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102Y1 -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 Google Patents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102Y1
KR200477102Y1 KR2020150000592U KR20150000592U KR200477102Y1 KR 200477102 Y1 KR200477102 Y1 KR 200477102Y1 KR 2020150000592 U KR2020150000592 U KR 2020150000592U KR 20150000592 U KR20150000592 U KR 20150000592U KR 200477102 Y1 KR200477102 Y1 KR 200477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ttering
oasis
cricket
main body
h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삼구
Original Assignee
이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삼구 filed Critical 이삼구
Priority to KR2020150000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1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1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귀뚜라미가 산란할 수 있도록 인공산란상인 오아시스를 구비하되, 규격철망을 구비하여 복수개의 오아시스를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산란 가능한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물받이를 구비하여 오아시스에서 배출된 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산란 장소에 벌레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부화된 유충까지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귀뚜라미가 집중적으로 산란할 수 있도록 수분이 유지되는 인공소재인 복수개의 오아시스; 상기 복수개의 오아시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오아시스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사이 공간이 형성되는 규격철망;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어 서랍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아시스에서 배출된 물 및 부화된 유충을 옮기기 위한 물받이;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cricket spawning and incubation}
본 고안은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귀뚜라미가 산란할 수 있도록 인공산란상인 오아시스를 구비하되, 규격철망을 구비하여 복수개의 오아시스를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산란 가능한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물받이를 구비하여 오아시스에서 배출된 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산란 장소에 벌레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부화된 유충까지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아름다운 소리로 인하여 잘 알려진 귀뚜라미는 메뚜기목(Orthoptera), 여치아목(Ensifera), 귀뚜라미상과(Grylloidea), 귀뚜라미과(Gryllidae)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이다. 귀뚜라미의 이용 역사를 살펴보면, 동양에선 애완곤충으로 이용한 자료들을 찾아 볼 수 있는데, 중국 당나라시대(AD618∼906), 일본(1095년), 우리나라는 이규보(1168∼1241)의 동국이상국집 등이다. 중국은 송나라시대부터 귀뚜라미 사육이 대중화되어 귀뚜라미싸움 놀이를 즐기기 시작하였고, 지금도 성행하고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먹이충 및 낚시미끼로 이용하기 위해 미국 Fluker farms는 1953년 귀뚜라미 농장을 설립한 후 자동화 사육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현재에는 귀뚜라미가 갖고 있는 다량의 기능성 물질 때문에 가축 사료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급성 및 유전독성 시험에서도 이상이 없음이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간보호, 항피로, 소염효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어 향후 귀뚜라미 사육은 농가 주요 소득 작목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귀뚜라미는 오메가-3 계열 지방산, 특히 DHA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뿐 아니라, 키토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먹이용 곤충으로 사육될 수 있는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은 불포화 지방산 중에서도 탄소 측쇄의 맨 끝에서부터 3번째 탄소에 이중결합을 갖는 필수 지방산으로서, 이 필수 지방산은 세포의 조직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신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함은 물론 신체의 성장과
두뇌 발달에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일 뿐 아니라,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은 혈액 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통한 각종 심장 혈관계 질환의 예방과 항종양 효과 및 학습 능력의 저하 예방 효과 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귀뚜라미를 대량 사육하고, 사육된 귀뚜라미는 귀뚜라미가 함유된 사료조성물로 제조한 후 이 사료조성물을 가축 또는 양식어류에 급여하면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고기등을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서 농가는 고소득
을 올릴수 있으나, 현재에는 귀뚜라미를 대량 사육할 수 있는 기술여건이나 방법이 안출된 바 없기 때문에 귀뚜라미를 대량 사육하지 못하는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5682호에서는 귀뚜라미 사육시설을 개시하고 있으나, 위생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산란 및 부화기구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01648호에서는 귀뚜라미 대량 사육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귀뚜라미 암컷과 수컷이 교미 후 특정장소에 알을 집중적으로 산란할 수 있도록 고운흙과 톱밥을 3:2의 비율로 섞어 만들어진 알받이를 사육통에 넣어 산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완전하게 살균 처리되지 않은 재료를 사용하거나 장기간 사용 시 흙에 응애 및 각종 미생물들이 발생하기 쉬우며 항상 흙에 수분을 유지시키기 위해 물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568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0164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귀뚜라미가 산란할 수 있도록 인공산란상인 오아시스를 구비하되, 규격철망을 구비하여 복수개의 오아시스를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산란 가능한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물받이를 구비하여 오아시스에서 배출된 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산란 장소에 벌레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부화된 유충까지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귀뚜라미가 집중적으로 산란할 수 있도록 수분이 유지되는 인공소재인 복수개의 오아시스; 상기 복수개의 오아시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오아시스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사이 공간이 형성되는 규격철망;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어 서랍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아시스에서 배출된 물 및 부화된 유충을 옮기기 위한 물받이;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고안에 의한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는 귀뚜라미가 산란할 수 있도록 인공산란상인 오아시스를 구비하되, 규격철망을 구비하여 복수개의 오아시스를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산란 가능한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오아시스를 고정함으로써 산란율을 높이고 대량생산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받이를 구비하여 오아시스에서 배출된 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산란 장소에 벌레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부화된 유충까지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의 오아시스 삽입 전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의 오아시스 삽입 후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인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어 귀뚜라미가 집중적으로 산란할 수 있도록 수분이 유지되는 인공소재인 복수개의 오아시스(20)와, 상기 복수개의 오아시스(2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오아시스(20)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사이 공간이 형성되는 규격철망(30)과, 상기 본체(10) 하부에 구비되어 서랍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아시스(20)에서 배출된 물 및 부화된 유충을 옮기기 위한 물받이(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높이가 15~25 ㎝로 구성되는데, 높이가 25 ㎝를 초과하면 복수개의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사용 시 상기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가 수용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고, 먹이를 주거나 내부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5 ㎝ 미만이면 내부에 수용되는 귀뚜라미의 활동공간이 줄어들어 쾌적하게 생활할 수 없고, 탈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내부의 온도가 27~32 ℃, 습도가 60~75 %로 유지된다. 상기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지 않으면 귀뚜라미가 죽거나 구더기를 포함하는 해로운 벌레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특히 습도가 낮으면 서로 잡아먹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규격철망(30)은 상기 기설정된 간격이 3~5 ㎝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귀뚜라미 성충의 몸길이는 1.7~2.1 ㎝로, 상기 기설정된 간격이 5 ㎝를 초과하면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3 ㎝ 미만이면 귀뚜라미가 산란할 때 공간이 비좁아 산란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와 물받이(40) 사이 즉, 규격철망(30) 하부에 메쉬망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메쉬망은 귀뚜라미의 성충과 유충을 간편하게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메쉬의 각 구멍 지름을 0.7~1 ㎝로 구성하여, 유충은 메쉬망을 통과하므로 상기 물받이(40)에 안착되고, 성충은 메쉬망을 통과하지 못하여 본체(10)에 남아있게 된다. 이로써 부화된 유충을 성충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본 고안인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는 내부에 규격철망(30)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하부에 물받이(40)가 형성된 구조로, 사용자가 복수개의 오아시스(20)를 10~20분간 물에 담근 뒤, 물을 충분히 흡수한 복수개의 오아시스(20)를 상기 규격철망(30)에 형성된 사이 공간에 각각 삽입해주면, 교미를 끝낸 암컷 귀뚜라미가 바늘처럼 생긴 긴 산란관(1.5~2 ㎝)을 오아시스(20)에 꽂고 산란을 하며, 알들은 촘촘하게 따로따로 떨어져서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오아시스(20)는 산란 및 부화 전까지 지속적인 수분 유지가 필요한 특성을 가진 귀뚜라미에게 산란상 및 수분유지제로 사용이 가능하나, 종래에는 오아시스(20)에서 빠진 물의 처리가 어려워 구더기를 포함하는 해로운 벌레가 발생되어 내부를 청결히 유지하는 것이 어려웠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오아시스(20)에 흡수된 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상기 물받이(40)로 떨어지게 되므로, 대부분의 물이 빠질 수 있는 기간인 2~3일 후, 사용자가 서랍식으로 형성된 물받이(40)의 물을 한 번만 버리면 내부를 청결히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 후, 산란된 알에서 부화된 유충이 물받이(40)로 빠지게 되면 물받이(40)를 빼서 유충을 옮길 수 있으므로, 유충에 상처를 주지 않고 간편하게 사육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 실험예 1> 산란선호도, 산란율 및 부화율 비교
본 고안인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의 산란선호도, 산란율 및 부화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규격철망(30)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하부에 물받이(40)를 구성하고, 상기 규격철망(30)에 형성된 사이 공간에 물을 흡수시킨 복수개의 오아시스(20)를 삽입하여 실시예 1을 구성하며,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대신에 규격철망(30) 및 물받이(40)가 없는 일반적인 사각 형태의 케이스 내부에 물을 흡수시킨 복수개의 오아시스(20)를 넣어 비교예 1을 구성하고, 일반적인 사각 형태의 케이스 내부에 오아시스(20) 대신 흙(모래+고운 흙)을 넣어 비교예 2를 구성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 각각에 귀뚜라미 성충 암수 각 10마리씩을 투입하고, 온도 30℃, 습도 60%, 빛은 하루 기준 10시간 조명, 14시간 암흑으로 조절하여 사육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 각각의 산란선호도, 산란율 및 부화율을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산란선호도, 산란율 및 부화율 비교(%)
Figure 112015007925047-utm0000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인 실시예 1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했을 때, 산란선호도, 산란율 및 부화율에서 월등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일단 오아시스(20)를 사용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이 비교예 2에 비해 산란선호도가 높았는데, 이는 비교예 2가 산란상으로 흙을 사용하여 흙의 표면이 상대적으로 빨리 건조해지고 딱딱해지기 때문에 귀뚜라미 암컷이 산란관을 꽂는데 많은 노력이 소요되는 반면, 오아시스(20)는 표면이 부드럽고 수분이 충분하여 귀뚜라미 암컷이 산란관을 꽂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산란율에서는 실시예 1이 월등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데, 오아시스(20)로 구성되어 산란선호도가 높았던 비교예 1이 산란율이 저하된 이유는 규격철망(30)이 구비되지 않아 오아시스(20)를 케이스 내부면에 기대어 세워놓기 때문에 산란 가능한 면적이 줄어들고, 상기 오아시스(20)가 고정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산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부화율은 산란율과도 연관이 있으므로, 산란율이 낮았던 비교예 1 및 비교예 2가 낮은 수치를 나타내며, 또한 물받이(40)가 구비되지 않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케이스 내부에 물이 고이며 빠지지 않아 구더기를 포함하는 해로운 벌레가 생길 수 있고 위생적으로 관리가 어려워 부화율이 낮게 나타난다.
이로써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는 산란 가능한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물받이(40)를 구비하여 오아시스(20)에서 배출된 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산란선호도, 산란율 및 부화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10 : 본체
20 : 오아시스
30 : 규격철망
40 : 물받이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어 귀뚜라미가 집중적으로 산란할 수 있도록 수분이 유지되는 인공소재인 복수개의 오아시스(20);

    상기 복수개의 오아시스(2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오아시스(20)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사이 공간이 형성되는 규격철망(30);

    상기 본체(10) 하부에 구비되어 서랍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오아시스(20)에서 배출된 물 및 부화된 유충을 옮기기 위한 물받이(40); 를 포함하는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높이가 15~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내부의 온도가 27~32 ℃이며, 습도가 60~7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철망(30)은,
    상기 기설정된 간격이 3~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KR2020150000592U 2015-01-26 2015-01-26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KR200477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592U KR200477102Y1 (ko) 2015-01-26 2015-01-26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592U KR200477102Y1 (ko) 2015-01-26 2015-01-26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102Y1 true KR200477102Y1 (ko) 2015-05-06

Family

ID=5343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592U KR200477102Y1 (ko) 2015-01-26 2015-01-26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102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166B1 (ko) * 2016-09-06 2017-07-06 유남재 곤충용 오아시스 거치대
KR20180062834A (ko) * 2016-12-01 2018-06-11 이재홍 귀뚜라미 양식기
KR20180084316A (ko) 2017-01-16 2018-07-25 김정철 귀뚜라미 기업형 자동화 사육장치
KR20190048813A (ko) 2017-10-31 2019-05-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보아스크리켓 귀뚜라미 산란용 배지 조성물
KR102110364B1 (ko) 2019-06-07 2020-05-14 임경수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
CN111183959A (zh) * 2019-12-27 2020-05-22 杨逢春 一种收集黑水虻虫卵的标准化装置
KR20200132175A (ko) * 2019-05-16 2020-11-25 주식회사대원농산 동애등에의 산란장치
KR102191375B1 (ko) * 2020-06-08 2020-12-15 농업회사법인 다벅스(주) 산란장
KR20210016843A (ko) * 2019-08-05 2021-02-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풀무치의 인공 부화방법
KR20210145942A (ko) * 2020-05-26 2021-12-03 (주)그린인섹트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KR20210145943A (ko) * 2020-05-26 2021-12-03 (주)그린인섹트 동애등에 산란 장치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3920A (ja) * 2001-07-11 2003-01-28 Green Mentenance:Kk 蛍の育成方法とその装置
KR20050091115A (ko) * 2004-03-10 2005-09-1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귀뚜라미 실내 대량 입체사육법 및 인공산란방법
KR20090024043A (ko) * 2007-09-03 2009-03-06 전창국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제공하는 육성장치
KR101254135B1 (ko) * 2011-03-28 2013-04-12 주식회사 대동농자재산업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3920A (ja) * 2001-07-11 2003-01-28 Green Mentenance:Kk 蛍の育成方法とその装置
KR20050091115A (ko) * 2004-03-10 2005-09-1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귀뚜라미 실내 대량 입체사육법 및 인공산란방법
KR20090024043A (ko) * 2007-09-03 2009-03-06 전창국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제공하는 육성장치
KR101254135B1 (ko) * 2011-03-28 2013-04-12 주식회사 대동농자재산업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166B1 (ko) * 2016-09-06 2017-07-06 유남재 곤충용 오아시스 거치대
KR20180062834A (ko) * 2016-12-01 2018-06-11 이재홍 귀뚜라미 양식기
KR20180084316A (ko) 2017-01-16 2018-07-25 김정철 귀뚜라미 기업형 자동화 사육장치
KR20190048813A (ko) 2017-10-31 2019-05-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보아스크리켓 귀뚜라미 산란용 배지 조성물
KR20200132175A (ko) * 2019-05-16 2020-11-25 주식회사대원농산 동애등에의 산란장치
KR102206189B1 (ko) 2019-05-16 2021-01-22 주식회사대원농산 동애등에의 산란장치
KR102110364B1 (ko) 2019-06-07 2020-05-14 임경수 귀뚜라미 사육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인공채란판
KR20210016843A (ko) * 2019-08-05 2021-02-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풀무치의 인공 부화방법
KR102334552B1 (ko) 2019-08-05 2021-12-06 대한민국 풀무치의 인공 부화방법
CN111183959A (zh) * 2019-12-27 2020-05-22 杨逢春 一种收集黑水虻虫卵的标准化装置
WO2021128669A1 (zh) * 2019-12-27 2021-07-01 杨逢春 一种收集黑水虻虫卵的标准化装置
KR20210145942A (ko) * 2020-05-26 2021-12-03 (주)그린인섹트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KR20210145943A (ko) * 2020-05-26 2021-12-03 (주)그린인섹트 동애등에 산란 장치 어셈블리
KR102480173B1 (ko) 2020-05-26 2022-12-23 주식회사 써큘러바이오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KR102480174B1 (ko) * 2020-05-26 2022-12-23 주식회사 써큘러바이오 동애등에 산란 장치 어셈블리
KR102191375B1 (ko) * 2020-06-08 2020-12-15 농업회사법인 다벅스(주) 산란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102Y1 (ko)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KR100856855B1 (ko) 황소개구리 유체를 동물의 먹이로 이용하는 방법
CN102792908B (zh) 斑鳜食性驯化用网箱及其食性驯化使用方法
CN104604759A (zh) 一种草鱼的养殖方法
KR20110054692A (ko) 갈색거저리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CN105660465A (zh) 一种龙虾的人工育苗方法
JP5145493B2 (ja) イエバエの蛹を含む栄養物質の製造方法
CN104488778A (zh) 一种鲶鱼的养殖方法
CN105309358A (zh) 一种高产泥鳅苗种的培育方法
CN107950438A (zh) 一种加州鲈鱼快速饲料驯化方法
CN103444604A (zh) 驼背鲈小水体苗种培育方法
CN108812467A (zh) 一种澳洲淡水龙虾苗种繁育方法
KR20180047632A (ko) 해삼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어미해삼의 육상 관리방법
Chatterjee et al. Induced breeding of pacu (Piaractus brachypomus) in captivity with pituitary extract
CN108377974A (zh) 一种石蛙卵粒加温孵化池及孵化方法
CN102893927B (zh) 一种菊黄东方鲀鱼苗可控饵料的投喂方法
KR101606713B1 (ko) 모래무지 인공종묘의 대량 생산방법
CN107114275A (zh) 生长速度快的胭脂鱼养殖方法
Muntaziana et al. Effect of broodfish sex ratio on seed production of red tilapia in suspended hapa
CN103999809A (zh) 一种采用人工饲料培育尖裸鲤鱼苗和鱼种的方法
Robert et al. Growth, survival and reproductive success of Clarias gariepinus broodstocks fed feed mixed with 17-α-methyl testosterone (mt) in stagnant concrete systems
CN103975874B (zh) 一种沙塘鳢的网箱生态藻相集约化养殖方法
CN107873576A (zh) 一种菱角套养黑鱼、甲鱼的生态养殖的方法
CN103340170A (zh) 一种高效、集约、生态养殖黄鳝的方法
CN103688881A (zh) 一种黄颡鱼夏花鱼种的培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