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364B1 -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 - Google Patents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364B1
KR102110364B1 KR1020190067187A KR20190067187A KR102110364B1 KR 102110364 B1 KR102110364 B1 KR 102110364B1 KR 1020190067187 A KR1020190067187 A KR 1020190067187A KR 20190067187 A KR20190067187 A KR 20190067187A KR 102110364 B1 KR102110364 B1 KR 10211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cket
artificial
breeding
crickets
spaw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수
Original Assignee
임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수 filed Critical 임경수
Priority to KR102019006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컷 귀뚜라미의 산란선호도가 높은 인공채란판을 사용하여 귀뚜라미를 산란 및 부화시킴으로써 귀뚜라미 개체의 증가율이 높으며, 인공채란판의 수분관리가 용이하여 노동력이 절감되는 새로운 방식의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산란선호도가 높음은 물론이며, 폐기물의 발생도 감소되어 친환경적인 새로운 구성의 인공채란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1) 왕겨숯과 물을 혼합하여 알받이를 만드는 과정; (2) 상기 (1)과정에서 만든 알받이를 상면에 하향으로 오목한 수용부가 트레이에 담아서 인공채란판을 만드는 과정; (3) 귀뚜라미 성체 암수가 사육되는 사육실에 상기 (2)과정에서 만든 인공채란판을 투입하여 귀뚜라미 암컷의 산란을 유도하는 과정; (4) 상기 (3)과정에서 귀뚜라미 알이 채란된 인공채란판을 부화실로 옮겨서 귀뚜라미 알을 부화시키는 과정; 및 (5) 상기 (4)과정에서 부화된 귀뚜라미 새끼를 사육실로 옮겨서 사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Cricket breeding method and cricket's egg collecting board used the same that}
본 발명은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에 관한 것으로서, 암컷 귀뚜라미의 산란선호도가 높은 인공채란판을 사용하여 귀뚜라미를 산란 및 부화시킴으로써 귀뚜라미 개체의 증가율이 높고 관리도 용이한 새로운 방식의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에 관한 것이다.
귀뚜라미는 메뚜기목(Orthoptera), 여치아목(Ensifera), 귀뚜라미상과(Grylloidea), 귀뚜라미과(Gryllidae)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이다. 과거 민간에서는 귀뚜라미를 해열제 및 어린아이의 간식으로 사용하였고, 일본에서는 설사, 이질 및 장티푸스를 치료하는데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애완용 파충류의 먹이로도 많이 소비된다. 근래에는 귀뚜라미의 영양적 가치가 인정받아 귀뚜라미가 식량자원으로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품원료 및 가축사료의 원료로 이용되는 등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De Geer)가 일반식품원료로 등록되어 있는데, 쌍별귀뚜라미는 국내 종인 왕귀뚜라미와 달리 월동기간 없이 15℃ 이상의 온도에서 사계절 번식이 가능하며, 산란 후 약 2주 후에 부화하는 특성을 가진다.
한편, 일반적으로 귀뚜라미를 사육하는 경우에 귀뚜라미 알의 산란 및 부화율을 높이 위해 귀뚜라미 암컷이 집중적으로 산란할 수 있는 인공채란판을 사육실에 넣어 준다. 귀뚜라미의 성체 암컷은 교미 후에 적당한 수분을 보유한 토양에 산란관을 꽂고 산란하기 때문에, 인공채란판은 적당한 수분을 가져야 하며, 또한, 귀뚜라미 암컷이 산란관을 꽂을 때 산란관이 찢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부드러워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원예용 오아시스(플로랄폼)를 인공채란판으로 사용하는데, 오아시스가 보습성이 높아서 작업자가 자주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귀뚜라미 암컷이 산란을 하기에 적당한 수분상태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오아시스는 재사용 할 수가 없기 때문에 한번 사용하고 버려야 하므로 폐기물이 많이 발생되고, 이에 따른 환경오염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오아시스 구입에 따른 귀뚜라미 사육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가진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고운 흙과 톱밥을 일정 비율로 섞어서 인공채란판을 만들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흙에 응애 및 미생물이 발생되어 귀뚜라미 알이 죽거나 부화된 귀뚜라미 유충이 해충이나 미생물에 감염되어 죽는 경우도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인공채란판의 수분유지를 위해 수시로 물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도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2403호(2006. 09. 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7102호(2015. 04. 2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01648호(2002. 01. 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암컷 귀뚜라미의 산란선호도가 높은 인공채란판을 사용하여 귀뚜라미를 산란 및 부화시킴으로써 귀뚜라미 개체의 증가율이 높으며, 인공채란판의 수분관리가 용이하여 노동력이 절감되는 새로운 방식의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산란선호도가 높음은 물론이며, 폐기물의 발생도 감소되어 친환경적인 새로운 구성의 인공채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1) 왕겨숯과 물을 혼합하여 알받이를 만드는 과정; (2) 상기 (1)과정에서 만든 알받이를 상면에 하향으로 오목한 수용부가 트레이에 담아서 인공채란판을 만드는 과정; (3) 귀뚜라미 성체 암수가 사육되는 사육실에 상기 (2)과정에서 만든 인공채란판을 투입하여 귀뚜라미 암컷의 산란을 유도하는 과정; (4) 상기 (3)과정에서 귀뚜라미 알이 채란된 인공채란판을 부화실로 옮겨서 귀뚜라미 알을 부화시키는 과정; 및 (5) 상기 (4)과정에서 부화된 귀뚜라미 새끼를 사육실로 옮겨서 사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1)과정에서는 왕겨숯과 물을 6:4~7:3 부피비로 혼합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흡수율이 높은 왕겨숯을 알받이로 사용하여 인공채란판을 만들기 때문에, 인공채란판의 알받이가 산란 및 부화에 적당한 수분조건으로 조절된 상태를 비교적 장시간 유지하며, 아울러 암컷 귀뚜라미가 산란관을 꽂기에 적당한 부드러움을 가지므로 암컷 귀뚜라미의 산란선호도가 높다.
따라서 이러한 인공채란판을 사용하여 귀뚜라미의 산란을 유도하여 부화시키면, 귀뚜라미의 개체수 증가율이 향상되어 귀뚜라미 사육수입이 증가된다.
또한, 알받이의 수분상태가 초기의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알받이에 수분을 자주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관리가 용이하여 노동력도 절감되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인공채란판은 종래의 오아시스를 인공채란판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여러 번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오아시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폐기물의 발생도 감소되므로 환경친화적인 장점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채란판의 사진
도 2는 상기 인공채란판에 산란된 알을 부화시킨 사진
도 3은 오아시스를 채란판으로 사용한 후 산란된 알을 부화시킨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공채란판의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공채란판을 사용하여 귀뚜라미를 사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육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인공채란판을 보인 사진이다.
1) 알받이를 만드는 과정
왕겨숯을 준비하고, 왕겨숯과 물을 6:4~7:3 정도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알받이(10)를 만든다.
왕겨숯은 왕겨를 고온에서 탄화시킨 것으로서, 왕겨는 목재에 비해 연질 섬유질이 많아서 목재에 비해 구조가 치밀하기 때문에, 목재를 탄화시켜 만든 일반 숯에 비해 기공율이 높다. 따라서 왕겨숯은 목재로 만든 숯에 비해 우수한 보습력과, 조습력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왕겨숯은 고온에서 탄화되는 과정에서 살균처리되기 때문에 해충이나 미생물이 번식할 우려도 없어서 위생적인 장점도 가지며, 왕겨숯이 숯이 가지는 일반적인 특성, 항균, 항곰팡이성, 원적외선 및 음이온방출 등의 특성을 가지는데, 이러한 특성도 귀뚜라미의 사육에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왕겨숯은 별도로 분쇄 또는 파쇄하지 않아도 분말 또는 입자상을 가지므로 귀뚜라미 암컷이 산란관을 꽂기에 적당한 부드러운 알받이층을 제공한다.
이러한 왕겨숯에 물을 부어 왕겨숯의 수분함량을 높여 알받이를 만드는데, 왕겨숯의 보습력이 높기 때문에 초기의 수분상태가 장시간 유지되므로 왕겨숯을 알받이로 사용하면, 귀뚜라미 알을 채란 및 부화시키는 동안에 자주 수분을 공급해 주지 않아도 되므로 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왕겨숯과 물을 6:4~7:3 정도의 비율로 혼합하는 경우에 알받이가 귀뚜라미 암컷이 산란하기 적당한 수분을 가지므로 왕겨숯과 물의 혼합비율을 상기와 같은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인공채란판을 만드는 과정
상기와 같이 물을 흡수시킨 왕겨숯을 넙적한 형상으로 되어 상면에는 하향으로 오목한 수용부(22)가 형성된 트레이(20)에 담아서 인공채란판을 만든다. 일반적으로 귀뚜라미는 1.5~2cm 정도의 깊이에 산란을 하므로 왕겨숯을 적어도 2cm 정도의 두께로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의 수용부의 깊이가 조절된다. 도 1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만든 인공채란판의 사진이다.
3) 인공채란판을 사육실에 투입하여 산란을 유도하는 과정
상기와 같이 만든 인공채란판을 귀뚜라미 성충이 사육되고 있는 사육실에 넣어서 산란을 유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공채란판이 귀뚜라미 암컷이 산란하기에 적당한 수분 상태를 가지고 왕겨숯이 딱딱하지 않고 부드러운 알받이층을 제공하기 때문에 귀뚜라미 암컷은 자연스럽게 인공채란판에 산란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공채란판을 사육실에 1~2일 정도 투입하여 둔다. 이때 사육실의 온도와 습도는 귀뚜라미의 번식에 적당한 조건으로 조절됨은 당연하다. 귀뚜라미 암컷은 교미 후에 매일 산란을 하는데, 사육실에 투입한 인공채란판을 꺼내고 새로운 인공채란판을 투입하여 지속적으로 채란을 한다.
4) 인공채란판을 부화실로 옮겨서 부화시키는 과정
사육실에 넣어 두었던 인공채란판을 1~2일 정도 후에 사육실에서 꺼내서 부화실로 옮겨서 귀뚜라미 알을 부화시킨다.
부화실은 귀뚜라미 알이 부화하기 적당한 온도 및 습도로 조절되는데, 일반적으로 귀뚜라미 알은 산란 후 10~15일 정도 후에 부화되므로 인공채란판을 상기 기간 정도 부화실에 둔다. 인공채란판에서 알받이층을 형성하는 왕겨숯이 보습력이 우수하여, 인공채란판이 사용 초기의 수분상태를 장기간 유지하기는 하나, 부화과정에서 인공채란판의 수분상태를 확인하여 인공채란판이 과도하게 건조한 경우에는 인공채란판에 물을 분무하여 준다.
5) 부화된 귀뚜라미 들을 사육실로 옮겨서 사육하는 과정
부화된 귀뚜라미 새끼를 사육실로 옮겨서 귀뚜라미를 사육한다. 사육실은 온도 25~30℃, 습도 60% 정도로 조절되며, 계란판을 엇갈리게 넣어서 귀뚜라미들이 압사하는 것을 방지하고, 귀뚜라미들의 활동공간을 마련하여 준다.
귀뚜라미는 2개월 정도 자라면 성충이 되는데, 귀뚜라미가 성충이 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공채란판을 사육실에 넣어서 채란을 유도한다. 이와 같이 채란, 부화 및 사육 등의 일련의 과정을 차례로 거치면서 사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알이 부화한 후에 인공채란판은 부화실에서 꺼내서 재사용하는데, 인공채란판의 왕겨숯의 수분상태를 확인하여 왕겨숯에 물을 공급한 다음, 다른 사육실에 넣어서 재사용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보습력이 우수하고 탄화과정에서 살균처리되어 위생적인 왕겨숯을 귀뚜라미의 알받이로 사용하여 인공채란판을 만들기 때문에, 인공채란판의 알받이가 귀뚜라미가 산란하기에 적당한 수분상태를 유지하고 산란하기 적당한 부드러움을 가지므로 귀뚜라미의 산란선호도가 높아서 산란율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왕겨숯은 고온으로 탄화되는 과정에서 살균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미생물이 번식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점도 귀뚜라미 알의 부화율을 상승시키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왕겨숯이 보습력이 높아서 사용초기의 수분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기 때문에 산란 및 부화에 적합한 습도를 맞추기 위해 인공채란판에 물을 자주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도 가진다.
<산란선호도 시험>
왕겨숯과 물을 7:3 부피비로 혼합하여 알받이를 만들어서 사각트레이에 담아 인공채란판을 만들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만든 인공채란판과 이 인공채란판과 동일한 수준의 넓이를 가지는 오아시스를 함께 사육실에 넣고 귀뚜라미 성충 암수 각 10마리를 투입하여 2일 동안 채란을 유도한 후에, 인공채란판과 오아시스를 사육실에서 꺼내서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조건이 동일한 별도의 부화실로 옮겨서 귀뚜라미 알을 부화시켰다.
도 2와 도 3은 각각 부화실로 옮겨서 15일 동안 부화시킨 상태를 보인 사진으로서, 도 2는 인공채란판에 산란된 알들이 부화된 사진이고, 도 3은 오아시스에 산란된 알들이 부화된 사진이다.
도 2와 3을 비교해 보면, 왕겨숯을 알받이로 사용한 인공채란판에서 부화된 귀뚜라미의 수가 오아시스에서 부화된 귀뚜라미의 수보다 월등히 많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왕겨숯을 알받이로 사용한 인공채란판에 귀뚜라미 암컷이 더 많이 산란을 한 것이므로 이를 통해 오아시스보다 왕겨숯을 알받이로 사용한 인공채란판의 산란선호도가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공채란판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공채란판을 만드는 과정에서 트레이(20)의 수용부(22)에 팽창질석 분말(30)을 깔고 물을 부은 다음, 그 위에 알받이, 즉, 수분이 함유 왕겨숯(10)을 깔아서 인공채란판을 만든다.
질석은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로 버미큘라이트(vermiculate) 라고도 하는데, 질석을 800℃ 이상으로 가열하면 질석 내부의 결정수가 기화되면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질석이 8~20배 정도로 팽창하는데, 이를 팽창질석(Expanded Vermiculite)이라 한다. 팽창질석은 팽창에 의해 내부에 미세한 기공을 가지므로 왕겨숯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흡수성이 가지며, 탈취성과 항균성도 우수하고, 음이온이 방출되는 장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팽창질석 분말은 평균입도가 상기 알받이를 왕겨숯의 평균입도보다 큰 입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팽창질석 분말(30)을 트레이(20)의 수용부(22)에 먼저 깔고 팽창질석 분말(30)이 충분히 물에 잠기도록 물을 부어서 팽창질석 분말(30)이 물을 흡수함과 더불어 팽창질석 분말(30) 사이의 공극에도 물이 채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팽창질석 분말(30) 위에 물이 함유된 왕겨숯(10)을 담아서 인공채란판을 만든다. 이와 같이 하면, 팽창질석 분말(30)이 강한 흡수성에 의해 왕겨숯(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하고 있다가 시간이 경과하여 왕겨숯(10)의 함수율이 떨어지면 왕겨숯이 팽창질석 분말(30)로 부터 수분을 공급받아 적절한 수준의 수분함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팽창질석 분말(30)이 물을 저장하고 있는 저수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특히, 팽창질석 역시 가열과정에서 살균되어 위생적인 장점을 가지며, 또한, 팽창질석이 가지는 항균, 탈취성 및 팽창질석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에 의해 팽창질석에 함유된 물이 산란 및 부화되는 기간 동안에 미생물 등에 의해 오염되지 않으며, 또한, 팽창질석의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인공채란판 및 사육실의 위생적인 관리에 도움이 되며, 귀뚜라미의 생육에도 도움이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왕겨숯에 물을 혼합하여 알받이를 만드는 과정에서는 물에 목초액을 추가하여 왕겨숯에 혼합한다. 목초액은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어서 병원성균을 없애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물을 일부를 목초액으로 대체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인공채란판을 다수회 반복사용하더라도 인공채란판에 미생물이 번식할 가능성이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물 사용량의 0.5~2부피% 정도에 해당하는 양의 목초액을 물에 추가한다. 목초액의 사용량이 상기 수준보다 적은 경우에는 목초액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고, 상기 수준보다 많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목초액의 냄새 등에 의해 귀뚜라미 암컷의 산란선호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우려가 높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Claims (5)

  1. (1) 왕겨숯과 물을 6:4~7:3 부피비로 혼합하여 알받이를 만드는 과정;
    (2) 상기 (1)과정에서 만든 알받이를 상면에 하향으로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된 트레이에 담아서 인공채란판을 만드는 과정;
    (3) 귀뚜라미 성체 암수가 사육되는 사육실에 상기 (2)과정에서 만든 인공채란판을 투입하여 귀뚜라미 암컷의 산란을 유도하는 과정;
    (4) 상기 (3)과정에서 귀뚜라미 알이 채란된 인공채란판을 부화실로 옮겨서 귀뚜라미 알을 부화시키는 과정; 및
    (5) 상기 (4)과정에서 부화된 귀뚜라미 새끼를 온도 25~30℃, 습도 60%로 조절되는 사육실로 옮겨서 사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1)과정에서, 사용하는 물의 0.5~2부피%에 해당하는 양의 목초액을 물에 추가하여 왕겨숯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과정에서는,
    상기 트레이의 수용부에 팽창질석 분말을 깔고 팽창질석 분말이 잠기도록 물을 부은 다음, 팽창질석 분말 위에 상기 (1)과정에서 만든 알받이를 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사육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67187A 2019-06-07 2019-06-07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 KR102110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87A KR102110364B1 (ko) 2019-06-07 2019-06-07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87A KR102110364B1 (ko) 2019-06-07 2019-06-07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364B1 true KR102110364B1 (ko) 2020-05-14

Family

ID=7073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187A KR102110364B1 (ko) 2019-06-07 2019-06-07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3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5903A (zh) * 2022-05-31 2022-08-12 四川农业大学 一种中蜂蜂王、工蜂和雄蜂的培育方法
KR20230061881A (ko) 2021-10-29 2023-05-09 농업회사법인 누리(주) 컨테이너를 이용한 귀뚜라미 사육 장치
KR20240038255A (ko) 2022-09-16 2024-03-25 농업회사법인 누리(주)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귀뚜라미 사육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648A (ko) 2000-06-28 2002-01-09 이승우 귀뚜라미 대량 사육 방법
KR100622403B1 (ko) 2004-03-10 2006-09-18 대한민국 귀뚜라미 실내 대량 입체사육법 및 인공산란방법
KR100720977B1 (ko) * 2006-09-29 2007-05-23 주식회사 세실 천적류 방사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KR101055482B1 (ko) * 2010-03-29 2011-08-08 박용순 왕우렁이 외부유출방지 기능을 갖는 구리테이프가 부착된 그물망 고정장치
KR200477102Y1 (ko) 2015-01-26 2015-05-06 이삼구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KR20190048813A (ko) * 2017-10-31 2019-05-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보아스크리켓 귀뚜라미 산란용 배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648A (ko) 2000-06-28 2002-01-09 이승우 귀뚜라미 대량 사육 방법
KR100622403B1 (ko) 2004-03-10 2006-09-18 대한민국 귀뚜라미 실내 대량 입체사육법 및 인공산란방법
KR100720977B1 (ko) * 2006-09-29 2007-05-23 주식회사 세실 천적류 방사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KR101055482B1 (ko) * 2010-03-29 2011-08-08 박용순 왕우렁이 외부유출방지 기능을 갖는 구리테이프가 부착된 그물망 고정장치
KR200477102Y1 (ko) 2015-01-26 2015-05-06 이삼구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KR20190048813A (ko) * 2017-10-31 2019-05-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보아스크리켓 귀뚜라미 산란용 배지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881A (ko) 2021-10-29 2023-05-09 농업회사법인 누리(주) 컨테이너를 이용한 귀뚜라미 사육 장치
CN114885903A (zh) * 2022-05-31 2022-08-12 四川农业大学 一种中蜂蜂王、工蜂和雄蜂的培育方法
KR20240038255A (ko) 2022-09-16 2024-03-25 농업회사법인 누리(주)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귀뚜라미 사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201B1 (ko) 동애등에 대량생산 시스템
KR102110364B1 (ko)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
CN103598148B (zh) 黑水虻的养殖系统和养殖方法
Miller et al. Digestion of poultry manure by Musca domestica
Fayolle et al.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food source on the life cycle of the earthworm Dendrobaena veneta (Oligochaeta)
CN101785445B (zh) 肿腿蜂的繁育方法
US201803600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agating dipteran larvae
KR20180027455A (ko) 동애등에의 분변토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113471B (zh) 一种甜菜夜蛾幼虫的人工饲养方法
CN103975901A (zh) 一种利用大头金蝇蛆养殖剩余料诱集野生黑水虻的方法
CN111345188A (zh) 一种草地贪夜蛾寄生蜂扩繁方法
CN103975902A (zh) 一种诱集野生黑水虻的方法
CN106804531B (zh) 黄缘闭壳龟从亲龟孵化到成龟的综合养殖方法
CN101946728B (zh) 科学利用秋季炮头青虾苗进行高产大规格养殖方法
CN104026079B (zh) 一种利用棕尾别麻蝇蛆养殖剩余料诱集野生黑水虻的方法
KR100869323B1 (ko) 솔수염하늘소 및 소나무하늘소의 인공사료 및 그를 이용한솔수염하늘소 및 소나무하늘소의 증식방법
Kabi et al. Effect of different organic substrates on reproductive biology, growth rate and offtake of the African night crawler earthworm (Eudrilus eugeniae)
CN114698602A (zh) 一种利用大蜡螟饲养蜾蠃的方法
CN110278922A (zh) 双叉犀金龟人工饲养技术
Reynoldson On the life‐history and ecology of Lumbricillus lineatus Mull.(Oligochaeta)
KR20190048813A (ko) 귀뚜라미 산란용 배지 조성물
TWM551534U (zh) 便於收集蟲體及飼養黑水虻之廢料處理裝置
CN210017522U (zh) 一种饲料蟋蟀养殖装置
CN109526876B (zh) 马六甲肉食螨的饲养方法及应用
CN107853253B (zh) 巨螯螨室内循环饲养装置及饲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