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702U - 도로경계석 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경계석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702U
KR20100001702U KR2020080010533U KR20080010533U KR20100001702U KR 20100001702 U KR20100001702 U KR 20100001702U KR 2020080010533 U KR2020080010533 U KR 2020080010533U KR 20080010533 U KR20080010533 U KR 20080010533U KR 20100001702 U KR20100001702 U KR 201000017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reflecting
inclined surface
driver
boundary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대
Original Assignee
이정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대 filed Critical 이정대
Priority to KR2020080010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702U/ko
Publication of KR20100001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7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도로경계석에 구비되어 야간에 운행하는 차량의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에게 차도와 인도를 인식하도록 하는 도로경계석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이 볼록한 타원형의 몸체(10)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10)의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40~50°의 경사면을 이루고, 그 경사면에 반사판(20)이 접합된 제1반사면(30)과; 55~65°의 경사면을 이루고, 그 경사면에 반사판(20)이 접합된 제2반사면(40)과; 75~85°의 경사면을 이루고, 그 경사면에 반사판(20)이 접합된 제3반사면(5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차량이 근거리에서뿐만 아니라 중거리나 장거리로 떨어져 있어도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알리는 표지병에서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가 인식함으로써, 운전자의 도로 인식력이 증대되고, 먼 곳의 표지병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도로사정에 따른 예측운행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주의력이 향상되어 야간에도 매우 안전한 차량운행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를 일측이 볼록한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보행자의 발장난에도 표지병이 도로경계석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 도로경계석 표지병을 제공한다.
도로경계석, 표지병, 반사판, 반사체, 차로, 인도, 전봇대

Description

도로경계석 표지병{Indicator for Boundary Stone}
본 고안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도로경계석에 구비되어 야간에 운행하는 차량의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에게 차도와 인도를 인식하도록 하는 도로경계석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이 볼록한 타원형의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볼록부위에 40~50°, 55~65°, 75~85°의 각도를 이루는 각각의 경사면을 순서대로 형성하여, 차량이 근거리에서뿐만 아니라 중거리나 장거리로 떨어져 있어도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알리는 표지병에서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가 인식함으로써, 운전자의 도로 인식력이 증대되고, 먼 곳의 표지병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도로사정에 따른 예측운행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주의력이 향상되어 야간에도 매우 안전한 차량운행을 할 수 있는 도로경계석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경계석용 표지병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기 위한 도로경계석의 차도를 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가로등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도 운전자가 도로의 경계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해주는 안전용 설치물이다.
이러한 표지병이 경계석에 설치되면 야간에 굴곡이 많은 커브 길을 운행할 때에 그 도로의 굴곡 형태를 한눈에 쉽게 알 수 있어서 야간운전시 주의력이 증대되어 안전운전에 큰 효과가 있다.
특히 야간 빗길 운전시에는 자동차의 전조등에 물기가 있는 도로가 난반사되어 차선 및 인도와 차도의 경계가 잘 식별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는바, 표지병은 이러한 때에도 운전자가 인도와 차도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어 야간 빗길 운전에 따른 피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처 도로의 경계를 인식하지 못해서 차도 밖으로 자동차가 이탈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계석용 표지병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종래의 표지병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도로경계석에 설치되는데, 먼저 표지병의 베이스는 그 상부면이 반구형이나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저면 중앙부에는 매입봉이 소정의 길이로 하향 연장된다.
상기 매입봉은 도로경계석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베이스가 도로경계석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반사판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열 설치되는데, 이 반사판에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이 입사되면 다양한 각도로 그 입사된 불빛을 반사시켜 운전자의 식별력을 높여준다.
한편,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중에서 경사진 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빛 반사체가 설치되는데, 이 빛 반사체는 반사판이나 야광스티커와 같은 반사부재가 베이스에 부착된 것이다.
이때 상기 반사판은 상기 베이스가 도로경계석에 고정될 때 자동차의 전조등 이 비춰지는 방향으로 위치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표지병은 야간에 자동차의 불빛이 반사판으로 입사되면 그 빛을 다시 운전자에게 반사하여 운전자가 도로의 경계를 식별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종래의 표지병은 단일각으로 이루는 반사면을 형성하고 있어, 한정된 빛 반사지점에 차량이 와야만 표지병에서 빛이 반사되어 운전자가 표지병을 인식할 수 있었기에, 빛 반사지점이 아닌 중거리나 장거리에서는 표지병을 인식하지 못해 야간에 예상경로를 예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측이 볼록한 타원형의 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40~50°의 경사면을 이루고, 그 경사면에 반사판이 접합된 제1반사면과, 55~65°의 경사면을 이루고, 그 경사면에 반사판이 접합된 제2반사면과; 75~85°의 경사면을 이루고, 그 경사면에 반사판이 접합된 제3반사면을 포함하여 구성한 도로경계석 표지병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측이 볼록한 타원형의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볼록부위에 경사각이 40~50°, 55~65°, 75~85°의 각도를 이루는 각각의 반사면을 순서대로 구성하여, 종래의 표지병 보다 빛 반사범위가 넓어 차량이 근거리에서뿐만 아니라 중거리나 장거리로 떨어져 있어도 빛을 반사하 여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알리는 표지병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함으로써, 운전자의 도로 인식력이 증대되고, 먼 곳의 표지병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도로사정에 따른 예측운행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주의력이 향상되어 야간에도 매우 안전한 차량운행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를 일측이 볼록한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보행자의 발장난에도 표지병이 도로경계석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로경계석에 구비되어 운전자에게 도로와의 경계를 인식하도록 하는 도로경계석 표지병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이 볼록한 타원형의 몸체(10)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10)의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40~50°의 경사면을 이루고, 그 경사면에 반사판(20)이 접합된 제1반사면(30)과; 55~65°의 경사면을 이루고, 그 경사면에 반사판(20)이 접합된 제2반사면(40)과; 75~85°의 경사면을 이루고, 그 경사면에 반사판(20)이 접합된 제3반사면(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반사면(30)과; 제2반사면(40)과; 제3반사면(50)을 대칭으로 구성한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는 타원형으로 구성하되, 일측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마치 돔형태를 이루는데, 상기 몸체(10)의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몸체(10)의 내구성의 향상을 위해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볼록하게 돌출된 면에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반사면을 형성하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서부터 40~50°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그 경사면에는 공지의 반사판(20)을 접합하여 제1반사면(30)을 이룬다.
이때 상기 반사판(20)은 야간에 더욱 잘 빛을 반사하도록 형광물질을 내포하거나 야광물질을 내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경사면(30)의 후방에는 55~65°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그 경사면에는 공지의 반사판(20)을 접합하여 제2반사면(40)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2경사면(30)의 후방에는 75~85°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그 경사면에는 공지의 반사판(20)을 접합하여 제3반사면(50)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에는 도로경계석(100)에 상기 몸체(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볼트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상기와 형성된 볼트공(도시하지 않음)에 볼트 또는 앵커로 상기 몸체(10)를 도로경계석(100)에 고정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각각 제1반사면(30)과 제2반사면(40), 제3반사면(50)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20)을 접합한 상기 몸체(10)를 도로경계석(100)의 도로측면에 볼트 또는 앵커로 고정 설치함으로 해서 야간에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위한 표지병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각이 40~50°로 이루어진 제1반사면(30)은 표지병과의 거리가 가까운 차량에게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를 안내하고, 경사각이 75~85°로 이루어진 제3반사면(50)은 표지병과의 거리가 먼 차량에게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와 인도의 경계를 인식하도록 하고, 경사각 55~65°로 이루어진 제2반사면(40)은 가깝지도 않고, 멀지도 않은 중간거리에 위치하는 차량에게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를 안내한다.
따라서 종래의 표지병은 단일각으로만 반사면을 형성하여 빛 반사범위가 협소하여 지점 구간에서만 차량에게 빛을 반사하였으나, 본 고안은 빛 반사범위가 종래의 표지병 보다 넓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도로경계석(100)에 결합하여 사용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밸트(60)를 상기 몸체(10)의 결합면(도시하지 않음)에 구성하여 전봇대나 가로수와 같이 인도에 가설되는 봉형태의 구조물에 고정밸트(60)로 고정하여 표지병으로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도와 도로경계석이 만나는 지점에 마치 몰드와 같이 설치하여 차량의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표지병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반사면(30)과; 제2반사면(40)과; 제3반사면(50)을 대칭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중심부에는 55~65°각을 이루는 경사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20) 을 접합하여 제2반사면(40)을 이루는데, 상기 제2반사면(40)을 대칭되도록 각각 구성하여 전,후방으로 빛을 반사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대칭을 이루는 제2반사면(40)의 외향측에는 경사각이 40~50°를 이루는 제1반사면(30)을 서로 대칭되도록 각각 구성하여, 빛을 전,후방으로 각각 반사하도록 하고, 상기 대칭을 이루는 제1반사면(30)의 외향측에는 경사각이 75~85°를 이루는 제3반사면(50)을 각각 구성하여 전,후방으로 빛을 반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이유는 첫째 표지병의 전,후방 구분없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둘째 반대편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에게도 상기 표지병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여 야간 운행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설치예1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설치예2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20: 반사판 30: 제1반사면
40: 제2반사면 50: 제3반사면 60:고정밸트
100: 도로경계석 200: 전봇대

Claims (2)

  1. 도로경계석에 구비되어 운전자에게 도로와의 경계를 인식하도록 하는 도로경계석 표지병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이 볼록한 타원형의 몸체(10)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10)의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40~50°의 경사면을 이루고, 그 경사면에 반사판(20)이 접합된 제1반사면(30)과; 55~~65°의 경사면을 이루고, 그 경사면에 반사판(20)이 접합된 제2반사면(40)과; 75~85°의 경사면을 이루고, 그 경사면에 반사판(20)이 접합된 제3반사면(5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표지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반사면(30)과; 제2반사면(40)과; 제3반사면(50)을 대칭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 표지병.
KR2020080010533U 2008-08-07 2008-08-07 도로경계석 표지병 KR201000017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533U KR20100001702U (ko) 2008-08-07 2008-08-07 도로경계석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533U KR20100001702U (ko) 2008-08-07 2008-08-07 도로경계석 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02U true KR20100001702U (ko) 2010-02-18

Family

ID=4444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533U KR20100001702U (ko) 2008-08-07 2008-08-07 도로경계석 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70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075B1 (ko) * 2023-06-28 2024-01-29 한국도로공사 다중 포지션 델리네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075B1 (ko) * 2023-06-28 2024-01-29 한국도로공사 다중 포지션 델리네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768B1 (ko) 도로의 조명차선 시스템
KR101958657B1 (ko) 도로표지병
KR100961621B1 (ko) 도로표지병
KR20100001702U (ko) 도로경계석 표지병
KR200423327Y1 (ko) 도로용 경계석 식별기
JPH10317332A (ja) 自発光式道路標識
KR100710877B1 (ko) 유턴차선 표시용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311382Y1 (ko) 노면 표지판
KR200272931Y1 (ko) 경계석용 표지병
KR200443598Y1 (ko) 도로경계석 표지병
JP3223345U (ja) 光反射具
KR200217640Y1 (ko) 도로 경계석
KR20080006144U (ko) 경계표시용 반사구 및 경계블록
KR200245960Y1 (ko) 사각 표지병
KR200272932Y1 (ko) 경계석용 표지병
KR20000017885U (ko) 운전자 시선유도표지
KR200184733Y1 (ko) 재활용 도로 표지병
CN210458841U (zh) 一种侧石
KR200427703Y1 (ko) 횡단보도 경계석부착용 미끄럼방지 표지판
KR10127527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도로표지병
KR100377339B1 (ko) 도로표지병
KR200405947Y1 (ko) 도로 표지병
KR200285459Y1 (ko) 신호표시 표지병
KR200277411Y1 (ko) 도로 표지병
KR200235031Y1 (ko) 야광 도로 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