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903A -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903A
KR20100002903A KR1020080062958A KR20080062958A KR20100002903A KR 20100002903 A KR20100002903 A KR 20100002903A KR 1020080062958 A KR1020080062958 A KR 1020080062958A KR 20080062958 A KR20080062958 A KR 20080062958A KR 20100002903 A KR20100002903 A KR 20100002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ol
optical fiber
resin composition
hexafluoro
prop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3002B1 (ko
Inventor
윤정우
곽승조
단철호
이지혜
김상환
민경범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002B1/ko
Priority to PCT/KR2009/003550 priority patent/WO2010002175A2/en
Publication of KR2010000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5Light guides
    • G02B1/048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cladding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양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함유하는 광중합형 올리고머, (b) 양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함유하는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 및 한쪽 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함유하는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B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중합형 모노머 및 (c)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은 굴절율이 낮아 높은 개구수 구현이 가능하고, 자외선 경화 후 높은 강도를 나타내어 외부 충격에도 강하여 유리 또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클래딩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RESIN COMPOSITION FOR CLADDING LAYER OF OPTICAL FIBER}
본 발명은 굴절율이 낮아 높은 개구수 구현이 가능하고, 자외선 경화 후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외선 경화형 불소수지를 이용한 코팅방법이 열경화형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반응시간이 짧고,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경화시 높은 온도를 요구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장치 및 설비를 간소화 할 수 있는 등 생산성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광섬유는 그 응용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고투과율을 갖는 코어(core)부와 상기 코어부 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클래딩(cladding)부로 이루어지며, 빛을 전송시킨다. 옥내용 광섬유 및 단거리용 특수 광섬유에 있어서, 디자인이 특수한 경우, 예를 들면 코어부의 직경이 두꺼운 경우에 섬유의 유연성을 위하여 상기 클래딩부를 유리가 아닌 고분자로 대체하는 기술이 수행되고 있으며, 또한 클래딩층의 외측으로 제2클래딩층을 형성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이때 빛의 바람직한 전송을 위하여, 상기 클래딩층보다 굴절율이 더 낮은 제2클래딩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분자가 요구된다.
이에, 낮은 굴절율을 구현하기 위한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558,082호 및 제4,663,185호에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고분자 수지가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 특허 제4,469,724호에는 광경화형 사슬(chain)내에 고리(ring)구조를 포함시킴으로써 모듈러스(modulus)를 향상시킨 시스(cis) 또는 트랜스(trans) 불소화 아크릴레이드 및 열경화형 시스 또는 트랜스 불소화 에폭시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4,508,916호에는 광경화형 과불소화된(perfluorinated) 아크릴레이트 수지가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4,617,350호에는 광섬유를 포함한 광학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굴절율이 1.37 내지 1.48의 범위인 열가소성 수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클래딩용 수지는 저굴절율을 나타내어 높은 개구수를 구현할 수 있지만, 강도가 낮아 작은 외부의 충격에도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단점을 가져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절율이 낮아 높은 개구수 구현이 가능하고, 자외선 경화 후 높은 강도를 나타내어 외부 충격에도 강한,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 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a)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형 올리고머, (b)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 및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B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중합형 모노머 및 (c)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47282320-PAT00001
Figure 112008047282320-PAT00002
Figure 112008047282320-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CH2O 또는 -CH2(OCH2CH2)aO-이고, 이때 a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R2는 탄소수가 6 내지 20인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고,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인 메타(아크릴레이트)기이고,
R4는 탄소수가 2 내지 20인 탄화수소 또는 탄화불소기이고,
l은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서, 1 내지 6이고,
m은 1 내지 5이고,
n은 2 내지 6이며, 이때 n=m + 1이고,
p는 2 내지 20이고,
p/q는 0.8 내지 2.5의 범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은 굴절율이 낮아 높은 개구수 구현이 가능하고, 자외선 경화 후 높은 강도를 나타내어 외부 충격에도 강하여 유리 또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클래딩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은 (a) 양말단에 이관능기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도입한 화학식 1의 광중합형 올리고머 및 (b) 양말단에 이관능기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도입한 화학식 2의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 및 한쪽 말단에 이관능기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도입한 화학식 3의 구조 를 갖는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B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중합형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R1은 -CH2(OCH2CH2)aO-이고, 이때 a는 1 내지 3 의 정수이고, R4는 탄소수가 2 내지 10인 탄화수소 또는 탄화불소기이다.
이하에서는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a) 광중합형 올리고머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중합형 올리고머(a)는 (i)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 (ii)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iii)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iv) 축중합 촉매 및 (v) 중합금지제로 합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i)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ii)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몰비는 1:0.3 내지 1:2.2이고, (i)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iii)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몰비는 0.3:1 내지 10: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v) 축중합 촉매 및 (v) 중합금지제는 효과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형 올리고머(a)를 구성하는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i)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는 반복단위로서 -CF2CF2- 또는 -CF2CF2O-를 포함하며, 이의 바람직한 예로는 1H,1H,9H-헥사데카플루오로노난올(1H,1H,9H-hexadecafluorononanol), 헥사플루오로-2-메틸이소프로판올(hexafluoro-2-methyl-isopropanol),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1,1,1,3,3,3-hexafluoro-2-propanol), 헥사플루오로-2-(p-톨일)이소프로판올(hexafluoro-2-(p-tolyl)isopro-panol), 4,5,5,6,6,6-헥사플루오로-4-(트라이메틸)-1-헥산올(4,5,5,6,6,6-hexa fluoro4-(trimethyl)-1-hexanol), 4,5,5,6,6,6-헥사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2-헥센-1-올(4,5,5,6,6,6-hexafluoro-4-(trifluoromethyl)-2-hexene-1-ol), 3,3,4,4,5,5,6,6-옥타플루오로-1,6-헥산다이올(3,3,4,4,5,5,6,6-octafluoro-1,6-hexanediol), 1H,1H,5H-옥타플루오로-1-펜탄올(1H,1H,5H-octa-fluoro-1-pentanol), 1H,1H-펜타데카플루오로-1-옥탄올(1H,1H-pentadecafluoro-1-octanol), 2,3,4,5,6-펜타플루오로벤질 알코올(2,3,4,5,6-pentafluorobenzyl alcohol), 펜타플루오로부탄올-2(pentafluorobutanol-2), 4,4,5,5,5-펜타플루오로펜탄올(4,4,5,5,5-pentafluoropentanol), 펜타플루오로프로피온알데하이드 하이드레이트(pentafluoropropionaldehyde hydrate)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며, 이의 상업적으로 수득가능한 것으로는 Z-Dol(솔베이 솔렉시스(Solvay Solexis)사), Z-Dol TX(솔베이 솔렉시스사), 플루오로링크(Fluorolink) D(솔베이 솔렉시스사), 플루오로링크 D10/H(솔베이 솔렉시스사), 플루오로링크 D10(솔베이 솔렉시스사), 플루오로링크 T, 플루오로링크 T10(솔베이 솔렉시스사), 플루오로링크 E(솔베이 솔렉 시스사), 플루오로링크 E10/H(솔베이 솔렉시스사), 플루오로링크 E10(솔베이 솔렉시스사), 조닐(Zonyl) TA-L(듀폰(Dupont)사) 및 조닐 TA-N(듀폰사) 등이 있다.
(ii)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2,4-톨리엔다이이소시아네이트(2,4-tolyenediisocyanate), 2,6-톨리엔다이이소시아네이트(2,6-tolyenediisocyanate), 1,3-자일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1,3-xylenediisocyanate), 1,4-자일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1,4-xylenediisocyanate), 1,5-나프탈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1,5-naphthalenediisocyanate), 1,6-헥산다이이소시아네이트(1,6-hexanediisocyanate), 이소포론다이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iii)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2-이소시아네이토에틸 메타크릴레이트(2-isocyanatoethyl metacrylate), 2-(2-이소시아네이토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2-isocyanatoethyoxy)ethyl methacrylate), 2-이소시아테이토에틸 아크릴레이트(2-isocyanatorethyl acrylate), 1,1-비스(아크릴로일록시메틸)에틸 이소시아네이트(1,1-bis(acryloyloxymethyl)ethyl isocyanate)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며, 이의 상업적으로 수득가능한 것으로는 Karenz MOI(쇼와 덴코(Showa Denko)사), Karenz MOI-EG(쇼와 덴코사), Karenz AOI(쇼와 덴코사) 및 Karenz BEI(쇼와 덴코사) 등이 있다.
(iv) 축중합 촉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축중합 촉매는 우레탄 반응 중에 소량 첨가되는 촉매로서, 이의 바람직한 예로는 구리 나프티네이트(copper naphthenate), 코발트 나프티네이트(cobalt naphthenate), 아연 나프테이트(zinc naphthate), n-다이부틸틴디라우레이트(n-dibutyltindilaurate), 트라이스틸아민(tristhylamine), 2-메틸트라이에틸렌다이아마이드(2-methyltriethylenediamide)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v) 중합금지제
중합금지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hydroquinonmonomethyl ether), 파라-벤조퀴논(para-benzoquinon), 페노티아진(phenotiazin)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형 올리고머(a)는 각각의 성분들로부터 다음과 같이 합성될 수 있다: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i)와 중합금지제(v)를 반응기에 넣고 760 mmHg 이하로 예를 들어, 10 분 내지 1 시간 동안 감압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수분이 제거된 혼합물을 40 내지 65 ℃로 유지시킨 후 상기 혼합물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ii)를 가하여 200 내지 3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축중합 촉매(iv)를 사용되는 총 촉매(iv)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가한다. 발열 종료 후 50 내지 85 ℃로 유지하여 2 내지 3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종료 후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iii)를 가하고, 발열 종료 후 60 내지 90 ℃로 승온하여 나머지 촉매를 가하여 IR 상에 -NCO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켜 광중합형 올리고머(a)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중합형 올리고머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성분들을 예를 들어 탄소수 4 내지 12인 탄화수소 또는 탄화불소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 아크릴레이트(예: 퍼플루오로옥틸에틸 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옥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모노머 또는 케톤,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카보네이트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희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말단에 이관능기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도입한 화학식 1의 광중합형 올리고머는 저굴절율로 인해 개구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광중합형 올리고머는 25℃에서의 점도가 1,000 cPs 내지 10,000,000 cPs, 바람직하게는 4,000 cPs 내지 50,000 cPs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DV III+))이고 굴절율이 1.4 이하, 바람직하게는 1.32 내지 1.39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형 올리고머의 함량은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20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b) 광중합형 모노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중합형 모노머는 화학식 2의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 및 화학식 3의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B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시컨트 모듈러스(secant modulus)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는 (i)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 (ii)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iii) 축중합 촉매 및 (iv) 중합금지제로부터 합성될 수 있으며, 합성 방법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광중합형 올리고머(a)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i)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ii)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몰비는 1:0.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ii) 축중합 촉매 및 (iv) 중합금지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는 25℃에서의 점도가 100 cPs 내지 10,000 cPs(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DV III+))이고, 굴절율이 1.43 이하, 바람직하게는 1.31 내지 1.42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B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B는 (i) 불소계 알코올, (ii)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iii) 축중합 촉매 및 (iv) 중합금지제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이때, (i) 불소계 알코올:(ii)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몰비는 1:0.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ii) 축중합 촉매 및 (iv) 중합금지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불소계 알코올 100 중량 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1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불소계 알코올은 2,2,2-트라이플루오로 에탄올(2,2,2-trifluoro ethanol), 2-플루오로 에탄올(2-fluoro ethanol),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1,1,1,3,3,3-hexafluoro-2-propanol), 2,2,3,3,3-펜타플루오로-1-프로판올(2,2,3,3,3-pentafluoro-1-propanol), 2,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판올(2,2,3,3-tetrafluoro-1-propanol), 1,1,1-트라이플루오로-2-프로판올(1,1,1-trifluoro-2-propanol), 1,3-다이플루오로-2-프로판올(1,3-difluoro-2-propanol), 퍼플루오로-3차-부틸알코올(perfluoro-tert-butyl alcohol), 1,1,1,3,3,4,4,4-옥타플루오로-2-부탄올(1,1,1,3,3,4,4,4-octafluoro-2-butanol), 2,2,3,3,4,4,4-헵타플루오로-1-부탄올(2,2,3,3,4,4,4-heptafluoro-1-butanol), 2,2,3,4,4,4-헥사플루오로-1-부탄올(2,2,3,4,4,4-hexafluoro-1-butanol), 1,1,1,3,3,3-헥사플루오로-2-메틸-프로판올(1,1,1,3,3,3-hexafluoro-2-methyl-propanol), 2-트라이플루오로메틸- 2-프로판올(2-trifluoromethyl-2-propanol), 2,2,3,3,4,4,5,5,-옥타플루오로-1-펜탄올(2,2,3,3,4,4,5,5-octafluoro-1-pentanol), 4,4,5,5,5-펜타플루오로-1-펜탄올(4,4,5,5,5-pentafluoro-1-pentanol), 펜타플루오로 페놀(pentafluoro phenol), 2,3,5,6-테트라플루오로 페놀(2,3,5,6-tetrafluoro phenol), 2,3,4-트라이플루오로 페놀(2,3,4-trifluoro phenol), 2,3,5-트라이플루오로 페놀(2,3,5-trifluoro phenol), 2,3,6-트라이플루오로 페놀(2,3,6-trifluoro phenol), 2,3-다이플루오로 페놀(2,3-difuloro phenol), 2,4-다이플루오로 페놀(2,4-difuloro phenol), 2,5-다이플루오로 페놀(2,5-difuloro phenol), 2,6-다이플루오로 페놀(2,6-difuloro phenol), 3,4-다이플루오로 페놀(3,4-difuloro phenol), 3,5-다이플루오로 페놀(3,5-difuloro phenol), 2-플루오로 페놀(2-fluoro phenol), 3-플루오로 페놀(3-fluoro phenol), 4-플루오로 페놀(4-fluoro phenol), 3,3,4,4,5,5,6,6,6-노나플루오로-1-헥산올(3,3,4,4,5,5,6,6,6-nonafluoro-1-hexanol), 2-플루오로-3-(트라이플루오로메틸) 페놀(2-fluoro-3-(trifluoromethyl) phenol), 2-플루오로-5-(트라이플루오로메틸) 페놀(2-fluoro-5-(trifluoromethyl) phenol), 2,3,4,5-테트라플루오로벤질 알코올(2,3,4,5-tetrafluorobenzyl alcohol), 2,3,6-트라이플루오로벤질 알코올(2,3,6-trifluorobenzyl alcohol), 2,4,5-트라이플루오로벤질 알코올(2,4,5-trifluorobenzyl alcohol), 3,4,5-트라이플루오로벤질 알코올(3,4,5-trifluorobenzyl alcohol), α,α,α-트라이플루오로-o-크레졸(α,α,α-trifluoro-o-cresol), α,α,α-트라이플루오로-m-크레졸(α,α,α-trifluoro-m-cresol), α,α,α-트라이플루오로-p-크레졸(α,α,α-trifluoro-p-cresol), 3-(트 라이플루오로메톡시) 페놀(3-(trifluoromethoxy) phenol), 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 페놀(4-(trifluoromethoxy) phenol), 4,4,5,5,6,6,7,7,7-노나플루오로-1-헵타놀(4,4,5,5,6,6,7,7,7-nonafluoro-1-heptanol), 2,2,3,3,4,4,5,5,6,6,7,7,8,8,8-펜타데카플루오로-1-옥탄올(2,2,3,3,4,4,5,5,6,6,7,7,8,8,8-pnetadecafluoro-1-octanol), 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놀(3,5-bis(trifluoromethyl) phenol), 2-플루오로-3-(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 알코올(2-fluoro-3-(trifluoromethyl)benzyl alcohol), 2-플루오로-6-(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 알코올(2-fluoro-6-(trifluoromethyl)benzyl alcohol), 2,2,3,3,4,4,5,5,6,6,7,7,8,8,9,9,9-헵타-데카플루오로-1-노나놀(2,2,3,3,4,4,5,5,6,6,7,7,8,8,9,9,9-hepta-decafluoro-1-nonanol) 및 2,2,3,3,4,4,5,5,6,6,7,7,8,8,9,9-헥사데카플루오로-1-노나놀(2,2,3,3,4,4,5,5,6,6,7,7,8,8,9,9-hexadecafluoro-1-nonanol) 등이 있다.
상기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B는 각각의 성분들로부터 다음과 같이 합성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알코올을 반응기에 넣은 후 760 mmHg 이하로 10 분 내지 1시간정도 감압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수분이 제거된 혼합물을 40 내지 65 ℃로 유지시킨 후 상기 혼합물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가하여 200 내지 3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축중합 촉매를 사용되는 총 촉매를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가한다. 발열 종료 후 50 내지 90 ℃로 유지하여 나머지 촉매를 가하여 IR 상에 -NCO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켜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B 타입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B는 25℃에서의 점도가 100 cPs 내지 10,000 cPs(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DV III+))이고 굴절률이 1.45 이하,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44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은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 또는 B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중합형 모노머를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 내지 79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은 상기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 또는 B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노머, 예를 들면 2,2,2-트리플루오로에틸 아크릴레이트(2,2,2-trifluoroethyl acrylate), 2,2,2-트리플루오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2,2,2-trifluoroethyl methacrylate),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아크릴레이트(2,2,3,3,3-pentafluoropropyl acrylate), 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2,2,3,3,3-pentafluoropropyl methacrylate),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아크릴레이트(2-(perfluorobytyl)ethyl acrylate),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2-(perfluorobytyl)ethyl methacrylate), 3-(퍼플루오로부틸)-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3-(perfluorobytyl)-2-hydroxypropyl acrylate), 3-(퍼플루오로부틸)-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3-(perfluorobytyl)-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퍼플루오로헥실)에틸 아크릴레이트(2-(perfluorohexyl)ethyl acrylate), 2-(퍼플루오로헥실)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2-(perfluorohexyl)ethyl methacrylate), 3-퍼플루오로헥실-2-하이트록시프로 필 아크릴레이트(3-perfluorohexyl-2-hydroxypropyl acrylate), 3-퍼플루오로헥실-2-하이트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3-perfluorohexyl-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퍼플루오로옥틸)에틸 아크릴레이트(2-(perfluorooctyl)ethyl acrylate), 2-(퍼플루오로옥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2-(perfluorooctyl)ethyl methacrylate), 3-퍼플루오로옥틸-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3-perfluorooctyl-2-hydroxypropyl acrylate), 3-퍼플루오로옥틸-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3-perfluorooctyl-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퍼플루오로데실)에틸 아크릴레이트(2-(perfluorodecyl)ethyl acrylate), 2-(퍼플루오로데실)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2-(perfluorodecyl)ethyl methacrylate), 2-(퍼플루오로-3-메틸부틸)에틸 아크릴레이트(2-perfluoro-3-methylbutyl)ethyl acrylate), 2-(퍼플루오로-3-메틸부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2-perfluoro-3-methylbutyl)ethyl methacrylate), 3-(퍼플루오로-3-메틸부틸)-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3-(perfluoro-3-methylbutyl)-2-hydroxypropyl acrylate), 3-(퍼플루오로-3-메틸부틸)-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3-(perfluoro-3-methylbutyl)-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퍼플루오로-5-메틸헥실)에틸 아크릴레이트(2-(perfluoro-5-methylhexyl)ethyl acrylate), 2-(퍼플루오로-5-메틸헥실)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2-(perfluoro-5-methylhexyl)ethyl methacrylate), 3-(퍼플루오로-5-메틸헥실)-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3-perfluoro-5-methylhexyl)-2-hydroxypropyl acrylate), 3-(퍼플루오로-5-메틸헥실)-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3-perfluoro-5-methylhexyl)-2-hydroxypropyl methacrylate), 2-(퍼플 루오로-7-메틸옥틸)에틸 아크릴레이트(2-perfluoro-7-methyloctyl)ethyl acrylate), 2-(퍼플루오로-7-메틸옥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2-perfluoro-7-methyloctyl)ethyl methacrylate), 3-(퍼플루오로-7-메틸옥틸)-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3-perfluoro-7-methyloctyl)-2-hydroxypropyl acrylate), 3-퍼플루오로-7-메틸옥틸)-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3-perfluoro-7-methyloctyl)-2-hydroxypropyl methacrylate), 1H,1H,3H-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아크릴레이트(1H,1H,3H-tetrafluoropropyl acrylate), 1H,1H,3H-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1H,1H,3H-tetrafluoropropyl methacrylate), 1H,1H,5H-옥타플루오로펜틸 아크릴레이트(1H,1H,5H-octafluoropentyl acrylate), 1H,1H,5H-옥타플루오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1H,1H,5H-octafluoropentyl methacrylate), 1H,1H,7H-도데카플루오로헵틸 아크릴레이트(1H,1H,7H-dodecafluoroheptyl acrylate), 1H,1H,7H-도데카플루오로헵틸 메타아크릴레이트(1H,1H,7H-dodecafluoroheptyl methacrylate), 1H,1H,9H-헥사데카플루오로노닐 아크릴레이트(1H,1H,9H-hexadecafluorononyl acrylate), 1H,1H,9H-헥사데카플루오로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1H,1H,9H-hexadecafluorononyl methacrylate), 1H-1-(트리플루오로메틸)트리플루오로에틸 아크릴레이트(1H-1-(trifluoromethyl)trifluoroethyl acrylate), 1H-1-(트리플루오로메틸)트리플루오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1H-1-(trifluoromethyl)trifluoroethyl methacrylate), 1H,1H,3H-헥사플루오로부틸 아크릴레이트(1H,1H,3H-hexafluorobutyl acrylate), 1H,1H,3H-헥사플루오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1H,1H,3H-hexafluorobutyl methacrylate) 등의 불소계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c) 광개시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개시제는 통상의 물질,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습득가능한 시바가이기(Ciba Geigy)사의 이가큐어(Irgacure) #184(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hydroxycyclohexylketone)),이가큐어 #907(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2-methyl-1[4-(methylthio)phenyl]-2-morpholino-propan-1-on)),이가큐어 #500(히드록시케톤과 벤조페논(hydroxy-ketones and benzophenone)),이가큐어 #651(벤질메틸케톤(benzildimethyl-ketone)),Darocure#1173(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다로큐어(Darocure) CGI#1800(비스 아실포스핀옥사이드(bisacyl phosphine oxide)) 및 CGI#1700(비스아실포스핀옥사이드와벤조페논(bisacyl phosphine oxide and hydroxy ket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d) 기타 첨가제
또한, 본 발명의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에는, 상술한 성분들 이외에도, 열적 및 산화 안정성, 저장안정성, 표면특성, 유동 특성 및 공정 특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레벨링제, 슬립제, 안정화제 또는 산화방지제 등의 통 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벨링제로는 도우-코닝(Dow-Corning)사의 DC-190 및 Tego사의 2100, 2200, 2300 등, 슬립제로는 도우-코닝사의 DC-56, 57, 안정화제로는 디에틸에탄올아민과 트리헥실아민과 같은 제 3아민, 힌더드 아민, 유기 인산염, 힌더드 페놀, 이들의 혼합물, 산화 방제제로는 예를 들어 3,5-다이-터셔리-4-부틸하이드록시 톨루엔(3,5-di-tertiary-4-butylhydroxy toluene; BH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광중합형 올리고머(a), 광중합형 모노머(b), 광개시제(c) 및 기타 첨가제(d)를 반응기에 부가하고, 15 내지 50℃의 온도, 60 %이하의 습도에서 분산 임펠라를 사용하여 1000 rpm이상의 균일한 속도로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 반응 온도가 15℃미만일 경우에는 올리고머(A)의 점도가 상승하여 공정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온도가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광개시제(c)가 라디칼을 형성하여 경화 반응을 일으킨다. 반응습도가 6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생성된 수지 조성물이 이어지는 코팅 공정중에 기포를 발생시키고, 미반응 물질이 공기중의 수분과 반응하는 부반응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교반 속도가 1,000 rpm 미만이면 배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수지 조성물은 굴절율이 낮아 높은 개구수 구현이 가능하 고, 자외선 경화 후 높은 강도를 나타내어 외부 충격에도 강하여 유리 또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클래딩부의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또는 감마선의 전송; 자연광원 및 인공광원을 비롯한 광원으로부터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 및 고용량(high power) 레이저 전송분야, 의학 분야, 광 디바이스(device) 또는 광센서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내지 4: 광중합형 올리고머(a)의 제조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몰비에 따라 아래와 같이 합성할 수 있다.
제조예 1
1L 플라스크에 플루오로링크 E(솔베이 솔렉시스사) 260 g 투입하고 60℃로 승온한 후 n-다이부틸틴라우릴레이트(DBTL) 0.1 g을 첨가하고 이소포론다이이소시아네이트(IPDI) 13 g(플루오로링크 E:IPDI 몰비 = 2:1)을 적하시켰다. 발열이 끝 난 후 80 내지 90 ℃로 유지하여 FT-IR상의 NCO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켰다. 여기에 퍼플루오로옥틸에틸 아크릴레이트 불소모노머 100 g과 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 0.1 g을 투입시키고 85℃를 유지시킨 후 1,1-비스(아크릴로일록시메틸)에틸 이소시아네이트 28 g을 적하시켰다. 발열이 종료되면 80 내지 90 ℃로 유지하여 FT-IR상의 NCO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켰다.
제조예 2
플루오로링크 E : IPDI의 몰비를 3:2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제조예 2-1
플루오로링크 E : IPDI의 몰비를 3:2로 사용하고, 퍼플루오로옥틸에틸 아크릴레이트 불소모노머 대신 퍼플루오로옥틸에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제조예 3
플루오로링크 E : IPDI의 몰비를 4:3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제조예 4
플루오로링크 E : IPDI의 몰비를 5:4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제조예 5 :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의 제조
1L 플라스크에 1H,1H,5H-옥타플루오로-1-펜탄올 92 g을 투입하고 60℃로 승온한 후 n-다이부틸틴라우릴레이트(DBTL) 0.05 g을 첨가하고 1,1-비스(아크릴로일록시메틸)에틸 이소시아네이트 109 g을 적하시켰다. 발열이 끝난 후 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 0.05 g을 투입하고, 60 내지 80 ℃로 유지하여 FT-IR상의 NCO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켰다.
제조예 6 :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B의 제조
1L 플라스크에 플루오로링크 D10/H(솔베이 솔렉시스사) 150 g을 투입하고 60℃로 승온한 후 n-다이부틸틴라우릴레이트(DBTL) 0.1 g을 첨가하고 1,1-비스(아크릴로일록시메틸)에틸 이소시아네이트 51 g을 적하시켰다. 발열이 끝난 후 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 0.1 g을 투입하고, 80 내지 90 ℃로 유지하여 FT-IR상의 NCO 피크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켰다.
실시예 1 내지 6 :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72 중량%,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모노머 타입 A 10 중량%, 퍼플루오로옥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2.8 중량%, TMPTA 3 중량%, 이가큐어(Irgacure) #184(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Ciba Special Chemicals)) 2 중량% 및 첨가제(3,5-다이-터셔리-4-부틸하이드록시 톨루엔(3,5-di-tertiary-4-butylhydroxy toluene; BHT) 0.2 중량%를 첨가하여 자외선 경화성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72 중량%, 제조예 5에서 모노머 타입 A 25.8 중량%, 이가큐어 #184 2 중량% 및 첨가제(BHT) 0.2 중량%를 첨가하여 자외선 경화성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72 중량%,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모노머 타입 A 22.8 중량%,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3 중량%, 이가큐어 #184 2 중량% 및 첨가제(BHT) 0.2 중량%를 첨가하여 자외선 경화성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72 중량%, 제조예 5에서 모노머 타입 A 15.8 중량%, 제조예 6에서 모노머 타입 B 10 중량%, 이가큐어 #184 2 중량% 및 첨가제(BHT) 0.2 중량%를 첨가하여 자외선 경화성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제조예 2-1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72 중량%,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모노머 타입 A 19.8 중량%, 제조예 6에서 제조한 모노머 타입 B 6 중량%, 이가큐어 #184 2 중량% 및 첨가제(BHT) 0.2 중량%를 첨가하여 자외선 경화성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제조예 2-1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76 중량%,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모노머 타입 A 16.8 중량%, 제조예 6에서 제조한 모노머 타입 B 5 중량%, 이가큐어 #184 2 중량% 및 첨가제(BHT) 0.2 중량%를 첨가하여 자외선 경화성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72 중량%, 퍼플루오로옥틸에틸 아크릴레이트 22.8 중량%, TMPTA 3 중량%, 이가큐어 #184 2 중량% 및 첨가제(BHT) 0.2 중량%를 첨가하여 자외선 경화성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72 중량%, 퍼플루오로옥틸에틸 아크릴레이트 22.8 중량%, TMPTA 3 중량%, 이가큐어 #184 2 중량% 및 첨가제(BHT) 0.2 중량%를 첨가하여 자외선 경화성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72 중량%, 퍼플루오로옥틸에틸 아크릴레이트 22.8 중량%, TMPTA 3 중량%, 이가큐어 #184 2 중량% 및 첨가제(BHT) 0.2 중량%를 첨가하여 자외선 경화성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올리고머 72 중량%, 퍼플루오로옥틸에틸 아크릴레이트 22.8 중량%, TMPTA 3 중량%, 이가큐어 #184 2 중량%, 첨가제(BHT) 0.2 중량%를 첨가하여 자외선 경화성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의 물성 평가
a) 굴절율
아베(Abber) 굴절계 ATAGO 3T를 이용하여 25℃에서 589 nm에서의 굴절율을 측정하였다.
b) 점도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DV III+)를 이용하여 스핀들 31번을 이용하여 토크 50 내지 90 %범위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c) 경화 후 굴절율
실리콘 웨이퍼를 스핀 코터위에 고정한 후 상기 수지 조성물을 떨어뜨리고, 약 5000 rpm 30초 조건으로 스핀코팅하여 10 ㎛ 두께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 시편을 이용하여 퓨전(Fusion)사의 300 W D-bulb를 이용하여 25 J/cm2의 광량을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이 시편을 새론(Sairon)사의 프리즘 커플러(Prism Coupler) SPA 4000의 프리즘에 고정시키고 접점을 찾아 632.8, 852, 1550 nm 레이저 광원과 일치시킨 후, -5 도부터 5도까지 회전시키면서 스캔하여 경화 후 굴절율을 측정하였다.
d) 2.5% 시컨트 모듈러스(secant modulus)
유리판위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바르고, 바코터를 7 mil두께로 고정한 후 밀어서 퓨전사의 600 W D-bulb를 이용하여 25 J/cm2의 광량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100 ㎛ 두께의 필름을 제작하였다. 경화된 조성물의 필름을 유리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전용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폭 13mm로 자른 후 인스트론(Instron)사 의 4443 UTM을 이용하여 2.5% 시컨트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1
제조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광중합형 올리고머와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 및 타입 B의 굴절율 및 점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47282320-PAT00004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4의 플루오로링크 E와 IPDI의 몰비에 따른 분자량으로 인해 점도는 증가하고 굴절율은 감소하였다. 하지만, 점도 증가 비율에 비해 굴절율이 크게 감소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의 성분에 따른 굴절율, 점도 및 시컨트 모듈러스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47282320-PAT00005
시험예 3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5 또는 6에서 제조한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의 파장에 따른 굴절율 및 개구수를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47282320-PAT00006
시험예 4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의 성분에 따른 굴절율, 점도 및 시컨트 모듈러스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47282320-PAT00007
상기 표 2 내지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광중합형 올리고머 및 제조예 5 또는 6에서 제조한 광중합형 모노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은 굴절율이 낮아 높은 개구수를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2.5% 시컨트 모듈러스도 25 MPa 이상으로 월등히 우수하였다. 이에 반해, 제조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화학식 1의 광중합형 올리고머를 함유하나 통상적인 광중합형 모노머를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4의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은 굴절율이 낮아 높은 개구수를 구현할 수는 있으나, 2.5% 시컨트 모듈러스가 본 발명에 비해 월등히 낮았다.

Claims (19)

  1. (a)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형 올리고머, (b)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 및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B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중합형 모노머 및 (c)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47282320-PAT00008
    화학식 2
    Figure 112008047282320-PAT00009
    화학식 3
    Figure 112008047282320-PAT00010
    상기 식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CH2O 또는 -CH2(OCH2CH2)aO-이고, 이때 a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R2는 탄소수가 6 내지 20인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고,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인 메타(아크릴레이트)기이고,
    R4는 탄소수가 2 내지 20인 탄화수소 또는 탄화불소기이고,
    l은 화학식 1의 반복단위로서, 1 내지 6이고,
    m은 1 내지 5이고,
    n은 2 내지 6이며, 이때 n=m + 1이고,
    p는 2 내지 20이고,
    p/q는 0.8 내지 2.5의 범위를 갖는다.
  2. 제1항에 있어서,
    (a)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형 올리고머 20 내지 90 중량%, (b)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 및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B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중합형 모노머 1 내지 79 중량% 및 (c) 광개시제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광중합형 올리고머가 (i)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 (ii)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iii)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iv) 축중합 촉매 및 (v) 중합금지제로부터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가 (i)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 (ii)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iii) 축중합 촉매 및 (iv) 중합금지제로부터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B가 (i) 불소계 알코올, (ii)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iii) 축중합 촉매 및 (iv) 중합금지제로부터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광중합형 올리고머의 25℃에서의 점도가 1,000 cPs 내지 10,000,000 cPs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DV II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광중합형 모노머 타입 A 또는 타입 B의 25℃에서의 점도가 100 cPs 내지 10,000 cPs(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DV II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탄소수 4 내지 12인 탄화수소 또는 탄화불소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 아크릴레이트계의 모노머를 추가로 사용하여 희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9.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용매를 추가로 사용하여 희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1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불소계 폴리올 공중합체가 1H,1H,9H-헥사데카플루오로노난올(1H,1H,9H-hexadecafluorononanol), 헥사플루오로-2-메틸이소프로판올(hexafluoro-2-methylisopropanol),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1,1,1,3,3,3-hexafluoro-2-propanol), 헥사플루오로-2-(p-톨일)이소프로판올(hexafluoro-2-(p-tolyl)isopropanol), 4,5,5,6,6,6-헥사플루오로-4-(트라이메틸)-1-헥산올(4,5,5,6,6,6-hexafluoro-4-(trimethyl)-1-hexanol), 4,5,5,6,6,6-헥사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2-헥센-1-올(4,5,5,6,6,6-hexafluoro-4-(trifluoromethyl)-2-hexene-1-ol), 3,3,4,4,5,5,6,6-옥타플루오로-1,6-헥산다이올(3,3,4,4,5,5,6,6-octafluoro-1,6-hexanediol), 1H,1H,5H-옥타플루오로-1-펜탄올(1H,1H,5H-octafluoro-1-pentanol), 1H,1H-펜타데카플루오로-1-옥탄올(1H,1H-pentadecafluoro-1-octanol), 2,3,4,5,6-펜타플루오로벤질 알코올(2,3,4,5,6- pentafluorobenzyl alcohol), 펜타플루오로부탄올-2(pentafluorobutanol-2), 4,4,5,5,5-펜타플루오로펜탄올(4,4,5,5,5-pentafluoropentanol), 펜타플루오로프로피온알데하이드 하이드레이트(pentafluoropropionaldehyde hydrate), Z-Dol(솔베이 솔렉시스(Solvay Solexis)사), Z-Dol TX(솔베이 솔렉시스사), 플루오로링크(Fluorolink) D(솔베이 솔렉시스사), 플루오로링크 D10/H(솔베이 솔렉시스사), 플루오로링크 D10(솔베이 솔렉시스사), 플루오로링크 T, 플루오로링크 T10(솔베이 솔렉시스사), 플루오로링크 E(솔베이 솔렉시스사), 플루오로링크 E10/H(솔베이 솔렉시스사), 플루오로링크 E10(솔베이 솔렉시스사), 조닐(Zonyl) TA-L(듀폰(Dupont)사), 조닐 TA-N(듀폰사)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11. 제3항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2,4-톨리엔다이이소시아네이트(2,4-tolyenediisocyanate), 2,6-톨리엔다이이소시아네이트(2,6-tolyenediisocyanate), 1,3-자일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1,3-xylenediisocyanate), 1,4-자일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1,4-xylenediisocyanate), 1,5-나프탈렌다이이소시아네이트(1,5-naphthalenediisocyanate), 1,6-헥산다이이소시아네이트(1,6-hexanediisocyanate), 이소포론다이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12.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보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가 2-이소시아네이토에틸 메타크릴레이트(2-isocyanatoethyl metacrylate), 2-(2-이소시아네이토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2-isocyanatoethyoxy)ethyl methacrylate), 2-이소시아테이토에틸 아크릴레이트(2-isocyanatorethyl acrylate), 1,1-비스(아크릴로일록시메틸)에틸 이소시아네이트(1,1-bis(acryloyloxymethyl)ethyl isocyanate)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13. 제5항에 있어서,
    불소계 알코올이 2,2,2-트라이플루오로 에탄올(2,2,2-trifluoro ethanol), 2-플루오로 에탄올(2-fluoro ethanol),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1,1,1,3,3,3-hexafluoro-2-propanol), 2,2,3,3,3-펜타플루오로-1-프로판올(2,2,3,3,3-pentafluoro-1-propanol), 2,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판올(2,2,3,3-tetrafluoro-1-propanol), 1,1,1-트라이플루오로-2-프로판올(1,1,1-trifluoro-2-propanol), 1,3-다이플루오로-2-프로판올(1,3-difluoro-2-propanol), 퍼플루오로-3차-부틸알코올(perfluoro-tert-butyl alcohol), 1,1,1,3,3,4,4,4-옥타플루오로-2-부탄올(1,1,1,3,3,4,4,4-octafluoro-2-butanol), 2,2,3,3,4,4,4-헵타플루오로-1-부탄올(2,2,3,3,4,4,4-heptafluoro-1-butanol), 2,2,3,4,4,4-헥사플루오로-1-부탄올(2,2,3,4,4,4-hexafluoro-1-butanol), 1,1,1,3,3,3-헥사플루오로-2-메틸-프로판올(1,1,1,3,3,3-hexafluoro-2-methyl-propanol), 2-트라이플루오로메틸- 2-프로판올(2-trifluoromethyl-2-propanol), 2,2,3,3,4,4,5,5,-옥타플루오로-1-펜탄올(2,2,3,3,4,4,5,5-octafluoro-1-pentanol), 4,4,5,5,5-펜타플루오로-1-펜탄올(4,4,5,5,5-pentafluoro-1-pentanol), 펜타플루오로 페놀(pentafluoro phenol), 2,3,5,6-테트라플루오로 페놀(2,3,5,6-tetrafluoro phenol), 2,3,4-트라이플루오로 페놀(2,3,4-trifluoro phenol), 2,3,5-트라이플루오로 페놀(2,3,5-trifluoro phenol), 2,3,6-트라이플루오로 페놀(2,3,6-trifluoro phenol), 2,3-다이플루오로 페놀(2,3-difuloro phenol), 2,4-다이플루오로 페놀(2,4-difuloro phenol), 2,5-다이플루오로 페놀(2,5-difuloro phenol), 2,6-다이플루오로 페놀(2,6-difuloro phenol), 3,4-다이플루오로 페놀(3,4-difuloro phenol), 3,5-다이플루오로 페놀(3,5-difuloro phenol), 2-플루오로 페놀(2-fluoro phenol), 3-플루오로 페놀(3-fluoro phenol), 4-플루오로 페놀(4-fluoro phenol), 3,3,4,4,5,5,6,6,6-노나플루오로-1-헥산올(3,3,4,4,5,5,6,6,6-nonafluoro-1-hexanol), 2-플루오로-3-(트라이플루오로메틸) 페놀(2-fluoro-3-(trifluoromethyl) phenol), 2-플루오로-5-(트라이플루오로메틸) 페놀(2-fluoro-5-(trifluoromethyl) phenol), 2,3,4,5-테트라플루오로벤질 알코올(2,3,4,5-tetrafluorobenzyl alcohol), 2,3,6-트라이플루오로벤질 알코올(2,3,6-trifluorobenzyl alcohol), 2,4,5-트라이플루오로벤질 알코올(2,4,5-trifluorobenzyl alcohol), 3,4,5-트라이플루오로벤질 알코올(3,4,5-trifluorobenzyl alcohol), α,α,α-트라이플루오로-o-크레졸(α,α,α-trifluoro-o-cresol), α,α,α-트라이플루오로-m-크레졸(α,α,α-trifluoro-m-cresol), α,α,α-트라이플루오로-p-크레졸(α,α,α-trifluoro-p-cresol), 3-(트 라이플루오로메톡시) 페놀(3-(trifluoromethoxy) phenol), 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 페놀(4-(trifluoromethoxy) phenol), 4,4,5,5,6,6,7,7,7-노나플루오로-1-헵타놀(4,4,5,5,6,6,7,7,7-nonafluoro-1-heptanol), 2,2,3,3,4,4,5,5,6,6,7,7,8,8,8-펜타데카플루오로-1-옥탄올(2,2,3,3,4,4,5,5,6,6,7,7,8,8,8-pnetadecafluoro-1-octanol), 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놀(3,5-bis(trifluoromethyl) phenol), 2-플루오로-3-(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 알코올(2-fluoro-3-(trifluoromethyl)benzyl alcohol), 2-플루오로-6-(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 알코올(2-fluoro-6-(trifluoromethyl)benzyl alcohol), 2,2,3,3,4,4,5,5,6,6,7,7,8,8,9,9,9-헵타-데카플루오로-1-노나놀(2,2,3,3,4,4,5,5,6,6,7,7,8,8,9,9,9-hepta-decafluoro-1-nonanol) 및 2,2,3,3,4,4,5,5,6,6,7,7,8,8,9,9-헥사데카플루오로-1-노나놀(2,2,3,3,4,4,5,5,6,6,7,7,8,8,9,9-hexadecafluoro-1-nonanol)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의 개구수가 0.4 이상이고, 2.5% 시컨트 모듈러스(secant modulus)가 25 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레벨링제, 소포제, 안정화제 또는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16. 제1항의 수지 조성물을 클래딩(cladding)부에 포함하는 광섬유.
  17. 제16항에 있어서,
    라디오파, 마이크로파,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또는 감마선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18. 제16항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조명 또는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섬유.
  19. 제16항에 있어서,
    고용량(high power) 레이저 전송분야, 의학 분야, 광 디바이스(device) 또는 광센서 분야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KR1020080062958A 2008-06-30 2008-06-30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KR101003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958A KR101003002B1 (ko) 2008-06-30 2008-06-30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PCT/KR2009/003550 WO2010002175A2 (en) 2008-06-30 2009-06-30 Resin composition for cladding of optical fi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958A KR101003002B1 (ko) 2008-06-30 2008-06-30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03A true KR20100002903A (ko) 2010-01-07
KR101003002B1 KR101003002B1 (ko) 2010-12-22

Family

ID=4146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958A KR101003002B1 (ko) 2008-06-30 2008-06-30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03002B1 (ko)
WO (1) WO201000217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931B1 (ko) * 2015-01-28 2016-02-11 (주)루벤틱스 에이디엠 폴리실록세인 올리고머 기반의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KR20160137929A (ko) 2016-11-24 2016-12-02 (주)루벤틱스 에이디엠 폴리실록세인 올리고머, 폴리실록세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2986B2 (en) * 2013-06-24 2016-04-26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coating for short data network
KR102190117B1 (ko) 2019-10-15 2020-12-11 (주)루벤틱스 에이디엠 광섬유 클래딩용 고내수성 수지 조성물
KR102353598B1 (ko) 2020-01-28 2022-01-21 (주)루벤틱스 에이디엠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8653B2 (ja) 1998-06-09 2007-03-07 日本化薬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KR100487025B1 (ko) * 2002-02-28 2005-05-11 주식회사 루밴틱스 광도파로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광도파로
JP2004043671A (ja) 2002-07-12 2004-02-12 Nippon Kayaku Co Ltd 低屈折率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JP2006316157A (ja) * 2005-05-12 2006-11-24 Nippon Kayaku Co Ltd 低屈折率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931B1 (ko) * 2015-01-28 2016-02-11 (주)루벤틱스 에이디엠 폴리실록세인 올리고머 기반의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KR20160137929A (ko) 2016-11-24 2016-12-02 (주)루벤틱스 에이디엠 폴리실록세인 올리고머, 폴리실록세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2175A3 (en) 2010-03-25
KR101003002B1 (ko) 2010-12-22
WO2010002175A2 (en)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025B1 (ko) 광도파로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광도파로
Bongiovanni et al. Perfluoropolyether polymers by UV curing: design,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US6673889B1 (en) Radiation curable coating containing polyfuorooxetane
JP5556015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94481A (ko) 중합체-클래드 광 섬유용 방사선 경화성 클래딩 층
JP2007533816A (ja) 低屈折率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2001200022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光学部材
KR100877468B1 (ko) 광학 부품 성형용 방사선-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광학 부품
KR101003002B1 (ko)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JPH11349651A (ja) 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WO2008105659A1 (en)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JP5556016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90117B1 (ko) 광섬유 클래딩용 고내수성 수지 조성물
KR101051287B1 (ko) 광중합형 올리고머, 상기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광중합형 수지 조성물 및 광섬유
WO2006057413A1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光学部材
KR102353598B1 (ko)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WO2010008201A2 (en)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having improved water resistance and optical fiber using the same
JP2007023175A (ja) 低屈折率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KR101592931B1 (ko) 폴리실록세인 올리고머 기반의 광섬유 클래딩용 수지 조성물
KR20120092944A (ko) 광섬유용 광경화형 코팅 조성물 및 광섬유
KR101730382B1 (ko) 폴리실록세인 올리고머, 폴리실록세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N115397931B (zh) 树脂玻璃用涂覆剂和树脂玻璃
JP5107686B2 (ja) 放射線硬化性樹脂組成物
WO2006135100A1 (ja) 光学部材用放射線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光学部材
Lee et al. A study of polymer clad resin with higher modulus for high NA f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