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025B1 - 도료 분출장치 - Google Patents

도료 분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025B1
KR101992025B1 KR1020170145506A KR20170145506A KR101992025B1 KR 101992025 B1 KR101992025 B1 KR 101992025B1 KR 1020170145506 A KR1020170145506 A KR 1020170145506A KR 20170145506 A KR20170145506 A KR 20170145506A KR 101992025 B1 KR101992025 B1 KR 10199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tank
expansion
storage pack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985A (ko
Inventor
조성암
Original Assignee
조성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암 filed Critical 조성암
Publication of KR20180102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 분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료액을 내부에 구비하고 도료액의 분출을 허용하는 분출구를 갖는 도료탱크, 및 도료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유동체에 의해 팽창되며 균일한 압력으로 도료탱크 내부의 도료액을 분출구 측으로 강제 이송 안내하는 팽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팽창부재를 통해 도료탱크 내부의 도료액을 분출구 측으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송 가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균일한 도료액의 분출을 유도할 수 있고, 도료탱크 내부의 도료액을 최대한 인출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료 분출장치{PAINT SPRAY DEVICE}
본 발명은 도료 분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팽창부재를 통해 도료탱크 내부의 도료액을 분출구 측으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송 가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균일한 도료액의 분출을 유도할 수 있고, 도료탱크 내부의 도료액을 최대한 인출 유도하기 위한 도료 분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면이나 기타 구조물 등에 페인트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솔이나 페인팅 롤러 그리고 스프레이건(Spray gun)을 사용하는 것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솔이나 페인팅 롤러를 사용하여 페인트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페인트가 담긴 용기를 일일이 들고 옮겨가면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연장됨은 물론 사용하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솔이나 페인팅 롤러를 페인트가 담긴 용기 안에 넣어 적신 후 꺼내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량의 페인트가 솔이나 상기한 롤러로부터 작업장 주변으로 떨어져 유실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 때문에 페인트 작업을 하는 장소의 주변이 매우 지저분하게 되며 페인팅작업 후 이를 말끔히 세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 안에 담긴 페인트를 솔이나 롤러에 계속 적시면서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은 물론 집중력이 저하되고 주위가 산만해져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스프레이건을 사용하여 페인트를 분사시키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으나 스프레이방식의 경우 페인트의 입자가 널리 비산되기 때문에 개방된 공간에서는 스프레이건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75810호(명칭: 페인트가 솔이나 롤러로 자동 공급되는 휴대용 페인트 도포장치,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페인트 도포장치는 모터펌프의 작동으로 페인트용기 내부의 페인트를 노즐로 분출 유도하는데, 페인트용기 내부의 페인트 잔류량이 많기 때문에, 버리게 되는 페인트량이 많아, 페인트 구매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페인트 도포장치는 모터펌프 등의 설비를 구비해야 함에 따라 유지 보수비용이 증가하고,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팽창부재를 통해 도료탱크 내부의 도료액을 분출구 측으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송 가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균일한 도료액의 분출을 유도하기 위한 도료 분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팽창부재의 팽창을 통해 도료탱크 내부의 도료액을 최대한 인출 유도하기 위한 도료 분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팽창부재를 팽창 유도하는 기체를 초기에 도료탱크를 개폐하는 덮개를 도료탱크에 로킹하는 작동원으로 사용함으로써 팽창부재의 팽창에 따른 덮개의 개방을 방지하고, 팽창부재를 팽창시키는 에어로써 팽창부재의 팽창 유도 전(前)에 덮개를 도료탱크에 잠금 처리함에 따라 잠금 제어가 용이하면서 덮개 잠금 설비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도료 분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팽창부재 사이사이에 보강판부재를 배치하여 팽창부재가 도료저장팩을 압축시 후측으로 밀리는 것을 최대한 지지 가능하고, 팽창부재와 도료저장팩의 크기에 따라 도료탱크의 크기(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도료 분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는: 도료액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도료액의 분출을 허용하는 분출구를 갖는 도료탱크; 및 상기 도료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유동체에 의해 팽창되며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도료탱크 내부의 도료액을 상기 분출구 측으로 강제 이송 안내하는 팽창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도료탱크는 상기 도료액을 충진한 도료저장팩을 수납하고, 상기 도료저장팩은 개방부에 의해 상기 분출구 측으로 개방시켜 도료 분출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재는, 외부로부터 유동체를 공급받아 팽창하는 관 타입의 메인부재; 상기 메인부재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동체의 공급으로 팽창되는 엔드윙부재; 및 상기 메인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유동체의 공급으로 팽창되는 사이드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부재는 유동체를 공급받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엔드윙부재와 상기 사이드윙부재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동체공급단속부재를 구비하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팽창부재의 팽창 정도에 따라 상기 팽창부재에 서서히 삽입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유동체공급단속부재는 상기 팽창부재의 팽창 정도에 따라 상기 팽창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순서대로 개방되며 유동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도료탱크는 상기 도료액의 보충과 상기 팽창부재의 교체를 위해 덮개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팽창부재로 공급되기 전(前)에 안전로킹부에 의해 상기 유동체의 공급을 받아 상기 도료탱크에 잠금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도료탱크는 상기 팽창부재 사이에 보강판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료탱크는 내부 공간 확장을 위해 연장케이싱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분출구는 상기 도료탱크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도료저장팩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는: 분출구를 갖는 도료탱크, 도료탱크 내측에 수납되고 도료액을 충진하며 분출구 측으로 개방되며 도료액의 분출을 유도하는 도료저장팩, 및 도료저장팩에 저장된 도료액을 배출측으로 배출 안내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도료탱크는 상기 분출구 측 내부에 경질의 캡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도료저장팩의 상기 도료액 배출측 가장자리를 감싸고, 상기 도료저장팩은 가요성을 갖는 보호부재에 감싸여지며, 상기 덮개는 도료저장팩 또는 상기 보호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도료저장팩은 상기 도료액 배출측에 단속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도료액 배출측 가장자리를 뒤집어 상기 캡부재에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팽창부재를 통해 도료탱크 내부의 도료액을 분출구 측으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송 가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균일한 도료액의 분출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팽창부재의 팽창을 통해 도료탱크 내부의 도료액을 최대한 인출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팽창부재를 팽창 유도하는 기체를 초기에 도료탱크를 개폐하는 덮개를 도료탱크에 로킹하는 작동원으로 사용함으로써 팽창부재의 팽창에 따른 덮개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고, 팽창부재를 팽창시키는 에어로써 팽창부재의 팽창 유도 전(前)에 덮개를 도료탱크에 잠금 처리함에 따라 잠금 제어가 용이하면서 덮개 잠금 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팽창부재 사이사이에 보강판부재를 배치하여 팽창부재가 도료저장팩을 압축시 후측으로 밀리는 것을 최대한 지지할 수 있고, 팽창부재와 도료저장팩의 크기에 따라 도료탱크의 크기(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초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도료탱크에 덮개를 잠금 처리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초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작동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도료탱크에 덮개를 잠금 처리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100)는 도료액을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분출 안내하는 설비로서, 도료탱크(110) 및 팽창부재(120)를 포함한다.
도료탱크(110)는 도료액을 충진한 용기로서,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도료탱크(110)는 충진된 도료액의 분출을 허용하도록 분출구(112)를 구비한다. 이때, 분출구(112)는 도료액의 분출이 용이하도록 도료탱크(110)의 하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형성 위치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도료탱크(110)는 도료액의 충진을 위해 상측에 개폐 가능한 덮개(17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팽창부재(120)는 도료탱크(11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유동체에 의해 팽창되며 균일한 압력으로 도료탱크(110) 내부의 도료액을 분출구(112) 측으로 강제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팽창부재(120)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유동체의 공급시 팽창된다. 여기서, 유동체는 공기 또는 기체로 적용할 수 있으나,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덮개(170)가 도료탱크(110)의 개방된 상측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팽창부재(120)는 도료탱크(110)의 내부에서 도료액의 상측에 놓여질 수도 있고, 개방측을 덮개(17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봉되게 연결할 수도 있다.
특히, 팽창부재(120)가 유동체에 의해 팽창되면서 도료액의 상측 전체에 걸쳐 고르게 가압하는 것이, 에어(air)를 도료액의 상부로 충진하여 도료액을 배출 유도하는 방식보다, 도료액이 안정적으로 고르게 분출구(112)를 통해 배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팽창부재(120) 자체가 도료액을 가압하기 때문에, 유동체의 공급이 줄어들더라도, 도료액은 분출을 위한 충분한 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유동체의 공급을 위한 부하량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료탱크(110)는 도료액을 충진한 도료저장팩(130)을 수납한다. 이는, 도료탱크(110) 내부의 청결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작업자가 도료저장팩(130)을 통해 도료탱크(110)에 도료액의 충진함으로써, 도료액 충진 시간이 줄어들고, 충진 작업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때, 도료저장팩(130)은 개방부(140)에 의해 분출구(112) 측으로 개방시켜 도료 분출을 허용한다.
특히, 개방부(140)는 도료저장팩(130)을 분출구(112) 측으로 개방시켜 도료액의 토출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개방부(140)는 도료탱크(110) 또는 분출구(112) 내측에 구비되어 밀리는 도료저장팩(130)을 자연적으로 찢어 도료액의 토출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개방부(140)는 핀부재(142) 및 리브(144)를 포함할 수 있다.
핀부재(142)는 도료탱크(110) 또는 분출구(112) 내측에 구비되어 분출구(112) 측으로 강제 밀려오는 도료저장팩(130)을 자연적으로 뚫는 역할을 한다. 물론, 핀부재(1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분출구(112)에서 분출되는 도료액은 스프레이 건(2)으로 이송될 수 있다.
스프레이 건(2)은 일측과 타측으로 개방되는 메인채널(4)을 형성한다. 메인채널(4)의 일측은 외기(air)가 공급되고, 메인채널(4)의 타측은 외기와 도료액이 혼합되어 토출(뿜칠)된다.
그리고, 스프레이 건(2)은 둘레면에서 메인채널(4)로 연결되는 서브채널(6)을 형성한다. 서브채널(6)은 분출구(112)에서 토출되는 도료액을 공급받는 역할을 한다.
또한, 리브(144)는 분출구(112) 내측면 또는 도료탱크(110) 내측면에 복수 개 연장되어 핀부재(14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료저장팩(130)으로부터 도료액이 분출구(112) 측으로 분출 허용하도록 방사상으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리브(1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료저장팩(130)이 도료액을 담아 팽창되는 상태에서 핀부재(142)에 의해 통공될 경우 수축하게 되는데, 도료탱크(110) 또는 핀부재(142)는 통공 부위가 분출구(112) 측을 항상 향하도록 도료저장팩(130)을 지지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료탱크(110)의 분출구(112) 측에는 체크밸브(146)가 구비될 수 있다. 체크밸브(146)는 분출구(112) 외측으로 분출되는 도료액이 도료탱크(110) 내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팽창부재(120)는 고무풍선처럼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료탱크(110) 내측의 도료액을 상측에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팽창부재(120)는 메인부재(122), 엔드윙부재(124) 및 사이드윙부재(126)를 포함한다.
메인부재(122)는 외부로부터 유동체를 공급받아 팽창하는 것으로서, 팽창시 관 타입으로 축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부재(122)는 유동체를 공급받는 일측으로 유동체의 유출이 방지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엔드윙부재(124)는 메인부재(122)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유동체의 공급으로 팽창된다. 특히, 엔드윙부재(124)는 팽창되면서 도료탱크(110)에 충진된 도료액을 고르게 가압하도록 도료액의 상측면과 나란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엔드윙부재(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사이드윙부재(126)는 메인부재(122)의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유격된 채 둘레면에 각각 구비되고, 유동체의 공급으로 팽창된다. 그래서, 사이드윙부재(126)는 도료액을 가압하는 엔드윙부재(12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사이드윙부재(126)의 개수, 형상 및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팽창부재(120)는 유동체를 공급받는 샤프트(150)를 구비한다. 샤프트(150)는 강성으로 이루어지고, 유동체를 직접적으로 공급받아 팽창부재(120) 내측으로 공급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샤프트(1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샤프트(150)는 엔드윙부재(124)와 사이드윙부재(126)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동체공급단속부재(152)를 구비할 수 있다.
유동체공급단속부재(152)는 유동체의 토출을 단속하는 밸브로 적용한다.
특히, 초기에 팽창부재(120)가 수축된 상태에서, 샤프트(150)는 가장자리 일부만 팽창부재(120) 내부에 삽입된다. 이 후, 팽창부재(120)가 서서히 팽창하면서, 샤프트(150)가 최대한 메인부재(122)에 축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팽창부재(120) 내측에 위치한 유동체공급단속부재(152)만이 개방되며 팽창부재(120) 내측으로 유동체를 공급하게 된다. 최초에, 유동체공급단속부재(152)는 하나만 팽창부재(120) 내측에 위치하도록, 샤프트(150)가 팽창부재(120)에 일부 삽입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샤프트(150)는 팽창부재(120)의 팽창 정도에 따라 팽창부재(120)에 서서히 삽입되도록 제어된다. 즉, 팽창부재(120)가 수축된 초기에, 샤프트(150)는 일측 가장자리 일부만 팽창부재(120) 내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유동체가 특정 유동체공급단속부재(152)를 통해 팽창부재(120) 내부로 설정량만큼 또는 설정시간동안 공급되면, 제어부(160)는 샤프트(150)를 소정 팽창된 팽창부재(120)의 메인부재(122)에 좀 더 축 삽입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샤프트(150)는 실린더 등 다양한 설비에 의해 팽창부재(120) 내부로 서서히 또는 간헐적으로 설정깊이만큼 삽입되도록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유동체공급단속부재(152)는 팽창부재(120)의 팽창 정도에 따라 팽창부재(120) 내부로 삽입되는 순서대로 개방되며 유동체를 공급하도록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즉, 팽창부재(120) 내부로 삽입되는 순서대로 유동체공급단속부재(152)가 개방되며 유동체를 토출 허용하도록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엔드윙부재(124)가 우선적으로 팽창된 후 복수 개의 사이드윙부재(126)가 샤프트(150)의 축 방향을 따라 후측으로 순서대로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도료탱크(110) 내부의 도료액은 상측에서 엔드윙부재(124)의 전체적 가압에 의해 분출구(112) 측으로 균일하게 토출 안내된다.
한편, 도료탱크(110)는 도료액의 보충과 팽창부재(120)의 교체를 위해 덮개(170)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게 되는데, 덮개(170)는 팽창부재(120)로 공급되기 전(前)에 안전로킹부(180)에 의해 유동체의 공급을 받아 도료탱크(110)에 잠금 처리된다.
즉, 안전로킹부(180)는 샤프트(150)로 공급되기 전의 유동체를 통해 작동되며 덮개(170)를 도료탱크(110)에 잠금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안전로킹부(180)는 회전작동부재(181), 핀(182), 플랜지(183), 수용홈(184) 및 잠금홈(185)을 포함한다.
회전작동부재(181)는 일측이 도료탱크(110)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덮개(170)의 둘레면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회전작동부재(181)가 전후진 작동시, 덮개(170)가 도료탱크(110)의 개방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양방향 회전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회전작동부재(181)는 실린더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회전작동부재(181)는 유동체의 공급으로 전진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핀(182)은 덮개(170)의 하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유격되게 배치된다. 아울러, 플랜지(183)는 핀(182)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데, 핀(18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물론, 핀(182)과 플랜지(183)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고, 핀(182)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수용홈(184)은 도료탱크(110)의 상측 테두리에 원주 궤적을 따라 핀(182)의 각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수용홈(184)은 플랜지(183)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직경)로 이루어진다.
또한, 잠금홈(185)은 수용홈(184) 각각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잠금홈(185)은 회전작동부재(181)의 전진으로 덮개(170)가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수용홈(184)에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잠금홈(185)은 플랜지(183)의 크기(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핀(182)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플랜지(183)가 잠금홈(185) 내측으로 이동시, 플랜지(183)가 잠금홈(185)에 걸림으로써, 덮개(170)는 도료탱크(110)의 개방된 상측을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덮개(170)는 패킹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도로탱크와 충분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부(160)는 덮개(170)를 도료탱크(110)에 견고하게 로킹(locking)되도록 회전작동부재(181)의 작동을 위해 제어(①)된 후, 샤프트(150)에 유동체를 공급하여 팽창부재(120)가 서서히 팽창되도록 제어(②)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유동체는 회전작동부재(181)를 작동하는 동일한 에어로 적용한다.
한편, 도료탱크(110)는 직접 도료액을 담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100)는 도료탱크(110), 팽창부재(120) 및 보강판부재(128)를 포함한다.
도료탱크(110) 및 팽창부재(1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도료탱크(110)는 도료액을 충진한 도료저장팩(130)을 수납할 수 있다.
이때, 팽창부재(120)가 도료탱크(110) 내부에 충진된 도료액 또는 도료저장팩(130)을 분출구(112) 측으로 가압시, 팽창부재(120)는 가압하는 반대방향으로 휘거나 가압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판부재(128)가 구비된다.
보강판부재(128)는 도료탱크(110) 내부에서 팽창부재(120)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강판부재(128)는 평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팽창부재(120) 각각은 서로 나뉘어지고, 보강판부재(128)는 나뉘어진 팽창부재(120) 사이에 배치된다. 아울러, 샤프트(150)는 보강판부재(128)에 연결되어 팽창부재(120) 측으로 유동체를 공급 안내하며, 이웃한 보강판부재(128)와 팽창부재(120)는 연결구(129)에 의해 밀봉 처리된 채 연결되어 유동체의 이송을 허용한다. 물론, 연결구(129)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100)는 도료탱크(110), 팽창부재(120) 및 연장케이싱(115)을 포함한다.
도료탱크(110) 및 팽창부재(1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도료탱크(110) 내부의 구성을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도 있고, 제 2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편의상, 제 3실시예에서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하도록 도료탱크(110) 내부에 팽창부재(120)와 보강판부재(128)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연장케이싱(115)은 도료탱크(110) 내부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덮개(170)를 설치하는 도료탱크(11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덮개(170)는 연장케이싱(115)의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연장케이싱(115)과 도료탱크(110)는 연결조인트(117)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연결조인트(117)는 연장케이싱(115)과 도료탱크(1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플랜지 및 대향하는 플랜지를 맞댄 후 체결하는 체결부재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도료탱크(110)는 팽창부재(120)와 도료저장팩(130)의 크기(길이)에 따라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연장케이싱(115)을 연장하여 사용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100)는 도료탱크(110) 및 팽창부재(120)을 포함한다.
이때, 도료탱크(110) 및 팽창부재(1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도료탱크(110) 내부의 구성을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도 있고, 제 2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편의상, 제 3실시예에서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하도록 도료탱크(110) 내부에 팽창부재(120)와 보강판부재(128)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도료액을 분출 안내하는 분출구(112)는 도료탱크(110)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도료탱크(110)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래서, 분출구(112)는 도료탱크(110)의 전측으로 삽입 후 도료탱크(110)의 후측에서 도료저장팩(130)을 연결한다.
특히, 분출구(112)는 일측이 도료저장팩(130)의 도료액 토출측과 접속구(113)로써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도료저장팩(130)의 도료액은 안정적으로 분출구(112)로 분출된다.
이때, 도료저장팩(130)은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유통이나 보관시 캡 등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접속구(113)를 통해 분출구(112)와 결합시 밀폐 상태가 해제된다.
도료저장팩(130)이 분출구(112)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분출구(112)는 도료탱크(110)의 후측으로 노출되기 위해 도료탱크(110)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도료저장팩(130)을 결합한 분출구(112)는 도료탱크(110)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분출구(112)를 도료탱크(110)에 고정하고, 도료탱크(110) 내부를 밀봉하기 위함이다.
예로서, 분출구(112)와 도료탱크(110)는 밀봉부(119)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밀봉부(119)는 탄성리브(119a), 제 1나사산(119b) 및 제 2나사산(119c)을 포함한다.
탄성리브(119a)는 분출구(112)의 일측 둘레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탄성리브(119a)는 분출구(112)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나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분출구(112)가 도료탱크(110)의 토출측으로 삽입시, 탄성리브(119a)는 분출구(112)의 둘레면 측으로 모아지게 된다. 물론, 탄성리브(119a)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1나사산(119b)는 탄성리브(119a)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제 2나사산(119c)는 도료탱크(110) 특히 토출측 내부면에 형성된다.
그래서, 탄성리브(119a)의 제 1나사산(119b)이 도료탱크(110)의 토출측 내부에 형성된 제 2나사산(119c)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분출구(112)는 도료탱크(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탄성리브(119a)의 제 1나사산(119b)이 도료탱크(110)의 토출측 내부에 형성된 제 2나사산(119c)에 완전히 나사 결합시, 도료저장팩(130)은 분출구(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핀부재에 접하거나 근접된다. 이때, 도료저장팩(130)은 가압되기 전에 핀부재에 의해 뚫리지 않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출장치(100)는 도료탱크(110), 도료저장팩(130), 보호부재(136) 및 덮개(170)를 포함한다.
이때, 도료탱크(11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도료탱크(110)는 도료액을 충진한 도료저장팩(130)을 수납한다.
이때, 도료저장팩(130)의 후측인 충진부(132)는 도료액의 충진을 위해 개방되게 형성되고, 도료액의 충진 후 다양한 방식으로 밀봉 처리된다.
상세히, 도료저장팩(130)은 후측에 경질의 플레이트(131)을 구비한다. 플레이트(131)은 도료저장팩(130)의 후측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플레이트(131)는 도료액의 충진부(132)를 형성한다. 충진부(132)는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아울러, 도료탱크(110)는 도료저장팩(130)을 수납 가능하도록 후측을 개방되게 형성하고, 도료저장팩(130)을 수납 후 도료저장팩(130)이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170)를 구비한다.
한편, 보호부재(136)는 도료저장팩(130)을 감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외력에 의한 뒤틀림 발생을 통해 도료저장팩(130)을 뒤틀어 저장된 도료액이 배출측(134)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보호부재(136)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보호부재(136)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보호부재(136)는 신장되고 가요성을 갖는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료저장팩(130)을 축 방향으로 억지 삽입 허용한다.
이때, 보호부재(136)는 축 방향으로 일측이 도료저장팩(130)의 둘레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부재(136)는 축 방향으로 타측이 덮개(170)에 연결된다. 그래서, 덮개(17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 보호부재(136)는 원주 방향으로 뒤틀려지게 된다. 이에 연동되어, 도료저장팩(130)은 뒤틀려지거나 둘레면이 중심 방향으로 가압된다.
특히, 덮개(17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도료저장팩(130)은 충진부(132)에서 배출측(134)으로 서서히 뒤틀려지거나 둘레면이 중심 방향으로 가압되어 직경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도료저장팩(130)에 저장된 도료액은 도료저장팩(130)의 분출측(134)과 도료탱크(110)의 분출구(112)를 통해 분출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덮개(170)는 도료저장팩(130)의 일부를 삽입하여 반대측으로 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170)의 반대측으로 노출된 도료저장팩(130)이 외력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도료저장팩(130)에 저장된 도료액은 짜여지며 분출구(112)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료저장팩(130)은 도료액을 안정적으로 토출 유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료탱크(110)는 분출구(112) 측 내부에 경질의 캡부재(200)를 구비한다. 캡부재(200)는 도료저장팩(130)의 배출측(134)을 내측에 수용함으로써, 도료저장팩(130)의 배출측(134)은 도료액의 배출시 캡부재(200) 내측에 밀착된 채 형상을 유지함에 따라, 도료액은 안정적으로 분출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캡부재(200)는 분출구(112) 측으로 개방되는 목부(210)로 도료저장팩(130)의 도료액의 배출측(134) 가장자리를 삽입하여 외측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도료저장팩(130)의 해당 가장자리를 뒤집어 목부(210)를 감싸게 한다.
이 후, 목부(210)와 도료저장팩(130)의 해당 가장자리는 실링부재(135)에 의해 실링 처리된다.
이 경우, 도료저장팩(130)의 배출측(134)은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도료액의 임의적 토출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단속밸브(139)를 구비한다.
단속밸브(139)는 도료저장팩(130)이 도료액의 토출을 위해 가압될 경우에 개방되며 도료액의 토출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료저장팩(130)의 배출측(134)이 도료액의 토출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호부재(136)는 캡부재(200)를 감싼 채 도료저장팩(130)의 플레이트(131) 둘레면을 감싸는 것으로 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도료 분출장치 110: 도료탱크
120: 팽창부재 122: 메인부재
124: 엔드윙부재 126: 사이드윙부재
130: 도료저장팩 150: 샤프트
170: 덮개

Claims (12)

  1. 도료액을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도료액의 분출을 허용하는 분출구를 갖는 도료탱크; 및 상기 도료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유동체에 의해 팽창되며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도료탱크 내부의 도료액을 상기 분출구 측으로 강제 이송 안내하는 팽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료탱크는 상기 도료액을 충진한 도료저장팩을 수납하며,
    상기 팽창부재는, 외부로부터 유동체를 공급받아 팽창하는 관 타입의 메인부재; 상기 메인부재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동체의 공급으로 팽창되는 엔드윙부재; 및 상기 메인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유동체의 공급으로 팽창되는 사이드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재는 유동체를 공급받는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엔드윙부재와 상기 사이드윙부재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동체공급단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팽창부재의 팽창 정도에 따라 상기 팽창부재에 서서히 삽입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유동체공급단속부재는 상기 팽창부재의 팽창 정도에 따라 상기 팽창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순서대로 개방되며 유동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저장팩은 개방부에 의해 상기 분출구 측으로 개방시켜 도료 분출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출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탱크는 상기 도료액의 보충과 상기 팽창부재의 교체를 위해 덮개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팽창부재로 공급되기 전(前)에 안전로킹부에 의해 상기 유동체의 공급을 받아 상기 도료탱크에 잠금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탱크는 상기 팽창부재 사이에 보강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출장치.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탱크는 내부 공간 확장을 위해 연장케이싱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출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는 상기 도료탱크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료저장팩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출장치.
  10. 분출구를 갖는 도료탱크; 상기 도료탱크 내측에 수납되고, 도료액을 충진하며, 상기 분출구 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도료액의 분출을 유도하는 도료저장팩; 및 상기 도료저장팩에 저장된 상기 도료액을 배출측으로 배출 안내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도료탱크는 상기 분출구 측 내부에 경질의 캡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도료저장팩의 상기 도료액 배출측 가장자리를 감싸며,
    상기 도료저장팩은 가요성을 갖는 보호부재에 의해 감싸여지고,
    상기 덮개는 상기 도료저장팩 또는 상기 보호부재를 연결하여, 원주방향 회전 또는 상기 도료탱크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도료탱크 내부의 도료액을 상기 분출구 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출장치.
  11. 삭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저장팩은 상기 도료액 배출측에 단속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도료액 배출측 가장자리를 뒤집어 상기 캡부재에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출장치.
KR1020170145506A 2017-03-08 2017-11-02 도료 분출장치 KR101992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264 2017-03-08
KR20170029264 2017-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985A KR20180102985A (ko) 2018-09-18
KR101992025B1 true KR101992025B1 (ko) 2019-06-21

Family

ID=6371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506A KR101992025B1 (ko) 2017-03-08 2017-11-02 도료 분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827B1 (ko) 2019-03-04 2021-05-18 유지문 방사상 아암의 에어챔버 기능을 구비한 분사에어 컨트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262B1 (ko) * 2004-12-31 2013-06-17 로디아 쉬미 점성 제품 포장 방법 및 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262B1 (ko) * 2004-12-31 2013-06-17 로디아 쉬미 점성 제품 포장 방법 및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985A (ko)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1192B2 (en) Texturizing a wall or ceiling with non-acoustical joint compound
US7163130B2 (en) Portable gas powered fluid dispenser
CN1917964B (zh) 用于压出并定量地涂覆一种能流动的软膏状材料的装置
JP2019503272A (ja) 噴霧可能な流体を噴霧するための分注装置
US53182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dispensing of foam material
KR101992025B1 (ko) 도료 분출장치
US9475084B2 (en) Painting apparatus comprising an air bag
JP2004068773A (ja) 塗料供給用シリンジポンプ
TW201139226A (en) Cartridge with integrated closure cap
JP6158073B2 (ja) 塗装用シリンジガン及びそのシリンジガンを用いた塗装用シリンジガンシステム、塗装用シリンジガンへの塗料充填方法
CN102641828A (zh) 塑料容器、长条状流路构件及涂敷装置
WO2010041075A2 (en) Adhesive cartridge
KR102501294B1 (ko) 한손으로 사용가능한 상향 토출식 액상화장품 도포 겸용 보관용기
KR102080073B1 (ko) 페인트 자동 공급 롤러
KR101848596B1 (ko) 유체이송장치
KR102066854B1 (ko) 잉크 충전장치
KR20210049520A (ko) 친환경 포장용 페이퍼 검 테이프 디스펜서
KR102376937B1 (ko) 페인트 자동 공급 롤러
KR101873635B1 (ko) 유체이송장치
KR200369495Y1 (ko) 실린더 구조를 갖는 접착제 도포장치
KR20090082862A (ko) 레지스트액 공급 회수 시스템 및 레지스트액 회수 방법
NL1012240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afgeven van een afdichtende massa.
KR20160132717A (ko) 페인트 분사장치
KR20090069486A (ko) 진공 잉크 충전/흡입 장치
KR20240036373A (ko) 주입식 페인트 공급구조를 갖는 도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