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378A -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378A
KR20150059378A KR1020130142879A KR20130142879A KR20150059378A KR 20150059378 A KR20150059378 A KR 20150059378A KR 1020130142879 A KR1020130142879 A KR 1020130142879A KR 20130142879 A KR20130142879 A KR 20130142879A KR 20150059378 A KR20150059378 A KR 20150059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nail polish
liquid
manicur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섭
Original Assignee
이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섭 filed Critical 이화섭
Priority to KR102013014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9378A/ko
Publication of KR20150059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16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using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6Filling-heads; Means for engaging filling-heads with bottle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8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 B67C3/281Profiled valve bodies for smoothing the flow at the outlet of the filling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6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rot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F16K21/08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with ball-shaped closing member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퍼에 저장된 매니큐어액을 실린더의 신축구동에 의해 흡입한 후 (매니큐어)용기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는,
매니큐어액이 저장되고, 상기 매니큐어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는 매니큐어액 낙하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제1바디;
상기 낙하통로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볼밸브가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상기 볼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낙하통로로부터 낙하되는 매니큐어액을 배출시키거나, 상기 낙하통로의 출구를 폐쇄시키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볼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낙하통로로부터 배출되는 매니큐어액을 수용하는 제1통로가 형성되는 제2바디;
신장구동시 스트로크 량에 비례하여 상기 낙하통로로부터 설정된 양만큼의 매니큐어액을 상기 제1통로에 흡입하는 실린더;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수축구동에 의해 상기 제1통로로부터 이송되는 매니큐어액을 수용하는 제2통로가 형성되는 제3바디; 및
상기 제3바디의 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통로를 통과하는 매니큐어액을 용기에 충전시키는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큐어액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매니큐어액 충전장치{charging device for manicure polish}
본 발명은 매니큐어액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퍼에 저장된 매니큐어액을 실린더의 신축구동에 의해 설정량만큼 흡입한 후 (매니큐어)용기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이스트상의 화장제를 용기 내에 충전하고, 이것을 고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용기의 이면에서 화장제를 충전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수단이란 용기의 이면에서 화장제를 충전함과 동시에 용기의 표면측에서 진공흡인기구를 작용시켜서 화장제 중에 함유되는 용제를 흡인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장제를 효율 좋게 충전하여 고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수단에 있어서 페이스트상 화장제는 미리 가압된 화장제 탱크 또는 화장제의 압송장치에 수납되어 있어 용기로의 충전시에 화장제 탱크 또는 압송장치에서 적당량의 페이스트상 화장제가 공급관을 통하여 충전노즐로 급송되고, 용기 내에 충전됨과 동시에 진공흡인기구를 작용시켜서 화장제가 고화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페이스트상 화장제의 충전방법에 있어서, 페이스트상 화장제가 미리 가압된 화장제 탱크 또는 화장제의 압송장치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제의 충전에 요하는 장치가 많은 기구 및 부품으로 구성되어서 장치 전체가 대형인 것으로 되어 있고, 그의 중량 및 원가의 증대를 초래함과 동시에 화장제의 정량성이 완벽하지 못하고, 또한 색 교체 등에 있어서의 페이스트상 화장제의 변경시에 극히 많은 시간과 수고를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상 화장제의 충전방법에 있어서, 화장제의 압송에 압축공기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충전밀도, 충전속도 등의 조정이 극히 곤란하고, 제품의 표면에 함몰부의 발생 또는 충전구의 자리가 남는다는 등의 문제가 있고, 제품의 불량율이 높아진다고 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화장제의 충전밀도는 압축공기의 압력(약 8㎏/㎠) 이상으로 올릴 수가 없어 고밀도의 충전을 실시할 수가 없게된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상 화장제의 충전방법에 있어서, 충전과 동시에 진공흡인을 행하면 충전된 화장제의 표면 부분에 있는 용제만이 흡인되어 버리기 때문에 제품 내부의 충전밀도에 편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상 화장제의 충전방법에 있어서, 충전 진공도를 필요이상으로 높이지 않으면 안되는 것에서, 건조 후에 내용물이 수축하여 용기에서 이탈하게 되어 소정의 낙하강도를 유지할 수가 없고, 페이스트상 화장제의 처방에 한정조건이 부여되는 과제도 있었다.
특허출원 10-1989-0009546호에 페이스트상 화장제용 다색 충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호퍼에 저장된 매니큐어액을 실린더의 신축구동에 의해 흡입한 후 용기에 충전시키는 동작을 자동화시켜 작업능률을 높이고, 설정량 만큼의 매니큐어액을 용기에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매니큐어액의 색 변경시 해당 부품의 분리 및 세척이 용이하므로 색상별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린더의 스트로크 량에 따라 매니큐어액의 충전량을 조절하므로 구조 간단화 및 컴팩트화로 인해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품의 소형화로 인해 좁은 장소에서도 유익하게 사용하고, 호퍼에 저장된 매니큐어액의 물성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는,
매니큐어액이 저장되고, 상기 매니큐어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는 매니큐어액 낙하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제1바디;
상기 낙하통로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볼밸브가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상기 볼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낙하통로로부터 낙하되는 매니큐어액을 배출시키거나, 상기 낙하통로의 출구를 폐쇄시키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볼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낙하통로로부터 배출되는 매니큐어액을 수용하는 제1통로가 형성되는 제2바디;
신장구동시 스트로크 량에 비례하여 상기 낙하통로로부터 설정된 양만큼의 매니큐어액을 상기 제1통로에 흡입하는 실린더;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수축구동에 의해 상기 제1통로로부터 이송되는 매니큐어액을 수용하는 제2통로가 형성되는 제3바디; 및
상기 제3바디의 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통로를 통과하는 매니큐어액을 용기에 충전시키는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큐어액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호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호퍼 내에 저장되는 매니큐어액을 교반시키는 교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밸브의 결합홈에 끼워맞춤되는 홀더가 구비되는 에어모터, 상기 에어모터의 구동시 상기 볼밸브를 회전시켜 상기 낙하통로를 개폐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밸브는
상기 실린더의 신장구동시 상기 낙하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실린더의 수축구동시 상기 제1통로와 제2통로를 연통시키는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 상기 실린더의 신장구동시 상기 낙하통로를 상기 제1,2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1통로에 연통시키고, 상기 실린더의 수축구동시 닫힘상태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호퍼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상기 호퍼 내에 저장되는 매니큐어액의 물성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히터;
상기 제1,2,3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1,2,3바디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상기 제1,2,3바디를 통과하는 매니큐어액의 물성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의 토출구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통로 내의 매니큐어액을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용기에 충전시킨 후, 상기 제2통로 내에 잔류되는 매니큐어액이 흘러내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3바디, 실린더 및 밸브바디는 상기 용기에 충전되는 매니큐어액의 색을 변경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3바디는 상기 밸브바디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볼밸브는 상기 밸브바디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호퍼와 제1바디, 상기 제2바디와 실린더, 상기 제3바디와 노즐은 클램프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호퍼에 저장된 매니큐어액을 실린더의 신축구동에 의해 흡입한 후 용기에 충전시키는 동작을 자동화시킴에 따라 작업능률이 향상되므로 대량생산으로 인해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설정량 만큼의 매니큐어액을 용기에 충전시키므로 신뢰성 및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니큐어액의 색 변경시 해당 부품의 분리 및 세척이 용이하므로, 하나의 충전기를 이용하여 매니큐어액을 색상별로 용기에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의 스트로크 량에 따라 매니큐어액의 충전량을 조절하므로, 충전장치의 구조 간단화 및 컴팩트화로 인해 원가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소형화로 인해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지않고 유익하게 사용하고, 호퍼에 저장된 매니큐어액의 물성을 최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용기에 충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에서 매니큐어액 토출부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에서 매이큐어액 토출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에서 호퍼에 저장된 매니큐어액을 흡입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에서 호퍼로부터 배출된 매니큐어액을 노즐부로 이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는,
매니큐어액이 저장되고, 상기 매니큐어액이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됨)가 형성되는 호퍼(10);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는 매니큐어액 낙하통로(11)가 내부에 형성되는 제1바디(12);
상기 낙하통로(11)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볼밸브(13)가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상기 볼밸브(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낙하통로(11)로부터 낙하되는 매니큐어액을 배출시키거나, 상기 낙하통로(11)의 출구를 폐쇄시키는 밸브바디(14);
상기 밸브바디(14)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볼밸브(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낙하통로(11)로부터 배출되는 매니큐어액을 수용하는 제1통로(15)가 형성되는 제2바디(16);
신장구동시 스트로크 량에 비례하여 상기 낙하통로(11)로부터 설정된 양만큼의 매니큐어액을 상기 제1통로(15)에 흡입하는 실린더(일 예로서 에어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음)(17);
상기 밸브바디(14)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17)의 수축구동에 의해 상기 제1통로(15)로부터 이송되는 매니큐어액을 수용하는 제2통로(18)가 형성되는 제3바디(19);
상기 제3바디(19)의 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통로(18)를 통과하는 매니큐어액을 용기에 충전시키는 노즐(2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호퍼(10) 내에 저장되는 매니큐어액을 교반시키는 교반기(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볼밸브(13)의 결합홈(22)에 끼워맞춤되는 홀더(24)가 구비되는 에어모터(25), 상기 에어모터(25)의 구동시 상기 볼밸브(13)를 회전시켜 상기 낙하통로(11)를 개폐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밸브(13)는
상기 실린더(17)의 신장구동시 상기 낙하통로(11)와 연통되고, 상기 실린더(17)의 수축구동시 상기 제1통로(11)와 제2통로(15)를 연통시키는 제1관통공(26)과,
상기 제1관통공(26)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27), 상기 실린더(17)의 신장구동시 상기 낙하통로(11)를 상기 제1,2관통공(26,27)을 통해 상기 제1통로(15)에 연통시키고, 상기 실린더(17)의 수축구동시 닫힘상태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10)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호퍼(1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상기 호퍼(10) 내에 저장되는 매니큐어액의 물성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히터(28);
상기 제1,2,3바디(12,16,19)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1,2,3바디(12,16,19)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상기 제1,2,3바디(12,16,19)를 통과하는 매니큐어액의 물성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히터(2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노즐(20)의 토출구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통로(18) 내의 매니큐어액을 상기 노즐(20)을 통해 상기 용기(30)에 충전시킨 후, 상기 제2통로(18) 내에 잔류되는 매니큐어액이 흘러내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미도시됨)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3바디(12,16,19), 실린더(17) 및 밸브바디(14)는 상기 용기(30)에 충전되는 매니큐어액의 색을 변경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3바디(12,16,19)는 상기 밸브바디(14)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볼밸브(13)는 상기 밸브바디(14)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호퍼(10)와 제1바디(12), 상기 제2바디(16)와 실린더(17), 상기 제3바디(19)와 노즐(20)은 클램프(31)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3바디(12,16,19)는 누수방지용 오링(aa)과, 기밀용 가스켓(bb), 매니큐어액 이송용 배관(cc) 및 클램핑용 패킹(dd)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2는 상기 호퍼(10)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뚜껑이고, 33은 구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s)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교반기(21)를 회전시키는 전기모터이며, 34는 상기 용기(30)에 충전되는 매니큐어액의 실제 중량을 측정하는 전자저울이며, c는 실린더(17), 에어모터(25) 및 전기모터(33) 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며, h는 상기 제2히터(29)에 전원을 공급하는 열선이며, p는 상기 볼밸브(13)를 회전시키기 위해 에어모터(25)를 정,역회전시키는 페달이며, t는 용기(30)에 충전되는 매니큐어액의 점성으로 인해 실린더(17)의 스트로크엔드후 신축구동되는 것을 설정시간동안 지체시키는 타이머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니큐어액 충전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호퍼(10)에 매니큐어액을 투입한 후, 뚜껑(32)을 닫아 외부로부터 호퍼(10)의 내부에 먼지, 이물질 등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s)의 조작에 의한 전기모터(33)의 구동시 회전되는 교반기(21)에 의해 호퍼(10) 내부의 매니큐어액을 교반시킨다. 이때 상기 호퍼(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제1히터(28)(일 예로서 40∼50℃를 유지함)에 의해 호퍼(1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호퍼(10) 내의 매니큐어액의 물성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c)를 조작하여 상기 용기(30)에 설정된 만큼의 매니큐어액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17)의 스트로크 량을 조정하고, 상기 교반기(21)를 구동시키는 전기모터(33)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볼밸브(13)를 회전시키는 에어모터(25)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페달(p)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에어모터(25)를 구동시켜 밸브바디(14)의 볼밸브(13)를 회전시킴에 따라, 즉 상기 볼밸브(13)가 "ㅏ"상태로 전환되므로 상기 제1바디(12)의 낙하통로(14)를 상기 볼밸브(13)의 제1관통공(26) 및 제2관통공(27)에 의해 제2바디(16)의 제1통로(15)에 연통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실린더(17)의 신장구동으로 인해 상기 호퍼(1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매니큐어액은 상기 낙하통로(14) - 볼밸브(13)의 제1관통공(26)과 제2관통공(27) - 제1바디(16)의 제1통로(15)에 이송된 후, 실린더(17)의 챔버에 이송된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에어모터(25)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볼밸브(13)가 "ㅜ"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낙하통로(11)의 출구는 닫힌상태로 절환되고, 상기 볼밸브(13)의 제1관통공(26)에 의해 상기 제2바디(16)의 제1통로(15)와 제3바디(19)의 제2통로(18)는 연통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17)의 수축구동시 상기 제1통로(15) 내의 매니큐어액은 볼밸브(13)의 제1관통공(26)(제2관통공(27)은 막혀 있음)과 제2통로(18)를 경유하여 노즐(20)쪽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20)을 통과하는 설정된 량만큼의 매니큐어액이 용기(30)에 충전된다. 이때 매니큐어액이 충전된 용기(30)의 중량을 전자저울(34)에 의해 계측함에 따라 상기 용기(30)에 설정된 량만큼의 매니큐어액(용기(30)의 중량을 뺀 상태의 매니큐어액의 중량을 말함) 충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호퍼(10)에 저장된 매니큐어액을 신축구동되는 상기 실린더(17)의 스트로크 량에 비례하여 상기 용기(30)에 충전시킴에 따라, 설정된 량만큼의 매니큐어액을 용기(30)에 정확하게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3바디(12,16,19)의 외측면에 설치된 제2히터(29)(일 예로서 40∼50℃를 유지함)에 의해 제1,2,3바디(12,16,19)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제1,2,3바디(12,16,19) 내의 매니큐어액의 물성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30)에 충전되는 매니큐어액의 색을 변경시킬 경우 해당 부품들을 분리하여 세척하므로 매니큐어액의 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호퍼(10)의 배출구와 상기 제1바디(12)를 연결시킨 클램프(31)를 분리하고, 상기 제2바디(16)와 실린더(17)를 연결시킨 클램프(31)를 분리하며, 상기 제3바디(19)와 노즐(20)을 연결시킨 클램프(31)를 분리한다.
다음, 상기 밸브바디(14)에 나사결합된 제1,2,3바디(12,16,19)를 분리한 후 밸브바디(14)로부터 볼밸브(13)를 분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호퍼(10)에 저장된 매니큐어액을 용기(30)에 충전시키기 위해 매니큐어액이 흐르는 해당 부품들을 분리한 후 세척할 경우, 호퍼(10)에 저장되어 용기(30)에 충전되는 매니큐어액의 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10; 호퍼
12; 제1바디
14; 밸브바디
16; 제2바디
18; 제2통로
20; 노즐
22; 결합홈
24; 홀더
26; 제1관통공
28; 제1히터
30; 용기
32; 뚜껑

Claims (7)

  1. 매니큐어액이 저장되고, 상기 매니큐어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는 매니큐어액 낙하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제1바디;
    상기 낙하통로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볼밸브가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상기 볼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낙하통로로부터 낙하되는 매니큐어액을 배출시키거나, 상기 낙하통로의 출구를 폐쇄시키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볼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낙하통로로부터 배출되는 매니큐어액을 수용하는 제1통로가 형성되는 제2바디;
    신장구동시 스트로크 량에 비례하여 상기 낙하통로로부터 설정된 양만큼의 매니큐어액을 상기 제1통로에 흡입하는 실린더;
    상기 밸브바디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수축구동에 의해 상기 제1통로로부터 이송되는 매니큐어액을 수용하는 제2통로가 형성되는 제3바디; 및
    상기 제3바디의 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통로를 통과하는 매니큐어액을 용기에 충전시키는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호퍼 내에 저장되는 매니큐어액을 교반시키는 교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의 결합홈에 끼워맞춤되는 홀더가 구비되는 에어모터, 상기 에어모터의 구동시 상기 볼밸브를 회전시켜 상기 낙하통로를 개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는
    상기 실린더의 신장구동시 상기 낙하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실린더의 수축구동시 상기 제1통로와 제2통로를 연통시키는 제1관통공과,
    상기 제1관통공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 상기 실린더의 신장구동시 상기 낙하통로를 상기 제1,2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1통로에 연통시키고, 상기 실린더의 수축구동시 닫힘상태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호퍼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상기 호퍼 내에 저장되는 매니큐어액의 물성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히터;
    상기 제1,2,3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1,2,3바디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상기 제1,2,3바디를 통과하는 매니큐어액의 물성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토출구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통로 내의 매니큐어액을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용기에 충전시킨 후, 상기 제2통로 내에 잔류되는 매니큐어액이 흘러내려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바디, 실린더 및 밸브바디는 상기 용기에 충전되는 매니큐어액의 색을 변경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3바디는 상기 밸브바디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볼밸브는 상기 밸브바디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호퍼와 제1바디, 상기 제2바디와 실린더, 상기 제3바디와 노즐은 클램프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KR1020130142879A 2013-11-22 2013-11-22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KR20150059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879A KR20150059378A (ko) 2013-11-22 2013-11-22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879A KR20150059378A (ko) 2013-11-22 2013-11-22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378A true KR20150059378A (ko) 2015-06-01

Family

ID=5349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879A KR20150059378A (ko) 2013-11-22 2013-11-22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93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194A (ko) * 2016-06-08 2017-12-19 (주) 비쥬코스메틱 매니큐어 제조 설비
CN108636670A (zh) * 2018-06-12 2018-10-12 裕东(中山)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文丘里粉泵可转位清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194A (ko) * 2016-06-08 2017-12-19 (주) 비쥬코스메틱 매니큐어 제조 설비
CN108636670A (zh) * 2018-06-12 2018-10-12 裕东(中山)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文丘里粉泵可转位清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8069B (zh) 含有固体颗粒的液体材料的吐出装置及吐出方法、以及涂布装置
TWI302896B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foil bags with food
CN1917964B (zh) 用于压出并定量地涂覆一种能流动的软膏状材料的装置
US8783516B2 (en) Liquid dispenser and method for preventing liquid segregation
JP2004114040A5 (ko)
JP4709585B2 (ja) 塗布材充填方法及び装置
JP5330525B2 (ja) 流体充填装置
CN107096627A (zh) 玻璃安瓿瓶手动打开装置和方法及胶接装置
KR20150059378A (ko) 매니큐어액 충전장치
US20120187148A1 (en) Syringe for single use
JP4121804B2 (ja) 塗料供給用シリンジポンプ
JP2008201424A (ja) 定量充填装置
CN211330723U (zh) 一种便于出料的土壤生态修复装置
CN208627606U (zh) 一种新型油漆喷涂设备
CN207374729U (zh) 一种用于低等粘度膏体电子胶粘剂半自动计量分装设备
EP0167190A1 (fr) Procédé de transfert de produits pulvérulents à partir d'un réservoir et installation de mise en oeuvre
CN104148239A (zh) 一种用于模压烟花点胶的点胶阀
CN106836750B (zh) 安装于涂漆机的旋塞
WO2014193053A1 (ko) 다용도 분사장치
KR101992025B1 (ko) 도료 분출장치
KR20080054635A (ko) 제과용 소재 자동 공급 장치
KR200436344Y1 (ko) 강제 압송식 분사 도장장치
CN113859605A (zh) 一种聚合氯化铝定量输送装置
CN205898393U (zh) 瓶管密封检测装置
KR101335986B1 (ko) 파우치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