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974A -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974A
KR20220089974A KR1020200180686A KR20200180686A KR20220089974A KR 20220089974 A KR20220089974 A KR 20220089974A KR 1020200180686 A KR1020200180686 A KR 1020200180686A KR 20200180686 A KR20200180686 A KR 20200180686A KR 20220089974 A KR20220089974 A KR 20220089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atching
working space
control unit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이상철
이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이성우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20018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9974A/ko
Publication of KR20220089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용으로 사용되는 동애등에를 사육하기 시스템에서 동애등에를 부화시키거나 또는 우화시키기 위한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전면에 개폐도어가 설치되며 내부에 작업공간이 마련되는 직립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작업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부화(또는 우화)용 박스를 층층이 적재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박스설치대; 상기 작업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 상기 작업공간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부;를 포함하되;상기 온도조절부와 습도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작업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순환팬; 상기 작업공간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는 환기팬; 용수가 담기는 곳으로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 개방형 트레이; 및 상기 용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는 전열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Apparatus For Hatching Or Metamorphosis In Cultivating System For Soldier Fly}
본 발명은 곤충 사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료용으로 사용되는 동애등에를 사육하는 시스템에서 동애등에를 부화시키거나 또는 우화시키기 위한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과 식당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분 등의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연구의 과제는 주로 환경문제를 최소화하자는 것에 집중되어 있다.
현재 제안된 좋은 대안으로는 지렁이, 집파리 유충과 같은 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에서 배출된 잔재물은 비효성이 탁월하여 농경지, 원예, 과수원 등의 경작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식물의 성장과 생산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역할까지 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지렁이나 집파리 보다 길기 때문에 동애등에를 사육해서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동애등에(Soldier Fly)는 파리목 동애등에과에 속하는 곤충을 말하며 전세계에 400 ~ 1500 종이 있다. 종마다 다양한 형태를 띄고 있지만 대부분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메탈릭 그린을 띠며 꽃등에처럼 꿀벌을 의태하는 종도 있다. 성충 기간에는 유충기간 동안 모아둔 에너지를 사용한다. 동애등에는 이처럼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를 위해서도 사용되지만, 풍부한 단백질 함유로 인해 동물의 사료로 사용되기도 하므로 더욱 유익한 종이다.
동애등에의 사육은 유충 상태에서의 사육을 의미한다. 동애등에를 사육하기 위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산란장, 산란된 알이 번데기가 되어 동애등에 성충이 되도록 용화 및 우화시키는 배지가 형성된 사육 배지, 산란장과 사육 배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등을 포함한다(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03312호 참조).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55289호는 곤충알 부화 및 육추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하우징의 외부 상부면에 열전소자로 형성되는 외부방열판;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상자구동장치를 통해 기울기가 조절되는 육추상자; 상기 육추상자로부터 물을 펌핑하여 공급받아 살균하며, 살균된 물을 육추 상자로 전달하여 순환시키는 살균장치; 상기 육추상자 내의 산도 조절을 위한 산도액을 저장하는 용기로, 저장된 산도액은 약품공급펌프의 펌핑 작업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육추상자로 전달되도록 하는 산도액저장용기; 상기 가습장치로 물을 공급하거나 인공강우를 위해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용기; 상기 산도액저장용기로부터 산도액을 펌핑(Pumping)하여 상기 살균장치에 의해 살균된 물과 함께 상기 육추상자 내부로 전달하며, 역류방지장치를 내장하는 약품공급펌프; 및 상기 육추상자 내에 고인 물에 대한 순환을 위한 저속으로 펌핑(Pumping)하여 상기 살균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역류방지장치를 내장하는 저속펌프; 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가정용이나 학습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할지 모르지만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부적합하고, 구성도 복잡한 면이 없지 않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0331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55289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동애등에를 사육하기 위한 사육시스템에 있어서, 동애등에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유도하기 위한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구성이 간이하며, 알을 넣고 빼내는 작업이 용이하며 공간 활용도가 높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전면에 개폐도어가 설치되며 내부에 작업공간이 마련되는 직립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작업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부화(또는 우화)용 박스를 층층이 적재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박스설치대; 상기 작업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 상기 작업공간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조절부와 습도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작업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순환팬; 상기 작업공간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는 환기팬; 용수가 담기는 곳으로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 개방형 트레이; 상기 용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는 전열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트레이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공기순환팬은 상기 하우징의 후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2 ~ 3개의 블레이드(23)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23)는 길이가 200 ~ 500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트레이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 위에 2개가 설치되며; 나아가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트레이에는 드레인부가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트레이의 하판 또는 측판 하부에 연결되는 드레인관과, 상기 드레인관에 마련되는 배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동애등에를 사육하기 위한 사육시스템에 있어서, 동애등에의 부화 또는 우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내부공간으로 출입하기가 용이하며, 내부공간의 활용도가 높아 다량의 동애등에를 처리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비용이 높지 않은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의 종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여 설명하겠으며, 필요한 곳에서 특정 도면 및 나머지 도면을 인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는 하우징(1), 박스설치대(3), 온도조절부 및 습도조절부를 포함한다.
하우징(1)은 작업공간(S)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에 직립 설치된다. 하우징(1)의 규격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개폐도어(5)가 하우징(1)의 전면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개폐도어(5)는 양문 여닫이 형태로 설치되며, 하우징(1)의 전면(前面) 전체를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개폐도어(5)에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창(6)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의 벽체는 단열 및 방음기능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의 정면 또는 측면에는 콘트롤러(7)가 설치된다. 콘트롤러(7)를 통해 작업공간(S)의 온도, 습도, 시간, 조명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작업공간(S)의 온도와 습도는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 내부의 작업공간(S)에는 복수 개의 부화(또는 우화)용 박스(B)를 적층하여 배치할 수 있는 박스설치대(3)가 설치된다. 박스설치대(3)는 하우징(1)의 바닥판(9) 상에 설치되는 바닥레일(미도시됨)을 통해 하우징(1)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 내부의 작업공간(S)의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조절부 및 습도조절부를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온도계와 습도계가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된다. 온도계와 습도계는 하우징(1)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중간 부분에도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온도조절부와 습도조절부를 설명한다.
하우징(1)의 바닥판(9) 상면에는 용수를 저장하는 트레이(11)가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11)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넓은 용기로서 그 내부에는 용수(W)가 공급된다. 용수공급부는 트레이(11)에 용수를 공급하는데, 용수(W)는 보일러에서 보충수를 공급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보충되기도 한다. 트레이(11)에 담긴 용수(W)의 수위가 낮아지면 스위치가 밸브를 개방하여 용수(W)가 공급되도록 한다. 수위는 부력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볼(ball)스위치(13)에 의해 감지된다. 용수(W)의 공급 및 제어 방식은 일반적인 사항이다.
트레이(11)의 측판에는 전열봉(15)이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전열봉(15)은 용수(W)에 잠겨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용수(W)를 직접 가열하여 증발을 유도하는 동시에 작업공간(S)의 온도를 높인다. 트레이(11)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의 바닥 넓이에 따라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11)는 레일(17)에 의해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오픈 형태로 되어 있어서 관리하기도 용이하게 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트레이(11)가 2개 설치된 경우에는 2개를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이(11)에 담겨 있는 용수(W)를 강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드레인부는 트레이(11)의 하판 또는 측판 하부에 연결되는 드레인관과, 드레인관에 마련되는 배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습도를 낮추되 온도를 높이고자 할 때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트레이(11)에 담긴 용수(W)를 배수하고 해당 트레이에 설치된 전열봉(15)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시행될 수 있다.
전열봉(15)의 상부에는 열이 직접적으로 직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열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의 내측벽, 특히 후벽(19)에는 작업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순환팬(21)이 고정 설치된다.
공기순환팬(21)은 작업공간(S)의 공기를 휘젓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바람이 심하게 일지 않도록 저속으로 회전한다. 공기순환팬(21)은 냉방을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오버헤드형 선풍기와 같은 블레이드(23)를 가지고 있다. 공기순환팬(21)의 블레이드(23)는 2 ~ 3개로 구성되며 길이는 200 ~ 500mm가 된다. 이러한 형태의 공기순환팬(21)은 납작하게 되어 있어 하우징(1) 내부의 작업공간(S) 내에서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한다.
또한 작업공간(S)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하우징(1)의 측벽 상부에는 환기팬(25)이 설치된다. 환기팬(25)은 작업공간(S)의 온도 또는 습도가 높을 경우에 작동하여 작업공간(S)의 공기를 배출시킨다. 그리고 하우징(1)의 측벽 하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7)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27)는 환기팬(25)에 의해 빠져나가는 공기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공기유입구(27)에는 필터 또는 망체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초파리 등이 유입될 수 없도록 한다.
작업공간(S)의 온도와 습도는 피드백 시스템에 의해 설정된 범위에서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 : 하우징 3 : 박스설치대
5 : 개폐도어 7 : 콘트롤러
9 : 바닥판 11 : 트레이
13 : 볼스위치 15 : 전열봉
17 : 레일 19 : 후벽
21 : 공기순환팬 23 : 블레이드
25 : 환기팬 27 : 공기유입구
B : 부화(또는 우화)용 박스
S : 작업공간 W : 용수

Claims (5)

  1. 전면에 개폐도어가 설치되며 내부에 작업공간이 마련되는 직립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작업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부화(또는 우화)용 박스를 층층이 적재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박스설치대;
    상기 작업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
    상기 작업공간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조절부와 습도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작업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순환팬;
    상기 작업공간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는 환기팬;
    공급되는 용수가 담기는 곳으로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 개방형 트레이; 및
    상기 용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는 전열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팬은 상기 하우징의 후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2 ~ 3개의 블레이드(23)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23)는 길이가 200 ~ 5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 위에 2개가 설치되며;
    나아가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드레인부가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트레이의 하판 또는 측판 하부에 연결되는 드레인관과, 상기 드레인관에 마련되는 배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
KR1020200180686A 2020-12-22 2020-12-22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 KR20220089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686A KR20220089974A (ko) 2020-12-22 2020-12-22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686A KR20220089974A (ko) 2020-12-22 2020-12-22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974A true KR20220089974A (ko) 2022-06-29

Family

ID=82269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686A KR20220089974A (ko) 2020-12-22 2020-12-22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997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312B1 (ko) 2008-07-01 2010-12-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 생산 방법
KR101155289B1 (ko) 2010-03-23 2012-06-12 (주)오토일렉스 곤충알 부화 및 육추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312B1 (ko) 2008-07-01 2010-12-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 생산 방법
KR101155289B1 (ko) 2010-03-23 2012-06-12 (주)오토일렉스 곤충알 부화 및 육추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79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climate of an insect rearing climate area
KR101155289B1 (ko) 곤충알 부화 및 육추를 위한 장치
TWI606027B (zh) 有機肥料及飼料製造系統
US20110174222A1 (en) Method for rearing soldier flies
KR100768954B1 (ko) 거저리과를 대체기주로 이용한 솔수염하늘소기생천적의대량사육시스템, 솔수염하늘소기생천적의 대량사육방법 및상기 솔수염하늘소기생천적을 포함하는 방사용기
KR101003089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회전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및 그 방법
KR101828287B1 (ko) 파리목 곤충과 분변토 생산 시스템
WO2020188506A9 (ja) 自動養蚕システム、自動養蚕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070106839A (ko) 파리포식천적 대량사육장치
KR200488075Y1 (ko) 주기적 천적 방사가 가능한 해충 방제 장치
KR20220089974A (ko)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부화 또는 우화를 위한 장치
NL2020155B1 (en) Insect tray with cover, rack for said tray, use of an assembly of said rack with at least one tray
CN112970628A (zh) 一种黑水虻与鸡联合养殖的生态循环养鸡房及其应用
JP2008104364A (ja) 植物生理管理装置
CN215302341U (zh) 一种黑水虻与鸡联合养殖的生态循环养鸡房
KR102218231B1 (ko) 곤충 사육 장치
CN210382307U (zh) 一种黄粉虫蛹的养殖消毒室
KR20230131661A (ko) 발효열을 이용한 곤충사육장치
KR200462314Y1 (ko) 농축수산물용 건조장치
CN215346558U (zh) 一种养蜂用人工气候培养箱
CN220191874U (zh) 一种餐厨垃圾转化中黑水虻养殖设备
KR102428812B1 (ko) 조사료용 새싹채소 수경재배 시스템
TWM579891U (zh) Black water breeding device
TWM566624U (zh) Waste treatment device for raising black water
JP2020110751A (ja) おから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