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931Y1 - 경계석용 표지병 - Google Patents

경계석용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931Y1
KR200272931Y1 KR2020020002016U KR20020002016U KR200272931Y1 KR 200272931 Y1 KR200272931 Y1 KR 200272931Y1 KR 2020020002016 U KR2020020002016 U KR 2020020002016U KR 20020002016 U KR20020002016 U KR 20020002016U KR 200272931 Y1 KR200272931 Y1 KR 200272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oundary stone
light reflector
plane
road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명
Original Assignee
강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명 filed Critical 강희명
Priority to KR2020020002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931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도로경계석에 설치되는 경계석용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빛 반사구와 빛 반사체를 구비하여 야간에 자동차의 전조등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운전자가 도로경계석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 경계석용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도(2)와 인도(3)를 구분하는 경계석(1)의 차도(2)를 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전조등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도(2)와 인도(3)의 구분을 알려주는 경계석용 표지병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는 몸체(21)의 하부면(22)은 경계석(1)의 차도(2)를 향하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21)의 상부면 일부에는 상기 하부면(22)과 평행한 평면(23)이 형성되어 여기에 빛 반사구(24)가 10~30개 설치되며, 상기 평면(23)의 일측단에서부터 하부면(22)의 일측 끝단에 이르기까지는 15~40°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5)이 형성되어 여기에 빛 반사체(26)가 설치되고, 상기 평면(23)의 타측단에서부터 하부면(22)의 타측 끝단에 이르기까지는 또 다른 경사면(27)이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경계석용 표지병{Indicator for Boundary Stone}
본 고안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도로경계석에 설치되는 경계석용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빛 반사구와 빛 반사체를 구비하여 야간에 자동차의 전조등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운전자가 도로경계석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 경계석용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경계석용 표지병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기 위한 도로경계석의 차도를 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가로등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도 운전자가 도로의 경계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해주는 안전용 설치물이다. 이러한 표지병이 경계석에 설치되면 야간에 굴곡이 많은 커브 길을 운행할 때에 그 도로의 굴곡 형태를 한눈에 쉽게 알 수 있어서 야간운전시 주의력이 증대되어 안전운전에 큰 효과가 있다.
특히 야간 빗길 운전시에는 자동차의 전조등에 물기가 있는 도로가 난반사되어 차선 및 인도와 차도의 경계가 잘 식별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는바, 표지병은 이러한 때에도 운전자가 인도와 차도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어 야간 빗길 운전에 따른 피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처 도로의 경계를 인식하지 못해서 차도 밖으로 자동차가 이탈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계석용 표지병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그 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종래 표지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표지병이 설치된 도로경계석의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표지병(10)은 차도(2)와 인도(3)를 구분하는 도로경계석(1)에 설치되는데, 먼저 표지병의 베이스(11)는 그 상부면이 반구형이나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저면 중앙부에는 매입봉(12)이 소정의 길이로 하향 연장된다. 상기 매입봉(12)은 도로경계석(1)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베이스(11)가 도로경계석(1)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빛 반사구(13)는 상기 베이스(11)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열 설치되는데, 이 빛 반사구(13)에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이 입사되면 다양한 각도로 그 입사된 불빛을 반사시켜 운전자의 식별력을 높여준다.
한편, 상기 베이스(11)의 상부면 중에서 경사진 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빛 반사체(14)가 설치되는데, 이 빛 반사체(14)는 반사판이나 야광스티커와 같은 반사부재가 베이스(11)에 부착된 것이다. 이때 상기 빛 반사체(14)는 상기 베이스(11)가 도로경계석(1)에 고정될 때 자동차의 전조등이 비춰지는 방향으로 위치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표지병은 야간에 자동차의 불빛이 빛 반사구(13) 및 빛 반사체(14)로 입사되면 그 빛을 다시 운전자에게 반사하여 운전자가 도로의 경계를 식별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표지병은 베이스(11)의 상부 전체 면에 많은 양의 빛 반사구(13)가 분포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일단 많은 양의 빛 반사구(13)가 필요해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빛이 입사되지 않는 면에도 많은 빛 반사구(13)가 설치되어 있어서 빛 반사구(13)의 개수에 비하여 반사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표지병은 그 베이스(11)의 경사면이 임의로 설정된 것이어서 그곳에 설치된 빛 반사체(14)의 반사각도가 정확하지 않고, 따라서 빛 반사체(14)의 반사광이 운전자에게 제대로 반사되지 않아 빛 반사체(14)가 그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표지병의 경사면에 빛 반사체를 설치하여 그 빛 반사체의 반사광이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인도와 차도의 식별력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적은 개수의 빛 반사구로 최대의 반사효율을 낼 수 있도록 빛 반사구를 소정의 형상으로 표지병 몸체에 설치하고 빛 반사구의 개수를 적당하게 제한하여 빛 반사구의 개수 대비 반사효율을 높이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표지병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표지병이 설치된 도로경계석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표지병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표지병에 구비된 빛 반사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 부위를 나타낸 본 고안의 표지병의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갈매기형 표지병의 정면도,
도 6b는 도 6a의 B-B 부위를 나타낸 본 고안의 표지병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로경계석 2 : 차도
3 : 인도 20 : 표지병
21 : 몸체 22 : 몸체 하부면
23 : 평면 24 : 빛 반사구
25 : 경사면 25a : 분할면
26 : 빛 반사체 27 : 또 다른 경사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표지병의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표지병에 구비된 빛 반사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 부위를 나타낸 본 고안의 표지병의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갈매기형 표지병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용 표지병(20)은 그 외관을 이루는 몸체(21)와, 그 몸체(21)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빛 반사구(24) 및 빛 반사체(26)로 구성되는데, 상기 몸체(21)는 소정의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며 차도(2)와 인도(3)를 구분하는 도로경계석(1)의 차도(2)를 향하는 면에 그 하부면(22)이 설치된다.
상기 몸체(21)의 상부면 일부에는 상기 하부면(22)과 평행을 이루는 평면(23)이 소정의 넓이로 형성된다.
상기 평면(23)에는 다수개의 빛 반사구(24)가 설치되는데, 상기 빛 반사구(24)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반사렌즈로서, 이 빛 반사구(24)의 반사원리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빛 반사구(24)는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이 입사되는 입사부(24a)와 입사된 불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24b)과 그 반사막(24b)에 의해서 반사된 빛을 하나의 초점으로 모아서 외부로 보내는 집광부(24c)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사부(24a)는 입사된 빛이 중앙으로 모이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반구형상의 입사부(24a) 둘레면에는 입사된 빛이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막(24b)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반사막(24b)이 구비된 입사부(24a) 둘레면의 반대측 평면에는 상기 반사막(24b)에 의해서 반사된 빛을 하나의 초점으로 집광시키는 집광부(24c)가 형성된다.
상기 집광부(24c) 또한 반사막(24b)에 의해서 반사된 빛이 집광되도록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사부(24a)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광부(24c)는 입사부(24a)에 소정의 폭을 갖는 입사면이 확보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입사부(24a)와는 그 중심이 일치되어야 한다.
상기 입사면의 폭(w)은 입사되는 빛의 양과 반사되는 빛의 양이 결정되는 중요한 요소로서, 그 폭(w)은 입사부의 직경(D)과 집광부의 직경(d)의 차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폭(w)은 적어도 1mm 이상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폭(w)이 1mm 이하일 경우에는 입사되는 빛의 양이 적게되므로 그 입사된 빛을 중앙으로 집광하여도 빛 반사구(24)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적어 운전자가 식별하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상의 빛 반사구(24)는 상기 몸체의 평면(23)에 소정의 개수로 설치되는데, 이때 바람직한 빛 반사구(24)의 개수는 10 ~ 30개가 알맞다. 이는 빛 반사구(24)가 10개미만이 되면 빛 반사구(24)에 의한 반사효과가 저하되며, 그 개수가 30개 이상이면 빛 반사구(24)의 개수 대비 반사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즉, 상기 빛 반사구(24)가 상기 몸체의 평면(23)에 10개미만으로 배치되면 반사효과가 떨어져 야간 운전자의 식별력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빛 반사구(24)에 의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해서 상기 빛 반사구(24)의 개수를 무조건 많게 하면 빛 반사구(24)의 개수에 비하여 반사효율이 그다지 높지 않으므로 최소의 빛 반사구(24)로 최대의 반사효율을 얻으려는 본 고안의 목적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래서, 빛 반사구(24)를 최적의 개수인 10개 이상 30개 이하로 제한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빛 반사구(24)를 상기 평면(23)의 길이 방향으로 6개씩 3줄로 배치하여 그 개수를 18개로 하였는데, 이에 의하면 최소의 빛 반사구(24)로 최대의 반사 효과를 볼 수 있어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빛 반사구(24)가 설치된 상기 평면(23)의 일측단에서 상기 몸체 하부면(22)의 일측 끝단에 이르기까지는 도로경계석(1)에 대하여 15~40°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5)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5)에는 통상의 야광스티커나 반사판과 같은 빛 반사체(26)가 설치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기 경사면(25)의 각도인데, 도로경계석(1)에 대한 상기 경사면(25)의 각도가 15°이하이거나 40°를 초과하게 되면 전조등의 빛이 정확하게 운전자에 반사되지 않아서 반사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25)의 각도는 도로경계석(1)에 대하여 15~40°의 범위이면 족하지만, 상기 빛 반사체(26)가 최대의 반사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상기 경사면(25)이 도로경계석(1)에 대하여 23°의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빛 반사체(26)는 상기 경사면(25) 전체 면적에 하나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운전자에게 큰 눈부심을 주지 않고 식별효과를 증대시키며 물품의 디자인을 고려한다면 상기 경사면(25)에 2개 이상의 빛 반사체(26)가 그 경사면(25)의 경사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25) 또한 바람직하게는 2개의 경사면(25)과 그 경사면(25) 사이에 위치되는 분할면(25a)으로 구분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빛 반사체(26)가 설치되는 경사면(25)은 중앙부에 분할면(25a)이 형성되어 2개의 경사면(25)으로 나누어지고, 그 2개의 경사면(25)에는 각각의빛 반사체(26)가 설치된다.
상기 분할면(25a)은 상기의 경사면(25)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도 되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면(23)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평면(23)의 타측단에서 상기 몸체 하부면(22)의 타측 끝단에 이르기까지는 또 다른 경사면(2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경사면(27)은 후진하는 자동차의 바퀴가 상기 몸체(21)와 충돌할 때 몸체(21)가 충돌에 의하여 도로경계석(1)에서 떨어지지 않고 자동차의 바퀴가 상기 경사면(27)을 따라 용이하게 타고 올라올 수 있을 정도의 경사각을 가지면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21)는 그 투영면이 사각의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형상을 달리하여 운전자가 운전 중에 행로(行路)를 한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 같은 갈매기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의 상기 빛 반사구(24)는 평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9개씩 2줄로 설치되며, 이때의 배열형상은 상기 갈매기 형상의 몸체(21)에 대응되게 "≪"와 같은 갈매기 형상을 가지면 된다.
또한, 상기 경사면(25)에 부착되는 빛 반사체(26)의 형상도 상기 몸체(21)와 동일한 갈매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경계석용 표지병(20)은 도로경계석(1)의 차도(2)를 향하는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설치되어 자동차의 전조등이 비치면 15~40°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5)에 설치된 빛 반사체(26)와 몸체의평면(23)에 설치된 소정 개수의 빛 반사구(24)가 운전자에게 반사되어 운전자가 그 반사광을 보고 도로의 경계를 식별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갈매기 형상의 표지병은 그 모양에 의해서 자동차가 진행하여야 할 방향과 커브 길에서 도로의 형태를 한눈에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용 표지병에 의하면, 표지병의 경사면에 부착된 빛 반사체의 반사광이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반사되므로 인도와 차도의 식별력이 증대되어 운전자의 주의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또한 최소의 빛 반사구로 최대의 반사효율을 얻을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갈매기 형상을 갖는 경계석용 표지병에 의하면, 상기의 효과외에도 운전자가 도로의 형태를 한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도(2)와 인도(3)를 구분하는 경계석(1)의 차도(2)를 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전조등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도(2)와 인도(3)의 구분을 알려주는 경계석용 표지병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갖는 몸체(21)의 하부면(22)은 경계석(1)의 차도(2)를 향하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21)의 상부면 일부에는 상기 하부면(22)과 평행한 평면(23)이 형성되어 여기에 빛 반사구(24)가 10~30개 설치되며, 상기 평면(23)의 일측단에서부터 하부면(22)의 일측 끝단에 이르기까지는 15~40°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5)이 형성되어 여기에 빛 반사체(26)가 설치되고, 상기 평면(23)의 타측단에서부터 하부면(22)의 타측 끝단에 이르기까지는 또 다른 경사면(2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표지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빛 반사구(24)는 평면(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6개씩 3줄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표지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빛 반사체(26)가 설치되는 경사면(25)은 중앙부에 분할면(25a)이 형성되어 2개의 경사면으로 나누어지고, 그 2개의 경사면(25)에는 각각의 빛 반사체(2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표지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는 "≪"와 같은 갈매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면(23)에 설치된 빛 반사구(24)와 상기 15~40°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25)에 설치된 빛 반사체(26)는 상기 몸체(21)의 형상에 대응되게 "≪"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표지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빛 반사구(24)는 평면(23)의 길이방향을 따라 9개씩 2줄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용 표지병.
KR2020020002016U 2002-01-22 2002-01-22 경계석용 표지병 KR200272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016U KR200272931Y1 (ko) 2002-01-22 2002-01-22 경계석용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016U KR200272931Y1 (ko) 2002-01-22 2002-01-22 경계석용 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931Y1 true KR200272931Y1 (ko) 2002-04-20

Family

ID=7307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016U KR200272931Y1 (ko) 2002-01-22 2002-01-22 경계석용 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9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137B1 (ko) * 2002-06-17 2005-06-28 이인형 도로 경계석용 반사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137B1 (ko) * 2002-06-17 2005-06-28 이인형 도로 경계석용 반사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2011B2 (en) Street lighting device including traffic sensing and communication with observers and associated methods
KR200195882Y1 (ko) 광전달을 이용한 자동차용 도로표시장치
KR200208098Y1 (ko) 도로표시구
KR200272931Y1 (ko) 경계석용 표지병
WO2002036887A1 (en) Signalling means
JP3634561B2 (ja) 自発光式道路標識
KR200272932Y1 (ko) 경계석용 표지병
JP2004232387A (ja) 自発光視線誘導標
KR0131498Y1 (ko) 도로 표지병
KR200261335Y1 (ko) 도로 표지병
JPH1060833A (ja) 積雪用道路標識
KR20100001702U (ko) 도로경계석 표지병
KR20080006144U (ko) 경계표시용 반사구 및 경계블록
KR200245960Y1 (ko) 사각 표지병
KR200271330Y1 (ko) 표지병몸체가 삽입된 도로안전표지병
JP3223345U (ja) 光反射具
KR200181532Y1 (ko) 도로 표지병
KR101145338B1 (ko) 도로표지병
KR200453431Y1 (ko) 도로 표지병
KR20210150694A (ko) 전방향 재귀반사 도로 표지병
KR200443598Y1 (ko) 도로경계석 표지병
KR200272022Y1 (ko) 도로표지병
KR200235031Y1 (ko) 야광 도로 경계석
JPH05311620A (ja) 道路用標識
JP3058222U (ja) 道路用縁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