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881Y1 -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 - Google Patents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881Y1
KR200409881Y1 KR2020050035400U KR20050035400U KR200409881Y1 KR 200409881 Y1 KR200409881 Y1 KR 200409881Y1 KR 2020050035400 U KR2020050035400 U KR 2020050035400U KR 20050035400 U KR20050035400 U KR 20050035400U KR 200409881 Y1 KR200409881 Y1 KR 200409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mpoo
nozzle
charger
fill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2020050035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8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8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25Means for filling simultaneously, e.g. in a rotary filling apparatus or multiple row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Landscapes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샴푸용기에 샴푸를 충전하는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샴푸저장탱크로부터 샴푸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공급관(1)이 연결되는 연결유닛(10)과; 상기 연결유닛(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충전노즐의 노즐(30)내부로 위치하는 피스톤로드(21)의 단부에 피스톤(22)이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20)와; 상기 연결유닛(10)의 연결부(11)로 단턱면(31)을 가지는 상부가 끼워져 연결되는 노즐(30)과; 상기 노즐(30)을 연결 고정시키는 결합부재(40)로 구성된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충전노즐, 연결유닛, 실린더, 노즐, 결합부재

Description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 {A filling nozzle of shampoo plugge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의 측면도로써 주요부를 부분 확대한 단면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을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발췌한 사시도로써 결합부재를 연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을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발췌한 사시도로써 결합부재를 닫은 상태를 보인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유닛 20 : 실린더
30 : 노즐 40 : 결합부재
41 : 제1블럭 42,46 : 반달고정요홈
43 : 고정조정바 43a : 볼힌지
43b : 조정놉 45 : 제2블럭
47 : 홈
본 고안은 스크류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샴푸용기에 샴푸를 충전하는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샴푸충전기를 이용하여 샴푸용기에 샴푸를 충전할 때 선(先) 충전 작업하던 샴푸와 다른 성분의 샴푸 또는 린스를 후(後) 충전하고자 할 때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의 노즐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노즐 교체 및 세척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노즐의 신속한 교체로 샴푸생산라인의 신속한 재가동이 가능해 졌으며, 샴푸 충전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자동 공급되는 샴푸용기에 샴푸를 충전하는 샴푸충전기에는 샴푸저장탱크로부터 샴푸가 공급된다.
상기 샴푸가 공급되는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은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샴푸용기의 길이에 따라 노즐의 배출공이 상기 샴푸용기의 개구부에 대하여 적당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에 샴푸충전탱크로부터 샴푸가 공급되어지는 샴푸가 노즐 내부에 채워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노즐에 채워진 샴푸는 공급압력에 의해 노즐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어서 스크류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한 샴푸용기에 충전되어지게 된다.
상기의 노즐의 배출공을 통해 샴푸가 배출되어 샴푸용기에 적당량 충전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샴푸의 충전량 조절은 노즐의 내부로 위치하여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상,하로 왕복 운동되어지는 피스톤에 의해 조절되어진다.
즉, 샴푸용기에 샴푸가 소정의 레벨까지 채워지면 실리더가 작동하여서 피스톤을 아래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피스톤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던 샴푸가 피스톤에 의해 밀려 배출되어짐에 따라 샴푸용기에 샴푸의 충전이 완료됨과 동시에 배출공이 차단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샴푸용기에 샴푸의 충전이 완료되면 샴푸가 충전된 샴푸용기는 포장공정으로 이송하게 되고, 이어서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 하부에 새로운 샴푸용기가 위치하게 되면 배출공을 막고 있던 피스톤이 위로 올라가 배출공을 통해 샴푸가 배출되어지게 하는 순서를 연속 반복하면서 샴푸용기에 샴푸를 지속적으로 충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샴푸를 샴푸용기에 충전 포장하게 되는데, 서로 다른 성분의 샴푸를 충전할 때에는 선(先)충전 한 샴푸가 후(後)충전 하는 샴푸에혼입되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선(先) 충전한 샴푸가 후(後)충전 하고자 하는 샴푸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의 세척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서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 전체를 기체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기체로부터 분리한 충전노즐을 세척 장소로 옮기기 위한 인력을 많이 투입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을 기체로부터 분리 세척함에 따라 샴푸충전 작업을 신속하게 재개할 수 없는 문제가 야기 됨은 물론, 그로 인하여 샴푸 충전작업 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샴푸충전기를 구성하는 충전노즐을 분리형으로 함과 동시에 연결되는 노즐을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선(先)충전하던 샴푸의 충전을 마치고 성분이 다른 샴푸를 후(後)충전할 때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 전체를 기체로부터 분리해 내지 않고 충전노즐의 노즐만을 분리해내 교체 사용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세척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샴푸충전기의 신속한 재가동으로 샴푸충전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샴푸저장탱크에 저장된 샴푸가 공급관(1)을 통해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로 공급되어 배출공을 통해 스크류컨베이어벨트(3)를 따라 이송하는 샴푸용기(100)에 샴푸를 충전 할 수 있도록 된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에 있어서,
샴푸저장탱크로부터 샴푸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공급관(1)이 연결되는 연결유닛(10)과;
상기 연결유닛(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충전노즐의 노즐(30)내부로 위치하는 피스톤로드(21)의 단부에 피스톤(22)이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20)와;
상기 연결유닛(10)의 연결부(11)로 단턱면(31)을 가지는 상부가 끼워져 연결되는 노즐(30)과;
상기 노즐(30)을 연결 고정시키는 결합부재(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은, 샴푸저장탱크의 공급관(1)과 연결되는 연결유닛(10)과, 상기 연결유닛(10)의 상부로 위치하는 실린더(20)와, 상기 연결유닛(10)에 연결되는 노즐(30)과, 상기 노즐(30)을 고정시키는 결합부재(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유닛(10)은 알파벳 티자형으로 측??향에 샴푸저장탱크로부터 샴푸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관(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20)는 연결유닛(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유닛(10)에 연결되는 노즐(30)의 내부로 위치하는 피스톤로드(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로드(21)의 단부에는 노즐(30)의 배출공(32a)을 개폐하는 피스톤(2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유닛(10)의 하부 연결부(11)에 연결되는 노즐(30)은 상기 연결유닛(10)의 연결부(11)에 단턱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상부의 내면에 단턱면(31)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배출공(32a)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판재(32)가 나사결합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유닛(10)에 연결된 노즐(30)을 고정시키는 결합부재(40)는 고정조 정바를 가지는 제1블럭(41)이 기체의 프레임(2)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블럭(41)에 대하여 마주하는 제2블럭(45)이 경첩방식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블럭(41)은 노즐(30)의 외경에 대하여 1/2에 해당하는 반달고정요홈(42)이 전면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블럭(41)의 측면으로 설치되는 고정조정바(43)는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볼힌지(43a)가 측면으로 설치되어지고, 볼힌지(43a)와 반대되는 단부에는 조정놉(43b)이 나사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블럭(41)에 대하여 마주하는 제2블럭(45)은 상기 제1블럭(41)의 반달고정요홈(42)과 대응하는 반달고정요홈(46)을 중앙으로 형성하고 있고, 고정조정바(43)가 끼워지는 홈(47)이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은 스크류컨베이어(3)를 따라 이송하는 샴푸용기(100)에 샴푸를 충전하기에 앞서 연결유닛(10)의 연결부(11)에 노즐(30)을 연결한다.
상기 노즐(30)을 연결유닛(10)에 연결할 때에는 상부 내측으로 형성된 단턱면(31)에 오링(5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유닛(10)의 연결부(11)로 밀어 넣는다.
상기 노즐(30)을 연결유닛(10)에 끼울 때 기체의 프레임(2)에 제1블럭(41)이 설치되어진 결합부재(40)는 도3에서와 같이 제2블럭(45)이 제1블럭(41)으로부터 벌어져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유닛(10)에 노즐(30)을 끼워 조립한 후에는 결합부재(40)의 제2블럭(45)을 제1블럭(41)에 마주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고정조정바(43)를 제2블럭(45)의 홈(47)에 끼워지게 위치시킨 후 조정놉(43b)을 잠기는 방향으로 돌려 줌으로써 제1블럭(45)이 제2블럭에 도4에서와 같이 긴밀한 관계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연결유닛(10)의 연결부(11)에 끼워진 노즐(30)이 안정되게 연결 고정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노즐(30)이 설치되어진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을 통해 스크류컨베이어(3)를 따라 이송하는 샴푸용기(100)에 샴푸를 충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충전기의 충전노즐을 통해 샴푸용기(100)에 샴푸를 충전하는 과정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노즐(30)을 분리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은 선행 충전 작업을 마친 후, 선행 충전하였던 샴푸의 성분과 다른 성분의 샴푸를 나중에 충전 하고자할 때에는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로부터 노즐(30)만을 분리해 내고 새로운 노즐(30)로 교체한 다음 새로운 제품의 샴푸를 충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30)을 교체할 때에는 먼저 결합부재(40)를 분리해야 한다.
상기 결합부재(40)를 분리할 때에는 제1블럭(41)에 볼힌지(43a)에 의해 설치된 고정조정바(43)의 조정놉(43b)을 나사풀림 방향으로 돌려 제2블럭(45)을 압박하고 있던 조정놉(43b)이 상기의 제2블럭(45)으로부터 느슨한 상태에 있도록 한다.
이후, 고정조정바(43)를 회동시켜 제2블럭(45)의 홈(47)에 위치하였던 고정조정바(43)를 분리시킨 후, 제2블럭(45)을 회동시켜 제1블럭(41)으로부처 벌어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부재(40)를 분리한 다음에 연결유닛(10)의 연결부(11)에 연결된 노즐(30)을 분리해 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선행 작업에 사용되어졌던 노즐을 분리한 후에는 새로운 노즐을 조립하여 새로운 샴푸를 충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은, 샴푸저장탱크와 공급관(1)에 의해 연결된 연결유닛(10)에 노즐(30)을 끼워 조립하고 조립된 노즐(30)을 결합부재(40)에 의해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재(40)의 분리에 의해 노즐(30)을 분리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서른 다른 성분의 샴푸를 선(先),후(後) 충전 할때 선(先)충전한 샴푸가 후(後)충전 하고자 하는 샴푸에 혼입되어지지 않도록 선(先) 사용된 충전노즐의 노즐(30)을 분리해 내고 새로운 노즐(30)로 교체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충전노즐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고, 샴푸 충전노즐의 세척 작업을 해소함으로써, 샴푸 충전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을 최소화 함은 물론 샴푸 충전라인의 신속한 재가동이 가능하여 샴푸 충전의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샴푸저장탱크에 저장된 샴푸가 공급관(1)을 통해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로 공급되어 노즐의 배출공을 통해 스크류컨베이어벨트(3)를 따라 이송하는 샴푸용기(100)에 샴푸를 충전 할 수 있도록 된 샴푸충전기의 충전노즐에 있어서,
    샴푸저장탱크로부터 샴푸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공급관(1)이 연결되는 연결유닛(10)과;
    상기 연결유닛(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노즐(30)의 내부로 위치하는 피스톤로드(21)의 단부에 설치되어진 피스톤(22)이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20)와;
    상기 연결유닛(10)의 연결부(11)에 끼워져 연결되는 노즐(30)과;
    상기 노즐(30)을 연결 고정시키는 결합부재(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40)는, 기체의 프레임(2)에 고정되고, 전면에 노즐(30)을 감싸 고정하는 반달고정요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결합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제1블럭(41)과;
    힌지설치되어 제1블럭(41)과 마주하는 면에 반달고정요홈(4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블럭(41)의 결합수단에 의해 잠김 고정되는 제2블럭(4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
KR2020050035400U 2005-12-16 2005-12-16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 KR200409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400U KR200409881Y1 (ko) 2005-12-16 2005-12-16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400U KR200409881Y1 (ko) 2005-12-16 2005-12-16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881Y1 true KR200409881Y1 (ko) 2006-03-03

Family

ID=4176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400U KR200409881Y1 (ko) 2005-12-16 2005-12-16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8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82Y1 (ko) * 2008-10-13 2011-02-2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82Y1 (ko) * 2008-10-13 2011-02-2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내부접시용 접착액 멀티 도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80671A (ko) 커피머신의 커피추출장치
CN100441121C (zh) 头发定型装置
CA2565531A1 (en) Multi-chamber, sequential dose dispensing syringe
US8020590B2 (en) Nozzle for filling a container with at least two viscous materials
KR101146999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EP0758270A1 (de) Gerät zur erzeugung und abgabe von schaum
KR101514811B1 (ko) 압착용기용 거품발생기
KR200409881Y1 (ko) 샴푸 충전기의 충전노즐
KR101460080B1 (ko) 충진 노즐
KR100775650B1 (ko)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KR200494291Y1 (ko) 화장품 용기용 펌프 구조체
CN210455288U (zh) 一种化妆品定量灌装机
CN210816432U (zh) 一种自动填充清洗剂的喷枪清洗机
EA012351B1 (ru) Резервуар,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0426428Y1 (ko)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혼합용기
KR20190131764A (ko) 파우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CN210620229U (zh) 一种下料咀口径大小可随时调控的厨房用漏斗装置
US20040045630A1 (en) Liquid filling device and method
FR2503744A1 (fr) Dispositif recepteur-distributeur de produits lessiviels et machine a laver munie d&#39;un tel dispositif
KR20120003208U (ko) 화장품용기의 토출구
KR100351321B1 (ko) 액체 충진기
KR100860853B1 (ko) 직진식 충진기
KR20130006818U (ko) 장착식 깔때기
KR20190142795A (ko)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의 샤프트 구조
KR20150059378A (ko)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