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710A - 동애등에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동애등에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710A
KR20100003710A KR1020090059604A KR20090059604A KR20100003710A KR 20100003710 A KR20100003710 A KR 20100003710A KR 1020090059604 A KR1020090059604 A KR 1020090059604A KR 20090059604 A KR20090059604 A KR 20090059604A KR 20100003710 A KR20100003710 A KR 20100003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gae
scattering
spawning
medium
produ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3312B1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테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테코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0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동애등에 생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애등에 산란장에 동애등에 성충을 투입하는 단계 및 동애등에 산란장에 톱밥을 포함하는 유인 배지 및 유인 배지 상에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복수의 산란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 장치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은 유기성 폐자원을 친환경적으로 분해하기 위해 대량으로 동애등에를 증식하는데 효과가 있다.
동애등에, 유충, 증식.

Description

동애등에 생산 방법{Method for producing BSF}
본 발명은 동애등에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분 및 인분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처리없이 배출되는 경우 토양과 하천 등에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 방식에 따르면, 특정 처리 과정을 통해서 유기성 폐기물을 가축의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법, 일정 지역에 매립하거나 해양 투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경우 처리 장치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물을 그대로 사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괴질 발생 등 부작용이 크고, 퇴비화의 경우도 재발열 및 비효성 불균형과 같은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렁이, 집파리 유충과 같은 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 경우 배출된 분변토는 비효성이 탁월하여 농경지, 원예, 과수원 등의 경작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 고, 식물의 성장과 생산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 중에서 동애등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크는 기간은 37∼41일이며, 분해자 역할을 하는 유충의 기간은 14일 정도이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약 14일)이 지나면 번데기가 되기 위해 건조한 장소를 찾으러 바깥으로 기어나오는 습성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10kg에 동애등에 유충 5000마리를 투입하면 5일 만에 음식물 쓰레기의 80% 이상이 분해되고,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유충 투입 전보다 부피는 약 42%, 무게는 약 70% 정도로 줄어들었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지렁이나 집파리 보다 길기 때문에 동애등에를 사육해서 활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동애등에 유충을 대량으로 증식하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유기성 폐자원을 친환경적으로 분해하기 위해 대량으로 동애등에를 증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애등에 산란장에 동애등에 성충을 투입하는 단계 및 동애등에 산란장에 톱밥을 포함하는 유인 배지 및 유인 배지 상에 동애등 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복수의 산란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 장치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산란장은 외부 생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80 내지 100 메쉬인 산란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산란 유도 장치는 플라워폼 또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산란 홈은 산란 유도 장치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고, 산란 홈의 개방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이며, 산란 홈의 개방면의 지름은 3 내지 5mm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산란 홈의 깊이는 7 내지 10mm가 될 수 있고, 산란장에 투입되는 동애등에 성충의 투입 밀도는 8,000 내지 12,000(cm3/두)이 될 수 있다.
또한, 산란 유도 장치 투입 단계는 동애등에 성충 투입 단계 수행 후 3일 이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인 배지는 유기성 폐기물 대비 톱밥 또는 왕겨의 비율을 3:1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유인 배지는 음식물쓰레기:송아지사료:톱밥=2:1:1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대 습도가 0 내지 40%인 톱밥을 포함하는 사육 배지에 동애등에 번데기를 서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는 27±3℃이고, 번데기 밀도는 5,000 내지 10,000 (두/240cm2)이며, 사육 배지는 유기성 폐기물 대비 톱밥의 비율이 3:1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유기성 폐기물은 파쇄하여 혼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실시예는 동애등에 성충 투입 단계 이후, 산란장에 하루에 2 내지 3회 물을 스프레이하여 수분 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산란장은 실내에 위치하며, 산란장은 온도를 29±5℃로 유지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육 배지의 장일조건을 14L:10D로 유지하기 위해 산란장 또는 사육 배지는 조명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또는 투명한 천장의 건물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동애등에 산란장에 투입되는 산란 유도 장치의 개수는 8개가 될 수 으며, 사육 배지는 에어컨디셔너에 의해 온도가 27±3℃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생산 방법은 유기성 폐자원을 친환경적으로 분해하기 위해 대량으로 동애등에를 증식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장치의 구성 및 방법의 각 단계를 서술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상시 수행했던 실험 조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생산 시 사용되는 산란 유도 장치의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정,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분 및 인분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 동애등에에 적용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유기성 폐기물이 음식물쓰레기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산란 유도 장치(100)는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일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이 될 수 있다. 산란 유도 장치(100)가 구비된 산란장은 외부 생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80 내지 100 메쉬인 산란망이 구비될 수 있다. 산란 유도 장치(100)는 플라워폼 또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산란 유도 장치(100)의 일면 이상에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산란 홈(110)이 형성된다. 산란 홈(110)의 개방면, 즉, 외부에 개방된 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등) 중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산란 홈(110)의 개방면의 지름은 3 내지 5mm가 될 수 있으며, 산란 홈(110)의 깊이는 7 내지 10mm가 될 수 있다.
산란 홈(110)은 도 4에 도시된 산란 홈(110) 형성 기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산란 홈(110) 형성 기구는 본체부(410), 돌출부(415), 손잡이(420)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손잡이(420)를 잡고, 돌출부(415)를 산란 유도 장치(100)에 눌러 산란 홈(1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산란장에 투입되는 동애등에 성충의 투입 밀도는 8,000 내지 12,000(cm3/두)이 될 수 있다. 성충이 너무 조밀하게 투입되거나 또는 너무 성글게 투입되는 경우 효율적인 산란이 이루어지기 힘들 수 있다. 또한, 산란장에 동애등에 성충이 투입된지 3일 이후 산란 유도 장치(100)가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산란 유도 장치(100)는 음식물쓰레기 대비 톱밥 또는 왕겨의 비율을 3:1로 혼합한 유인 배지 위에 놓여질 수 있다.
이후, 상대 습도가 0 내지 40%인 톱밥을 포함하는 유인 배지에 동애등에 번데기를 서식시킴으로써 동애등에를 용화시키거나 우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용화 또는 우화 환경을 설명하면, 온도는 27±3℃이고, 유충 또는 번데기 밀도는 5,000 내지 10,000 (두/240cm2)이며, 유인 배지는 음식물쓰레기 대비 톱밥의 비율이 3:1이 될 수 있다.
산란 유도 장치(100)는 높이 50mm, 폭 40mm, 산란 홈(110)간의 간격 15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산란장에 8개의 산란 유도 장치(100)가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산란장은 4000*2000*2000mm(W*D*H)가 될 수 있다.
동애등에(BSF) 유충의 음식물쓰레기 처리 기간은 약 15일로서, 유충 투입 후 음식물쓰레기 분해 소요 일수는 3~5일(80% 분해 가능), 유충에 의해 처리된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는 약 42%, 무게는 70% 정도로 감소한다. 또한, 유충 1마리 당 음식물쓰레기 처리능력은 2~3g이고, 성충 1마리 당 1,000개의 알을 생산한다.
동애등애류의 주 서식지는 축사 주변 퇴비장, 음식물쓰레기장, 일반쓰레기장 등 유기성 폐자원의 집하장이다. 동애등에 사육을 위한 채집 방법에는 직접 채집과 유인 트랩 설치 채집이 있다. 직접 채집은 동애등애류의 주 서식지에서 직접 채집이며, 유인트랩 설치 채집은 쌀겨가루, 유박, 송아지사료를 이용한 채집이다.
동애등에(BSF) 생활사를 살펴보면 27℃에서, 알(4-5일), 유충(14일), 번데기(14일), 성충(5-8일)으로서 대략 37일에서 41일동안 생존한다. 또한, 동애등에(BSF)의 음식물쓰레기 분해능을 조사하면, 유충 투입 후 음식물쓰레기 분해 소요 일수는 3∼5일이다.
경과 일수별 음식물쓰레기 무게 및 부피 변화를 살펴보면, 무게는 동애등에 유충 투입 후 2일 지난 후 80%, 5일 지난 후 70%로 감소했고, 부피는 2일 지난 후 60%, 5일 지난 후 40% 감소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산란망의 크기는 (크기1) 1.2*1.2*1.2(W*D*H)m, (크기2) 4.0*2.0*2.0m로서, 산란망 mesh는 200mesh/inch로서, 초파리 등 소형종 해충 침입 방지가 가능하다. 동애등에(BSF)의 산란 유도를 위해서는 산란망 규모가 크기2 이상이 바람직하며, 크기1 이하에서는 산란하지 않았다. 또한, 성충의 수분 공급을 위해서 바닥에 설탕물(5%)을 넣어두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란 배지 위에 놓인 플라워폼 또는 목재에 구멍을 뚫어 산란 유인 장치를 설치한다. 산란 배지가 채워지는 산란통은 크기가 60*40*15(W*D*H)㎝이며, 평균 산란량은 737±243개/성충1두 이다. 배지 조성은 음식물쓰레기로 하며, 해충, 곰팡이 등의 발생을 막기 위해 반드시 배지를 증자하여 소독 후 사용해야한다.
동애등에가 성충으로 우화 후 경과일수별 산란 난괴수를 살펴보면(성충 500두(암:수=2:3) 조사, 보호온도 29±5℃), 산란 시작은 우화 후 7일째부터, 최성기는 9-10일 이었다. 부화소요일수 5.2±1.5, 부화율은 100±0.1%이다.
또한, 동애등에의 우화 후 성충 생존일수를 살펴보면, 성충 수명은 15.1±6.0일 (성충 500두, 보호온도 29±5℃)이다.
또한, 동애등에 유충 사육시 사육 배지를 음식물쓰레기만 사용하는 경우(A), 음식물쓰레기 대 톱밥을 4:1로 혼합한 경우(B)(사육온도 및 광조건은 27±3℃, 14L:8D)로 나누어 사육 배지별 유충 형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번데기 발생시기에는 사육통을 망으로 싸서 통 밖으로 나오는 번데기를 회수할 수 있다.
구분 유충형질
종령 크기(mm) 무게(g/100두) 기간(일)
배지(A) 20.2±0.8 19.5±0.5 25~40
배지(B) 20.4±0.8 19.3±0.3 25~40
[표1] 사육 배지별 유충형질
또한, 동애등에 야외 사육장은 크기가 4*2m 정도로 조성되고, 조류 피해를 막기 위해 그물망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동애등에 번데기는 소정의 형상 및 재질을 가진 박스, 예를 들면, 플라스틱통에 보관할 수 있다. 투명한 통 속에 톱밥(습도 70% 내외)을 넣고 그 속에 번데기를 보호할 수 있다.
우화한 성충은 산란장에 방사하며, 번데기 기간은 용화 후 15일 경부터 우화하여 20일 전후에 주로 우화하고, 우화율은 88.4±3.2% (번데기 500두 3반복, 보호온도 27±3℃)이다.
동애등에(BSF)는 1990년대 초에 국내에 유입되어 옥외 화장실, 가축의 분, 음식물쓰레기, 퇴비 등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하며,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인 동물사체, 축분, 식물잔재물, 음식물쓰레기 등을 먹이로 하며, 성충은 데이지, 당근꽃, 풀잎 등에서 휴식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가옥내에 침입하지 않으며, 산란처의 먹이에도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동애등에는 성충 구기가 특이하여 가축이나 사람을 물지 않으며, 질병을 매개하지 않고, 동애등에 서식처에서 집파리 등 파리류의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파리류를 방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집파리 암컷들은 동애등에 유충들이 풍부한 곳에 산란하지 않는 습성이 있다. 따라서 동애등에는 국내에 유입된 이후 성충의 생활사는 짧고 자연조건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생태계 내에 해충으로 보고된 적은 없으며, 가정에 내에서 발견된 경우도 없고 가축들에는 해충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의 교미 산란장은 그 크기가 3*2*2m(W*D*H) 이상의 공간이 필요하며, 망 메쉬는 80 내외이며, 이는 초파리 등 천적피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산란 유도 장치는 공간 활용을 위하여 2단 구조로 설치하고, 성충은 먹이활동은 하지 않으나 수분 공급을 위하여 하루에 2-3회 물을 스프레이한다.
산란 유도 장치는 유인 배지(음식물쓰레기:발효된 송아지사료:톱밥=2:1:1) 위에 놓는다. 산란 유도 장치는 플라워폼 또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 또는 양면에 상술한 산란 홈을 뚫어 산란을 유도한다. 알을 보이지 않는 곳에 산란하는 동애등에(BSF)의 성충 생태 특성을 이용한다. 산란 유도 장치는 4 내지 5개(240㎠ 당) 투입한다.
산란 유도 장치는 목재가 산란율이 높았으며, 플라워폼은 4-5회 재활용가능하나 목재는 반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산란 유도 장치의 산란 홈 크기에 따른 산란 비율을 살펴보면, 산란 홈의 개 방면의 지름이 5mm인 경우 산란 비율은 60%이고, 4mm인 경우 산란 비율은 36.8%이며, 3mm인 경우 31.7%이다. 개방면이 타원이거나 다각형인 경우에 개방면의 지름은 타원 또는 다각형의 내접원 또는 외접원의 지름이 될 수 있다. 또한, 타원의 경우 개방면의 지름은 단축과 장축의 평균값에 2를 곱한 값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산란 유도 장치의 산란 홈 크기는 3∼5mm 내외가 가장 산란 효율이 높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란 유도 장치의 산란 홈 깊이에 따른 산란 비율을 살펴보면, 산란 비율은 산란 홈의 깊이가 6mm인 경우 8%, 7mm인 경우 23%, 8mm인 경우 18%, 9mm인 경우 17%, 10mm인 경우 22%, 11mm인 경우 4%로서, 산란 유도 장치의 산란 홈 깊이는 7∼10mm가 산란효율이 높았다.
또한, 산란 배지 종류별 산란량을 살펴보면,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난괴수가 300, 송아지사료의 경우 330, 유박의 경우 190, 쌀겨가루의 경우 50으로서, 산란 배지는 음식물쓰레기와 발효시킨 송아지 사료가 산란효율이 높았음
또한, 산란 배지 상태별 산란량을 살펴보면,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신선한 것에 비해 부패된 것이 선호되었다.
또한, 산란 배지 투입수별 산란량을 살펴보면, 산란장 크기는 4*2*3m(D*W*H)이고, 성충 투입수는 2,000두이며, 산란 배지 투입수는 1㎡ 당 1개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산란장 내 성충 투입수별 산란량을 살펴보면, 산란장 크기는 4*2*3m(D*W*H)이고, 산란 배지 투입수는 8개이며, 산란장 내 적정 성충 투입 두수 는 2,000∼3,000두 정도이다. 즉, 산란장에 투입되는 동애등에 성충의 투입 밀도는 8,000 내지 12,000(cm3/두)이 된다. 난괴수는 성충두수가 1,000일 때 276개, 2,000일 때 714개, 3,000일 때 842개였다.
동애등에(BSF) 인공증식을 위한 적정사육 밀도를 조사하면 다음과 같다.
사육밀도 (두/240cm2) 크기(mm) 용화율(%)
유충 번데기
5,000 20.7±1.1 19.2±1.1 86.9
10,000 18.2±1.6 18.2±1.3 76.4
15,000 17.3±1.4 16.6±1.4 81.1
20,000 17.8±1.5 17.1±1.4 53.2
[표2] 동애등에(BSF) 적정사육 밀도
사육상자 크기는 60*40*15cm, 사육환경은 27℃, R.H. 60%이다. 유충 및 번데기 형질이 5,000두와 10,000두를 투입하여 사육한 처리구가 우수하였으며, 용화율은 5,000두 처리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유충경과일수의 경우 사육밀도가 높으면(15,000두 이상) 발육상태가 좋지 않으므로 10,000두/240㎠ 이하로 사육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번데기 보호조건별 우화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호조건은 보호온도가 27℃일 때 매질(톱밥) 사용 안하는 경우(1), 매질 습도 0%인 경우(2), 매질습도 20%인 경우(3), 매질습도 40%인 경우(4)로 구분된다. 경우(1)에서 우화율은 44.9%, 경우(2)에서 우화율은 92.5%, 경우(3)에서 우화율은 93.4%, 경우(4)에서 우화율은 94.7%이다. 번데기에 매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용화율이 50% 이하이므로, 반드시 매질을 사용해야하며, 습도는 20% 내외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번데기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저온처리할 수 있다. 즉, 저온처리 조건은 10℃, 암조건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번데기를 10℃에서 보호하면, 최초 우화율은 98%, 10일 이후 우화율은 98.8%, 20일 이후 우화율은 86.6%, 30일 이후 41.7%로 형성된다.
또한, 동애등에(BSF)의 음식물쓰레기 분해능을 조사하면 다음과 같다.
처리구별 유충수 음식물처리량 (g) 분해량/두(g)
처리 1 879 2000 2.30
처리 2 938 3000 3.20
처리 3 785 2000 2.55
처리 4 893 1400 1.68
처리 5 1389 1000 1.08
Mean±S.D. 977±237 1880±756 2.2±0.8
[표3] 동애등에(BSF)의 음식물쓰레기 분해능 조사
처리 1 내지 5는 유충투입수별로 구분되며, 유충 1두가 일생동안 분해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량은 약 2∼3g 정도이고, 성충기준(암)에서 2-3kg/1두(성충 1두가 약 1,000개의 알을 산란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애의 실내 사육용 장치는 플라스틱 사육상자가 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60*40*15cm이고, 사육환경은 27℃, R.H. 60%가 될 수 있다. 유충사육 밀도는 5,000-10,000(두/사육상자)가 될 수 있다.
유충사육 시 사육상자를 망으로 씌워 사육하고, 망의 역할은 천적(파리류 등)의 피해 방지하며, 다 자란유충(전용)은 사육통 밖으로 나오므로 번데기를 회수한다. 번데기 회수 후 번데기 보호장치에 투입하여 우화를 유도한다(조건 : 27℃, R.H. 60%, 장일조건 14L:10D).
대량사육을 위한 최적의 음식물쓰레기 처리 배지 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배지제조 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고, 파쇄한 음식물에 첨가제(톱밥 또는 왕겨)를 혼합해주며(첨가비율, 음식물쓰레기:첨가제=3:1), 음식물쓰레기 급여는 1-2일 간격으로 2-3kg을 급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생산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510에서, 동애등에 산란장에 동애등에 성충을 투입한다. 산란장에 투입되는 동애등에 성충의 투입 밀도는 8,000 내지 12,000(cm3/두)이 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동애등에 산란장에 동애등에 성충을 투입한지 3일이 경과한 후 단계 S530에서, 동애등에 산란장에 톱밥을 포함하는 유인 배지를 제공한다. 유인 배지는 음식물쓰레기 대비 톱밥 또는 왕겨의 비율을 3:1로 혼합한 물질이 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제공된 유인 배지 상에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복수의 산란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 장치를 투입한다. 유인 배지와 산란 유도 장치는 동시에 산란장에 투입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번데기를 우화시키기 위해서 상대 습도가 0 내지 40%인 톱밥을 포함하는 사육 배지에 동애등에 번데기를 서식하며, 이 경우 온도는 27±3℃이고, 번데기 밀도는 5,000 내지 10,000 (두/240cm2)이며, 사육 배지는 음식물쓰레기 대비 톱밥의 비율이 3:1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온도 조건(용화 또는 우화 환경에서 온도는 27±3℃, 동애등에가 성충으로 우화 후 경과일수별 산란 난괴수 조사시 보호온도는 29±5℃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산란장 또는 사육 배지를 실내(건물 내 또는 비닐하우스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산란장 또는 사육 배지는 상술한 온도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컨디셔너는 온도가 높을 경우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온도 냉각부 및 온도가 낮을 경우 온도를 높일 수 있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산란장은 상술한 광조건(동애등에 유충 사육시 광조건은 14L:10D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산란장 또는 사육 배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 제거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탈취된 가스는 산란장 외부 또는 사육 배지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악취 제거부는 산란장 또는 사육 배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여 탈취할 수 있다. 악취 제거부는 악취를 흡입하기 위해서 가스 흡입 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흡입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서 탈취 미생물, 오존, 활성탄, 나프탈렌, 숯, 방향제와 같은 탈취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악취 제거부는 특수파장의 UVX 램프와 로듐은, 구리, 이산화티타늄을 소정 배율로 배합하여 촉매합금금속으로 촉매작용을 최고로 극대화하여 만든 셀로 OH래디칼과 과산화음이온, 산소 음이온 등 각종 정화이온들을 최대로 생성하여 공기중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살균하여 청정할 수 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생산 시 사용되는 산란 유도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생산 시 사용되는 산란 유도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생산 시 사용되는 산란 유도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생산 시 사용되는 산란 유도 장치의 산란 홈을 형성하는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생산 방법의 흐름도.

Claims (21)

  1. 동애등에 산란장에 동애등에 성충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동애등에 산란장에 톱밥을 포함하는 유인 배지 및 상기 유인 배지 상에 상기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복수의 산란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 장치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장은 외부 생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80 내지 100 메쉬인 산란망을 포함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유도 장치는 플라워폼 또는 목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홈은 상기 산란 유도 장치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홈의 개방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홈의 개방면의 지름은 3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홈의 깊이는 7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장에 투입되는 동애등에 성충의 투입 밀도는 8,000 내지 12,000(cm3/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유도 장치 투입 단계는 상기 동애등에 성충 투입 단계 수행 후 3일 이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배지는 유기성 폐기물 대비 톱밥 또는 왕겨의 비율을 3:1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인 배지는 유기성 폐기물:송아지사료:톱밥=2: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장은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대 습도가 0 내지 40%인 톱밥을 포함하는 사육 배지에 동애등에 번데기를 서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온도는 27±3℃이고, 번데기 밀도는 5,000 내지 10,000 (두/240cm2)이며, 상기 사육 배지는 유기성 폐기물 대비 톱밥의 비율이 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15. 제10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은 파쇄하여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애등에 성충 투입 단계 이후,
    상기 산란장에 하루에 2 내지 3회 물을 스프레이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장은 실내에 위치하며, 상기 산란장은 온도를 29±5℃로 유지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 배지에서 배출되는 악취를 악취 제거부가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 배지의 장일조건을 14L:10D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산란장 또는 상기 사육 배지는 조명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또는 투명한 천장의 건물 내에 위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애등에 산란장에 투입되는 산란 유도 장치의 개수는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 배지는 에어컨디셔너에 의해 온도가 27±3℃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생산 방법.
KR1020090059604A 2008-07-01 2009-07-01 동애등에 생산 방법 KR101003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564 2008-07-01
KR20080063564 2008-07-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529A Division KR101003091B1 (ko) 2008-07-01 2010-06-07 동애등에 생산 장치
KR1020100111149A Division KR101644107B1 (ko) 2008-07-01 2010-11-09 유기성 폐기물 처리 동물 생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710A true KR20100003710A (ko) 2010-01-11
KR101003312B1 KR101003312B1 (ko) 2010-12-23

Family

ID=414664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604A KR101003312B1 (ko) 2008-07-01 2009-07-01 동애등에 생산 방법
KR1020100053529A KR101003091B1 (ko) 2008-07-01 2010-06-07 동애등에 생산 장치
KR1020100111149A KR101644107B1 (ko) 2008-07-01 2010-11-09 유기성 폐기물 처리 동물 생육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529A KR101003091B1 (ko) 2008-07-01 2010-06-07 동애등에 생산 장치
KR1020100111149A KR101644107B1 (ko) 2008-07-01 2010-11-09 유기성 폐기물 처리 동물 생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74222A1 (ko)
JP (1) JP5653915B2 (ko)
KR (3) KR101003312B1 (ko)
CN (1) CN102083305B (ko)
WO (1) WO201000218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760A (ko) * 2018-04-05 2019-10-15 김태환 동애등에의 산란장치
KR20200114730A (ko) * 2019-03-29 2020-10-07 강장석 동물성폐기물의 사료화 및 비료화 방법
KR20220113122A (ko) 2021-02-05 2022-08-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스마트에코팜 동애등에 산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9629B (zh) * 2010-06-13 2012-09-19 中山大学 利用黑水虻幼虫处理餐厨垃圾的方法及物料配方
CN102058039B (zh) * 2010-12-31 2014-06-18 广东省农业科学院农业生物技术研究所 一种利用金黄指突水虻处置畜禽粪便生产昆虫蛋白饲料的方法
CN102224813A (zh) * 2011-05-26 2011-10-26 广东省昆虫研究所 一种水虻卵的诱集方法
CN102329157B (zh) * 2011-07-07 2014-04-23 中山大学 一种利用黑水虻处理人粪便制备有机肥的方法
CN102228014A (zh) * 2011-07-08 2011-11-02 华中农业大学 一种亮斑扁角水虻武汉品系的驯化养殖方法及应用
CN102350433B (zh) * 2011-08-22 2013-08-28 广东省昆虫研究所 一种利用黑水虻处理餐厨垃圾的工艺
CA3085086C (en) 2011-12-06 2023-08-08 Delta Faucet Company Ozone distribution in a faucet
DK2846632T3 (da) * 2012-05-07 2017-11-13 Enterra Feed Corp Lukkede systemer til tilvejebringelse af reproduktivt habitat for hermetia illucens
CN102687705A (zh) * 2012-05-09 2012-09-26 全南厚朴生态林业有限公司 水虻集卵器
KR101292922B1 (ko) * 2013-03-07 2013-08-02 유형종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103141444B (zh) * 2013-03-08 2015-03-18 广东省昆虫研究所 一种快速评估黑水虻幼虫最佳收获时间的方法
KR101405889B1 (ko) * 2013-05-28 2014-06-18 박청일 동애등에 사육 장치
CA2919287A1 (en) 2013-08-02 2015-02-05 Andrew VICKERSON Hermetia illucens frass production and use in plant nutrition and pest management
CN103598148B (zh) * 2013-11-07 2016-03-02 郝汉杰 黑水虻的养殖系统和养殖方法
FR3013561B1 (fr) * 2013-11-28 2016-07-29 Pierre Furtos Dispositif pour l'elevage d'insectes volants tels que hermetia illucens
CA2955867C (en) 2014-07-21 2022-10-25 Enterra Feed Corporation Continuous production system for culturing dipteran insects
CN104396888A (zh) * 2014-10-31 2015-03-11 南昌大学 一种黑水虻幼虫处理含铜固体有机废弃物的方法
FR3034623B1 (fr) * 2015-04-13 2017-04-14 Ynsect Procede d'elevage d'insectes
KR101772749B1 (ko) * 2015-05-08 2017-08-29 주식회사 바이오그린환경 곤충 알 분리장치
US11458214B2 (en) 2015-12-21 2022-10-04 Delta Faucet Company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disinfectant device
KR101963934B1 (ko) * 2016-06-23 2019-03-29 최영범 인공 산란장
KR101922421B1 (ko) * 2016-11-11 2018-11-28 대한민국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방법
KR20180053456A (ko) * 2016-11-11 2018-05-23 주식회사 누리 곤충 산란 판 제조 틀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산란 판
CN106577589A (zh) * 2016-12-09 2017-04-26 国家海洋局北海环境监测中心 一种沙蚕诱捕装置及利用该装置诱捕沙蚕的方法
KR101877165B1 (ko) * 2017-03-03 2018-07-10 강장석 파리 애벌레를 이용한 동물사체 처리방법
NL2018526B1 (en) * 2017-03-15 2018-09-24 Amusca B V Breeding system for crawling insects
KR101980790B1 (ko) * 2017-04-20 2019-05-22 대한민국 동애등에 산란유도장치
FR3066359A1 (fr) * 2017-05-16 2018-11-23 Cycle Farms Plaque de ponte pour insecte volant
KR101918542B1 (ko) * 2017-07-03 2019-02-08 농업회사법인(주)이지엠앤알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
US10842138B1 (en) 2017-08-02 2020-11-24 Insecticycle LL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use with insect larvae
GB201714822D0 (en) * 2017-09-14 2017-11-01 Entocycl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ect production
CN107593620B (zh) * 2017-09-30 2024-03-22 河南农业大学 用于黑水虻生长繁殖的生物砖及其制作和使用方法
CN110115249A (zh) * 2018-02-05 2019-08-13 中国科学院上海生命科学研究院 一种蚕沙的无害化生物处理方法及蚕沙混合料
KR101958175B1 (ko) * 2018-06-26 2019-03-18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선별 시스템
KR102054623B1 (ko) 2019-06-27 2020-01-22 김현우 곤충알 수거장치
KR102296970B1 (ko) * 2019-08-27 2021-09-03 농업회사법인 다음산업주식회사 도축 폐기물을 함유하는 곤충 사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2112348B1 (ko) * 2019-09-16 2020-05-18 심상수 동애등에 산란 시스템
CN111436399B (zh) * 2020-03-10 2021-11-23 广州无两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调控黑水虻幼虫采食原料的方法
KR20210117034A (ko) 2020-03-18 2021-09-28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동애등에 대량 생육 장치
CN113615796A (zh) * 2020-05-07 2021-11-09 羽田生物农业股份有限公司 黑水虻虫体资源化处理方法
KR20220070695A (ko) 2020-11-23 2022-05-31 이상철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선별기
KR20220070696A (ko) 2020-11-23 2022-05-31 이상철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처리장치
KR20220075818A (ko) 2020-11-30 2022-06-08 이상철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우화 및 산란장
KR20220080310A (ko) 2020-12-07 2022-06-14 이상철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진공선별기
KR20220089974A (ko) 2020-12-22 2022-06-29 이상철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
KR20220106404A (ko) 2021-01-22 2022-07-29 이상철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사료 발효장치
KR20230010431A (ko) 2021-07-12 2023-01-19 홍소현 동애등에 산란장치
KR102661746B1 (ko) 2021-08-25 2024-04-30 홍소현 동애등에 산란유도 구조물
CN113728981B (zh) * 2021-09-24 2022-12-02 广东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研究挥发物对草地贪夜蛾产卵行为选择影响的方法
KR20230049866A (ko) 2021-10-07 2023-04-14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동애등에 우화 및 산란 장치
KR20230081281A (ko) 2021-11-30 2023-06-07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동애등에 유충 시험사육장치
KR20230081262A (ko) 2021-11-30 2023-06-07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동애등에 부화유충 공급 시스템
KR20230107128A (ko) 2022-01-07 2023-07-14 이상철 동애등에 무인화 사육시스템
CN115351055A (zh) * 2022-08-18 2022-11-18 长沙中联重科环境产业有限公司 利用水虻转化餐厨垃圾的方法
CN117063893A (zh) * 2023-08-18 2023-11-17 广东省科学院动物研究所 一种黑水虻生物转化陈皮柑肉与薇甘菊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4964A (en) * 1985-01-29 1986-06-17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ss rearing of fruit flies
DE19925996A1 (de) * 1999-06-08 2000-12-14 Wilhelm Fleischman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 Sekrets von Fliegenlarven für die therapeutische Applikation
US6391620B1 (en) * 1999-11-02 2002-05-21 Paul A. Olivier Method for bio-conversion of putrescent wastes
US6780637B2 (en) * 2002-01-25 2004-08-24 Paul A. Olivier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bio-converting putrescent wastes
US6938574B2 (en) * 2002-06-25 2005-09-06 Mao Zhang Rearing fly larvae and animals in space for waste recycling and food supplying
US20030233982A1 (en) * 2002-06-25 2003-12-25 Mao Zhang Raising fly larvae as the space food for crew
US8210126B2 (en) * 2006-12-01 2012-07-03 Yik Hei Sia Swiftlets farming for production of edible bird's nests
CN201185612Y (zh) * 2008-04-30 2009-01-28 华中农业大学 一种适用于黑水虻养殖的装置
CN101810257A (zh) * 2009-02-23 2010-08-25 张懋 迷你太空农场——用昆虫循环全部生物废料的食品再生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760A (ko) * 2018-04-05 2019-10-15 김태환 동애등에의 산란장치
KR20200114730A (ko) * 2019-03-29 2020-10-07 강장석 동물성폐기물의 사료화 및 비료화 방법
KR20220113122A (ko) 2021-02-05 2022-08-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스마트에코팜 동애등에 산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83305A (zh) 2011-06-01
US20110174222A1 (en) 2011-07-21
CN102083305B (zh) 2013-07-03
WO2010002188A2 (ko) 2010-01-07
JP2011526496A (ja) 2011-10-13
KR101644107B1 (ko) 2016-08-01
JP5653915B2 (ja) 2015-01-14
KR20100123672A (ko) 2010-11-24
KR101003312B1 (ko) 2010-12-23
WO2010002188A3 (ko) 2010-03-25
KR101003091B1 (ko) 2010-12-22
KR20100075424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312B1 (ko) 동애등에 생산 방법
KR101123249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100952085B1 (ko) 동애등에 사육장치
US9844223B2 (en) Hermetia illucens frass production and use in plant nutrition and pest management
KR101838201B1 (ko) 동애등에 대량생산 시스템
KR101003089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회전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및 그 방법
KR101010316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WO2014065148A1 (ja) 有機肥料及び飼料製造システム
KR100768954B1 (ko) 거저리과를 대체기주로 이용한 솔수염하늘소기생천적의대량사육시스템, 솔수염하늘소기생천적의 대량사육방법 및상기 솔수염하늘소기생천적을 포함하는 방사용기
KR20100041294A (ko) 동애등에의 인공 산란 유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동애등에의 인공 우화 유도 장치 및 인공 생육 방법
KR100524413B1 (ko) 파리성충 사육장치, 이를 포함하는 파리기생천적의 대량사육 시스템, 상기 파리기생천적을 포함하는 파리기생천적방사용기 및 이를 이용한 파리 방제방법
KR102196309B1 (ko) 도축 폐기물 처리 및 동애등에 유충 사육방법
KR20170068752A (ko) 동애등에 산란 유도 장치
KR20120097205A (ko) 컨베이어를 이용한 동애등에 대량 사육 보호커버장치
Axtell General Introduction: Status and Potential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in Livestock and Poultry Pest Management Systems
CN113142127A (zh) 利用黑水虻及其共生菌构建鸡舍内多维度养殖系统的方法
de Vosjoli Designing environments for captive amphibians and reptiles
CN105104322A (zh) 一种用硅藻土无毒杀灭诱捕器具中蝇类害虫的方法
CN202435995U (zh) 益害昆虫高效分离积虫瓶
KR101702045B1 (ko) 파리천적 생산용 기주 생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기주를 이용한 파리천적 생산 방법
KR20190026145A (ko) 파리 애벌레의 대량 사육방법
KR200319123Y1 (ko) 파리성충 사육장치, 이를 포함하는 파리기생천적의 대량사육 시스템 및 상기 파리기생천적을 포함하는파리기생천적 방사용기
TWI766679B (zh) 有機循環廢料回收的處理系統
KR102300479B1 (ko) 사슴풍뎅이 사육방법
KR20180009413A (ko) 애완동물 사육용 펠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