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170U -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170U
KR20100004170U KR2020080013651U KR20080013651U KR20100004170U KR 20100004170 U KR20100004170 U KR 20100004170U KR 2020080013651 U KR2020080013651 U KR 2020080013651U KR 20080013651 U KR20080013651 U KR 20080013651U KR 20100004170 U KR20100004170 U KR 201000041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iquid
plate
applying means
inner plat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2382Y1 (ko
Inventor
박병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80013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38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1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3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25Means for filling simultaneously, e.g. in a rotary filling apparatus or multiple row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4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화장품 내부접시 내부에 고형의 내용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액을 자동으로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내부접시가 안치되게 한 트레이를 컨베이어 이송수단을 통해 운반하되, 상기의 이송수단에 의한 트레이의 이송경로 상에는 다수의 배출노즐을 갖는 접착액 도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의 접착액 도포수단은 내부접시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유동 및 고정되게 함은 물론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의 접착액 도포수단은 정량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자동으로 정량의 접착액만이 도포수단을 통해 트레이 내부의 내부접시에 도포되게 함으로써, 자동으로 이송되는 트레이 내부의 내부접시에 고속으로 정량의 접착액을 자동으로 도포하므로 접착액 도포공정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며, 정량의 접착액이 대량의 내부접시 내에 빠르게 도포되므로 상기의 내부접시를 이용한 화장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의 접착액 도포수단은 내부접시의 크기에 따라 접착액의 도포위치의 조절은 물론 내부접시의 종류에 따라 도포수단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다양한 내부접시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어 매우 합리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접착액 도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화장품, 내부접시, 접착액, 도포, 분사노즐, 교체판, 정량공급장치

Description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Adhesives-applying device for inner plate of cosmetics container}
본 고안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화장품 내부접시 내부에 고형의 내용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액을 자동으로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컨베이어 이송수단으로부터 운반된 트레이에 배치된 다수의 내부접시 내에 멀티 노즐에 의해 접착액을 고속 정량으로 도포시켜 상기 내부접시로 수용되는 고형의 내용물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품의 경우에는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내부접시가 삽입되고 상기의 내부접시에는 건식 또는 습식의 파우더 내용물이 고형화된 상태로 수용되는 것인데, 상기의 내부접시는 화장품의 내용물을 투입 및 가압 성형하는 과정에서의 생산성 향상은 물론 공정의 단순화와 더불어 외부 케이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내부접시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조공정 및 처리과정을 거쳐 내용물의 충전과 성형상태가 종료되면 별도의 케이스에 상기의 내부접시를 결합하여 다양한 화장품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화장품에 있어 내부접시가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갖고 있는 화장품을 생산하거나, 단일의 케이스 내에 다수의 내부접시가 안치되는 형태의 화장품은 상기의 내부접시가 전체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게 되는 것이고, 상기 내부접시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 역시 작은 크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비교적 소형의 내부접시 내에 안치되는 고형의 내용물인 경우 내부접시와 내용물 간의 고착성이 크게 떨어져 상기와 같이 고형화된 내용물이 제조과정 또는 소비자에 의한 사용과정에서 내부접시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내용물과 내부접시의 고착성 저하로 인하여 소비자의 불만이나 고객클레임이 증대함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접착액을 이용하여 상기의 내부접시와 내용물을 고착시키는 과정이 추가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개별의 내부접시 내에 고형의 내용물을 투입하기 전 작업자는 상기의 내부접시 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접착액이 수용된 용기의 선단에 배출부를 결합 형성하여, 작업자에 의한 수공정을 통해 상기의 내부접시 내에 일일히 접착액을 도포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접착액이 도포된 상태의 내부접시 내에 고형의 화장품 내용물을 투입하게 되면 상기의 화장품 내용물은 상기와 같이 도포된 상태의 접착액에 의해 내부용기와의 고착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비교적 소형의 내부접시에 의한 화장품의 제조과정에서의 내용물 이탈방지는 물론 소비자에 의한 사용과정에서 내부접시로부터 고형의 파우더 화장품이 이탈되지 아니하므로 그에 따른 고객 불만의 해소는 물론 제조자가 감수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소형의 내부접시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과정은 모조리 수작업에 의존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짐은 물론 불균일한 작업 방식에 의해 자칫 내부접시 내의 접착액이 외부로 유출되어 제품 불량율을 상승시킬 수도 있어 극히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배출부를 갖는 접착액 용기를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나열된 상태의 내부접시 내에 소정의 접착액을 주입하는 과정을 통해 접착액을 도포하고 있으나 상기의 접착액은 소량만이 내부접시에 도포되어야 하므로 고도의 숙련자에 의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며, 대량 생산 체제하에서 수작업에 의존하는 작업공정이 수반되므로 결과적으로 생산량을 크게 떨어트리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접착액 용기는 많은 량의 접착액을 수용한 상태에서는 원활하고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작업자가 가볍게 파지할 수 있을 정도만 충전하여 접착액 도포작업을 수행하므로 빈번하게 접착액을 용기 내에 보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가는 주사바늘 형태로 된 배출구는 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경우 상기의 배출구가 막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접착액은 경화성이 뛰어나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좁은 내경으로 된 배출구를 막게 되므로 상기의 배출구를 자주 교환하거나 별도의 소제기구 또는 소제액 등을 사용하여 배출구의 청소작업을 사전에 시행한 이후에나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매우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다수의 내부접시가 안치되게 한 트레이를 컨베이어 이송수단을 통해 운반하되, 상기의 이송수단에 의한 트레이의 이송경로 상에는 다수의 배출노즐을 갖는 접착액 도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의 접착액 도포수단은 내부접시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유동 및 고정되게 함은 물론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의 접착액 도포수단은 정량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자동으로 정량의 접착액만이 도포수단을 통해 트레이 내부의 내부접시에 도포되게 함으로써, 대량의 내부접시 내에 빠른 작업시간을 갖고 일정한 량의 접착액을 도포시킬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수작업에 의존하던 접착액 도포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생산성 향상은 물론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한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접시가 배열 안치되게 한 접시홈을 갖는 트레이를 컨베이어 이송수단에 의해 운반되게 하고, 상기 트레이의 이송 경로 상에는 정량공급장치를 갖는 접착액 도포수단을 장착하되, 상기의 접착액 도포수단에는 하향 분산 배치된 배출노즐을 구비하고, 상기의 배출노즐은 상기의 정량공급장치로부터 동시에 접착액을 공급받아 배출노즐의 하부에 위치한 내부접시 내에 정량의 접착액이 도포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컨베이어 이송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이송되는 트레이 내부의 내부접시에 고속으로 정량의 접착액을 자동으로 도포하므로 접착액 도포공정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며, 정량의 접착액이 대량의 내부접시 내에 빠르게 도포되므로 상기의 내부접시를 이용한 화장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의 접착액 도포수단은 내부접시의 크기에 따라 접착액의 도포위치의 조절은 물론 내부접시의 종류에 따라 도포수단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다양한 내부접시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어 매우 합리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접착액 도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의 정면 전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의 측면 전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의 평면 전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는 별도로 구비된 트레 이(20) 상에 형성된 접시홈(21)(21') 내에 다양한 내부접시(10)(1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컨베이어 이송수단(30)을 통해 상기의 트레이(20)가 일정한 속도로 운반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의 접시홈(21)(21')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내부접시(10)(10')와 대응하는 형태를 갖고 제작되는 것이며, 다수의 내부접시(10)(10')를 분할 수용할 수 있도록 반복의 배열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트레이(20)의 이동 경로 상에는 상기의 내부접시(10)(10') 내에 접착액을 도포하기 위한 접착액 도포수단(50)이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접착액 도포수단(50)은 접착액을 일정량씩 간헐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40)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 것이다.
이러한 접착액 도포수단(50)은 상기의 정량공급장치(40)로부터 제공되는 접착액을 저장 및 수용하는 공급판(7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공급판(70)의 하측에는 배출노즐(51)(51')을 갖는 교체판(52)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의 교체판(52)은 별도의 고정판(60)으로부터 탈착 및 장착될 수 있는 분할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공급판(70)에는 내부에 밀폐 상태의 확산공급홈(7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산공급홈(71)의 선단은 정량공급장치(40)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정량공급장치(40)로부터 접착액이 제공되면 접착액은 확산공급홈(71) 내에 충전되는 것이고, 상기의 확산공급홈(71)의 하측으로는 배출노즐(51)(51')의 선단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확산공급홈(71)의 내측으로 충전되는 접착액에 의해 확산공급홈(71)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의 접착액은 배열 형성된 다수의 배출노즐(51)(51') 전체를 통해 외부로 균일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교체판(52)에는 상기의 배출노즐(51)(51')이 나열 장착되어 있는 유동블럭(55)(55')이 안치될 수 있는 장방형의 안치홈(54)(5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 안치홈(54)(54')의 내폭은 유동블럭(55)(55')의 외폭 보다 넓은 상태이므로 상기의 유동블럭(55)(55')은 안치홈(54)(54')의 내부로부터 소정의 이동폭을 갖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유동블럭(55)(55') 양단에는 나사핀(56)(56')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나사핀(56)(56')은 교체판(52)의 양측부에 형성된 슬릿공(57)(57')으로 삽입되어 교체판(5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슬릿공(57)(57')은 나사핀(56)(56')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장공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결국 상기의 유동블럭(55)(55')은 슬릿공(57)(57')의 범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교체판(52)의 외측으로 돌출된 나사핀(56)(56')에 별도의 체결너트체(58)(58')를 나사 결합하면 체결너트체(58)(58')에 의해 상기의 유동블럭(55)(55')은 교체판(52)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의 유동블럭(55)(55')에 대한 유동성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내부접시(10)(10')에 대하여 접착액의 토출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내부접시(10)(10')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상기의 유동블럭(55)(55') 위치를 조정하여 정확한 위치로 내부접시(10)(10') 내에 접착액 이 도포되게 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교체판(52)을 장착하기 위한 고정판(60)에는 상기의 교체판(52)을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게한 고정나사축(62)(62')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인데, 우선 상기의 교체판(52) 양측에 요홈 형태로 된 슬릿홈(53)(53')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홈(53)(53')과 대응하는 고정판(60)에는 고정나사축(62)(62')의 단부를 힌지 결합한 것으로서, 상기의 고정나사축(62)(62')을 교체판(52)의 슬릿홈(53)(53')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회전체(61)를 상기의 고정나사축(62)(62')에 나사 결합하면, 교체판(52)과 고정판(60)의 견고한 체결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교체판(52)은 내부의 유동블럭(55)(55')에 의한 배출노즐(51)(51')의 분사 조절 폭의 범위를 벗어나는 내부접시(10)(10')에 대한 접착액 도포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교체판(52) 전체를 교환하되, 새로운 내부접시(10)(10')에 상응하는 분사노즐(51)(51')의 배열 위치를 갖는 교체판(52)으로 새롭게 장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즉,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교체판(52)을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판(60)의 고정나사축(62)(62')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체결회전체(61)를 풀어 상기의 고정나사축(62)(62')을 교체판(52)의 슬릿홈(53)(53')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의 교체판(52)은 고정판(6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배열 형태를 갖는 배출노즐(51)(51')을 갖는 교체판(52)을 상기의 고정판(60)에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에 적용되는 내부접시(10)(10')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접착액을 효과적으로 도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트레이(20) 및 배출노즐(51)(51')을 통해 일시에 많은 량의 내부접시(10)(10') 내에 접착액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의 접착액은 정량공급장치(40)를 통해 정확하게 개량된 량이 배출되므로 품질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며, 정량공급장치(40)는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공지의 장치이므로 이를 통해 다양한 크기로 된 내부접시(10)(10')에 따라 접착액의 배출 및 도포량을 조절할 수도 있어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의 정면 전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의 측면 전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의 평면 전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의 교체판 분리 작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내부접시
20 : 트레이 21,21' : 안치홈
30 : 컨베이어 이송수단
40 : 정량공급장치
50 : 접착액 도포수단 51,51' : 배출노즐
52 : 교체판 53,53' : 슬릿홈
54,54' : 안치홈 55,55' : 유동블럭
56,56' : 나사핀 57,57' : 슬릿공
58,58' : 체결너트체
60 : 고정판 61 : 체결회전체
62,62' : 고정나사축
70 : 공급판 71 : 확산공급홈

Claims (5)

  1. 내부접시(10)(10')가 배열 안치되게 한 접시홈(21)(21')을 갖는 트레이(20)를 컨베이어 이송수단(30)에 의해 운반되게 하고,
    상기 트레이(20)의 이송 경로 상에는 정량공급장치(40)를 갖는 접착액 도포수단(50)을 장착하되,
    상기의 접착액 도포수단(50)에는 하향 분산 배치된 배출노즐(51)(51')을 구비하고, 상기의 배출노즐(51)(51')은 상기의 정량공급장치(40)로부터 동시에 접착액을 공급받아 배출노즐(51)(51')의 하부에 위치한 내부접시(10)(10') 내에 정량의 접착액이 도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접착액 도포수단(50)은, 배출노즐(51)(51')이 결합된 교체판(52)과, 상기 교체판(52)이 장착되기 위한 고정판(60)으로 이루어져, 상기 교체판(52)을 고정판(60)으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교체판(52)의 양측단에는 슬릿홈(53)(5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판(60)의 양측에는 체결회전체(61)가 나사 결합되는 고정나사축(62)(62')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여, 상기 고정나사축(62)(62')이 슬릿홈(53)(53')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회전체(61)를 회전시켜 고정판(60)과 교체판(52)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교체판(52)의 상측에는 내부에 확산공급홈(71)을 갖는 공급판(70)을 이격 형성하되, 상기의 확산공급홈(71) 선단은 정량공급장치(40)와 연결되게 하고, 확산공급홈(71)의 하측으로는 분할 위치한 배출노즐(51)(51')이 연결되게 하여, 정량공급장치(40)로부터 제공되는 접착액이 확산공급홈(71)의 내부에 충전되어 각기 배출노즐(51)(51')로 동시에 접착액이 공급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교체판(52)의 상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안치홈(54)(54')을 형성하고, 상기의 안치홈(54)(54')에는 유동블럭(55)(55')을 삽입하되, 상기의 유동블럭(55)(55')에는 배출노즐(51)(51')을 결합 고정하여, 상기의 교체판(52)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배출노즐(51)(51')을 갖는 유동블럭(55)(55')이 안치홈(54)(54') 내에서 유동됨에 따라 배출노즐(51)(51')에 의한 접착액의 배출 위치가 개변되게 하되,
    상기 유동블럭(55)(55')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나사핀(56)(56')은 교체판(52) 의 양측에 형성된 슬릿공(57)(57')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게 하고, 상기의 나사핀(56)(56')는 체결너트체(58)(58')를 나사 결합하여, 안치홈(54)(54')과 슬릿공(57)(57')에 의해 위치 조정된 유동블럭(55)(55')이 상기의 체결너트체(58)(58')에 위치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KR2020080013651U 2008-10-13 2008-10-13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KR2004523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651U KR200452382Y1 (ko) 2008-10-13 2008-10-13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651U KR200452382Y1 (ko) 2008-10-13 2008-10-13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70U true KR20100004170U (ko) 2010-04-22
KR200452382Y1 KR200452382Y1 (ko) 2011-02-22

Family

ID=4424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651U KR200452382Y1 (ko) 2008-10-13 2008-10-13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3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7826A (zh) * 2015-12-11 2016-03-30 佛山市逸扬文具有限公司 一种用于灌装固体修正笔芯的灌注板
CN107500228A (zh) * 2017-08-31 2017-12-22 中山诺顿科研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液体电子化学品定量灌装机的入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782B1 (ko) * 2011-07-29 2013-12-16 전태섭 화장품 이중용기의 작업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충진용 자동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5116B2 (ja) * 1993-08-26 2002-11-18 靜甲株式会社 液体充填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633820B2 (ja) * 1995-06-16 1997-07-23 ボッシュ包装機株式会社 液体の圧力充填方法
KR100473820B1 (ko) * 2002-07-09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548145B1 (ko) * 2002-07-26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405338Y1 (ko) * 2005-10-04 2006-01-11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생산라인의 용기 운반용 홀더
KR200409881Y1 (ko) * 2005-12-16 2006-03-03 주식회사 태평양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7826A (zh) * 2015-12-11 2016-03-30 佛山市逸扬文具有限公司 一种用于灌装固体修正笔芯的灌注板
CN107500228A (zh) * 2017-08-31 2017-12-22 中山诺顿科研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用于液体电子化学品定量灌装机的入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382Y1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382Y1 (ko)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CN109641233A (zh) 具有分流器板的涂覆器
CN102688830A (zh) 涂布装置和涂布方法
CN102089083A (zh) 用于粘合剂涂敷的装置
CN111151713B (zh) 一种阀门铸造蜡模表面硅溶胶涂料涂刷工艺
WO2016161828A1 (zh) 胶涂布头、涂胶设备及触控显示面板的制备方法
CN211637135U (zh) 一种加工鞋底用的涂胶装置
CN112789966B (zh) 一种同步成型上浆装置
CN208627606U (zh) 一种新型油漆喷涂设备
KR200464881Y1 (ko) 화장품 용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06240738U (zh) 一种滴胶机的可调式滴胶头
CN211756514U (zh) 精密配比模块及扣件精密配比型涂胶装置
TW201527046A (zh) 用於化學機械硏磨之漿料傳送裝置
CN113578678A (zh) 一种包装纸盒的点胶装置
CN110676373B (zh) 一种压电陶瓷正反面电极的连通装置及其方法
CN201736407U (zh) 注坯模分区域走胶热流道板
CN216857211U (zh) 一种定量喷射型点胶机
CN205436218U (zh) 一种用于千页轮生产线上的注胶机构
US65117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able application of a flowable material to a workpiece
KR101964525B1 (ko) 채널 레진 디스펜서
CN112692230A (zh) 旋转式喷粉与注蜡整机的喷粉注蜡方法
CN218590940U (zh) 一种均匀涂覆的木制品加工涂胶机
CN116586249B (zh) 一种防涂抹不均匀的涂胶机
CN112024819A (zh) 一种旋转式喷粉与注蜡结构的使用方法
CN203860436U (zh) 一种干法造纸法再造烟叶生产的浆料喷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