯线的焊接夹具
KR200435325Y1 (ko) 전력선 고정용 쐐기형 인장 클램프
CN210704529U (zh) 电气钢导管敷设压紧钳
JP2014068618A (ja) 採果鋏
CN211812209U (zh) 一种用于电阻加工的可移动夹具
CN210297079U (zh) 敷设电缆用转角装置
KR20120123942A (ko) 원통형 커넥터용 플라이어
JP2015227575A (ja) パネル設備の固定具
AU2009100954A4 (en) Post remova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