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922B1 -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922B1
KR101292922B1 KR1020130024394A KR20130024394A KR101292922B1 KR 101292922 B1 KR101292922 B1 KR 101292922B1 KR 1020130024394 A KR1020130024394 A KR 1020130024394A KR 20130024394 A KR20130024394 A KR 20130024394A KR 101292922 B1 KR101292922 B1 KR 101292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e
organic waste
dongae
cover
h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종
Original Assignee
유형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형종 filed Critical 유형종
Priority to KR1020130024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922B1/ko
Priority to PCT/KR2013/007920 priority patent/WO2014137045A1/ko
Priority to PCT/KR2014/001876 priority patent/WO20141371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05Treatments involving invertebrates, e.g. worms, flies or magg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5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처리 대상의 유기성 폐기물이 동애등에 유충과 함께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삿갓형 덮개; 상기 삿갓형 덮개에 마련되며, 상기 장치본체의 동애등에 유충이 배출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유충 배출용 덕트; 및 상기 삿갓형 덮개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유충 배출용 덕트를 통해 배출된 후 상기 삿갓형 덮개의 외측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동애등에 유충을 받는 유충 받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ment of organic waste using BSF larva}
본 발명은,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동애등에 유충을 여러 번 재사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 식당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분 및 인분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처리없이 배출되는 경우 토양과 하천 등에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 방식에 따르면, 특정 처리 과정을 통해서 유기성 폐기물을 가축의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법, 일정 지역에 매립하거나 해양 투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경우 처리 장치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물을 사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괴질 발생 등 부작용이 크고, 퇴비화의 경우도 재발열 및 비효성 불균형과 같은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렁이, 파리 유충과 같은 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또한 이 경우 배출된 분변토는 비효성이 탁월하여 농경지, 원예, 과수원 등의 경작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식물의 성장과 생산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 중에서 동애등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크는 기간은 37∼41일이며, 분해자 역할을 하는 유충의 기간은 14일 정도이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약 14일)이 지나면 번데기가 되기 위해 건조한 장소를 찾으러 바깥으로 기어 나오는 습성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10kg에 동애등에 유충 5000마리를 투입하면 5일 만에 음식물 쓰레기의 80% 이상이 분해되며,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유충 투입 전보다 부피는 약 42%, 무게는 약 70% 정도로 줄어들었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자원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지렁이나 집파리 보다 길기 때문에 동애등에를 사육해서 활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지렁이나 파리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가정 등에서 발생하는 소량의 유기성 폐기물에만 적용되는 문제, 유기성 폐기물 부패 시 발생하는 악취, 분변토와 유충의 분리 어려움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뿐만 아니라 동물의 사료 및 오일추출로 이용될 수도 있는 있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사육 및 증식시킬 수 있는 노숙유충 자동 수집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동애등에 유충을 효과적으로 사육할 수 있고 노숙유충을 자동으로 수집될 수 있는 동애등에 유충 자동사육 장치를 개발하여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화처리 장치가 필요하며, 현재 이에 대한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003088호 및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010316호 등에 공개되어 있다.
한편, 동애등에 유충의 경우, 음식물을 비롯한 유기성 폐기물을 먹은 다음에 대략 2주 정도가 지나면 처리장치의 밖으로 기어 나와서 번데기가 되기 때문에 그 역할을 다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동애등에 유충의 성장 조건을 감안할 때, 상기 문헌을 비롯한 종래기술의 경우, 동애등에 유충이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실질적으로 동애등에 유충 각각을 한번밖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개선한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003088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0103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동애등에 유충을 여러 번 재사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처리 대상의 유기성 폐기물이 동애등에 유충과 함께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삿갓형 덮개; 상기 삿갓형 덮개에 마련되며, 상기 장치본체의 동애등에 유충이 배출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유충 배출용 덕트; 및 상기 삿갓형 덮개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유충 배출용 덕트를 통해 배출된 후 상기 삿갓형 덮개의 외측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동애등에 유충을 받는 유충 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장치본체 영역을 가열하는 히팅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히팅모듈의 동작 또는 발열온도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삿갓형 덮개보다는 부피가 작으며, 상기 삿갓형 덮개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삿갓형 프레임; 및 상기 삿갓형 덮개의 외면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유기성 폐기물과 상기 동애등에 유충과 함께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기 유충 배출용 덕트에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충 배출용 덕트는, 상기 장치본체 쪽의 입구는 넓고 상기 삿갓형 덮개 쪽의 출구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충 배출용 덕트의 내부 홀(hole)은 내면에 각이 진 비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삿갓형 덮개에는 다수의 내부 관찰창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삿갓형 덮개의 단부에는 상기 유충 받이에 이웃된 영역에 급경사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충 받이는 상기 삿갓형 덮개의 단부 외측에서 상기 삿갓형 덮개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본체의 단부에는 푸트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삿갓형 덮개의 단부 내측에는 상기 푸트부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푸트부와 단차지게 맞물려 배치되는 맞물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동애등에 유충을 여러 번 재사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유충 받이가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유충 배출용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유충 배출용 덕트의 변형예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module)이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또는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또는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 단위 또는 집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유충 받이가 배치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 도 4는 유충 배출용 덕트의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1의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는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동애등에 유충을 여러 번 재사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장치본체(110), 삿갓형 덮개(120), 유충 배출용 덕트(130), 그리고 유충 받이(140)를 포함한다.
장치본체(110)는 처리 대상의 유기성 폐기물이 동애등에 유충과 함께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이러한 장치본체(110)는 삿갓형 덮개(120)보다는 부피가 작으며, 삿갓형 덮개(12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삿갓형 프레임(111)과, 삿갓형 덮개(120)의 외면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유기성 폐기물과 동애등에 유충과 함께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삿갓형 프레임(111)과 다수의 수평 프레임(112)은 강성이 있는 금속 프레임을 용접하여 제작할 수 있다.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대상의 규모에 따라 수평 프레임(112)의 개수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수평 프레임(112)은 유충 배출용 덕트(130)에 이웃하게 배치된다.
삿갓형 덮개(120)는 장치본체(110)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21)을 형성한다. 경사면(121)은 장치본체(110)의 수평 프레임(112)에 배치된 동애등에 유충들이 해당 위치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다 먹고 난 후, 유충 배출용 덕트(130)를 통해 삿갓형 덮개(120)의 외측으로 나왔을 때, 유충 받이(140) 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유충 배출용 덕트(130)는 삿갓형 덮개(120)에 마련되며, 장치본체(110)의 동애등에 유충이 배출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충 배출용 덕트(130)는 장치본체(110)의 수평 프레임(112)에 이웃된 위치에서 삿갓형 덮개(120)에 연결된다. 유충 배출용 덕트(130) 역시 다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충 배출용 덕트(130)는 장치본체(110) 쪽의 입구는 넓고 삿갓형 덮개(120) 쪽의 출구는 좁게 형성된다. 물론, 유충 배출용 덕트(130)의 양단부 개구의 사이즈가 동일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유충 배출용 덕트(130)의 내부 홀(hole, 131)은 내면에 각이 진 비원형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충 배출용 덕트(130)의 내부 홀(131)은 내면에 각이 여러 군데 형성되는 십자형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유충 배출용 덕트(130)의 내부 홀(131)이 단턱이 있는 십자형 구조를 가져야 장치본체(110)의 수평 프레임(112)에 배치된 동애등에 유충들이 해당 위치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다 먹고 난 후, 유충 배출용 덕트(130)를 통해 삿갓형 덮개(120)의 외측으로 나오기가 용이해진다.
유충 받이(140)는 삿갓형 덮개(120)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장치본체(110)와 유충 배출용 덕트(130)를 통해 배출된 후 삿갓형 덮개(120)의 외측 경사면(121)을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동애등에 유충을 받는 역할을 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동애등에 유충은 대략 2주 정도 후에 번데기가 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동애등에 유충이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유충 받이(140)에 받아 대략 3 내지 4회 이상을 재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동애등에 유충을 여러 번 재사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동애등에 유충은 대략 27℃ 이하이면 살기가 어렵고 30℃ 내지 42℃ 정도가 되어야 활발하게 움직이면서 유기성 폐기물을 먹어 처리한다.
따라서 동애등에 유충이 배치되는 장치본체(110)를 30℃ 내지 42℃ 정도가 되도록 가열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히팅모듈(150)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히팅모듈(150)은 장치본체(110)의 삿갓형 프레임(111)에 마련되는 히터로 적용된다. 하지만, 히팅모듈(150)은 도시된 것을 벗어나 보일러나 난로 등이 될 수도 있다.
이처럼 히팅모듈(150)이 갖춰질 경우, 히팅모듈(150)에 의해 동애등에 유충이 배치되는 장치본체(110)가 30℃ 내지 42℃ 정도가 되도록 컨트롤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컨트롤러(16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컨트롤러(160)는 히팅모듈(150)과 연결되어 히팅모듈(150)의 동작 또는 발열온도를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61, CPU), 메모리(162, MEMORY),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61)는 본 실시예에서 히팅모듈(150)의 동작 또는 발열온도를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6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61)와 연결된다. 메모리(16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6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6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60)는 히팅모듈(150)의 동작 또는 발열온도를 컨트롤하는데, 이와 같은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삿갓형 덮개(120)를 열고, 장치본체(110)의 수평 프레임(112) 상에 유기성 폐기물과 동애등에 유충들을 배치하고 삿갓형 덮개(120)를 닫는다.
시간이 지나 장치본체(110)의 수평 프레임(112)에 배치된 동애등에 유충들이 해당 위치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다 먹고 난 후에는 동애등에 유충들이 유충 배출용 덕트(130)를 통해 삿갓형 덮개(120)의 외측으로 나오게 되고, 이후, 삿갓형 덮개(120)의 외면 경사면(121)을 통해 유충 받이(140) 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가 유충 받이(140)에 모아진다.
그러면 작업자는 유충 받이(140)에 받아져 모아진 동애등에 유충들을 필요에 따라 재사용할 수 있다. 특히, 2주가 되어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는 유충 받이(140)에 받아져 모아진 동애등에 유충들을 필요에 따라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동애등에 유충을 여러 번 재사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유충 배출용 덕트의 변형예들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유충 배출용 덕트(230,330)들의 그 내부 홀(231,331)의 형태가 다르거나 동일하더라도 그 방향성이 다를 수 있는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유충 배출용 덕트(230,330)들이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삿갓형 덮개(420)에는 다수의 내부 관찰창(422)이 더 형성되어 있다.
삿갓형 덮개(420)의 부피가 거대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내부 관찰창(422)은 위치별로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내부 관찰창(422)은 삿갓형 덮개(420)를 제거하지 않더라도 내부 상황, 즉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량이나 동애등에 유충의 성장 상황 등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어 유리한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실제, 삿갓형 덮개(420)를 수시로 제거하면 내부 온도가 잘 맞지 않게 되나 내부 관찰창(422)이 마련되면 이처럼 삿갓형 덮개(420)를 수시로 제거할 필요가 없어 유리한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동애등에 유충을 여러 번 재사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삿갓형 덮개(520)의 단부에는 유충 받이(140)에 이웃된 영역에 형성되되 외면 경사면(521)에 비해 경사가 급하게 형성되는 급경사부(522)가 형성된다.
이처럼 급경사부(522)가 형성되면, 급경사부(522) 영역에서 동애등에 유충들이 잘 이탈되어 유충 받이(140)에 모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동애등에 유충을 여러 번 재사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충 받이(640)는 삿갓형 덮개(620)의 단부 외측에서 삿갓형 덮개(620)와 일체로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장치본체(610)의 단부에는 푸트부(611)가 형성된다. 푸트부(611)는 장치본체(6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삿갓형 덮개(620)의 단부 내측에는 장치본체(610)의 푸트부(611)와 단차지게 맞물려 배치되는 맞물림부(621)가 더 형성된다.
이처럼 장치본체(610)에 푸트부(611)를 마련하고, 삿갓형 덮개(620)에 유충 받이(640)를 일체로 마련하면서 맞물림부(621)로 하여금 푸트부(611)에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장치본체(610)와 삿갓형 덮개(620) 간의 결합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번데기가 되기 전까지 동애등에 유충을 여러 번 재사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장치본체 111 : 삿갓형 프레임
112 : 수평 프레임 120 : 삿갓형 덮개
121 : 경사면 130 : 유충 배출용 덕트
131 : 내부 홀 140 : 유충 받이
150 : 히팅모듈 160 : 컨트롤러

Claims (10)

  1. 처리 대상의 유기성 폐기물이 동애등에 유충과 함께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삿갓형 덮개;
    상기 삿갓형 덮개에 마련되며, 상기 장치본체의 동애등에 유충이 배출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다수의 유충 배출용 덕트; 및
    상기 삿갓형 덮개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유충 배출용 덕트를 통해 배출된 후 상기 삿갓형 덮개의 외측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동애등에 유충을 받는 유충 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본체는,
    상기 삿갓형 덮개보다는 부피가 작으며, 상기 삿갓형 덮개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삿갓형 프레임; 및
    상기 삿갓형 덮개의 외면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유기성 폐기물과 상기 동애등에 유충과 함께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기 유충 배출용 덕트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충 배출용 덕트는, 상기 장치본체 쪽의 입구는 넓고 상기 삿갓형 덮개 쪽의 출구는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충 배출용 덕트의 내부 홀(hole)은 내면에 각이 진 비원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삿갓형 덮개에는 다수의 내부 관찰창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삿갓형 덮개의 단부에는 상기 유충 받이에 이웃된 영역에 급경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충 받이는 상기 삿갓형 덮개의 단부 외측에서 상기 삿갓형 덮개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장치본체의 단부에는 푸트부가 형성되며,
    상기 삿갓형 덮개의 단부 내측에는 상기 푸트부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푸트부와 단차지게 맞물려 배치되는 맞물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0130024394A 2013-03-07 2013-03-07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292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94A KR101292922B1 (ko) 2013-03-07 2013-03-07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PCT/KR2013/007920 WO2014137045A1 (ko) 2013-03-07 2013-09-03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PCT/KR2014/001876 WO2014137179A1 (ko) 2013-03-07 2014-03-07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394A KR101292922B1 (ko) 2013-03-07 2013-03-07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922B1 true KR101292922B1 (ko) 2013-08-02

Family

ID=4921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394A KR101292922B1 (ko) 2013-03-07 2013-03-07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2922B1 (ko)
WO (2) WO20141370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872B1 (ko) * 2018-08-22 2019-06-03 천영종 태양광 모듈을 이용하여 동애등에 유충의 사육이 가능한 구조물
KR20200114730A (ko) 2019-03-29 2020-10-07 강장석 동물성폐기물의 사료화 및 비료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2138B1 (en) 2017-08-02 2020-11-24 Insecticycle LL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use with insect larvae
CN111838078A (zh) * 2020-07-20 2020-10-30 李乐档 一种用于垃圾处理的黑水虻及蜡螟幼虫混合养殖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743Y1 (ko) * 2006-02-03 2006-04-24 양창옥 파리유충 사육장치의 진공 살멸장치
KR20120097205A (ko) * 2011-02-24 2012-09-03 그린테코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이용한 동애등에 대량 사육 보호커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16B1 (ko) * 2008-05-23 2011-01-25 그린테코 주식회사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JP5653915B2 (ja) * 2008-07-01 2015-01-14 グリーン テ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コウカアブの生産方法
KR101076684B1 (ko) * 2009-04-09 2011-10-26 그린테코 주식회사 컨베이어형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743Y1 (ko) * 2006-02-03 2006-04-24 양창옥 파리유충 사육장치의 진공 살멸장치
KR20120097205A (ko) * 2011-02-24 2012-09-03 그린테코 주식회사 컨베이어를 이용한 동애등에 대량 사육 보호커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872B1 (ko) * 2018-08-22 2019-06-03 천영종 태양광 모듈을 이용하여 동애등에 유충의 사육이 가능한 구조물
KR20200114730A (ko) 2019-03-29 2020-10-07 강장석 동물성폐기물의 사료화 및 비료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7045A1 (ko) 2014-09-12
WO2014137179A1 (ko)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974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846282B1 (ko) 동애등에 우화 및 산란 유도 장치
KR101292922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102083305B (zh) 水虻生产方法
KR101010316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028177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15115B1 (ko) 동애등에 산란장치
KR20150052869A (ko) 유기 비료 및 사료 제조 시스템
KR20120097205A (ko) 컨베이어를 이용한 동애등에 대량 사육 보호커버장치
KR102029934B1 (ko) 곤충 알 수거장치
WO2014193034A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101772749B1 (ko) 곤충 알 분리장치
KR20170007376A (ko) 웜 수확 장치
KR20150138992A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190110257A (ko) 유충 사육 자동화 장치
JP2015229145A (ja) みみずを利用した生ごみ残渣処理方法およびその残渣処理装置
JP2004181379A (ja) 有機廃棄物処理方法および有機廃棄物処理装置
Vujovic et al. Biodegradable waste management in Serbia and its implication on P flows
CN105175030A (zh) 一种用草木灰处理粪便的干式回收方法及装置
KR20210117040A (ko) 동애등에를 이용한 이동용 음식물 원점처리 장치
KR20220081412A (ko) 동애등에 유충으로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762186B1 (ko) 동애등에 유충 사육 장치
US6342085B1 (en) Composting method for agricultural animal manure
CN205710353U (zh) 一种鸡鸭养殖粪便处理装置
CN105994168A (zh) 一种冬季室内蚯蚓卵茧在生活污泥中快速孵化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