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421B1 -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방법 - Google Patents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421B1
KR101922421B1 KR1020160150125A KR20160150125A KR101922421B1 KR 101922421 B1 KR101922421 B1 KR 101922421B1 KR 1020160150125 A KR1020160150125 A KR 1020160150125A KR 20160150125 A KR20160150125 A KR 20160150125A KR 101922421 B1 KR101922421 B1 KR 101922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ttering
inducing
composition
ammonia
y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942A (ko
Inventor
박관호
최지영
김원태
곽규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5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4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암모니아, 효모 및 스킴밀크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애등에의 산란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동애등에 사육농가에서 저비용, 고효율로 연중 손쉽게 동애등에를 대량생산할 수 있어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된 동애등에를 활용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방법{composition of leading oviposition for black soldier fly or leading oviposi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애등에의 산란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저비용, 고효율로 연중 손쉽게 동애등에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 음식물쓰레기의 발생량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으로는 미생물 발효에 의한 퇴비화 기술, 건조에 의한 퇴비화 및 사료화 기술, 습식분쇄에 의한 사료화 기술, 중자(Cooking)에 의한 사료화 기술, 기름 튀김 방식에 의한 사료화 기술, 혐기성 분해에 의한 연료화 기술, 지렁이 사육기술 등이 있으나, 상기 방법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소요 시간이 길거나,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 또는 음폐수를 제거하는 과정의 번거로움 등의 한계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대표적인 환경정화 곤충인 동애등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동애등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크는 기간은 37~41일이며, 분해자 역할을 하는 유충의 기간은 14일 정도로서, 유충시기에만 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등을 분해하는 먹이활동을 하기 때문에 성충 시기에는 먹이활동을 하지 않는 특성이 있어서 파리와는 달리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 또한, 동애등에 유충은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지렁이나 집파리보다 길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10kg에 동애등에 유충 5000마리를 투입할 경우, 5일 만에 음식물 쓰레기의 80% 이상을 분해할 수 있고, 분해된 음식물쓰레기는 유충 투입 전보다 부피는 약 42%, 무게는 약 70% 정도로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동애등에의 유용한 특성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활용하기 위해서 동애등에 유충을 대량으로 증식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여전히 산란 조건을 만족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동애등에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육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2085호에 동애등에의 습성에 맞는 산란실 및 배양실을 갖춘 사육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7943호에 동애등에의 산란을 유도하고 알을 회수하여 냉장보관하여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킨 후 필요한 시기에 온도를 맞추워 부화시켜 사용할 수 있는 동애등에 생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동애등에 사육장치는 사육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동애등에의 습성에 맞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2085호(2010.04.13.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7943호(2014.12.31.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동애등에의 산란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저비용, 고효율로 보다 손쉽게 연중 동애등에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산란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암모니아, 효모 및 스킴밀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물에 희석된 용액일 수 있다.
상기 용액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암모니아 3~7 중량%, 효모 3~7 중량% 및 스킴밀크 3~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물에 희석하여 산란유도용 용액을 제조하는 제 2단계; 톱밥에 상기 산란유도용 용액을 도포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산란유도용 용액이 도포된 톱밥 위에 산란용 구멍이 뚫린 플로랄폼을 얹은 후, 산란유도를 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이용한 산란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톱밥을 제공한다.
상기 톱밥은 물에 희석한 조성물을 분무한 후 건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애등에의 산란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저비용, 고효율로 연중 손쉽게 동애등에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과 남은 음식물을 이용한 상대적 산란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이 도포된 톱밥을 사용했을 때의 산란유도 결과이다.
도 3은 남은 음식물이 도포된 톱밥을 사용했을 때의 산란유도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암모니아, 효모 및 스킴밀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암모니아는 냄새를 발생하여 동애등에를 산란유도용 조성물로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암모니아에 의해 유인된 동애등에는 산란유도용 조성물에서 산란을 하게된다.
상기 효모는 효소작용을 하여 당성분을 알코올 발효하므로 독특한 향을 발산하여 동애등에를 산란유도용 조성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킴밀크는 동애등에가 증식하는데 필요한 영양성분을 함유하여 빠른 증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조성물은 물에 희석된 용액일 수 있다.
상기 용액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암모니아 3~7 중량%, 효모 3~7 중량% 및 스킴밀크 3~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액의 구성 성분은 각각의 배합 비율에 따라 산란율이 변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 명시한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암모니아가 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동애등에를 산란유도용 조성물로 유인하는 정도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으며, 7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나머지 성분의 비율이 낮아져 동애등에의 산란율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효모가 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알코올 발효의 정도가 감소하여 동애등에를 유인하는 향이 미미한 문제점이 있으며, 7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나머지 성분의 비율이 낮아져 동애등에의 산란율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스킴밀크가 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영양성분이 충분하지 않아 동애등에의 증식 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으며, 7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나머지 성분의 비율이 낮아져 동애등에의 산란률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물에 희석하여 산란유도용 용액을 제조하는 제 2단계; 톱밥에 상기 산란유도용 용액을 도포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산란유도용 용액이 도포된 톱밥 위에 산란용 구멍이 뚫린 플로랄폼을 얹은 후, 산란유도를 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이용한 산란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산란유도용 조성물은 암모니아, 효모 및 스킴밀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란유도용 용액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암모니아 3~7 중량%, 효모 3~7 중량% 및 스킴밀크 3~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톱밥은 톱으로 켜거나 자를 때에 나무 따위에서 쓸려나오는 가루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산란용 구멍은 직경 4 내지 6 mm, 깊이 0.5 내지 20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산란용 구멍으로 동애등에가 들어와 산란을 하게 되므로, 알을 보이지 않는 곳에 산란하는 동애등에의 성충 생태 특성에 따라 동애등에의 산란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플로랄폼은 일면 또는 양면에 산란용 구멍을 뚫어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모니아, 효모 및 스킴밀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톱밥을 제공한다.
상기 톱밥은 물에 희석한 조성물을 분무한 후 건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자연건조, 열풍건조 및 기타 일반적인 건조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암모니아 5g, 효모 5g, 스킴밀크 5g을 혼합한 조성물을 물 85g에 희석하여 제조한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용액을 톱밥에 도포하고, 용액이 충분히 도포된 톱밥 위에 산란용 구멍이 뚫린 플로랄폼을 얹어서 산란유도를 실시하였고, 3일 후 그 결과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암모니아 3g, 효모 5g, 스킴밀크 7g을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암모니아 7g, 효모 5g, 스킴밀크 3g을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남은 음식물 15g을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암모니아 9g, 효모 3g, 스킴밀크 3g을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암모니아 1g, 효모 7g, 스킴밀크 7g을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암모니아 3g, 효모 9g, 스킴밀크 3g을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5>
암모니아 7g, 효모 1g, 스킴밀크 7g을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6>
암모니아 3g, 효모 3g, 스킴밀크 9g을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7>
암모니아 7g, 효모 7g, 스킴밀크 1g을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암모니아 5g 3g 7g 0g 9g 1g 3g 7g 3g 7g
효모 5g 5g 5g 0g 3g 7g 9g 1g 3g 7g
스킴밀크 5g 7g 3g 0g 3g 7g 3g 7g 9g 1g
남은 음식물 0g 0g 0g 15g 0g 0g 0g 0g 0g 0g
85g 85g 85g 85g 85g 85g 85g 85g 85g 85g
상대적 산란율 100% 99.4% 98.9% 4.7% 51.7% 52.3% 56.2% 53.4% 51.8% 55.7%
상기 표 1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서 제조한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용액의 조성과 이에 따른 동애등에 산란유도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상기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모니아, 효소 및 스킴밀크를 혼합하여 제조한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용액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7에서의 상대적 산란율은 남은 음식물을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한 비교예 1과 비교할 때 현저히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배합비율로 제조한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용액을 사용할 경우,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7에서 보다 더욱 상대적 산란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동애등에의 산란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암모니아, 효모 및 스킴밀크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물에 희석하여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암모니아 3~7 중량%, 효모 3~7 중량% 및 스킴밀크 3~7 중량%를 포함하는 산란유도용 용액을 제조하는 제 2단계;
    톱밥에 상기 산란유도용 용액을 도포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산란유도용 용액이 도포된 톱밥 위에 직경 4 내지 6 mm, 깊이 0.5 내지 20 mm의 산란용 구멍이 뚫린 플로랄폼을 얹은 후, 산란유도를 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을 이용한 산란유도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50125A 2016-11-11 2016-11-11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방법 KR101922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125A KR101922421B1 (ko) 2016-11-11 2016-11-11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125A KR101922421B1 (ko) 2016-11-11 2016-11-11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942A KR20180052942A (ko) 2018-05-21
KR101922421B1 true KR101922421B1 (ko) 2018-11-28

Family

ID=6245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125A KR101922421B1 (ko) 2016-11-11 2016-11-11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4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9503A (zh) * 2010-08-06 2010-12-22 中山大学 一种家蝇种蝇的养殖饵料及其制备方法
KR101003312B1 (ko) * 2008-07-01 2010-12-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 생산 방법
KR101375108B1 (ko) * 2012-06-12 2014-03-17 김민기 파리 산란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파리 산란 유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312B1 (ko) * 2008-07-01 2010-12-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 생산 방법
CN101919503A (zh) * 2010-08-06 2010-12-22 中山大学 一种家蝇种蝇的养殖饵料及其制备方法
CN101919503B (zh) 2010-08-06 2013-07-10 中山大学 一种家蝇种蝇的养殖饵料的投喂方法
KR101375108B1 (ko) * 2012-06-12 2014-03-17 김민기 파리 산란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파리 산란 유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942A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518B1 (ko) 동애등에 사료조성물
Kalová et al. Voracious larvae Hermetia illucens and treatment of selected types of biodegradable waste
KR102033849B1 (ko) 동애등에의 분변토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472846B (zh) 应用黑水虻幼虫的动物饲料
KR102305646B1 (ko) 동애등에 사료용 조성물
CN107549126A (zh) 一种利用餐厨剩余食物基料养殖黑水虻幼虫的方法
RU2644343C2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биолог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с получением белкового корма и биоудобрения
KR102025123B1 (ko) 친환경 토탄 깔개 및 그 제조방법
CN103651272A (zh) 一种黑水虻成虫养殖室
JP2014039526A (ja) 養豚敷床システム
KR102110364B1 (ko)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
CN103193528B (zh) 一种香菇栽培料及此栽培料的制作方法
CN104430163A (zh) 一种黑天鹅的饲养方法
KR101922421B1 (ko) 동애등에 산란유도용 조성물 또는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방법
KR101859678B1 (ko) 갈색거저리를 포함하는 왕지네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왕지네 대량생산을 위한 인공 사육방법
KR101272140B1 (ko) 동물용 사료 부형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동물용 사료 부형제
NZ518617A (en) Method for treating organic waste by adding an oil inoculum so that the oil concentration is at least 3% with that of the water concentration with a mold (koji)
KR101876742B1 (ko) 미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가축 급이용 조성물
CN103719633A (zh) 一种用玉米秸秆制备黄粉虫幼虫饲料的方法
JP4262770B1 (ja) 家禽用飼料の製造方法
CN102807398A (zh) 蝇蛆资源化处理浓香型白酒丢糟的方法
Klammsteiner et al.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frass as plant fertilizer
KR20160141335A (ko)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JP2001245551A (ja) クワガタムシの産卵床および幼生飼育床
KR20170099009A (ko) 꾸지뽕 열매와 가지 및 잎을 주원료 한 먹이와 톱밥을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사육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