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795A -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의 샤프트 구조 - Google Patents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의 샤프트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42795A KR20190142795A KR1020180069655A KR20180069655A KR20190142795A KR 20190142795 A KR20190142795 A KR 20190142795A KR 1020180069655 A KR1020180069655 A KR 1020180069655A KR 20180069655 A KR20180069655 A KR 20180069655A KR 20190142795 A KR20190142795 A KR 201901427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hamber
- shaft
- main body
- conten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3—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being a follower-piston and the dispensing means comprising a hand-operated pressure-device at the opposite part of th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인 화장품을 정량 토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수용실 내부에 팽창압력을 발생시켜 내용물을 토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의 구조를 개량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수용실 내부에 팽창압력을 발생시켜 내용물을 토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의 구조를 개량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용물인 화장품을 정량 토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케이스 내부에 팽창압력을 발생시켜 내용물을 토출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의 구조를 개량하여 피스톤의 사용을 배제함과 더불어 정밀작동에 의한 정량 토출사용아 가능하도록 한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의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 크림 등과 같은 기능성 화장품은 1회사용시 소량을 사용하되 정확하게 정량을 사용하게되고, 소량/정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 용기에 담아 사용을 하게된다.
이이 크림과 같은 기능성화장품 용기로 사용되어지는 용기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와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를 예로 들을 수 있다.
상기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는 필용한 량 만큼의 화장품을 스포이드 파이프로 인입시킨 후, 토출 사용하도록된 것으로써,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케이스로부터 스포이드 파이프를 구비하고 있는 뚜껑을 분리해낸 후 사용을 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이드 파이프 외측으로 화장이 묻어나와 사용중에 손실을 입게되는 결정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가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이다.
상기 주사기형 화장품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고, 그중 이 사건출원발명과 대비되는 주사기형 화장품은 실용신안등록 제20-0338723호(이하 '선등록고안'이라 함)의 '주사기형 케이스'를 예로 들을 수 있다.
상기 선등록고안의 주사기형 케이스는 케이스를 내용물이 수용되어지는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에 수용된 내용물을 밀어내는 누름손잡이가 위치하여지는 작동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실에 위치하여지는 누름손잡이를 눌러 주면 누름손잡이와 수용실에 위치하고 있는 피스톤 사이 공간에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압력에 의해 수용실 내 피스톤이 전지하면서 상기 수용실에 수용된 내용물을 공급공으로 밀어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상기 누름손잡이를 누름작동시킬때에는 누름손잡이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손가락으로 막은 상태에서 누름동작되도록하여야 누름손잡이와 피스톤 사이에 압력이 발생할 수 있게한 구조의 주사기형 케이스인 것이다.
상기 선등록고안은 누름손잡이에 의해 수용실 내의 내용물을 정량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선등록고안은 누름손잡의 작동만으로는 수용실내 내용물을 밀어낼 수가 없어 내용물을 밀어낼 수 있는 피스톤이 꼭 부가적으로 필요로하는 구조적 결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피스톤을 추가 사용함에 따라 생산원가를 낮추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선등록고안의 주사기형 케이스는 누름손잡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를 사용자가 꼭 차단시킨 상태에서 누름작동시켜야만 압력이 발생하는 것이어서 통공을 손가락으로 꼭 차단해야만 하는 사용상의 번거러움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등록고안의 주사기형 케이스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용기 본체의 수용실에 수용된 내용물에 압력을 가해 내용물의 토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샤프트의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써, 공기가 유입되어지는 공기챔버의 적면벽에 체크밸브를 부가 장착하여 샤프트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수용실 내에 압력과 진공 해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피스톤 없이도 수용실 내의 내용물을 토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밀어내는 피스톤의 사용을 배제함에 따라 조립생산에 다른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통공을 손가락으로 차단해야만 압력이 발생되어지는 선등록고안 주사기형 케이스의 사용상 번거러움을 해소함은 물론, 통공의 차단 여부에 따라 압력이 부족하게 발생하여 내용물의 배출량에도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는 선등록고안 주사기형 케이스의 누름손잡이 단점을 해소한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는, 본체의 수용실에 수용된 내용물을 샤프트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서 내용물을 토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로써, 손가락걸이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후단부쪽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에 의해 수용실과 샤프트작동실이 분획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격벽은 엠자형으로 가장자리에는 스프링안착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공기주입공이 깔대기형상을 한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의 반대쪽 선단에는 토출부재가 언더컷 체결되어지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결합부에 대하여 언더컷 결합되어지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 수용실내의 내용물이 토출되어지는 토출공을 구비한 토출부재와;
상기 본체의 샤프트작동실 내면에 대하여 긴밀하게 작동되어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기밀링이 조립되어 있고, 속이 비워서 형성되어진 공기챔버의 전면이 엠자형의 전면벽으로써, 깔대기 형상을한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에 상기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장착되어지며, 상기 기밀링이 조립되어진 부위와 인접한 위치에 공기챔버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을 구비한 공기유입로가 작은 외경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챔버로 유입되어진 공기에 압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마감마개에 의해 차단되어서된 샤프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크밸브는 전면이 엠자형의 전면벽의 깔대기 형상을한 중앙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전면벽의 공기통로로 결합되어지는 결합축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축은 전면벽의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 길이보다 더 긴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통로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축의 외주면에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축 말단에 걸림환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100)는, 본체(110)의 수용실(115)에 수용된 내용물에 압력을 가해 내용물의 토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샤프트(120)의 구조를 개량한 것으로써,
첫째, 공기가 유입되어지는 공기챔버(123)의 적면벽(127)에 체크밸브(125)를 부가 장착하여 샤프트(120)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수용실(115) 내에 압력과 진공 해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피스톤 없이도 수용실(115) 내의 내용물을 토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둘째, 내용물을 밀어내는 피스톤의 사용을 배제함에 따라 조립생산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셋째, 통공을 손가락으로 차단해야만 압력이 발생되어지는 선등록고안 주사기형 케이스의 사용상 번거러움을 해소함은 물론, 통공의 차단 여부에 따라 압력이 부족하게 발생하여 내용물의 배출량에도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는 선등록고안 주사기형 케이스의 누름손잡이 단점을 해소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구슬 크림 화장품이 보관되어지는 종래 화장품용기의 일 실시예시도.
도 2는 구슬 크림 화장품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구슬 크림 화장품을 도구를 이용하여 꺼내쓰는 상태를 보인 일 실시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슬 크림 화장품 보관용 용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슬 크림 화장품 보관용 용기의 분리 단면 구성도.
도 3은 구슬 크림 화장품을 도구를 이용하여 꺼내쓰는 상태를 보인 일 실시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슬 크림 화장품 보관용 용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슬 크림 화장품 보관용 용기의 분리 단면 구성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본체(110)의 수용실(115)에 수용된 내용물을 샤프트(120)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서 내용물을 토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100)로써, 내용물이 수용되어지는 수용실(115)을 포함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수용실에 수용된 내용물을 밀어내어 토출부재(130)를 통해 토출시키는 샤프트(120)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본체(110)는 손가락걸이플랜지(114)가 형성되어 있는 후단부쪽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111)에 의해 수용실(115)과 샤프트작동실(116)이 분획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실(115)과 샤프트작동실(116)를 구획하고 있는 격벽(111)은 엠자형으로 가장자리에는 스프링안착요부(117)가 형성되어 있고, 공기주입공(112)이 깔대기형상을 한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격벽(111)의 반대쪽 선단에는 토출부재(130)가 언더컷 체결되어지는 결합부(1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110)의 결합부(113)와 체결되어지는 토출부재(130)는 상기 본체(110)의 결합부(113)에 대하여 언더컷 결합되어지는 결합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10) 수용실(115)내의 내용물이 토출되어지는 토출공(131)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110)의 샤프트작동실(116)에서 왕복운동되어지는 샤프트(120)는, 샤프트작동실(116) 내면에 대하여 긴밀하게 작동되어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기밀링(121)이 조립되어 있다.
속이 비워서 형성되어진 공기챔버(123)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벽(127)이 엠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벽(127)의 깔대기 형상을한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127a)에 상기 공기통로(127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125)가 장착되어진다.
상기 기밀링(121)이 조립되어진 부위와 인접한 위치에는 공기챔버(123)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122a)을 구비한 공기유입로(122)가 작은 외경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공기챔버(123)로 유입되어진 공기에 압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마감마개(124)에 의해 차단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체크밸브(125)는 몸체(125a)와, 상기 몸체(125a)로부터 동출 형성되어진 결합봉(125b)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125a)는, 샤프트(120)의 전면을 이루는 엠자형 전면벽(127)의 깔대기 형상을한 중앙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룬다.
상기 몸체(125a)로부터 돌출형성된 결합봉(125b)은 샤프트(120)의 전면벽(127)의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127a)로 결합되어지는 결합봉(125b)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봉(125b)은 전면벽(127)의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127a) 길이보다 더 긴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통로(127a)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작은 외경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봉(125b)의 말단에는 걸림턱(125d)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100)는,본체(110)의 수용실(115)내에 화장품인 내용물을 충진시킨다.
이때 격벽(111)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공(112)은 필름(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차단되어 있게 된다.
수용실(115)에 내용물의 충전이 완료되어지면, 결합부(113)에 내용물이 토출되어지는 토출부재(130)의 결합부(132)를 언더컷 체결하게 된다.
상기 본체(110)에 조립 형성되어진 토출부재(130)의 토출공(131)으로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뚜겅(150)을 결합한다.
상기 토출부재(130)에 뚜껑(150)이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본체(110)를 바로 세워 샤프트(120)를 샤프트작동실(116)로 장착하게 된다.
장착에 앞서 격벽(111)의 공기주입공(112)을 차단하고 있는 필름을 떼어 낸다.
본체(110)의 샤프트작동실(116)로 장착되어지는 샤프트(12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벽(127)의 공기통로(127a)에는 상기 공기통로(127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되는 체크밸브(125)가 장착되어 진다.
체크밸브(125)의 조립은 샤프트(120)의 전면벽(127) 중앙을 이루는 깔대기 형상의 요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몸체(125a)가 상기 요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몸체(125a_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는 결합봉(125b)을 전면벽(127)의 공기통로(127a)로 끼운다.
이때 결합봉(125b) 말단으로 형성된 걸리턱(125a)이 걸림되어지게되고, 상기 결합봉(125b)의 길이가 공기통로(127a)의 길이보다 길어 상,하로 유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결합봉(125b)의 외경이 공기통로(127a)의 내경보다 작아 공기의 흐름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체크밸브(125)가 조립되어진 샤프트(120)를 본체(110)의 샤프트작동실(116)에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샤프트작동실(116)에 장착되어지는 샤프트(120)는 선단의 외주면으로 장착되어 있는 기밀링(121)이 샤프트작동실(116) 내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규제환턱(118)을 넘어서도록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샤프트작동실(116)에 샤프트(120)가 조립되어지면, 공기챔범(123)의 개방된 상부에 마감마개(124)를 조립하여 상기 공기챔버(123)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수용실(115) 내의 내용물에 압력 발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4는 샤프트(120)를 전진시켜 본체(110)의 수용실(115)에 압력을 가하는 실시예로써, 샤프트(120)가 전지 이동을 할 때에는 체크밸브(125)의 몸체(125a)가 전면벽(127)의 요입부로 밀착되어져 샤프트작동실(116)의 전방 즉, 샤프트(120)의 전면벽(127) 앞의 샤프트작동실(116)에 존재하는 공기를 격벽(111)의 공기주입공(112)으로 밀어넣어 수용실(115)내 공기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구(130)의 토출공(131)으로 토출시키게되는 것이다.
도 5는 샤프트(120)가 반발스프링(140)에 의해 원상복귀되어지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써, 샤프트(120)으의 공기챔버(123)에 공기가 유입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공기의 유입은 공기유입로(122) 상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공(122a)을 통해 유입되어지게 되고, 유입되어지는 공기에 의해 공기챔버(123) 내에는 진공이 해소되는 반면, 본체(110)의 수용실(115)내에는 진공이 발생하여 전면벽(127)에 위치하고 있는 체크밸브(125)의 몸체(125a)가 상기 전면벽(127)의 요부로부터 이격되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유로가 확보되어진다.
공기유로 화보는 체그밸브(125)의 몸체(125a) 이격과 동시에 결합봉(125b)의 외경이 전면벽(127)의 공기통로(127a)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기유로가 확보되어지면 공기챔버(123) 내의 공기가 본체(110)의 수용실(115)내로 유입되어지게 되고, 수용실(115)로 유입되어진 만큼의 공기가 공기유입공(122a)을 통해 유입 보충되어 상기 샤프트(120)의 후진 작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샤프트(120)의 공기챔버(123)와 본체(110)의 수용실(115)내 공기압력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샤프트(120)의 작동으로 내용물을 토출 사용완료한 후에는 토출부재(130)에 뚜껑(150)을 장착하여 보관하게되고, 상기 뚜껑(150)을 장착함으로써, 공기챔버(123)와 수용실(115) 내 공기압력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내용물의 불필요한 배출을 예방할 수가 있는 것이다.
100 :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
110 : 본체
111 : 격벽 112 : 공기주입공
113 : 결합부 114 : 손가락걸이플랜지
115 : 수용실 116 : 샤프트작동실
117 : 스프링난착요부 118 : 규제환테
120 : 샤프트 121 : 기밀링
122 : 공기유입로 122a : 공기유입공
123 : 공기챔버 124 : 마감마개
125 : 체크밸브 125a : 몸체
125b : 결합봉 125c : 걸림턱
127 : 전면벽 127a : 공기통로
130 : 토출부재 131 : 토출공
132 : 결합부 140 : 스프링
150 : 뚜껑
111 : 격벽 112 : 공기주입공
113 : 결합부 114 : 손가락걸이플랜지
115 : 수용실 116 : 샤프트작동실
117 : 스프링난착요부 118 : 규제환테
120 : 샤프트 121 : 기밀링
122 : 공기유입로 122a : 공기유입공
123 : 공기챔버 124 : 마감마개
125 : 체크밸브 125a : 몸체
125b : 결합봉 125c : 걸림턱
127 : 전면벽 127a : 공기통로
130 : 토출부재 131 : 토출공
132 : 결합부 140 : 스프링
150 : 뚜껑
Claims (2)
- 본체의 수용실에 수용된 내용물을 샤프트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서 내용물을 토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100)에 있어서,
손가락걸이플랜지(114)가 형성되어 있는 후단부쪽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111)에 의해 수용실(115)과 샤프트작동실(116)이 분획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격벽(111)은 엠자형으로 가장자리에는 스프링안착요부(117)가 형성되어 있고, 공기주입공(112)이 깔대기형상을 한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111)의 반대쪽 선단에는 토출부재(130)가 언더컷 체결되어지는 결합부(113)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결합부(113)에 대하여 언더컷 결합되어지는 결합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10) 수용실(115)내의 내용물이 토출되어지는 토출공(131)을 구비한 토출부재(130)와;
상기 본체(110)의 샤프트작동실(116) 내면에 대하여 긴밀하게 작동되어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기밀링(121)이 조립되어 있고, 속이 비워서 형성되어진 공기챔버(123)의 전면이 엠자형의 전면벽(127)으로써, 깔대기 형상을한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127a)에 상기 공기통로(127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체크밸브(125)가 장착되어지며, 상기 기밀링(121)이 조립되어진 부위와 인접한 위치에 공기챔버(123)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122a)을 구비한 공기유입로(122)가 작은 외경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챔버(123)로 유입되어진 공기에 압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마감마개(124)에 의해 차단되어서된 샤프트(1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125)는 샤프트(120)의 전면을 이루는 엠자형 전면벽(127)의 깔대기 형상을한 중앙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몸체(125a)와, 상기 몸체(125a)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전면벽(127)의 공기통로(127a)로 결합되어지는 결합봉(125b)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봉(125b)은 전면벽(127)의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127a) 길이보다 더 긴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통로(127a)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작은 외경을 이루며 형서되 었고, 결합봉(125b) 말단에는 걸림턱(125d)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9655A KR102172482B1 (ko) | 2018-06-18 | 2018-06-18 |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의 샤프트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9655A KR102172482B1 (ko) | 2018-06-18 | 2018-06-18 |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의 샤프트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2795A true KR20190142795A (ko) | 2019-12-30 |
KR102172482B1 KR102172482B1 (ko) | 2020-11-02 |
Family
ID=6910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9655A KR102172482B1 (ko) | 2018-06-18 | 2018-06-18 |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의 샤프트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248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9629B1 (ko) * | 2022-09-29 | 2023-06-02 | 주식회사 셀라메디칼 | 핸드피스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5939Y1 (ko) * | 2005-03-23 | 2005-06-03 | 주식회사 태평양 | 아이 크림 용기 구조 |
KR200438535Y1 (ko) * | 2007-05-15 | 2008-02-26 | (주)아모레퍼시픽 | 승하강버튼에 의한 정량 토출이 이루어지는 스포이드형화장품 용기 |
KR20090003810U (ko) * | 2007-10-19 | 2009-04-23 | 주식회사 태성산업 | 액상화장품용기 |
KR20090064525A (ko) * | 2006-07-28 | 2009-06-19 |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 정량토출장치 |
KR200465757Y1 (ko) * | 2011-02-14 | 2013-03-08 | (주)아모레퍼시픽 |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
KR200480956Y1 (ko) * | 2015-03-27 | 2016-08-10 | 박찬 | 정량 토출구조를 갖는 화장품용 디스펜서 |
KR20160126269A (ko) * | 2015-04-23 | 2016-11-02 |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
-
2018
- 2018-06-18 KR KR1020180069655A patent/KR1021724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5939Y1 (ko) * | 2005-03-23 | 2005-06-03 | 주식회사 태평양 | 아이 크림 용기 구조 |
KR20090064525A (ko) * | 2006-07-28 | 2009-06-19 | 타이세이카코 카부시키가이샤 | 정량토출장치 |
KR200438535Y1 (ko) * | 2007-05-15 | 2008-02-26 | (주)아모레퍼시픽 | 승하강버튼에 의한 정량 토출이 이루어지는 스포이드형화장품 용기 |
KR20090003810U (ko) * | 2007-10-19 | 2009-04-23 | 주식회사 태성산업 | 액상화장품용기 |
KR200465757Y1 (ko) * | 2011-02-14 | 2013-03-08 | (주)아모레퍼시픽 |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
KR200480956Y1 (ko) * | 2015-03-27 | 2016-08-10 | 박찬 | 정량 토출구조를 갖는 화장품용 디스펜서 |
KR20160126269A (ko) * | 2015-04-23 | 2016-11-02 |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2482B1 (ko) | 2020-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46144B2 (en) | Portable refillable cream dispenser | |
US20170043365A1 (en) | Portable refillable cream dispenser | |
RU2613598C2 (ru) | Переносной пополняемый диспенсер крема | |
EP0199597B1 (en) | Container type toilet implement | |
US9486056B2 (en) |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storing and discharging two kinds of contents | |
US6669061B2 (en) | Pump dispenser and spraying apparatus | |
JP6449546B2 (ja) | 取り出される製品が保持される容器を画定する可撓性の外被を有する袋 | |
US5395032A (en) | Dispenser for media | |
KR101533378B1 (ko) |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 | |
KR20190142795A (ko) |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의 샤프트 구조 | |
JP7033683B2 (ja) | 定量吐出容器 | |
CN109533676B (zh) | 一种定量装置 | |
JP5611788B2 (ja) | 液体吐出容器 | |
JP2002233798A (ja) | トリガースプレ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プレー容器 | |
KR200468389Y1 (ko) | 화장품 내용물 배출용기 | |
JP7274136B1 (ja) | 詰め替え容器用の内容物取出装置及びそれを含む詰め替え容器 | |
KR102074203B1 (ko) | 두 가지 토출 모드를 갖는 디스펜서 | |
JP2000255656A (ja) | カートリッジ式吐出容器 | |
US1566836A (en) | Dispensing device | |
JP2590869Y2 (ja) | 2種剤混合容器 | |
KR101889650B1 (ko) | 화장용기 | |
KR101891221B1 (ko) | 화장용기 | |
JP2002128123A (ja) | 注出容器 | |
JPH068040Y2 (ja) | 定量注出容器 | |
JPH11253225A (ja) | 染髪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