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542B1 -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542B1
KR101918542B1 KR1020170084284A KR20170084284A KR101918542B1 KR 101918542 B1 KR101918542 B1 KR 101918542B1 KR 1020170084284 A KR1020170084284 A KR 1020170084284A KR 20170084284 A KR20170084284 A KR 20170084284A KR 101918542 B1 KR101918542 B1 KR 101918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days
aged
microorg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민
윤중보
김경선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이지엠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이지엠앤알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이지엠앤알
Priority to KR102017008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동애등에 먹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동애등에에게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급여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섭취하여 사육된 동애등애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동물의 분뇨의 악취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고, 동물의 고기의 냄새를 적게 하여 육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Manufacturing Method of Feed Additive for removal of bad smell using Hermetia illucens and Feed Additive for removal of bad smell using Hermetia illucens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의 분뇨의 악취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고, 동물의 고기의 냄새를 적게 하여 육질을 개선할 수 있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축산물 소비증가에 따른 가축사육 두수 증가와 이에 따른 가축분뇨에 의한 축산폐수 및 악취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악취문제는 환경적 측면에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가축분뇨에 의한 악취는 감각수용기를 매개로 하는 감각공해이다. 악취를 발생하는 물질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이 대표적이 물질이며 특히 황화수소, 디메틸설파이드(dimethylsulfide, DMS) 및 디메틸디설파이드(dimethyldisulfide, DMDS)는 미량 존재하여도 악취발생이 심하다. 황함유물질은 단백질이 부패할 때 생기는 물질로 분뇨처리장, 하수처리장, 축산물 및 농수산물 폐수처리장 등에서 악취의 원인이 되고 있다.
가축분뇨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의 현행처리법은 주로 매립, 소각 및 해양투기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유기성 폐기물 매립은 적은 비용이 소요되지만 매립지의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침출수는 인근 토양, 하천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소각처리는 대기오염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설치비나 운용비가 매우 고가인 바, 보다 효과적이며 경제적 및 실용적인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가축분뇨의 악취제거 방법으로는 약물세정법, 연소법, 오존법, 흡수법 및 흡착법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환경개선제로서 시중에 시판되고 있다. 시판되고 있는 축산 환경개선제는 고체·액체 등으로 성상이 구별되나 주로 고체 상태이며, 효소, 생균, 활성탄, 광물질, 목초액, 키토산, 해초 및 과일추출물 등으로 다양하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보조사료 또는 동물약품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가축분뇨의 악취를 경감시키며, 육질개선의 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장기보관 및 운송이 가능한 사료첨가제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1031호(2006.02.03.)에는 악취제거 및 고영양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악취제거 및 고영양용 사료첨가제는 원료들을 혼합하여 정제로 성형함으로써 장기 보관 및 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육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미흡하고 가축분뇨의 악취를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미흡한 단점이 있다.
KR 10-2006-0011031 B1 2006.02.03.
본 발명의 목적은 동물의 분뇨의 악취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고, 동물의 고기의 냄새를 적게 하여 육질을 개선할 수 있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동애등에 먹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동애등에에게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급여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섭취하여 사육된 동애등애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동애등에 먹이는 잔재물 30~50중량%, 통기제 20~40중량%, 유기성활성화미생물 20~30중량% 및 탈취미생물 1~10중량%를 혼합한 후 70~80℃에서 24~30시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다.
상기 잔재물은 폐분유, 계란껍질, 과일잔재물, 채소잔재물 및 음식물쓰레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상기 통기제는 톱밥 또는 왕겨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은, 두부비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진흙 30~35중량부로 혼합하고 1~2㎝ 길이의 제1 볏짚을 덮어준 후 40~45℃에서 30~4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4~10중량부를 혼합한 후 35~40℃ 온도에서 7~10일 동안 폭기조에서 산소를 공급하면서 숙성하여 제1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제1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발효물 20~25중량부, 솔잎 20~25중량부, 명아주 10~15중량부, 인삼잎 10~15중량부 및 개똥쑥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2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옻순 0.1~1중량부, 숙주 0.1~1중량부, 질경이 0.1~1중량부를 혼합한 후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3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느릅나무톱밥 0.1~1중량부, 싸리나무톱밥 0.1~1중량부 및 소나무톱밥 0.1~1중량부를 혼합한 후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4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땅콩 0.1~0.5중량부, 감자 0.1~0.5중량부, 호두 0.1~0.5중량부 및 해바라기씨 0.1~0.5중량부를 혼합한 후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5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6); 상기 제3 숙성물, 제4 숙성물, 제5 숙성물을 혼합한 혼합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 볏짚 8~10중량부를 혼합한 후 폭기조를 이용하여 25~30℃의 온도에서 30~40일 동안 숙성하여 제6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7); 및 상기 제6 숙성물을 10일 동안 정치한 후 상등수를 취하고, 톱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등수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30~35℃에서 15일 동안 비닐을 덮고 숙성하여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8);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 탈취미생물은,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를 불을 끈 상태의 불가마에 7~8일 동안 두는 단계(단계 1); 상기 불가마로부터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를 꺼내고, 상기 불가마에 공기구멍을 뚫어 불가마 안의 가스가 빠지게 한 후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된 진흙을 24~26시간 동안 넣어 두는 단계(단계 2);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 각각에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진흙을 중량비 2:1의 비율로 배합하는 단계(단계 3);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진흙과 배합된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 위에 제1 볏짚을 덮어 주고 40~60℃에서 30~40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단계 4); 상기 발효된 참나무, 상기 발효된 소나무, 상기 발효된 물푸레나무, 상기 발효된 오동나무 및 상기 발효된 왕겨를 중량비 2:1:1:1:2로 혼합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5); 황토와 제2 볏짚을 중량비 1:10으로 혼합 후 7~10일 동안 폭기조에서 20~35℃에서 숙성하여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숙성물 100중량부에 상기 발효물 10~20중량부를 혼합하고 1~5℃의 저온으로 폭기조에서 60~70일 동안 숙성하여 탈취미생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7);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이다.
상기 단계 2는 동애등에 유충에게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13~15일 동안 급여하고, 상기 단계 3은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섭취하여 사육된 동애등에를 80~90℃에서 12~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며, 상기 동애등에 분쇄물은 0.1~0.5㎜ 입도를 갖는다.
상기 단계 3 이후에, 물 100중량부에 상기 동애등에 분쇄물 10~15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는 동물의 분뇨의 악취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고, 동물의 고기의 냄새를 적게 하여 육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동애등에 유충에게 동애등에 먹이를 급여하는 사육시설의 사진이다.
도 2는 수박껍질, 톱밥, 유기성활성화미생물 및 탈취미생물을 혼합한 후 70℃에서 24시간 동안 발효시켜 동애등에 먹이를 제조하는 사진이다.
도 3은 동애등에 유충에게 동애등에 먹이를 급여하는 사진이다.
도 4는 동애등에 먹이를 섭취하여 사육된 동애등에의 사진이다.
도 5는 동애등에 탈출방지용 망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탈취미생물의 탈취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사료”란 개체의 생명을 유지하고 상기 개체를 사육하는데 필요한 유기 또는 무기 영양소를 공급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사료는 사료를 섭취하는 개체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비타민, 광물질 등 영양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곡물류, 근과류, 식품가공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곡물부산물류 등의 식물성 사료 또는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단세포 단백질, 동물성 플랑크톤류, 어분 등의 동물성 사료가 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사육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사료를 섭취할 수 있는 생명체라면 제한 없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용어 “동애등에”란 절지동물 곤충강 파리목 동애등에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동애등에와 같은 파리의 유충은 아르기닌, 메티오닌, 라이신 등과 같은 필수아미노산의 좋은 공급원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아미노산 함량은 일반적으로 대두박보다 높고 어분과 같은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파리 유충은 가축 사료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 특히, 알려진 바에 따르면 동애등에의 경우 가축이 필요로 하는 주영양소인 단백질 약 40 %, 지방 약 20%를 함유하고 있으며, 중쇄 지방산인 라우르 산 (Lauric acid)과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산 (Oleic acid) 및 리놀산 (Linoleic acid) 등 가축 사육에 유용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동애등에는 유기성 폐기물인 동물 사체, 가축의 분, 식물 잔재물, 음식물 쓰레기를 먹이로 하여 서식하며, 특히 동애등에를 사육하는 경우 대부분 음식물 쓰레기를 먹이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동·식물 잔재물을 유기성활성화미생물 및 탈취미생물로 발효시킨 것을 동애등에에게 급여하여 사육한 동애등에를 사료 첨가제로 사용함으로써 가축 분뇨의 악취를 저감시킨 것이 특징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은,
동애등에 먹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동애등에에게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급여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섭취하여 사육된 동애등애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동애등에 먹이는 잔재물 30~50중량%, 통기제 20~40중량%, 유기성활성화미생물 20~30중량% 및 탈취미생물 1~10중량%를 혼합한 후 70~80℃에서 24~30시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다.
상기 잔재물은 폐분유, 계란껍질, 과일잔재물, 채소잔재물 및 음식물쓰레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잔재물이 30중량% 미만 포함되면 수분이 적어 동애등에 활동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50중량% 초과 포함되면 수분이 너무 많아 동애등에가 성숙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통기제는 톱밥 또는 왕겨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기제가 20중량% 미만 포함되면 미생물 활동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40중량% 초과 포함되면 미생물 활성화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은 한국미생물보전센터를 기탁기관으로 하여 2016년 11월 18일에 수탁번호 KFCC 11706P로 기탁되어 있다. 상기 미생물의 명칭은 Curtobacterium oceanosedimentum EG-C01이다.
상기 유기활성화미생물은 소멸, 탈취 및 균접종을 위해 포함되며, 20중량% 미만 포함되면 탈취효과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고, 30중량% 초과 포함되면 소멸효과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상기 탈취미생물은 한국미생물보전센터를 기탁기관으로 하여 2016년 11월 14일에 수탁번호 KFCC 11705P로 기탁되어 있다. 상기 미생물의 명칭은 Bacillus vietnamensis EG-B01이다.
상기 탈취미생물은 동물의 분뇨의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해 포함되며, 1중량% 미만 포함되면 동물의 분뇨의 악취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10중량% 초과 포함되면 미생물의 활동이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혼합물을 70℃ 미만에서 발효하면 발효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고, 80℃ 초과의 온도에서 발효하면 발효물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혼합물을 24시간 미만 발효하면 미생물이 폭넓게 퍼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30시간 초과 발효하면 발효물이 유해균에 의해 공격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2는 동애등에 유충에게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13~15일 동안 급여하는 단계이다.
동애등에는 알에서 3일, 유충단계 15일, 번데기 14일, 성충 10일, 총 42일 여간의 생명 주기 (life cycle)를 가지고 있으며, 유충 단계에서 번데기 단계로 전환될 때 높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습성을 이용하여 먹이와 동애등에를 분리한다. 일반적으로, 영양상태가 가장 우수한 번데기가 되기 전 노숙 유충을 이용하여 사료 내 첨가한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섭취하여 사육된 동애등에를 80~90℃에서 12~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애등에 분쇄물은 0.1~0.5㎜ 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 이후에, 물 100중량부에 상기 동애등에 분쇄물 10~15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분쇄물을 물에 혼합하는 이유는 물이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기 때문이다.
상기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은,
두부비지와 진흙을 혼합하고 제1 볏짚으로 덮어주고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물에 황토를 혼합한 후 숙성하여 제1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제1 숙성물에 상기 발효물, 솔잎, 명아주, 인삼잎 및 개똥쑥을 혼합하고 숙성하여 제2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2 숙성물에 옻순, 숙주 및 질경이를 혼합한 후 숙성하여 제3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상기 제2 숙성물에 느릅나무톱밥, 싸리나무톱밥 및 소나무톱밥을 혼합한 후 숙성하여 제4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제2 숙성물에 땅콩, 감자, 호두 및 해바라기씨를 혼합한 후 숙성하여 제5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6);
상기 제3 숙성물, 제4 숙성물, 제5 숙성물 및 제2 볏짚을 혼합한 후 숙성하여 제6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7); 및
상기 제6 숙성물을 정치한 후 상등수를 취하고, 톱밥에 상기 상등수를 혼합하고 숙성하여 유기활성화미생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8);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단계 1은 두부비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진흙 30~35중량부로 혼합하고 1~2㎝ 길이의 제1 볏짚을 덮어준 후 40~45℃에서 30~4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진흙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바실러스균의 활성이 뛰어나고 아미노산과 미네랄 개체수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여름철 논에 있는 진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부비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진흙 3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하면 미생물 생육을 과다 촉진하여 기능성이 떨어져 조기 사멸하는 문제가 있으며, 35중량부 초과 혼합하면 두부가 가진 유기성 미생물 먹이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발효시 40℃ 미만의 온도로 발효시키면 생육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45℃ 초과의 온도로 발효시키면 볏짚의 발열 현상이 심해져서 미생물 생육을 과다 촉진시켜 추후 유기물 분해시 쉽게 사멸되는 문가 있다.
상기 발효시 30일 미만 동안 발효시키면 미생물 배양 완료시 쉽게 사멸하는 문제가 있고, 40일 초과하여 발효시키면 배양 중 미생물이 자동 사멸하여 다량의 미생물이 존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2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4~10중량부를 혼합한 후 35~40℃ 온도에서 7~10일 동안 폭기조에서 산소를 공급하면서 숙성하여 제1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4중량부 미만 혼합하면 미생물배양 완료시 균이 쉽게 사멸하는 문제가 있으며, 10중량부 초과 혼합하면 배양중 미생물이 자동 사멸하여 다량의 미생물이 존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황토는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성향이 있지만, 미생물과 협착을 이루면 미생물은 황토에 있는 미네랄 성분을 먹으며 사멸하지 않고 생존할 수 있으며 오히려 황토의 항균 성분과도 친해질 수 있다.
상기 물에 황토를 혼합한 후 35℃ 미만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미생물이 황토의 미네랄을 먹지 못해 균이 죽는 문제가 있으며, 40℃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균이 쉽게 황토의 미네랄을 먹으면서 다량의 개체로 존재하나 생명주기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물에 황토를 혼합한 후 7일 미만 동안 숙성하면 미생물이 황토의 미네랄을 미섭취해 활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10일 초과하여 숙성하면 균이 쉽게 황토에 미네랄을 먹으면서 다량의 개체로 존재하나 균의 생명주기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제1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발효물 20~25중량부, 솔잎 20~25중량부, 명아주 10~15중량부, 인삼잎 10~15중량부 및 개똥쑥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2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발효물 2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면 균이 적게 포함되어 활성도가 저해되는 문제가 있고 2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이 너무 많아져서 먹이가 너무 많이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1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솔잎 2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면 유기물을 분해할 때 냄새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2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솔잎의 항균력이 너무 지나쳐서 발효물에 조성된 균이 사멸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1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명아주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부족함으로 인해 균이 숙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1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너무 많아져 상단이 부패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1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삼잎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부족함으로 인해 균이 숙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1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너무 많아져 상단이 부패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1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개똥쑥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부족함으로 인해 균이 숙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15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너무 많아져 상단이 부패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1℃ 미만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균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5℃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숙성시 산패되어 바닥에 시커먼 균사체가 모이는데 이는 담배꽁초 소멸시 지독한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60일 미만 동안 숙성하면 유기물 소멸시 균이 쉽게 사멸하는 문제가 있고, 70일 초과하여 숙성하면 산패되어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솔잎(pine leaf)은 소나무의 잎을 의미한다. 상기 명아주(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을 의미하며 줄기와 잎을 사용한다. 상기 인삼잎(ginseng leaf)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인삼의 잎을 의미한다. 상기 개똥쑥(Artemisia annua)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을 의미하며 줄기와 잎을 사용한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옻순 0.1~1중량부, 숙주 0.1~1중량부, 질경이 0.1~1중량부를 혼합한 후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3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옻순 0.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균의 항진력이 떨어져 쉽게 사멸하는 문제가 있으며, 1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최종 미생물 제제가 검붉은색으로 변이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숙주 0.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적어 잘 숙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1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초과되어 상단이 부패되어 냄새가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질경이 0.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적어 잘 숙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1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초과되어 상단이 부패되어 냄새가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1℃ 미만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균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5℃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숙성시 산패되어 바닥에 시커먼 균사체가 모이는데 이는 담배꽁초 소멸시 지독한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60일 미만 동안 숙성하면 유기물 소멸시 균이 쉽게 사멸하는 문제가 있고, 70일 초과하여 숙성하면 산패되어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옻순은 옻나무의 어린 순을 의미한다. 상기 숙주(bean sprouts)는 녹두를 물에 불려 싹이 나게 하여 기른 나물을 의미한다. 상기 질경이는 쌍떡잎식물 질경이목 질경이과의 여러해살이풀을 의미하며, 줄기와 잎을 사용한다. 상기 옻순, 숙주, 질경이는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5는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느릅나무톱밥 0.1~1중량부, 싸리나무톱밥 0.1~1중량부 및 소나무톱밥 0.1~1중량부를 혼합한 후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4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느릅나무톱밥 0.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잘 숙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1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초과되어 상단이 부패되어 냄새가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싸리나무톱밥 0.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잘 숙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1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초과되어 상단이 부패되어 냄새가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나무톱밥 0.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잘 숙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1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초과되어 상단이 부패되어 냄새가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1℃ 미만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균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5℃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숙성시 산패되어 바닥에 시커먼 균사체가 모이는데 이는 담배꽁초 소멸시 지독한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60일 미만 동안 숙성하면 유기물 소멸시 균이 쉽게 사멸하는 문제가 있고, 70일 초과하여 숙성하면 산패되어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느릅나무톱밥은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의미하고, 싸리나무톱밥은 싸리나무(Lespedeza bicolor TURCZ.)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의미하고, 소나무톱밥은 소나무(Pinus densiflora)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행하는 부산물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 6은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땅콩 0.1~0.5중량부, 감자 0.1~0.5중량부, 호두 0.1~0.5중량부 및 해바라기씨 0.1~0.5중량부를 혼합한 후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5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땅콩 0.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잘 숙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0.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초과되어 상단이 부패되어 냄새가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자 0.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잘 숙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0.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초과되어 상단이 부패되어 냄새가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호두 0.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잘 숙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0.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초과되어 상단이 부패되어 냄새가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바라기씨 0.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잘 숙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0.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초과되어 상단이 부패되어 냄새가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1℃ 미만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균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5℃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숙성시 산패되어 바닥에 시커먼 균사체가 모이는데 이는 담배꽁초 소멸시 지독한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60일 미만 동안 숙성하면 유기물 소멸시 균이 쉽게 사멸하는 문제가 있고, 70일 초과하여 숙성하면 산패되어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땅콩(Arachis hypogaea)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의 줄기와 잎을 사용한다. 상기 감자(Potato)는 쌍떡잎식물 통화나물목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의 괴경(덩이줄기)를 사용한다. 상기 호두(walnut)는 가래나무과의 낙엽교목인 호두나무(Juglans sinensis)의 열매의 종자를 사용하며, 상기 해바라기씨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인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의 씨를 사용한다.
상기 단계 4, 단계 5, 단계 6은 서로 다른 용기에서 숙성을 시킨다.
상기 단계 7은 상기 제3 숙성물, 제4 숙성물, 제5 숙성물을 혼합한 혼합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 볏짚 8~10중량부를 혼합한 후 폭기조를 이용하여 25~30℃의 온도에서 30~40일 동안 숙성하여 제6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숙성물은 제3 숙성물, 제4 숙성물, 제5 숙성물을 중량비 1:1:1로 혼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제2 볏짚은 영하의 기온에서 볏짚 특유의 발효균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눈 밑에 10~60일 동안 쌓아 놓은 볏짚뿌리를 10~12㎝로 잘라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 볏짚 8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볏짚 특유의 발효균이 미흡해지는 문제가 있고, 10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볏짚 특유의 발효균이 혼합숙성물의 균을 과도하게 먹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25℃ 미만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생육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30℃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볏짚의 발열현상이 심해져서 미생물 생육을 과다 촉진시켜 추후 유기물 분해시 쉽게 사멸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30일 미만 동안 숙성하면 생육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40일 초과하여 숙성하면 볏짚의 발열현상이 심해져서 미생물 생육을 과다 촉진시켜 추후 유기물 분해시 쉽게 사멸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8은 상기 제6 숙성물을 10일 동안 정치한 후 상등수를 취하고, 톱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등수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30~35℃에서 15일 동안 비닐을 덮고 숙성하여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톱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등수 10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발효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있고, 1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들이 서로가 서로를 잡아먹는 문제가 발생하여 톱밥이 쉽게 사라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탈취미생물은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를 불을 끈 상태의 불가마에 7~8일 동안 두는 단계(단계 1);
상기 불가마로부터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를 꺼내고, 상기 불가마에 공기구멍을 뚫어 불가마 안의 가스가 빠지게 한 후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된 진흙을 24~26시간 동안 넣어 두는 단계(단계 2);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 각각에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진흙을 배합하는 단계(단계 3);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진흙과 배합된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 위에 제1 볏짚을 덮어 주고 발효시키는 단계(단계 4);
상기 발효된 참나무, 상기 발효된 소나무, 상기 발효된 물푸레나무, 상기 발효된 오동나무 및 상기 발효된 왕겨를 혼합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5);
황토와 제2 볏짚을 혼합 후 폭기조에서 숙성하여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숙성물에 상기 발효물을 혼합하고 폭기조에서 숙성하여 탈취미생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7);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호열성 미생물은, 고온에서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미생물은 특수한 효소와 각종 고분자 물질을 생산하여 고온환경 및 중금속, 황화수소 등 독성물질에 높은 내성을 갖는다. 상기 호열성 미생물은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스트렙토코퍼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또는 바실러스퍼뮤스(Bacillus firmu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은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 각각 100중량부에 호열성 미생물을 각각 0.1~1중량부를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열성 미생물을 0.1중량부 미만 접종하면 균의 활동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으며, 1중량부 초과 접종하면 균이 급성장하여 정체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및 오동나무는 30㎝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을 끈 상태의 불가마의 온도는 100~110℃이다.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를 불을 끈 상태의 불가마(100~110℃)에 7~8일 동안 두면 균이 나무 모공 사이로 스며들어가 활성화된다. 고열로 가열하지 않고 100~110℃에 두는 이유는 온도가 너무 높으면 호열성 미생물 균의 활동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상기 참나무는 어느 한 종(種)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참나무과 참나무속에 속하는 여러 수종(樹種)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쓰임새가 많아 유용한 나무라는 뜻이며, 이 속(屬)에 속하는 나무는 모두 도토리라고 불리는 견과(堅果)를 생산하므로 '도토리나무'라고도 불린다. 겨울에 잎이 떨어지는 낙엽활엽수와 일년 내내 잎이 지지 않는 상록활엽수가 있으며, 대부분 높이가 8m를 넘는 교목이나, 때로는 높이가 2m 이내인 관목도 있다. 북반구의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200~250종이 자라며, 잎이 어긋나고 대부분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양성화이며 4~5월에 핀다. 수꽃 이삭은 새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고, 암꽃 이삭은 잎겨드랑이 윗부분에 곧게 선다. 도토리라고 불리는 견과(堅果)는 접시 같은 각두(殼斗) 안에 들어 있으며 타원형 또는 공 모양이다. 각두는 총포이며 겉에 포린(苞鱗)이 덮고 있다. 포린은 종에 따라 크기가 다르고 배열도 다르다. 나무껍질에 타닌함량이 많으므로 바닷가에서는 어망을 물들이는 데 사용한다. 재목은 매우 단단하여 쓰이는 곳이 많으며, 특히 술통을 만드는 재료로 유명하다. 견과는 채취하여 도토리묵을 만들어 먹는다. 떡갈나무의 잎은 크고 두꺼우며 향기가 있어 농촌에서는 떡을 찔 때 사용하여 왔으나, 일본에서는 떡을 싸는 데 사용하고 있다. 굴참나무에서 코르크를 채취하는데, 특히 난대지역에서는 코르크를 생산하는 경제자원으로써 지중해산 코르크 참나무(Q.suber)를 재배한다.
상기 소나무는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으로서, 다량의 엽록소, 단백질, 조지방, 인, 철분, 효소, 정유(精油), 무기질, 비타민 A, 비타민 C 등을 함유하고 있다. 소나무의 목부에는 테르펜히드라트, 피노실빈, 피노실빈모노메틸에스테르, 디히드로피노실빈모노메틸에스테르, 피노셈브린, 피노반크, 프로피온알데히드, 세로틴산, 유니페르산, 테레빈유, 타르가 있고, 어린 가지와 마디의 기름에는 카니폴, 아비에틴산, 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물푸레나무의 속은 물푸레나무과(Oleacae)의 Oleeae족에 속하며 전 세계적으로 약 60종이 주로 북반구 지역, 동아시아 및 북미를 중심으로 분포한다. 몇 종의 물푸레나무과의 종은 내구성이 강하고 충격에 강하며 직립성의 특성을 나타내는 목재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탁월한 수간(shade)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원의 조성과 거주지의 녹화에 매우 중요한 수목으로 알려져 있다.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Hance)는 진백목(秦白木)이라 하여 한방에서는 청열, 조습, 평천, 지해의 약효가 있으며 세균성 이질 및 만성기관지염 그리고 백내장과 녹내장을 치료하는 생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수피에 aesculin, aesculetin(esculetin) 및 6-β-d-glucoside인 aesculin이 함유되어 있어 진통제, 항염증제, 진해제, 수렴제, 이뇨제, 거담제, 건위소화제로 활성을 가지며, 박테리아 감염과 감기를 조절한다고 하고, 출혈과 간질환, 설사, 이질, 백내장과 같은 안질환, 기침, 천식에 사용되어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상기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는 현삼과의 오동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한국 특산종이다. 오동나무의 높이는 15m 정도이며, 나무 껍질은 연한 갈색으로 짙은 갈색의 줄이 세로로 나있다. 오동나무의 껍질은 동피라고 하는데 기관지 폐렴, 세균성 설사, 급성 장염, 급성 결막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동나무 잎은 동엽이라고 하는데 안면 홍조, 농포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왕겨는 벼의 도정공정에서 대량으로 생성되는 부산물로서 그 물량이 충분함과 아울러 연중 도정으로 항상 일정량이 발생하므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저렴하며, 최종 소비지 근처에서 생산되어 그 유통이 편리하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진흙 100중량부에 호열성 미생물 10~20중량부를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열성 미생물을 10중량부 미만 접종하면 균수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으며, 20중량부 초과 접종하면 기존 진흙에 들어있는 미생물과 상충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진흙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나, 바실러스균의 활성이 뛰어나고 아미노산과 미네랄 개체수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여름철 논에 있는 진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열성 미생물은 상기 단계 1에서 사용한 호열성 미생물과 동일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 각각에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진흙을 중량비 2:1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진흙과 배합된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 위에 제1 볏짚을 덮어 주고 40~60℃에서 30~40일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40℃ 미만의 온도에서 발효시키면 생육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60℃ 초과의 온도에서 발효시키면 볏짚의 발열 현상이 심해져서 미생물 생육을 과다 촉진시켜 추후 쉽게 사멸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발효시 30일 미만 동안 발효시키면 미생물 배양 완료시 쉽게 사멸하는 문제가 있고, 40일 초과하여 발효시키면 배양 중 미생물이 자동 사멸하여 다량의 미생물이 존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5는 상기 발효된 참나무, 상기 발효된 소나무, 상기 발효된 물푸레나무, 상기 발효된 오동나무 및 상기 발효된 왕겨를 중량비 2:1:1:1:2로 혼합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로 혼합하는 이유는 나무 수종별로 균이 작용하여 발생되는 효과가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 단계 4에서 발효시 사용했던 진흙은 미생물 활동을 통해 유해 미생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이물질과 함께 아래로 가라앉게 된다.
상기 단계 6은 황토와 제2 볏짚을 중량비 1:10으로 혼합 후 7~10일 동안 폭기조에서 산소를 공급하면서 20~35℃에서 숙성하여 숙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토는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성향이 있지만, 미생물과 협착을 이루면 미생물은 황토에 있는 미네랄 성분을 먹으며 사멸하지 않고 생존할 수 있으며 오히려 황토의 항균 성분과도 친해질 수 있다.
20℃ 미만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미생물이 황토의 미네랄을 먹지 못해 균이 죽는 문제가 있으며, 35℃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균이 쉽게 황토의 미네랄을 먹으면서 다량의 개체로 존재하나 생명주기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7일 미만 동안 숙성하면 미생물이 황토의 미네랄을 미섭취해 활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10일 초과하여 숙성하면 균이 쉽게 황토에 미네랄을 먹으면서 다량의 개체로 존재하나 균의 생명주기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7은 상기 숙성물 100중량부에 상기 발효물 10~20중량부를 혼합하고 1~5℃의 저온으로 폭기조에서 60~70일 동안 숙성하여 탈취미생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발효물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면 균이 적게 포함되어 활성도가 저해되는 문제가 있고 20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균이 너무 많아져서 먹이가 너무 많이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1℃ 미만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균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5℃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숙성시 산패되어 바닥에 시커먼 균사체가 모이는데 이는 지독한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60일 미만 동안 숙성하면 균이 쉽게 사멸하는 문제가 있고, 70일 초과하여 숙성하면 산패되어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탈취미생물 100중량부에 옻순 0.1~1중량부, 녹차잎 0.1~1중량부 및 대나무줄기 0.1~1중량부를 혼합하고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탈취미생물에 옻순, 녹차잎 및 대나무줄기를 혼합하고 저온 숙성함으로써 악취를 제거하는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옻순은 옻나무의 어린 순을 의미한다. 상기 옻순, 녹차잎 및 대나무줄기는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탈취미생물 100중량부에 당귀잎 0.1~1중량부, 두충줄기 0.1~1중량부 및 은행열매 0.1~1중량부를 혼합하고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탈취미생물에 당귀잎, 두충줄기 및 은행열매를 혼합하고 저온 숙성함으로써 해충을 방지하는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탈취미생물 100중량부에 쑥잎 0.1~1중량부, 뽕잎 0.1~1중량부 및 상사화줄기 0.1~1중량부를 혼합하고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탈취미생물에 쑥잎, 뽕잎 및 상사화줄기를 혼합하고 저온 숙성함으로써 균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탈취미생물 100중량부에 옻순 0.1~1중량부, 녹차잎 0.1~1중량부 및 대나무줄기 0.1~1중량부를 혼합하고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1 미생물 제제를 만들고,
상기 탈취미생물 100중량부에 당귀잎 0.1~1중량부, 두충줄기 0.1~1중량부 및 은행열매 0.1~1중량부를 혼합하고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2 미생물 제제를 만들고,
상기 탈취미생물 100중량부에 쑥잎 0.1~1중량부, 뽕잎 0.1~1중량부 및 상사화줄기 0.1~1중량부를 혼합하고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3 미생물 제제를 만들고,
상기 제1 미생물 제제, 제2 미생물 제제 및 제3 미생물 제제를 중량비 1:1:1로 혼합한 제4 미생물 제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3 볏짚 1~5중량부를 혼합한 후 폭기조에서 25~30℃의 온도에서 30~40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제3 볏짚은 영하의 기온에서 볏짚 특유의 발효균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눈 밑에 10~60일 동안 쌓아 놓은 볏짚뿌리를 10~12㎝로 잘라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미생물 제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3 볏짚 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볏짚 특유의 발효균이 미흡해지는 문제가 있고, 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볏짚 특유의 발효균이 혼합숙성물의 균을 과도하게 먹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25℃ 미만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생육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30℃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하면 볏짚의 발열현상이 심해져서 미생물 생육을 과다 촉진시켜 추후 쉽게 사멸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성시 30일 미만 동안 숙성하면 생육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40일 초과하여 숙성하면 볏짚의 발열현상이 심해져서 미생물 생육을 과다 촉진시켜 추후 쉽게 사멸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탈취미생물은 폭기를 끄고 10일 동안 정치한 후 상등수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는 동물의 분뇨의 악취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고, 동물의 고기의 냄새를 적게 하여 육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는 가축, 양축, 애완동물, 양어, 관상어의 사료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축은 육계, 산란계, 종계, 한우, 육우 및 양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는 사료 총 중량에 5~2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육시설(도 1 참조)에서 잔재물 40중량%, 통기제 30중량%, 유기성활성화미생물 25중량% 및 탈취미생물 5중량%를 혼합한 후 70℃에서 24시간 동안 발효시켜 동애등에 먹이를 제조하였다(도 2 참조). 동애등에 유충에게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15일 동안 급여하였다(도 3 참조).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섭취하여 사육된 동애등에(도 4 참조)를 85℃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한 후 0.5㎜ 입도를 갖도록 분쇄하였다. 물 100중량부에 상기 동애등애 분쇄물을 혼합하여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잔재물은 수박껍질을 사용하였고, 상기 통기제는 톱밥을 사용하였다.
두부비지 100중량부에 진흙 30중량부로 혼합하고 1㎝ 길이의 제1 볏짚을 덮어준 후 40℃에서 3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진흙은 여름철 논에 있는 진흙을 사용하였다. 물 100중량부에 황토 5중량부를 혼합한 후 37℃ 온도에서 7일 동안 폭기조에서 산소를 공급하면서 숙성하여 제1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숙성물 100중량부에 상기 발효물 20중량부, 솔잎 20중량부, 영아주 줄기 10중량부, 인삼잎 10중량부 및 개똥쑥 줄기 10중량부를 혼합하고 3℃에서 6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2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옻순 0.3중량부, 숙주 0.3중량부, 질경이 줄기 0.3중량부를 혼합한 후 3℃에서 6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3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옻순, 숙주, 질경이 줄기는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느릅나무톱밥 0.3중량부, 싸리나무톱밥 0.3중량부 및 소나무톱밥 0.3중량부를 혼합한 후 3℃에서 6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4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땅콩 줄기 0.2중량부, 감자(괴경) 0.2중량부, 호두 종자 0.2중량부 및 해바라기씨 0.2중량부를 혼합한 후 3℃에서 6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5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3 숙성물, 제4 숙성물, 제5 숙성물을 혼합한 혼합숙성물 100중량부에 제2 볏짚 10중량부를 혼합한 후 폭기조를 이용하여 27℃의 온도에서 30일 동안 숙성하여 제6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숙성물은 제3 숙성물, 제4 숙성물, 제5 숙성물을 중량비 1:1:1로 혼합하여 수득하였다. 상기 제2 볏짚은 눈 밑에 30일 동안 쌓아 놓은 볏짚뿌리를 10㎝로 잘라서 사용하였다. 상기 제6 숙성물을 10일 동안 정치한 후 상등수를 취하고, 톱밥 100중량부에 상기 상등수 10중량부를 혼합하고 33℃에서 15일 동안 비닐을 덮고 숙성하여 수탁번호 KFCC 11706P로 기탁된 상기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을 제조하였다.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 각각 100중량부에 호열성 미생물을 각각 0.5중량부를 접종하였다. 상기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및 오동나무는 30㎝로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를 불을 끈 상태의 불가마에 7일 동안 두었다. 상기 불을 끈 상태의 불가마의 온도는 110℃이다. 상기 불가마로부터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를 꺼내고, 상기 불가마에 공기구멍을 뚫어 불가마 안의 가스가 빠지게 한 후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된 진흙을 24시간 동안 넣어 두었다. 진흙에 접종한 호열성 미생물은 상기 나무에 접종한 호열성 미생물과 동일한 종류의 호열성 미생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진흙 100중량부에 호열성 미생물 15중량부를 접종하였다. 상기 진흙은 여름철 논에 있는 진흙을 사용하였다.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 각각에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진흙을 중량비 2:1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진흙과 배합된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 위에 제1 볏짚을 덮어 주고 50℃에서 30일 동안 발효시켰다. 상기 발효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를 중량비 2:1:1:1:2로 혼합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황토와 제2 볏짚을 중량비 1:10으로 혼합 후 7일 동안 폭기조에서 산소를 공급하면서 20℃에서 숙성하여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숙성물 100중량부에 상기 발효물 15중량부를 혼합하고 3℃의 저온으로 폭기조에서 60일 동안 숙성하여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생물 제제 100중량부에 옻순 0.3중량부, 녹차잎 0.3중량부 및 대나무줄기 0.3중량부를 혼합하고 3℃에서 6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1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생물 제제 100중량부에 당귀잎 0.3중량부, 두충줄기 0.3중량부 및 은행열매 0.3중량부를 혼합하고 3℃에서 6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2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미생물 제제 100중량부에 쑥잎 0.3중량부, 뽕잎 0.3중량부 및 상사화줄기 0.3중량부를 혼합하고 3℃에서 6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3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1 미생물 제제, 제2 미생물 제제, 제3 미생물 제제를 중량비 1:1:1로 혼합한 제4 미생물 제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3 볏짚 3중량부를 혼합하고 폭기조에서 27℃의 온도에서 30일 동안 숙성한 후, 폭기를 끄고 10일 동안 정치한 후 상등수를 취해 수탁번호 KFCC 11705P로 기탁된 상기 탈취미생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3 볏짚은 눈 밑에 30일 동안 쌓아 놓은 볏짚뿌리를 10㎝로 잘라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탁번호 KFCC 11705P로 기탁된 탈취미생물의 탈취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실험을 의뢰하였다. 본 발명의 탈취미생물의 탈취시험 결과를 표 1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시료구분 결과치
탈취시험 : 암모니아 % 30분 후 99 이상
탈취시험 : 트리메틸아민 % 30분 후 98
탈취시험 : 황화수소 % 30분 후 46
탈취시험 : 메틸머캅탄 % 30분 후 22
1. 시험환경 : 온도(23±5)℃, 습도 (40±5) % R.H.
2. 시험용기 : 10ℓ 테들라 백
3. 시료주입량 : 시료 200㎖
4. 시험기기 : 검지관식 가스측정기(GV-100S, 가스텍, 일본)
5. 초기농도(단위ppm)
- 암모니아 : 100
- 트리메틸아민 : 30
- 황화수소 : 50
- 메틸머캅탄 : 4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취미생물은 30분 후 암모니아 탈취율이 99% 이상, 트리메틸아민 탈취율 98%이므로, 탈취효과가 매우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KFCC11705P 20161114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KFCC11706P 20161118

Claims (7)

  1. 동애등에 먹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동애등에에게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급여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섭취하여 사육된 동애등애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단계
    (단계 3);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동애등에 먹이는 잔재물 30~50중량%, 통기제 20~40중량%, 유기성활성화미생물 20~30중량% 및 탈취미생물 1~10중량%를 혼합한 후 70~80℃에서 24~30시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하며,
    상기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은,
    두부비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진흙 30~35중량부로 혼합하고 1~2㎝ 길이의 제1 볏짚을 덮어준 후 40~45℃에서 30~4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황토 4~10중량부를 혼합한 후 35~40℃ 온도에서 7~10일 동안 폭기조에서 산소를 공급하면서 숙성하여 제1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제1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발효물 20~25중량부, 솔잎 20~25중량부, 명아주 10~15중량부, 인삼잎 10~15중량부 및 개똥쑥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2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옻순 0.1~1중량부, 숙주 0.1~1중량부, 질경이 0.1~1중량부를 혼합한 후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3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느릅나무톱밥 0.1~1중량부, 싸리나무톱밥 0.1~1중량부 및 소나무톱밥 0.1~1중량부를 혼합한 후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4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5);
    상기 제2 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땅콩 0.1~0.5중량부, 감자 0.1~0.5중량부, 호두 0.1~0.5중량부 및 해바라기씨 0.1~0.5중량부를 혼합한 후 1~5℃에서 60~70일 동안 저온 숙성하여 제5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6);
    상기 제3 숙성물, 제4 숙성물, 제5 숙성물을 혼합한 혼합숙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 볏짚 8~10중량부를 혼합한 후 폭기조를 이용하여 25~30℃의 온도에서 30~40일 동안 숙성하여 제6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7); 및
    상기 제6 숙성물을 10일 동안 정치한 후 상등수를 취하고, 톱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상등수 10~15중량부를 혼합하고 30~35℃에서 15일 동안 비닐을 덮고 숙성하여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8);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 탈취미생물은,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를 불을 끈 상태의 불가마에 7~8일 동안 두는 단계(단계 1);
    상기 불가마로부터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를 꺼내고, 상기 불가마에 공기구멍을 뚫어 불가마 안의 가스가 빠지게 한 후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된 진흙을 24~26시간 동안 넣어 두는 단계(단계 2);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 각각에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진흙을 중량비 2:1의 비율로 배합하는 단계(단계 3);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진흙과 배합된 상기 호열성 미생물이 접종되고 불가마에 방치된 참나무, 소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및 왕겨 위에 제1 볏짚을 덮어 주고 40~60℃에서 30~40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단계 4);
    상기 발효된 참나무, 상기 발효된 소나무, 상기 발효된 물푸레나무, 상기 발효된 오동나무 및 상기 발효된 왕겨를 중량비 2:1:1:1:2로 혼합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5);
    황토와 제2 볏짚을 중량비 1:10으로 혼합 후 7~10일 동안 폭기조에서 20~35℃에서 숙성하여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숙성물 100중량부에 상기 발효물 10~20중량부를 혼합하고 1~5℃의 저온으로 폭기조에서 60~70일 동안 숙성하여 탈취미생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7);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인,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재물은 폐분유, 계란껍질, 과일잔재물, 채소잔재물 및 음식물쓰레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상기 통기제는 톱밥 또는 왕겨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애등에에게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급여하는 단계(단계 2)는 동애등에 유충에게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13~15일 동안 급여하고,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섭취하여 사육된 동애등애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단계 (단계 3)은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섭취하여 사육된 동애등에를 80~90℃에서 12~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며,
    상기 동애등에 분쇄물은 0.1~0.5㎜ 입도를 갖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애등에 먹이를 섭취하여 사육된 동애등애를 건조한 후 분쇄하는 단계 (단계 3) 이후에, 물 100중량부에 상기 동애등에 분쇄물 10~15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7. 삭제
KR1020170084284A 2017-07-03 2017-07-03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 KR101918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284A KR101918542B1 (ko) 2017-07-03 2017-07-03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284A KR101918542B1 (ko) 2017-07-03 2017-07-03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542B1 true KR101918542B1 (ko) 2019-02-08

Family

ID=6536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284A KR101918542B1 (ko) 2017-07-03 2017-07-03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5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3596A (zh) * 2019-05-14 2019-06-28 天津农学院 一种促进餐厨垃圾高负荷稳定产沼气的方法
CN111357715A (zh) * 2020-03-17 2020-07-03 郭立红 一种用于处理有机废弃物的黑水虻坡度养殖方法
KR20210042741A (ko) * 2019-10-10 2021-04-20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동애등에 사료용 조성물
KR20210101435A (ko) 2020-02-10 2021-08-19 홍종주 동애등에 사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사육방법 및 오일 추출방법
KR20210116787A (ko) * 2020-03-16 2021-09-28 농업회사법인 다음산업주식회사 천연항생제를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312B1 (ko) * 2008-07-01 2010-12-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 생산 방법
KR101721185B1 (ko) 2015-09-01 2017-03-29 농업회사법인(주)이지엠앤알 유기성 슬러지 소멸용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성 슬러지 소멸용 미생물 제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312B1 (ko) * 2008-07-01 2010-12-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 생산 방법
KR101721185B1 (ko) 2015-09-01 2017-03-29 농업회사법인(주)이지엠앤알 유기성 슬러지 소멸용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성 슬러지 소멸용 미생물 제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3596A (zh) * 2019-05-14 2019-06-28 天津农学院 一种促进餐厨垃圾高负荷稳定产沼气的方法
KR20210042741A (ko) * 2019-10-10 2021-04-20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동애등에 사료용 조성물
KR102305646B1 (ko) * 2019-10-10 2021-09-28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동애등에 사료용 조성물
KR20210101435A (ko) 2020-02-10 2021-08-19 홍종주 동애등에 사료조성물, 이를 이용한 사육방법 및 오일 추출방법
KR20210116787A (ko) * 2020-03-16 2021-09-28 농업회사법인 다음산업주식회사 천연항생제를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2398960B1 (ko) * 2020-03-16 2022-05-17 농업회사법인 다음산업주식회사 천연항생제를 함유하는 동애등에 유충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사육한 곤충을 포함하는 가축, 어패류 또는 반려동물 사료용 조성물
CN111357715A (zh) * 2020-03-17 2020-07-03 郭立红 一种用于处理有机废弃物的黑水虻坡度养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542B1 (ko)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사료첨가제
Hassan et al. Evaluation of duckweed (Lemna perpusilla and Spirodela polyrrhiza) as feed for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Ndimele et al. The invasive aquatic macrophyte,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Mart.) Solm-Laubach: Pontedericeae}: problems and prospects
Edwards Food potential of aquatic macrophytes
KR102038476B1 (ko) 산야초 효소를 이용한 가축 사료첨가제 분말의 제조방법
KR101192005B1 (ko) 유기질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782130B1 (ko) 동물 사체 소멸용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물 사체 소멸용 미생물 제제
CN106577486A (zh) 生态养鸡方法
CN105660532A (zh) 一种土鸡生态养殖方法
CN103349152B (zh) 用做水产养殖饵料的功能性复合微生物剂及水产养殖方法
CN105075994A (zh) 一种蚯蚓的养殖方法
KR101726841B1 (ko) 미생물을 이용한 담배꽁초 퇴비화장치
JP2009024141A (ja) 害虫忌避効果を有する土壌改良材、発酵肥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62995A (ko) 비지박을 함유하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료 조성물
Gwaze et al. The prospect of duckweed in pig nutrition: A Review
CN106172222A (zh) 一种土鸡的生态养殖方法
CN105746896A (zh) 一种生态环保种植养殖生物链循环方法
CN109169510A (zh) 一种生态环境下武定鸡的养殖方法
CN108552117B (zh) 一种基于生物技术的生态生产方法
Lowe et al. Current and potential benefits of mass earthworm culture
KR101994394B1 (ko) 동물사체 악취 저감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56591A (zh) 食叶草提取植物蛋白质与制造食叶草粗蛋白饲料
KR101878896B1 (ko) 미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악취 제거용 조성물
KR101876742B1 (ko) 미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가축 급이용 조성물
CN107382494A (zh) 一种紫茎泽兰有机肥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