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249B1 - 동애등에 사육 장치 - Google Patents

동애등에 사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249B1
KR101123249B1 KR1020100133645A KR20100133645A KR101123249B1 KR 101123249 B1 KR101123249 B1 KR 101123249B1 KR 1020100133645 A KR1020100133645 A KR 1020100133645A KR 20100133645 A KR20100133645 A KR 20100133645A KR 101123249 B1 KR101123249 B1 KR 101123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gae
groove
scattering
breed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테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동애등에 사육 장치가 개시된다.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투입되는 동애등에 사료를 수용하는 사료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애등에 사료를 구성하는 입자의 평균 직경은 0.1mm 내지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는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율이 높고 알의 보존이 우수하며, 좁은 공간에 최대로 효율적으로 홈을 형성하여 공간 대비 산란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애등에 사육 장치{Apparatus for rearing the black soldier fly}
본 발명은 동애등에 사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분 및 인분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은 처리없이 배출되는 경우 토양과 하천 등에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 방식에 따르면, 특정 처리 과정을 통해서 유기성 폐기물을 가축의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법, 일정 지역에 매립하거나 해양 투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 경우 처리 장치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면에서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물을 그대로 사료로 사용하는 경우는 괴질 발생 등 부작용이 크고, 퇴비화의 경우도 재발열 및 비효성 불균형과 같은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렁이, 집파리 유충과 같은 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 경우 배출된 분변토는 비효성이 탁월하여 농경지, 원예, 과수원 등의 경작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식물의 성장과 생산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 중에서 동애등에는 알에서 성충까지 크는 기간은 37~41일이며, 분해자 역할을 하는 유충의 기간은 14일 정도이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약 14일)이 지나면 번데기가 되기 위해 건조한 장소를 찾으러 바깥으로 기어나오는 습성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10kg에 동애등에 유충 5000마리를 투입하면 5일 만에 음식물 쓰레기의 80% 이상이 분해되고,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유충 투입 전보다 부피는 약 42%, 무게는 약 70% 정도로 줄어들었다. 동애등에 유충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기간이 지렁이나 집파리 보다 길기 때문에 동애등에를 사육해서 활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동애등에 유충 및 번데기를 대량으로 증식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복수의 홈을 그루브(groove) 형상으로 형성하여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율이 높고 알의 보존이 우수한 동애등에 사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루브 형상의 홈이 연속되어 이어지지 않고, 소정의 차단막에 의해 공간이 나뉨으로써, 동애등에 성충이 서로 다른 구역에 산란할 수 있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산란 유도기에 형성된 홈이 벌집 구조로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 최대로 효율적으로 홈을 형성하여 공간 대비 산란율을 높일 수 있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투입되는 동애등에 사료를 수용하는 사료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애등에 사료를 구성하는 입자의 평균 직경은 0.1mm 내지 100mm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해 깊이가 7 내지 10mm인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란 유도기에 형성된 홈의 개방면의 지름은 3 내지 5mm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란 유도기에 형성된 홈은 상기 지름을 폭으로 하는 그루브 형상의 홈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 형상의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기는 상기 그루브의 연장 방향이 상기 하우징의 밑면과 평행하게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의 밑면과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밑면과 수직하게 위치한 산란 유도기는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그루브 형상의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기는 복수의 홈 형성 단위체가 연속적으로 결합된 형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 형성 단위체의 단면은 다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 형상의 홈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차단막에 의해 구역화될 수 있으며, 상기 산란 유도기에 형성된 홈은 개방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허니컴(honeycomb)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란 유도기에 형성된 홈은 육각 기둥 형상의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홈 형성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산란 유도기는 플라워폼, 목재,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산란 유도기에서 산란한 동애등에 성충의 알로부터 발생된 동애등에 번데기를 5 내지 10도에서 20일 동안 보호하는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애등에 사료는 유기성 폐기물:톱밥=2:1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밑면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 돌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측면 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측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사료 수용부에 하루에 2 내지 3회 물을 스프레이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산란장; 상기 산란된 알이 유충이 되어 동애등에 성충이 되도록 용화 및 우화시키는 배지가 형성된 사육 배지; 상기 산란장과 사육 배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온도 제어부; 상기 산란장과 사육 배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을 스프레이하는 수분 공급부; 상기 산란장과 사육 배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 제거부; 및 상기 악취 제거부에서 탈취된 가스를 상기 산란장과 사육 배지의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사료 수용부에 수용된 동애등에 사료를 커버하여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습도 유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료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동애등에 사료는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을 유도하는 유인 배지로 사용되며, 상기 동애등에 성충의 알로부터 발생한 유충을 사육하기 위한 사육 배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동애등에 사료는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을 유도하는 유인 배지로 사용된 후 상기 동애등에 성충의 알로부터 발생한 유충을 사육하기 위한 사육 배지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에 외부 생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80 내지 100 메쉬로 형성되는 산란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애등에 사료의 특정 장일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동애등에 사료는 조명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또는 투명한 천장의 건물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는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복수의 홈을 그루브(groove) 형상으로 형성하여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율이 높고 알의 보존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는 그루브 형상의 홈이 연속되어 이어지지 않고, 소정의 차단막에 의해 공간이 나뉨으로써, 동애등에 성충이 서로 다른 구역에 산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는 산란 유도기에 형성된 홈이 벌집 구조로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 최대로 효율적으로 홈을 형성하여 공간 대비 산란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홈을 형성하는 기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홈 지름에 따른 산란 비율의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홈 지름에 따른 산란 비율의 세부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홈 깊이에 따른 산란 비율의 세부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동애등에 번데기 저온처리 기간별 우화율의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동애등에 사료 입자크기에 따른 산란 비율의 그래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복수의 홈을 그루브(groove) 형상으로 형성하여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율이 높고 알의 보존이 우수한 동애등에 사육 장치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산란 유도기(1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그루브 형상의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동애등에 성충은 이러한 주름진 상태의 구조물에 형성된 에지, 작은 틈 등에 산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산란 유도기(100)는 복수의 홈을 구비하여 이러한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산란 유도기(100)는 원판을 주름지게 제작하여 홈을 형성한 종이(판지), 홈을 형성한 플라워폼, 긴 목재를 이어 붙여 홈을 형성한 구조 등 다양한 제작 방법 및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내부에 산란 유도기(100)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외부 본체이다. 예를 들면, 하우징(200)은 플라스틱, 목재, 석재, 종이류, 금속류 등으로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박스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200)의 일면은 개방되어 산란 유도기(100)와 동애등에 사료의 출입이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하우징(200)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하우징 덮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료 수용부(210)와 마주 하면서, 산란 유도기를 포함하는 하우징 덮개를 설치 할 경우, 덮개로 커버된 안쪽 중앙부에 사료 수용부(210)와 수직, 평행 또는 다양한 기울기를 가지며, 복수의 산란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기(100)를 설치 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덮개의 외부로 노출된 상단부분 또는 측면에는 동애등에 성충이 유인되어 출입할 수 있는 홀로 형성되는 출입구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덮개 안쪽에 설치된 산란 유도기(100)는 플라워폼, 목재, 플라스틱 및 종이(골판지 포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산란 유도기(100)는 하우징 덮개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홈이 형성된 골판지를 하우징 덮개의 형태대로 절개하고, 하우징 덮개의 내측, 즉, 하우징(200)의 개방된 일면 측에 결합하면, 동애등에 성충은 사료 수용부(210)에 수용된 동애등에 사료에 의해 유인되어 하우징 덮개의 출입구를 통해 들어오고, 산란 유도기(100)의 홈에 산란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부화한 유충을 수집할 수 있는 별도의 수집통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하우징 덮개에 결합한 산란 유도기(100)에서 부화한 유충은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여 하우징(200) 외부의 수집통에 수집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00) 및/또는 산란 유도기(100)와 수집통은 막대 형상의 로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사료 수용부(210)는 하우징(200)에 수용되는 동애등에가 섭취하는 사료를 수용한다. 예를 들면, 하우징(200)의 밑면이 사료 수용부(210)의 역할을 하거나 또는 사료 수용부(210)는 별도의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구조물이 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사료 수용부(210)는 하우징(200)과 같이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 등과 같은 형태의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동애등에 사료는 유기성 폐기물:톱밥=2~3:1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비율은 부피 또는 무게 비율이 될 수 있다. 또한, 산란 유도기(100)는 동애등에 사료 위에 놓이거나 또는 각 홈에 놓일 수 있다. 여기서, 사료에 포함되는 톱밥은 사료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동애등에 사료는 동애등에 성충을 유인하기 위한 배지가 될 수 있다. 산란 유도기(100)는 플라워폼, 목재, 플라스틱, 종이(판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 또는 양면에 상술한 홈을 뚫어 산란을 유도할 수 있다.
동애등에(BSF) 생활사를 살펴보면 27℃에서, 알(4-5일), 유충(14일), 번데기(14일), 성충(5-8일)으로서 대략 37일에서 41일동안 생존한다. 또한, 동애등에(BSF)의 음식물쓰레기 분해능을 조사하면, 유충 투입 후 음식물쓰레기 분해 소요 일수는 3~5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한 알로부터 발생한 동애등에 유충에게 소정의 사육 배지가 공급된다. 동애등에 유충 사육시 사육 배지를 음식물쓰레기만 사용하는 경우(A), 음식물쓰레기 대 톱밥을 4:1로 혼합한 경우(B)(사육온도 및 광조건은 27±3℃, 14L:8D)로 나누어 사육 배지별 유충 형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분 유충형질
종령 크기 (mm) 무게 (g/100두) 기간 (일)
배지(A) 20.2±0.8 19.5±0.5 25~40
배지(B) 20.4±0.8 19.3±0.3 20~40
표 1은 사육 배지별 유충형질을 나타낸 표이다.
또한, 동애등에 야외 사육장은 크기가 4×2m 정도로 조성되고, 조류, 초파리 등 천적 피해를 막기 위해 그물망을 설치할 수 있고, 그물망 메쉬는 80 내외가 될 수 있다.
동애등에 번데기는 소정의 형상 및 재질을 가진 박스, 예를 들면, 플라스틱통에 보관할 수 있다. 투명한 통 속에 톱밥(습도 70% 내외)을 넣고 그 속에 번데기를 보호할 수 있다.
우화한 성충은 산란장에 방사하며, 번데기 기간은 용화 후 15일 경부터 우화하여 20일 전후에 주로 우화하고, 우화율은 88.4±3.2% (번데기 500두 3반복, 보호온도 27±3℃)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사료 수용부(210)에 하루에 2 내지 3회 물을 스프레이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애등에 사료의 특정 장일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 또는 동애등에 사료는 조명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또는 투명한 천장의 건물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동애등에 사료는 유인 배지 또는 사육 배지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장일조건은 14L:10D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산란 유도기(100)에 형성되는 그루브 형상의 홈의 단면이 도시된다. 홈의 단면은 삼각형이 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각형, 오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원형(반원형 포함), 타원형(반타원형 포함) 등이 될 수도 있다. 산란 유도기(100)에 형성되는 그루브 형상의 홈의 지름인 폭(D)은 3 내지 5mm가 될 수 있으며, 홈의 깊이(H)는 7 내지 10mm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수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산란 유도기(100)의 가로(W)는 3 내지 7cm, 세로(L)는 1 내지 5cm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산란 유도기(100)에 형성된 그루브 형상의 홈은 차단막(110)에 의해 구역화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그루브 형상의 홈이 연속되어 이어지지 않고, 소정의 차단막(110)에 의해 공간이 나뉨으로써, 동애등에 성충이 서로 다른 구역에 산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서로 다른 구역을 차별적으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차단막(110)은 그루브 형상의 홈을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차단막(110)은 각 홈마다 서로 다른 간격으로 홈을 구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산란 유도기(100)에 형성된 홈이 벌집 구조로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 최대로 효율적으로 홈을 형성하여 공간 대비 산란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산란 유도기(100)에 형성된 홈이 개방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복수의 홈이 허니컴(honeycomb) 구조로 배열되어 동애등에 성충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알을 낳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산란 유도기(100)에 형성된 홈의 깊이(H)는 7 내지 10mm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홈의 폭(W)은 3 내지 5mm가 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산란 유도기(100)에 형성된 홈(구멍)의 크기는 3 내지 5mm 에서 가장 산란효율이 높았으며, 도 10을 참조하면, 산란 유도기(100)에 형성된 홈의 깊이는 7 내지 10mm가 산란효율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홈을 형성하는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구의 본체(710), 돌출부(715), 손잡이(720)가 도시된다.
홈 형성기는 산란 유도기(100)에 형성된 홈을 형성하는 기구로서, 육각 기둥 형상의 복수의 돌출부(715)가 형성될 수 있다. 산란 유도기(100)가 플라워폼으로 형성되는 경우 홈 형성기의 복수의 돌출부(715)가 평평한 플라워폼을 누르게 함으로써 상술한 허니컴 구조의 홈 배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홈 형성기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산란 유도기(100)를 편리하게 대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동일한 간격 및 동일한 형상의 홈을 가진 산란 유도기(100)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애등에 산란 장치는 산란 유도기(100)에서 산란한 동애등에 성충의 알로부터 발생된 동애등에 번데기를 10도에서 20일 동안 보호하는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애등에 번데기 저온처리 기간별 우화율의 그래프인 도 11을 참조하면, 10도(℃), 암조건에서 번데기를 20일정도(20일 내지 25일) 보호하여 성충 발생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에 투입되는 사료의 입자 크기에 따른 산란 비율로써, 분진상태에서는 다소 떨어지는 산란율을 보이며, 0.1 내지 100mm에서는 88% 이상의 효율적인 산란율을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하우징(200), 사료 수용부(210), 측면 돌출부(220), 측면 홈(230), 사료(240), 동애등에 알(250)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하우징 자체에 상술한 바와 같이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복수의 홈을 형성하기 위해서, 하우징의 측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홈은 주위보다 함입되어 구석진 부분, 예를 들면, 틈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돌출부(220)는 하우징(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200)의 밑면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막대 형상이 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돌출부(220)는 밑면과 수직하거나 또는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면서 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돌출부(220)의 높이는 하우징(200)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동애등애 알(250)에서 부화된 유충이 측면 돌출부(220)를 따라 올라가서 하우징(200)을 넘어가는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측면 돌출부(220) 간에 형성되는 측면 홈(230)의 크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크기가 될 수 있다. 즉, 측면 홈(230)은 깊이가 7 내지 10mm, 개방면의 지름은 3 내지 5mm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홈(230)의 깊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240)의 상면으로부터 측면 돌출부(220)의 상단까지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수치를 적용하기 위하여 하우징(200) 내부에는 사료(240)를 채우는 상한선이 측면에 기재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측면 돌출부(220)는 하우징(200)의 양 사이드에만 결합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하우징(200)의 모든 측면에 측면 돌출부(220)가 형성되거나 또는 하우징(200)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만 측면 돌출부(220)가 형성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에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에 다르면, 본 발명은 측면 돌출부(220)와 측면 홈(230)을 구비하지 않고, 동애등에 사료의 입자 크기를 설정하여 동애등에 성충이 알을 낳을 수 있는 홈을 마련할 수 있다. 즉, 동애등에 성충은 틈새에 알을 낳는 습성이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입자로 형성된 사료를 사용하여 동애등에 성충이 입자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알을 낳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동애등에 사료를 구성하는 입자의 평균 직경은 0.1mm 내지 100mm가 될 수 있다. 동애등에 사육 장치에 제공되는 사료는 유기성 폐기물,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가축이나 애완동물의 사료를 포함하며 0.1 내지 100mm의 평균 직경을 갖는 사료가 될 수 있다. 가축이나 애완동물의 사료 형태는 펠렛, 가루 및 펠렛과 가루의 혼용형태가 될 수 있다. 사료의 분진상태는 사료를 분쇄하였을 때, 직경 0.1㎛ 보다 다소 큰 것에서부터 100㎛정도까지의 크기를 말하며, 사료의 입자로 인해 형성되는 틈새가 거의 없는 상태로써 동애등에의 알이 은폐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또한, 여기서 서술되는 동애등에 사료는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을 유도하기 위한 유인 배지로 사용됨과 동시에 유충의 사료 및 용화/우화를 도울 수 있는 사육 배지로도 사용될 수 있다. 유인 배지는 이후에 사육 배지로 사용될 수도 있고, 별도의 사육 배지를 유인 배지와 같은 산란장에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동애등에 사료는 소정의 습도 유지 수단으로 커버되어 수분의 증발이 억제될 수 있다. 즉, 사료 수용부(210)에 수용된 동애등에 사료를 특정 물질로 덮어서 직사광선 등에 의해 동애등에 사료가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습도 유지 수단은 톱밥, 쌀겨, 볏짚, 지푸라기, 나뭇잎, 나뭇가지 등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습도 유지 수단을 동애등에 사료 위에 고르게 뿌리거나 펴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산란 유도기(100), 하우징(200)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는 그루브 형상의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기(100)가 그루브의 연장 방향이 하우징(200)의 밑면과 수직하도록 하우징(200)에 위치함으로써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산란 유도기(100)는 도 1에 도시된 산란 유도기(100)와 달리 그루브의 연장 방향이 하우징(200)의 밑면과 수직하다.
여기서, 산란 유도기(100)는 하우징(200)에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서와 같이, 산란 유도기(100)는 홈을 형성하기 위해 사료(240)가 수용된 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고, 이후 동애등에 알이 수거되거나 또는 다른 하우징(200)에 산란 유도기(100)를 사용하려고 할 때, 도 16에서와 같이, 산란 유도기(100)를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그루브 형상의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기(100)는 복수의 홈 형성 단위체가 연속적으로 결합된 형상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산란 유도기(100)는 종단면이 'V'자 형상인 홈 형성 단위체가 측면에서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다양한 홈 형성 단위체(101)가 도시된다. 도 17에 도시된 홈 형성 단위체(101)의 종단면은 원이며, 도 17에 도시된 홈 형성 단위체(101)의 종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온도 조건(용화 또는 우화 환경에서 온도는 27±3℃, 동애등에가 성충으로 우화 후 경과일수별 산란 난괴수 조사시 보호온도는 29±5℃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산란장, 사육 배지 및 하우징을 실내(건물 내 또는 비닐하우스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온도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컨디셔너는 온도가 높을 경우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온도 냉각부 및 온도가 낮을 경우 온도를 높일 수 있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컨디셔너는 상술한 온도 조건을 유지하는 장치이므로, 온도 제어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광조건(동애등에 유충 사육시 광조건은 14L:10D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산란장, 사육 배지 및 하우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 제거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탈취된 가스는 하우징, 산란장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악취 제거부는 산란장, 사육 배지 및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여 탈취할 수 있다. 악취 제거부는 악취를 흡입하기 위해서 가스 흡입 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흡입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서 탈취 미생물, 오존, 활성탄, 나프탈렌, 숯, 방향제와 같은 탈취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악취 제거부는 특수파장의 UVX 램프와 로듐은, 구리, 이산화티타늄을 소정 배율로 배합하여 촉매합금금속으로 촉매작용을 최고로 극대화하여 만든 셀로 OH래디칼과 과산화음이온, 산소 음이온 등 각종 정화이온들을 최대로 생성하여 공기중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살균하여 청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는 산란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산란망은 외부 생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80 내지 100 메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산란망은 하우징 전체를 커버하여 외부 생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유리와 같이 투명한 물질로 사육 장치를 커버함으로써 외부 빛은 통과시키고 기타 생물의 침입은 막을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산란망과 유리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동애등에 사육 장치가 내부에 위치한 프레임(예를 들면, 비닐하우스의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가 실내(비닐하우스 포함)에 놓여진 후 별도의 산란망 또는 유리벽으로 둘러싸일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 또는 산란 유도기는 공간 활용을 위하여 다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온도 제어부, 수분 공급부, 악취 제거부, 악취 배출부 등과 같은 각 기능부를 별도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수단은 상술한 온도로 유지시키고, 습도 유지를 위하여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악취 제거 및 배출을 위한 기구를 가동하여 각 기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수단은 각 기능부에 인접 또는 부착되어 각 기능부를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제어실에 구비되어 각 기능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별도의 제어실은 각 제어 수단마다 마련되거나 또는 하나의 제어실에 모든 제어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각 구성 요소는 물리적으로 인접한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각 구성 요소는 인접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여 상술한 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산란 유도기 101 : 홈 형성 단위체
102 : 홈 110 : 차단막
200 : 하우징 210 : 사료 수용부
220 : 측면 돌출부 230 : 측면 홈
240 : 사료 250 : 동애등에 알
710 : 본체 715 : 돌출부
720 : 손잡이

Claims (24)

  1.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투입되는 동애등에 사료를 수용하는 사료 수용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해 깊이가 7 내지 10mm인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기;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밑면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산란 유도기에 형성된 홈은 상기 홈의 개방면의 지름을 폭으로 하는 그루브 형상의 홈이며, 상기 복수의 측면 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측면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유도기에 형성된 홈의 개방면의 지름은 3 내지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형상의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기는 상기 그루브의 연장 방향이 상기 하우징의 밑면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형상의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기는 상기 그루브의 연장 방향이 상기 하우징의 밑면과 수직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밑면과 수직하게 위치한 산란 유도기는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형상의 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기는 복수의 홈 형성 단위체가 연속적으로 결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 형성 단위체의 단면은 다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형상의 홈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 차단막에 의해 구역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유도기는 플라워폼, 목재, 플라스틱 및 종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유도기에서 산란한 동애등에 성충의 알로부터 발생된 동애등에 번데기를 5 내지 10도에서 20일 동안 보호하는 온도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애등에 사료는 유기성 폐기물을 톱밥보다 2배 내지 3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수용부에 하루에 2 내지 3회 물을 스프레이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산란장;
    상기 산란된 알이 유충이 되어 동애등에 성충이 되도록 용화 및 우화시키는 배지가 형성된 사육 배지;
    상기 산란장과 사육 배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온도 제어부;
    상기 산란장과 사육 배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을 스프레이하는 수분 공급부;
    상기 산란장과 사육 배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악취 제거부; 및
    상기 악취 제거부에서 탈취된 가스를 상기 산란장과 사육 배지의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수용부에 수용된 동애등에 사료를 커버하여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습도 유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동애등에 사료는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을 유도하는 유인 배지로 사용되며,
    상기 동애등에 성충의 알로부터 발생한 유충을 사육하기 위한 사육 배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기 동애등에 사료는 동애등에 성충의 산란을 유도하는 유인 배지로 사용된 후 상기 동애등에 성충의 알로부터 발생한 유충을 사육하기 위한 사육 배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외부 생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80 내지 100 메쉬로 형성되는 산란망을 더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애등에 사료의 특정 장일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동애등에 사료는 조명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또는 투명한 천장의 건물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며, 동애등에 성충이 출입가능한 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덮개; 및
    상기 커버 내측에 결합하여 상기 동애등에 성충이 산란하기 위한 복수의 산란홈이 형성된 산란 유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1020100133645A 2010-12-23 2010-12-23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101123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45A KR101123249B1 (ko) 2010-12-23 2010-12-23 동애등에 사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45A KR101123249B1 (ko) 2010-12-23 2010-12-23 동애등에 사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249B1 true KR101123249B1 (ko) 2012-03-20

Family

ID=4614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645A KR101123249B1 (ko) 2010-12-23 2010-12-23 동애등에 사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249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4486A (zh) * 2013-07-20 2013-11-27 福建农林大学 一种粪便处理车间中增加昆虫产卵量的方法
KR101432560B1 (ko) * 2012-10-10 2014-08-22 그린테코 주식회사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WO2014193034A1 (ko) * 2013-05-28 2014-12-04 Park Cheong Il 동애등에 사육 장치
FR3013561A1 (fr) * 2013-11-28 2015-05-29 Pierre Furtos Dispositif pour l'elevage d'insectes volants tels que hermetia illucens
KR101815115B1 (ko) * 2016-07-08 2018-01-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엔토모 동애등에 산란장치
CN107593620A (zh) * 2017-09-30 2018-01-19 河南农业大学 用于黑水虻生长繁殖的生物砖及其制作和使用方法
KR101838201B1 (ko) 2016-03-02 2018-04-27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동애등에 대량생산 시스템
KR20180071568A (ko) * 2016-12-20 2018-06-28 경기도 파리 천적의 인공 산란 유도 방법,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
KR20180117822A (ko) * 2017-04-20 2018-10-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 산란유도장치
KR101946833B1 (ko) * 2018-06-26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산란 시스템
IT201800003261A1 (it) * 2018-03-05 2019-09-05 Kour Energy Srl Dispositivo per la deposizione di uova di ditteri stratiomiidi e un apparato per l’allevamento di ditteri stratiomiidi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KR20210035674A (ko) 2019-09-24 2021-04-0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음식물 폐기물 원점처리 시스템
KR102366860B1 (ko) 2021-05-20 2022-02-23 농업회사법인 라바 바이오팜 주식회사 탈출 방지용 동애등에 유충 사육 상자 및 이를 이용한 대량 사육시스템
KR20220037893A (ko) 2020-09-18 2022-03-25 김현우 곤충 사육 설비
WO2022069391A1 (en) * 2020-09-30 2022-04-07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Modular system and process for individualized accommodation, feeding and monitoring of arthrop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294A (ko) * 2008-10-14 2010-04-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의 인공 산란 유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동애등에의 인공 우화 유도 장치 및 인공 생육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294A (ko) * 2008-10-14 2010-04-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의 인공 산란 유도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동애등에의 인공 우화 유도 장치 및 인공 생육 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560B1 (ko) * 2012-10-10 2014-08-22 그린테코 주식회사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WO2014193034A1 (ko) * 2013-05-28 2014-12-04 Park Cheong Il 동애등에 사육 장치
CN103404486A (zh) * 2013-07-20 2013-11-27 福建农林大学 一种粪便处理车间中增加昆虫产卵量的方法
FR3013561A1 (fr) * 2013-11-28 2015-05-29 Pierre Furtos Dispositif pour l'elevage d'insectes volants tels que hermetia illucens
KR101838201B1 (ko) 2016-03-02 2018-04-27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동애등에 대량생산 시스템
KR101815115B1 (ko) * 2016-07-08 2018-01-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엔토모 동애등에 산란장치
KR102017253B1 (ko) * 2016-12-20 2019-09-03 경기도 파리 천적의 인공 산란 유도 방법,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
KR20180071568A (ko) * 2016-12-20 2018-06-28 경기도 파리 천적의 인공 산란 유도 방법, 사육 방법 및 사육 장치
KR20180117822A (ko) * 2017-04-20 2018-10-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동애등에 산란유도장치
KR101980790B1 (ko) * 2017-04-20 2019-05-22 대한민국 동애등에 산란유도장치
CN107593620A (zh) * 2017-09-30 2018-01-19 河南农业大学 用于黑水虻生长繁殖的生物砖及其制作和使用方法
CN107593620B (zh) * 2017-09-30 2024-03-22 河南农业大学 用于黑水虻生长繁殖的生物砖及其制作和使用方法
IT201800003261A1 (it) * 2018-03-05 2019-09-05 Kour Energy Srl Dispositivo per la deposizione di uova di ditteri stratiomiidi e un apparato per l’allevamento di ditteri stratiomiidi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KR101946833B1 (ko) * 2018-06-26 2019-02-13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유용곤충 산란 시스템
KR20210035674A (ko) 2019-09-24 2021-04-0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음식물 폐기물 원점처리 시스템
KR20220037893A (ko) 2020-09-18 2022-03-25 김현우 곤충 사육 설비
WO2022069391A1 (en) * 2020-09-30 2022-04-07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Modular system and process for individualized accommodation, feeding and monitoring of arthropods
KR102366860B1 (ko) 2021-05-20 2022-02-23 농업회사법인 라바 바이오팜 주식회사 탈출 방지용 동애등에 유충 사육 상자 및 이를 이용한 대량 사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249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101003312B1 (ko) 동애등에 생산 방법
ES2646596T3 (es) Sistemas de confinamiento para proporcionar un hábitat reproductivo para la hermetia illucens
KR101838201B1 (ko) 동애등에 대량생산 시스템
US10080350B2 (en) Swiftlets farming for production of edible bird's nests
KR100952085B1 (ko) 동애등에 사육장치
US9844223B2 (en) Hermetia illucens frass production and use in plant nutrition and pest management
KR101003089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회전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및 그 방법
KR100524413B1 (ko) 파리성충 사육장치, 이를 포함하는 파리기생천적의 대량사육 시스템, 상기 파리기생천적을 포함하는 파리기생천적방사용기 및 이를 이용한 파리 방제방법
KR102013244B1 (ko) 곤충의 대량 사육 모듈화 시스템
CN105746441B (zh) 半水生萤火虫的室内规模化人工养殖方法
KR102099630B1 (ko) 동애등에 산란시설물
CN107494412B (zh) 一种生物杀灭蚊虫动物养殖网箱
de Vosjoli Designing environments for captive amphibians and reptiles
KR200319123Y1 (ko) 파리성충 사육장치, 이를 포함하는 파리기생천적의 대량사육 시스템 및 상기 파리기생천적을 포함하는파리기생천적 방사용기
McFadden et al. Enclosure design
KR20230061067A (ko) 동애등에 산란틀 및 이를 이용한 산란유도장치
KR20230010431A (ko) 동애등에 산란장치
Fanatico Poultry house management for alternative production
JP2001087743A (ja) 生ゴミ処理装置及び生ゴミ処理方法
KR20220062442A (ko) 가축의 사육시설이나 식물 재배시설에 이용되는 난방장치 및 그 이용방법
CN117502383A (zh) 一种陆生萤火虫三叶虫萤的室内规模化人工养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