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173B1 -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173B1
KR102480173B1 KR1020200062800A KR20200062800A KR102480173B1 KR 102480173 B1 KR102480173 B1 KR 102480173B1 KR 1020200062800 A KR1020200062800 A KR 1020200062800A KR 20200062800 A KR20200062800 A KR 20200062800A KR 102480173 B1 KR102480173 B1 KR 10248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wning
breeding
chamber
breeding chamber
scat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942A (ko
Inventor
신영희
박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큘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큘러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큘러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6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173B1/ko
Publication of KR20210145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애등에 성충의 활동 및 교미를 위한 사육 장치 내에 번데기, 산란 배지 및 산란 장치가 함께 구비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사육 챔버, 번데기 보관함 및 산란 챔버를 공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동애등에 사육 시 번데기 공급 과정, 산란 배지 교체 과정, 동애등에 알 채란 과정에서 작업자가 산란망 내에 직접 들어가야만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동애등에 사육 시 사육 챔버 개폐 횟수가 최소화되므로, 번데기 공급 과정, 산란 배지 교체 과정, 알 채란 과정 등의 작업 간 성충이 사육 장치를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동애등에 성충 사체 및 분변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하여 동애등에 성충의 알 회수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Spawning system for black soldier fly}
본 발명은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충은 해충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를 방제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 왔으나, 곤충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곤충의 유용성을 발견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예 중 하나로서, 동애등에를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기술 및 사육된 동애등에를 식품, 화장품, 가축 사료 등의 분야에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동애등에는 대표적인 환경정화 곤충으로 유충 시기에만 먹이활동을 할 뿐, 성충 시기에는 먹이활동을 하지 않으며, 사람들을 피해 숲으로 이동하고, 축사나 생활쓰레기 및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이 야적되어 있는 곳에서 생활하는 종이다. 동애등에의 알은 25℃ 이상의 온도에서 3 내지 4일 정도 경과 후 부화하게 되고, 유충이 된 후 약 15일 동안 먹이 활동을 하며, 유충 기간이 끝나면 번데기가 된 후, 약 15일 내외에 성충으로 우화하여 교미와 산란을 한다. 교미를 한 성충은 한 번에 약 1,000개의 알을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애등에는 유충 시기 때 왕성한 식욕으로 음식물 쓰레기, 가축분뇨 등을 먹어 분해한다. 동애등에가 성충이 되기까지의 기간은 35 내지 40일 정도로서, 이 중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 유충 기간은 약 15일 정도이며, 동애등에 유충 5천 마리에게 10kg 의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는 부피 58%, 무게 30%가 감소된 양질의 퇴비로 변화된다.
동애등에 유충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한편, 그 자체로도 아르기닌(arginine), 메티오닌(methionine), 라이신(lysine)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고(Zuidhof et al., 2003; Park et al., 2003), 불포화 지방산,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애완동물 사료 및 화장품 원료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는 동애등에 성충의 활동 및 교미를 위한 사육 장치 내에 번데기, 산란 배지 및 산란 장치가 함께 구비되는 구성을 가지는데,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사육 장치의 경우 동애등에 사육 간 일정한 성충 수를 유지하기 위해 번데기를 공급하는 과정, 산란 배지 교체 및 동애등에 알을 채란하는 과정 등에서 작업자가 산란망 내에 직접 들어가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사육 장치의 경우 번데기 공급 과정, 산란 배지 교체 과정, 알 채란 과정 등에서 사육 장치의 개폐 횟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위 작업 간 성충이 사육 장치를 쉽게 이탈하는 등 관리 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동애등에 성충의 사체 및 분변이 사육 장치 내에 계속적으로 방치되는 경우 동애등에가 산란 장치가 아닌 성충의 사체 또는 분변 등에 산란을 하게 되므로, 동애등에 알의 회수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동애등에 성충의 알 회수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죽은 성충의 사체 및 분변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동애등에 사육 장치가 내포한 문제점으로서, 번데기 공급 과정, 산란 배지 교체 과정, 동애등에 알 채란 과정 등에서 작업자가 산란망 내에 직접 들어가야만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산란망 개폐 시 동애등에 성충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동애등에 성충의 사체 및 분변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하여 동애등에 알의 회수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육 챔버; 상기 사육 챔버와 인접하며 번데기로부터 우화한 성충이 상기 사육 챔버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번데기 보관함; 및 상기 사육 챔버와 인접하며 성충이 산란할 수 있도록 산란 배지와 산란 장치를 구비하는 산란 챔버; 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사육 챔버는 번데기 보관함 및 산란 챔버와 각각 접하는 면에 동애등에 성충의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개구부(opening)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사육 챔버는 메시(mesh)망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사육 챔버의 하단 면은 소정 각도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되 개폐가 가능하도록 일측에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번데기 보관함은 서랍형 구조이며, 공기의 순환 및 이동을 위한 통풍구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번데기 보관함은 사육 챔버와 접하는 면에 우화한 성충이 상기 번데기 보관함으로부터 상기 사육 챔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창(windows) 구조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산란 챔버의 일측면은 사육 챔버와 접하는 면에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개폐 및 인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메시(mesh)망 구조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산란 챔버의 일측면은 내부에 구비된 산란 배지 및 산란 장치를 입출입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산란 장치는 산란 배지 상에 구비되며, 상기 산란 장치는 고정 프레임(frame) 상에 각각 수직으로 서로 연속 배치된 복수의 산란판을 포함하는 산란처 및 상기 연속 배치된 복수의 산란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산란처를 이루는 산란판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란판의 면에는 다수 개의 산란홈이 구비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은, 동애등에 성충의 활동 및 교미를 위한 사육 장치 내에 번데기, 산란 배지 및 산란 장치가 함께 구비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사육 챔버, 번데기 보관함 및 산란 챔버를 공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동애등에 사육 시 번데기 공급 과정, 산란 배지 교체 과정, 동애등에 알 채란 과정에서 작업자가 산란망 내에 직접 들어가야만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에 따르면, 동애등에 사육 시 사육 챔버 개폐 횟수가 최소화되므로, 번데기 공급 과정, 산란 배지 교체 과정, 알 채란 과정 등의 작업 간 성충이 사육 장치를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동애등에 성충 사체 및 분변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하여 동애등에 성충의 알 회수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번데기 보관함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란 챔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란 배지 및 산란 장치를 포함한 산란 장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을 실제 구현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의 번데기 보관함을 실제 구현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기재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기재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동애등에(Ptecticus   tenebrifer)는 파리목의 곤충으로 기후가 온난하거나 더운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동애등에는 조단백질 45%, 조지방 32%, 조회분 6.2%, 조섬유 8.4% 등의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아르기닌(arginine), 메티오닌(methionine), 라이신(lysine)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고(Zuidhof et al., 2003; Park et al., 2003), 불포화 지방산,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애완동물 사료 및 화장품 원료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는 동애등에 성충의 활동 및 교미를 위한 사육 장치 내에 번데기, 산란 배지 및 산란 장치가 함께 구비되는 구성을 가지는데,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사육 장치의 경우 동애등에 사육 간 일정한 성충 수를 유지하기 위해 번데기를 공급하는 과정, 산란 배지 교체 및 동애등에 알을 채란하는 과정 등에서 작업자가 산란망 내에 직접 들어가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사육 장치의 경우 번데기 공급 과정, 산란 배지 교체 과정, 알 채란 과정 등에서 사육 장치의 개폐 횟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위 작업 간 성충이 사육 장치를 쉽게 이탈하는 등 관리 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동애등에 성충 사육 장치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달리 사육 챔버, 번데기 보관함 및 산란 챔버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경우, 동애등에 사육 시 번데기 공급 과정, 산란 배지 교체 과정, 동애등에 알 채란 과정에서 작업자가 사육 장치 내에 직접 들어가야만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애등에 사육 시 사육 챔버 개폐 횟수가 최소화되므로, 번데기 공급 과정, 산란 배지 교체 과정, 알 채란 과정 등의 작업 간 성충이 사육 장치를 쉽게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동애등에 성충 사체 및 분변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하여 동애등에가 성충의 사체 또는 분변 등에 산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동애등에 성충의 알 회수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은, 사육 챔버; 상기 사육 챔버와 인접하며 번데기로부터 우화한 성충이 상기 사육 챔버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번데기 보관함; 및 상기 사육 챔버와 인접하며 성충이 산란할 수 있도록 산란 배지와 산란 장치를 구비하는 산란 챔버; 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
먼저, 사육 챔버(100)는 동애등에 성충의 활동 및 교미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육 챔버는 직육면체 형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둘러싼 메시(mesh)망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및 지지대는 목재, 철제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육 챔버는 번데기 보관함 및 산란 챔버와 각각 접하는 면에 동애등에 성충의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개구부(opening)(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번데기 보관함에서 우화하여 사육 챔버 내로 유입된 동애등에 성충은 사육 챔버 내에서 활동 및 교미하게 되며, 동애등에 성충은 산란 시기가 다가오면 사육 챔버로부터 산란 배지 및 산란 장치가 구비된 산란 챔버 내로 이동하게 된다. 개구부는 번데기 보관함에서 우화한 성충이 사육 챔버 내로 이동할 때 및 산란 시기에 성충이 사육 챔버로부터 산란 장치 쪽으로 이동할 때, 그 통로로 이용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개구부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상기 개구부는 원형 또는 사각 형태일 수 있고, 또 다른 일례로 개폐가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육 챔버는 메시(mesh)망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사육 챔버의 하단 면은 소정 각도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되 개폐가 가능하도록 일측에 개폐 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육 챔버가 상술한 프레임을 둘러싼 메시(mesh)망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메시(mesh)망의 그물코 구조로 인하여 사육 챔버 내의 동애등에 성충이 사육 챔버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한편, 메시망 특성 상 통풍이 원활하여 사육 챔버 내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완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육 챔버의 하단, 구체적으로 사육 챔버의 하단 면은 소정 각도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육 챔버의 하단 면은 15 내지 60° 범위 내로 각도가 형성되어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의 끝부분, 즉 하단 면의 일측에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개폐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육 챔버 하단 면 역시 메시망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사육 챔버 하단 면이 경사진 구조 및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사육 챔버 하단 면에 수회의 진동을 줌으로써, 동애등에 성충의 사체 및 분변을 하단 면의 경사진 끝부분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고, 이 후 경사진 끝부분, 즉 하단 면 일측에서 일부 개폐 만으로도 성충의 사체와 분변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동애등에 사육 챔버 내에 성충의 사체 및 분변이 방치되는 경우, 악취가 발생하고, 위생이 불량하게 될 뿐만 아니라 동애등에가 성충의 사체 또는 분변에 산란을 하게 되므로 산란 장치를 통해 동애등에 알을 회수하는 것에 어려움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알 회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에 따르면, 위 구조로 인하여 동애등에 사체 및 분변 처리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육 챔버 내의 사육 환경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동애등에가 산란 장치에만 산란을 하게 되어, 성충의 알 회수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육 챔버 하단 면의 개폐는 개폐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개폐 장치는 롤 형식, 벨크로(Velcro) 형식, 지퍼 형식, 미닫이 형식 및 여닫이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번데기 보관함(200)은 우화 직전의 번데기를 보관하여 성충으로 우화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사육 챔버와 인접하는 것일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번데기 보관함은 직육면체 형태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및 지지대는 목재, 철제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번데기 보관함은 서랍형 구조이며, 공기의 순환 및 이동을 위한 통풍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번데기 보관함이 서랍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 사육 장치 내 성충 수 유지를 위해 번데기를 보충하는 과정이 사육 장치의 개폐 없이 이루어질 수 있고, 서랍을 여닫는 것 만으로 수행되므로, 번데기 보충 과정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풍구는 일례로 메시(mesh)망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서랍형 구조의 경우 복수개로 적층이 가능하여 좁은 면적 내에 번데기 수를 늘릴 수 있는 효과도 존재한다. 즉, 번데기 보관함이 서랍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 다수 개의 번데기 보관함을 연속하여 수평 및 수직으로 적층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좁은 면적 내에 많은 수의 번데기 보관함을 밀도있게 구비할 수 있게 되므로, 번데기 및 성충 수 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번데기 보관함은 상기 사육 챔버와 접하는 면에 우화한 성충이 상기 번데기 보관함으로부터 상기 사육 챔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창(windows)(210)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창 구조는 일례로, 동애등에 성충이 번데기 보관함으로부터 사육 챔버로 이동하기는 용이하나, 역으로 사육 챔버로부터 번데기 보관함으로 이동하기는 어려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창(window) 구조는 사육 챔버의 개구부(opening)와 결합 또는 연결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개구부와 빈틈없이 접촉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산란 챔버(300)는 사육 챔버와 인접하며 사육 챔버 내에서 활동 및 교미한 성충이 산란 챔버 내로 이동하여 산란할 수 있도록 산란 배지와 산란 장치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도 3 참조).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상기 산란 배지 및 산란 장치를 구비한 장치 구성을 편의상 산란 장치 어셈블리(310)라고 지칭한다.
산란 챔버는 상술한 사육 장치와 유사하게, 직육면체 형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둘러싼 메시(mesh)망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사육 챔버 대비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및 지지대는 목재, 철제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란 챔버의 일측면은 사육 챔버와 접하는 면에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개폐 및 인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메시(mesh)망 구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산란 챔버가 롤 형태의 메시망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사육 장치와의 공간 분리가 용이하여, 산란 챔버를 사육 챔버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성충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손쉬운 분리에 따라 산란 챔버의 파손, 노후 시 교체가 용이하며, 작업자와 동애등에 성충의 직접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산란 챔버가 사육 챔버와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시에는 상기 롤 형태의 메시망 구조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동애등에 성충이 사육 챔버와 산란 챔버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산란 챔버와 사육 챔버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 상기 롤 형태의 메시망 구조를 인장하여 닫아줌으로써, 작업자가 동애등에 성충과의 접촉 없이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동애등에 성충의 이탈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란 챔버의 일측면은 내부에 구비된 산란 배지 및 산란 장치를 입출입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폐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일례로 “
Figure 112020052845044-pat00001
” 형태를 이루는 지퍼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지퍼 구조가 위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경우, 직선 형태의 개폐 구조 대비 개방되는 면적이 넓어지고 작업 공간 마련에 유리하므로, 작업자가 산란 배지 교체 및 채란을 위해 산란 장치를 인출 또는 인입하는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에서, 산란 장치(320)는 산란 배지(330) 상에 구비되며, 상기 산란 장치는 고정 프레임(frame)(322) 상에 각각 수직으로 서로 연속 배치된 복수의 산란판(321)을 포함하는 산란처 및 상기 연속 배치된 복수의 산란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 클립(323)을 포함하고, 상기 산란처를 이루는 산란판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란판의 면에는 다수 개의 산란홈(324)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도 4 참조).
산란 배지(330)는 동애등에의 산란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 송아지 사료, 배합 사료 혹은 단미 사료 등을 섞어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산란 배지는 단미 사료와 젓갈을 1 : 1 내지 1 : 2 중량부 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송아지 사료 및 배합 사료 등을 사용한 경우 대비 악취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단미 사료는 다른 것과 섞지 않고 단독으로 쓰이는 가축 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어분, 감자, 옥수수 또는 콩깻묵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산란 배지는 예를 들어 상단이 개방된 구조로서 소정 깊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의 배지 보관용기, 상기 보관용기에 하단에 담긴 배지 용액 및 상기 배지 보관용기 상단에 구비되며, 배지 용액의 냄새는 외부로 방출하되, 동애등에가 배지 용액과 직접 접촉하는 것은 방지하는 메시(mesh)판을 구비한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지 보관용기 및 커버부는 내구성 및 내수성이 강한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는 메시(mesh)판은 그 구조적 특성 상 배지 용액과 동애등에 접촉은 차단하는 한편, 배지 용액으로부터 동애등에의 산란을 유도하는 냄새는 방출시킬 수 있어, 배지 사용 기간을 반영구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산란 장치(320)는 산란 배지 상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서, 고정 프레임(frame) (322) 상에 각각 수직으로 서로 연속 배치된 복수의 산란판(321)을 포함하는 산란처 및 상기 연속 배치된 복수의 산란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 클립(3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란처를 이루는 산란판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란판의 면에는 다수 개의 산란홈(324)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산란 배지 상에는 3개 이상의 산란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산란 장치의 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frame)(322)은 연속 배치된 산란판의 유동을 방지하고자 구비되는 것으로서, 그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내구성 및 내수성이 뛰어난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산란 배지의 커버부 상에 고정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산란판(321)은 스폰지 또는 매직블록 폼(foam) 재질일 수 있으며,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산란판은 플로랄 폼, 목재, 골판지 등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였으나, 이 중 플로랄 폼 재질은 쉽게 부서지는 특성으로 인해 일회 사용 후 폐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고, 목재 및 골판지 재질의 경우 고습도를 유지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라 산란판을 스폰지 또는 매직블록 폼(foam)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플로랄 폼보다도 더 높은 수준의 함수율을 나타내는 동시에 내구성이 강해 쉽게 부서지지 않아 반복 사용이 가능하며,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 유도를 위한 음폐수를 사용하지 않아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플로랄 폼은 페놀 수지(Phenol formaldehyde resin)를 흡수성 및 친수성이 있도록 만든 스펀지 형태의 물건을 의미하며, 매직블록 폼은 멜라민 수지를 폼 형태로 성형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산란처는 복수의 산란판이 연속 배치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일례로 3개의 산란판이 연속 배치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이 연속 배치된 산란판으로 구성된 산란처는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홈 내에서 산란한 후, 이를 채란하는 과정에서 연속 배치된 산란판을 분리하는 것 만으로 동애등에 알을 손쉽게 채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산란처가 3개의 산란판으로 구성되는 경우, 두께는 가장자리를 이루는 2개의 산란판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고, 가운데를 이루는 1개의 산란판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란처는 하나의 산란판을 분할하여 복수의 산란판으로 나눈 것일 수 있고, 일례로 하나의 산란판을 분할하여 3개의 산란판으로 나눈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나의 산란판을 분할하여 복수의 산란판으로 나눈 경우 산란판 간 이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홈 이외에 산란판 간 이격 공간에 산란을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산란판의 함수율은 100 내지 10,000 %이며, 이는 종래 기술에 따라 사용되던 플로랄 폼 재질의 산란판의 최대 함수율인 5,000 % 대비 2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산란판은 사전에 물에 침지시켜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함수율을 유지하는 경우 동애등에 성충이 선호하는 산란 환경 조성에 유리하다.
한편, 상기 산란처 구성 시 연속 배치되는 복수의 산란판이 유동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속 배치된 복수의 산란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 클립(32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클립은 연속 배치된 복수의 산란판이 서로 단단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례로, “
Figure 112020052845044-pat00002
” 형태를 가져, 연속 배치된 산란판들의 상단을 고정하는 형태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산란판은 산란 배지의 액체 성분을 흡수하므로, 고정 클립은 부식 방지와 내구성 담보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 또는 철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고정 프레임(frame)과 조합되어 상기 산란처를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산란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애등에 알 채란 시에는 프레임에서 산란처를 분리한 후 고정 클립을 제거하는 것 만으로 연속 배치된 복수의 산란판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으므로, 채란 과정이 간편해진다.
한편, 상기 산란처를 이루는 산란판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란판의 면에는 다수 개의 산란홈(324)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산란처가 3개의 연속 배치된 산란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장자리 및 가운데를 이루는 산란판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란판의 면에 다수 개의 산란홈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란홈은 동애등에 성충이 출입하면서 산란을 하는 공간으로서, 산란홈의 입구 부분은 일례로 원형, 타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산란홈은 가장자리를 이루는 산란판 표면으로부터 연속 배치된 인접한 산란판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프레임에서 산란처를 분리한 후 고정 클립을 제거하는 것 만으로 연속 배치된 복수의 산란판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고, 산란판 간의 분리로 인해 관통된 산란홈에서의 동애등에 알의 채란 과정이 간편해진다.
한편, 상기 산란홈의 직경은 5 내지 10 mm 일 수 있으며, 깊이는 5 내지 10 mm일 수 있다. 한편, 산란홈의 직경 및 산란홈의 깊이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동애등에 성충의 출입이 어렵고, 산란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직경 및 깊이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채란 과정에서 산란판의 흔들림으로 인해 알이 손상되거나, 산란홈 내로 빛이 유입되어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 활동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사육 챔버
200 번데기 보관함
210 창 220 통풍구
300 산란 챔버
310 산란 장치 어셈블리
320 산란 장치
321 산란판 322 고정 프레임
323 고정 클립 324 산란홈
330 산란 배지 340 개폐부

Claims (8)

  1. 사육 챔버;
    상기 사육 챔버의 일측과 인접하되 사육 챔버와 공간적으로 분리되며, 번데기로부터 우화한 성충이 상기 사육 챔버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번데기 보관함; 및
    상기 사육 챔버의 또 다른 일측과 인접하되 사육 챔버와 공간적으로 분리되며, 성충이 산란할 수 있도록 산란 배지와 산란 장치를 구비하는 산란 챔버; 를 포함하되,
    상기 사육 챔버는 메시(mesh)망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사육 챔버의 하단 면은 소정 각도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되 개폐가 가능하도록 일측에 개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산란 장치는 산란 배지 상에 구비되고,
    상기 산란 장치는 고정 프레임(frame) 상에 각각 수직으로 서로 연속 배치된 복수의 산란판을 포함하는 산란처 및 상기 연속 배치된 복수의 산란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산란처를 이루는 산란판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란판의 면에는 다수 개의 산란홈이 구비되고,
    상기 산란판은 스폰지 및 매직블록 폼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 챔버는 번데기 보관함 및 산란 챔버와 각각 접하는 면에 동애등에 성충의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개구부(opening)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번데기 보관함은 서랍형 구조이며, 공기의 순환 및 이동을 위한 통풍구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번데기 보관함은 사육 챔버와 접하는 면에 우화한 성충이 상기 번데기 보관함으로부터 상기 사육 챔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창(windows) 구조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챔버의 일측면은 사육 챔버와 접하는 면에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개폐 및 인장 가능하도록 형성된 메시(mesh)망 구조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챔버의 일측면은 내부에 구비된 산란 배지 및 산란 장치를 입출입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8. 삭제
KR1020200062800A 2020-05-26 2020-05-26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KR102480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800A KR102480173B1 (ko) 2020-05-26 2020-05-26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800A KR102480173B1 (ko) 2020-05-26 2020-05-26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942A KR20210145942A (ko) 2021-12-03
KR102480173B1 true KR102480173B1 (ko) 2022-12-23

Family

ID=7886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800A KR102480173B1 (ko) 2020-05-26 2020-05-26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1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666Y1 (ko) * 2004-02-18 2004-05-08 학교법인 동국학원 집파리 성충 사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시스템
KR100952085B1 (ko) 2009-07-27 2010-04-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 사육장치
KR200477102Y1 (ko) 2015-01-26 2015-05-06 이삼구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KR101846282B1 (ko) * 2017-11-20 2018-05-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엔토모 동애등에 우화 및 산란 유도 장치
CN105340843B (zh) * 2015-12-10 2018-08-17 段永改 一种黑水虻养殖装置和养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9167B1 (ko) * 2015-04-08 2017-05-02 농업회사법인충북곤충자원연구소(주)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20170068752A (ko) * 2015-12-10 2017-06-20 어업회사법인 자이아쿠아팜 유한회사 동애등에 산란 유도 장치
KR101963934B1 (ko) * 2016-06-23 2019-03-29 최영범 인공 산란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666Y1 (ko) * 2004-02-18 2004-05-08 학교법인 동국학원 집파리 성충 사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시스템
KR100952085B1 (ko) 2009-07-27 2010-04-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 사육장치
KR200477102Y1 (ko) 2015-01-26 2015-05-06 이삼구 귀뚜라미 산란 및 부화기구
CN105340843B (zh) * 2015-12-10 2018-08-17 段永改 一种黑水虻养殖装置和养殖方法
KR101846282B1 (ko) * 2017-11-20 2018-05-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엔토모 동애등에 우화 및 산란 유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942A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00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breeding and harvesting insects
KR101729167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100986747B1 (ko) 나비 애벌레 사육통
CN107683828B (zh) 一种自残性昆虫饲养与采卵方法
WO20160052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breeding and harvesting insects
KR20040087696A (ko) 파리성충 사육장치, 이를 포함하는 파리기생천적의 대량사육 시스템, 상기 파리기생천적을 포함하는 파리기생천적방사용기 및 이를 이용한 파리 방제방법
KR100786021B1 (ko) 파리포식천적 대량사육장치
KR101729130B1 (ko) 벌레 교미 산란 장치
KR20160131452A (ko) 식·약용 곤충 사육장치
KR102480174B1 (ko) 동애등에 산란 장치 어셈블리
KR102480173B1 (ko) 동애등에 사육 시스템
KR102206189B1 (ko) 동애등에의 산란장치
Richardson et al. Laboratory rearing of the mushroom phorid Megaselia halterata (Diptera: Phoridae)
KR102276453B1 (ko) 동애등에의 우화장
KR102017253B1 (ko) 파리 천적의 인공 산란 유도 방법,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
JP7448154B2 (ja) 幼虫回収装置
KR102551841B1 (ko) 동애등에 산란 장치 어셈블리
US5544621A (en)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live insects to fish
CN214282828U (zh) 一种鳞翅目昆虫幼虫的饲养盒
TWM551534U (zh) 便於收集蟲體及飼養黑水虻之廢料處理裝置
KR102201230B1 (ko) 광릉왕모기 대량 사육 시스템
JP2770012B2 (ja) 鱗翅目昆虫の人工採卵法およびその人工採卵装置
KR200319123Y1 (ko) 파리성충 사육장치, 이를 포함하는 파리기생천적의 대량사육 시스템 및 상기 파리기생천적을 포함하는파리기생천적 방사용기
KR200497280Y1 (ko) 동애등에 사육용 박스
CN214853752U (zh) 一种茧蜂寄主养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