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314A - 단자 조립체 및 편평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 조립체 및 편평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314A
KR20090127314A KR1020097020480A KR20097020480A KR20090127314A KR 20090127314 A KR20090127314 A KR 20090127314A KR 1020097020480 A KR1020097020480 A KR 1020097020480A KR 20097020480 A KR20097020480 A KR 20097020480A KR 20090127314 A KR20090127314 A KR 20090127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rame member
housing
terminals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로 니이쯔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2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9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moving connector housing parts linearly, e.g. sli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편평 가요성 케이블의 두 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커넥터는 기부 부재와 덮개 부재를 포함한다. 기부 부재는 대응하는 수의 전도성 단자를 수용하는 복수의 슬롯을 구비한다. 단자는 단자의 중간 지점 근처에서 단자 내의 두 상향 굴곡부를 구비하며 이러한 굴곡부는 전체 편평 케이블의 노출된 단부와 부합하도록 단자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두 돌출부는 덮개를 기부 부재 상의 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가압 아암부로서 작용한다. 덮개는 케이블의 단부와 단자 사이에 확실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케이블의 단부와 단자에 압력을 가한다.
단자 조립체, 편평 케이블, 커넥터, 전도성 리드

Description

단자 조립체 및 편평 케이블 커넥터{TERMINAL ASSEMBLY AND FLAT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단자 조립체 및 두 개의 소정 길이의 편평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소위 가요성 인쇄 회로, 가요성 편평 케이블 등의 편평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공지된 커넥터는 일본 미심사 실용 신안 공보 제H5-31167호(Japanese Utility Model Laid-Open Kokai Publication No. H5-31167)에 개시되어 있다. 도 20은 종래 기술의 릴레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릴레이 커넥터는 절연 물질로 형성된 하우징(806) 및 하우징(806)에 보유된 복수의 전도성 단자(807)를 포함한다. 단자(807)는 하우징(806)의 저부에 형성된 복수의 유지 설부들(tongues; 811) 사이에 형성된 홈 내에 수용된다. 단자(807)는 래치 개구(807a)를 포함하며, 유지 홈으로부터 돌출된 래치 돌출부(816)와 함께 래치 개구(807a)가 결려짐으로써 하우징(806)에 고정된다.
한 쌍의 편평 케이블(801)의 단부는 하우징(806)에 수용되며 이러한 각각의 케이블(801)은 본체(802)의 일 표면(도면에서 하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전도성 리드(803) 및 리드(803)의 표면을 덮는 절연 필름을 포함한다. 케이블(801)의 단 부에서, 절연 필름이 제거되고 전도성 리드(803)가 노출된다. 위치설정 홀(hole; 818)이 케이블(801)에 형성되고, 하우징(806)에 형성된 돌출부(813)가 이러한 위치설정 홀(818)과 체결되어 케이블(801)이 하우징(806)에 수용된다.
한편, 덮개 본체(809)는 하우징(806)에 이동식으로 부착되며, 덮개 본체가 폐쇄될 때, 한 쌍의 케이블(801)의 단부는 하우징(806)에 보유되고 덮개 본체(809)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가압체(814)는 편평 케이블(801)을 가압한다. 따라서,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801)의 전도성 리드(803)는 연결 돌출부(807b)에 대해 가압되고 리드(803)와 단자(807)는 연결된다.
그러나, 편평 케이블(801)이 하우징 돌출부들(813)의 체결에 의해 위치설정되기 때문에, 구조는 복잡해지고 크기가 증가한다. 최근에, 전자 부품은 점점 더 소형화되고 있으며, 편평 케이블(801)은 더 얇아지며, 케이블의 리드(803)는 더 작은 피치를 가져서, 얇은 편평 케이블(801)의 본체(802)에 위치설정 홀(818)을 형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하우징(806)에 돌출부(813)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물론, 케이블 본체(802)의 외측 에지가 커넥터 하우징(806)의 내측 표면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케이블(801)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지만, 케이블 본체(802)의 치수 정확도가 대체로 낮기 때문에, 단자(807)에 대한 하우징(806)의 내측 표면의 위치설정 정확도가 증가될 수 없으며 케이블(801)의 위치설정 정확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 목적은 종래기술의 단자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정된 피치의 서로 평행한 단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 및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단자 조립체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며, 피치가 좁더라도, 프레임 부재의 제조는 쉬워지고 더 짧은 시간이 소요되며, 단자의 배열은 정확히 유지될 수 있으며, 단자와 프레임 부재의 위치설정 정확도가 높고,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의 전도성 리드는 프레임 부재에 의해 안내되며,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은 높은 정확도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조립체는 프레임 부재, 서로 평행하도록 지정된 피치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 및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고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프레임 부재는 단자의 양 외측에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제공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하며, 대응 단자(counterpart terminal)를 안내함으로써 각각의 대응 단자와 각각의 단자의 위치설정을 수행하며, 단자 유지 부재는 양 측부에서 프레임 부재에 종방향으로 연결되며 단자의 말단 단부(proximal end)를 유지한다.
단자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재는 양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대응 단자를 대응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프레임 부재는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대응 단자의 외측 표면을 가이드부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대응 단자를 배열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단자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단자는 종방향으로 양 단부에 위치되어 단자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말단 단부들 및 양 말단 단부들을 연결시키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아암부를 구비하며, 아암부는 말단 단부에 각각 연결된 상향으로 돌출된 각진 돌출부 및 각진 돌출부들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대응 단자와 접촉하게 된다.
단자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자 유지 부재는 절연 물질로부터 형성되며 단자의 말단 단부들과 양 단부에 인접한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부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 프레임 부재, 서로 평행하도록 지정된 피치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 및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고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프레임 부재는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양 외측에 제공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하며,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의 대응 단자를 안내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한 쌍의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의 위치설정을 수행하며, 단자 유지 부재는 양 단부에서 단자 유지 부재의 종방향으로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며 각 단자의 말단 단부를 유지시키고 하우징에 고정된다.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에 부착되고 하우징의 상부 표면을 덮으며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을 유지시키는 덮개 부재를 더 포함한다.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편평 플레이트 형상 기판부, 기판부에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와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 리세스부, 단자 수용 리세스부에 형성되며 단자 유지 부재를 수용하는 한 쌍의 단자 유지 부재 수용 홈 및 한 쌍의 체결 돌출부를 구비하고 각 체결 돌출부는 내향으로 돌출되고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의 측에지부와 접촉하는 오버행부(overhang portion)와 외향으로 돌출되고 덮개 부재의 각 체결 개구와 체결되는 덮개 래치부를 각각 구비한다.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재는 양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대응 단자를 대응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프레임 부재는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대응 단자의 외측 표면이 가이드 부재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을 폭 방향으로 위치설정할 수 있게 한다.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단자는, 단자의 양 단부에 종방향으로 위치하고 단자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말단 단부들 및 양 말단 단부들을 연결시키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아암부를 포함하며, 아암부는 말단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상향으로 돌출된 각진 돌출부 및 각진 돌출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각진 돌출부는 각각의 한 쌍의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의 대응 단자와 접촉하게 되고 덮개 부재와 협력하여 상기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을 유지시키며, 한 쌍의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 조립체는 서로 평행하도록 지정된 피치로 배열된 단자, 단자의 종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 및 단자와 프레임 부재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피치가 좁더라도, 단자 조립체의 제조는 짧은 시간에 쉽게 행해지며, 단자의 배열은 정확히 유지될 수 있으며, 단자와 프레임 부재의 위치설정 정확도는 높고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의 전도성 리드는 프레임 부재에 의해 안내되며,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은 높은 정확도로 위치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의 고찰함으로써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음의 첨부 도면들이 종종 참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과 동일하나, 명확성을 위해 덮개 부재가 제거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커넥터 본체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며,
도 7은 Z-Z선을 따라 취해진, 도 6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의 커넥터의 덮개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두 개의 단자 예비성형부를 구비한 이송 스트립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단자 예비성형부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단자 예비성형부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단자 예비성형부의 영역 "A"의 부분 확대 상세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영역 "B"에서의 단자 예비성형부의 확대 상세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사용되는 편평 케이블의 평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케이블의 측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영역 "C"를 포함하는, 도 14의 편평 케이블의 제1 주요부의 확대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영역 "D"의 확대도이며,
도 18은 편평 케이블이 연결되기 이전의, 도 1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9는 도 18과 동일하나, 케이블이 조립된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도면이며,
도 20은 종래 기술의 릴레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면들에서, 편평 케이블(101)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릴레이 커넥터(1)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101)은 대체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가요성 인쇄 케이블(FPC) 또는 가요성 편평 케이블(FFC)로서 칭해지지만, 편평 또는 판형이면서 전도성 리드(lead)를 가지는 한 어떤 유형의 케이블도 될 수 있으며, 커넥터(1)는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하우징(11)과, 역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는 판과 같은 형상을 지닌 편평 덮개 부재(21) 및 복수의 전도성 단자(61)를 포함한다. 덮개 부재(21)는 착탈식 방식으로 하우징(11)에 부착되며, 하우징(11)의 상부 표면을 덮을 뿐 아니라 한 쌍의 편평 케이블(101)을 제 위치에 고정 및 유지시킨다.
덮개 부재(21, 도 3)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편평 덮개부(22), 덮개부(22)의 양 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덮개부(22)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연장되는 다리부(23) 및 덮개부(22)와 다리부(23)를 서로 연결시키는 부분에 형성되는 체결 개구(24)를 구비한다. 덮개 부재는 전체적으로 U자형 구조를 지닌다. 개구(24)는 하우징(11)의 체결 돌출부(14)와 맞물려서, 덮개 부재(21)는 하우징(11)에 래치된다. 개구(24)에서 다리부(23)의 일 측면을 형성하는 래치 측표면(24a)이 체결 돌출부(14)의 래치부 또는 견부(14c)에 의해 래치되게 함으로써, 덮개 부 재(21)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하우징(11)에 래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1)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편평 플레이트 기판부(12), 위에서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을 형성하는 측벽부(13), 한 쌍의 체결 돌출부(14), 측벽부(13)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단자 수용 리세스부(15) 및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에 형성된 한 쌍의 단자 유지 부재 수용 홈(16)을 구비한다(도 7). 여기에서, 측벽부(13)는 기판부(12)의 네 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기판부(12)의 주연을 형성하는 두 쌍의 직립 벽으로 구성된다.
커넥터 하우징의 체결 돌출부(14)는 측벽부(13)의 한 쌍의 벽의 상부 표면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체결 돌출부(14)는 체결 돌출부(14)의 상부 단부에서 커넥터 하우징의 중앙부를 향해 내향으로 돌출되는 오버행부(overhang portion; 14a, 도 6), 오버행부(14a)의 하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케이블 위치설정 돌출부(14b) 및 상기 하부 표면을 따라 외향으로 돌출된 덮개 래치부(14c)를 구비한다. 오버행부(14a)의 하부 표면은 커넥터(1)에 연결된 편평 케이블(101)의 후방면 상의 측단부와 접촉하여, 편평 케이블(101)이 상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케이블 위치설정 돌출부(14b)는 커넥터(1)의 편평 케이블(101)의 말단 에지와 접촉함으로써, 편평 케이블(101)을 연장 방향으로 위치설정시킨다.
또한, 단자 수용 리세스부(15)는 측벽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약간 만입된 얕은 직사각형 리세스이며 단자 조립체(60)를 수용한다.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의 깊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61)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하다.
단자 유지 부재 수용 홈(16)은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홈(16)은 단자(61)의 말단 단부(66)를 일체형으로 보유하는 단자 유지 부재(31)를 수용한다.
각각의 단자(61)는 탄성 금속판으로부터 형성되는 탄성적인 길고, 얇은 스트립 형상 부재이며, 단자(61)는 하우징(11)의 더 짧은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즉, 체결 돌출부(14)가 배재된 상태에서 한 쌍의 측벽부(13)의 대향 직선 형상부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정렬되며, 하우징(11)의 종방향으로 지정된 피치(예컨대, 100[m] 이하)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하우징(11)의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에 부착된다. 단자(61)는 종방향에서 전방부 및 후방부가 대칭인 형상을 지닌다. 단자(61)는 종방향의 중앙부에서 단자(61)의 종방향에 대해 수직인 직선에 대해 선형 대칭이다. 즉, 단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자(61)는 절연체로 형성된 단자 유지 부재(31)에 의해 유지되는 말단 단부(66) 및 말단 단부(66)로부터 단자(61)의 중앙부를 향해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말단 단부(66)를 연결시키며 측표면은 상향으로 돌출되고 각진 형상을 지닌 아암부(68)를 포함한다. 아암부(68)는 양 측에서 각각 말단 단부(66)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경사부(68a), 제1 경사부(68a)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구부러진 한 쌍의 제 2 경사부(68b) 및 제1 경사부(68a)와 제 2 경사부(68b) 사이의 연결부로서의 한 쌍의 만곡부(68c)를 구비하며, 또한, 양 측에서 제 2 경사부(68b)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68d)가 제공된다.
여기서, 말단 단부(66)는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의 상부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며, 또한, 제1 경사부(68a), 제 2 경사부(68b) 및 만곡부(68c)는 말단 단부(66)보다 높게 돌출되는 각진 돌출 형상을 형성하며, 또한, 연결부(68d)는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의 상부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양 측의 각진 돌출부에 연결된다. 연결부(68d)는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지 않으며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의 상부 표면 위로 거리를 두고 위치됨을 알아야 한다. 또한, 만곡부(68c)의 각도, 즉, 제1 경사부(68a)와 제 2 경사부(68b)가 만곡부(68c)에서 만곡됨으로써 형성된 각도는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지만, 대체로 120도가 양호하다.
편평 케이블(101)이 커넥터(1)에 연결될 때, 각 단자(61)의 만곡부(68c)는 편평 케이블(101)의 전도성 리드(151)와 접촉하여 전기를 전도하는 접촉부로서 작용한다. 편평 케이블(101)은 체결 돌출부(14)의 오버행부(14a)와 덮개 부재(21)의 덮개부(22)에 의해 하우징(11)의 기판부(12)를 향해 가압되어 편평 케이블(101)이 하향으로 가압되며, 만곡부(68c)는 전도성 리드(151)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이동한다. 여기서, 단자(61)는 탄성 금속판으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만곡부(68c)는 하향 이동됨으로써 스프링과 같이 척력(repulsive force)을 발생시키며, 척력에 의해 전도성 리드(151)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만곡부(68c)와 전도성 리드(151) 사이의 접촉은 끊임 없이 유지되어, 만곡부(68c)와 전도성 리드(151) 사이의 전기 전도가 보장될 수 있다.
만곡부(68c)가 하향 이동될 때, 아암부(68)의 길이는 형상 측면에서 종방향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연결부(68d)가 하향 편향됨으로써, 만곡부(68c)가 하향으 로 이동될 때 저항을 제공한다. 즉, 상부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의 상부 표면 위에 위치한 연결부(68d)에 의해 만곡부(68c)를 연결시킴으로써, 만곡부(68c)와 전도성 리드(151) 사이의 접촉이 적절히 강화된다.
또한, 단자 유지 부재(31)는 오버몰딩과 같은 성형 방법에 의해 하부로부터 말단 단부(66)를 덮는, 말단 단부(66)에 연결되는 부재이며, 하우징(11)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얇고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배열된 모든 말단 단부(66)의 영역을 일체형으로 보유한다. 말단 단부(66)보다 낮은 단자 유지 부재(31)의 부분은 단자 유지 홈(16)에 수용된다. 단자 유지 부재(31)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해 하부 표면과 단자 유지 홈(16) 등에 부착된다. 따라서, 말단 단부(66)는 단자 유지 부재(31)를 통해 하우징(11)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단자 유지 부재(31)는 단자(61)의 양 외부 측면에서 단자(61)의 배열 방향으로 배열된 프레임 부재(71)를 일체형으로 보유한다. 프레임 부재(71)는 단자(61)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금속 판으로 형성된 얇고 긴 스트립 형상의 부재이며, 종방향에서 단자의 양 단부에 인접한 프레임 부재(71)의 부분은 단자 유지 부재(31)에 의해 유지되고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에 수용된다. 단자(61)의 말단 단부(66)와 유사하게, 종방향에서 단자의 양 단부에 인접한 프레임 부재(71)의 부분은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의 상부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의 상부 표면과 접촉한다. 또한, 프레임 부재(71)가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의 상부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각각의 프레임 부재(71)는 상기 상부 표면 위에 위치한 가이드부로서 케이블 가이드부(75)를 구비한다. 케이블 가이드 부(75)는 종방향에 대해 체결 돌출부(14)의 오버행부(14a)에 끼워맞춰지는 크기를 가지며, 케이블 가이드부(75)의 양 단부는 경사부(75a)를 통해 양 단부에 인접한 프레임 부재(71)의 부분에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케이블 가이드부(75)의 상부 표면의 높이는 단자(61)의 만곡부(68c)의 최고 표면과 대체로 동일함을 알아야 한다. 또한, 경사부(75a)의 각도, 즉, 경사부(75a)와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의 상부 표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대체로 45도가 양호하다.
여기서, 양 측에서 프레임 부재(71)의 내부 표면들 사이의 거리는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101)의 폭 방향에서 양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전도성 리드(151)의 외측 표면들 사이의 거리와 대체로 동일하다. 따라서, 편평 케이블(101)이 커넥터(1)에 연결될 때, 케이블(101)의 폭 방향에서 양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전도성 리드(151)의 외측 표면을 양 측의 케이블 가이드부(75)의 내측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편평 케이블(101)은 배열 방향에서의 각각의 전도성 리드(151)의 위치가 대응 단자(61)의 위치에 부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편평 케이블(101)의 폭 방향에서 양 측의 최외측 측면의 전도성 리드(151)의 외측 표면의 위치는 양 측의 케이블 가이드부(75)의 내측 표면의 위치에 부합되어, 각각의 전도성 리드(151)는 배열 방향으로 위치된다.
다음으로, 커넥터(1)를 제조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먼저, 가압 장치와 같은 기계 공구를 이용하여 전도성 금속판으로 스탬핑 가공하고 구부림으로써,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자 예비성형 부재(70) 가 형성된다. 단자 예비성형 부재(70)는 예컨대, 레이저 처리 및 에칭의 어떤 종류의 처리 방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예비성형 부재(7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71) 및 프레임 부재(71)에 평행하고 지정된 피치로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단자(61)를 포함한다. 프레임 부재(71)와 단자(61)는 동일한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플레이트 형상 이송부(72)는 종방향으로 단자(61)의 일 단부 및 프레임 부재(71)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이송부(72)는 커넥터(1) 또는 단자 조립체(60)의 제조 공정에서 단자 예비성형 부재(70)를 이송하고 위치시키는 것과 같은 작업을 쉽게 실행하기 위하여 운반 기계, 기계 공구, 공구, 지그, 조작자의 손 등에 의해 파지되는 부재이며, 이송부(72)는 제조의 마지막 단계에서 절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두 개의 단자 예비성형 부재(70)는 이송부(72)에 연결된다. 그러나, 단 하나의 단자 예비성형 부재(70)가 이송부(72)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이송부(72)가 긴 스트립 형상 플레이트 부재인 경우에, 3개 이상의 단자 예비성형 부재(70)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이송부(72)에 연결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플레이트 형상 부이송부(73)는 종방향으로 단자(61)의 다른 단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부이송부(73)는 단자(61)와 동일한 금속판으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단자(61)에 수직 방향, 즉, 단자(61)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부이송부(73)는 프레임 부재(71)에 연결된 것이 아니지만, 필 요한 경우에 프레임 부재(71)에 연결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각 단자(61)에 대해 만곡 작업이 수행되며, 따라서, 말단 단부(66)에 대해 경사진 제1 경사부(68a), 제1 경사부(68a)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만곡된 제2 경사부(68b), 제1 경사부(68a)와 제2 경사부(68b)를 연결시키는 만곡부(68c) 및 양 측의 제2 경사부(68b)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68d)가 형성된다. 유사하게, 각 프레임 부재(71)에 만곡 작업이 수행되며, 따라서, 케이블 가이드부(75), 양 단부에 인접한 부분들에 케이블 가이드부(75)를 연결시키는 경사부(75a)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단자 유지 부재(31)는 성형 방법, 예컨대, 오버몰딩에 의해 단자 예비성형 부재(70)의 부분들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다. 단자 유지 부재(31)는 배열 방향으로 정렬된 모든 단자(66)의 종방향에서 양 단부에 인접한 말단 단부(66)의 부분 및 정렬된 단자(61)의 양 외측면에 제공된 프레임 부재(71)의 양 단부에 인접한 프레임 부재(71)의 부분을 하부로부터 덮기 위해 형성되는 부재이며, 단자(61)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얇고 긴 직사각형 평행 6면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경우에, 단자 유지 부재(31)는 단자 유지 부재 수용 홈(16)의 깊이, 즉,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크기와 대체로 동일한 두께 크기를 가지는 것이 양호하다. 따라서, 단자(61)의 말단 단부(66)와 프레임 부재(71)의 양 단부에 인접한 부분은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의 상부 표면 및 단자 유지 부재 수용 홈(16)에 수직 방향으로의 변형 없이 선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자(61)의 일부 및 이송부(72)와 부이송부(73)에 연결된 프레 임 부재(71)가 절결됨으로써, 그리고 이송부(72)와 부이송부(73)가 제거됨으로써, 단자 조립체(60)가 얻어질 수 있다. 단자(61) 및 프레임 부재(71)는 예컨대, 목표 부재가 레이저 빔 조사에 의해 절단되는 기계가공에 의해 절단될 수 있으나, 어떤 유형의 기계가공도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단자(61)는 일 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이어지는 길고 얇은 독립적인 스트립 형상의 부재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 모든 단자(61)는 말단 단부(66)의 적어도 하부 부분이 단자 유지 부재(31)에 의해 덮어지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종방향에서 단자 유지 부재(31)의 양 단부가 양 측의 프레임 부재(71)에 연결된다. 따라서, 각각의 단자(61)는 단자(61)가 프레임 부재(7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단자 유지 부재(31)에 의해 유지되며, 프레임 부재(71)의 짧은 방향으로 지정된 피치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단자 조립체(60)는 프레임 부재(71), 지정된 피치로 서로 평행한 복수의 단자(61), 프레임 부재(71)에 연결되고 단자(61)를 유지시키는 단자 유지 부재(31)를 포함한다. 프레임 부재(71)는 평행 부재들로부터 형성되고 단자(61)는 프레임 부재(71)들 사이에 제공되며, 단자 유지 부재(31)는 종방향에서의 양 단부에서 프레임 부재(71)의 양 단부에 인접한 부분들에 종방향으로 연결되고, 단자(61)의 말단 단부(66)의 양 단부에 인접한 부분들을 보유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단자 조립체(60)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71)와, 프레임 부재(7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레임 부재(71)의 짧은 방향으로 지정된 피치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이송부(72)를 통해 프레임 부재(71)에 일체형으로 연결되 고 부이송부(7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단자(61)를 포함하는 단자 예비성형 부재(70)를 형성함으로써, 그리고 오버몰딩과 같은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프레임 부재(71)와 단자(61)를 일체형으로 유지시키는 단자 유지 부재(31)를 형성함으로써,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송부(72)와 부이송부(73)를 제거하여 단자(61)가 서로 분리되어 독립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따라서, 프레임 부재(71)와 모든 단자(61)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짧은 시간에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단자(61)의 피치가 100[m]만큼 작거나 그 이하라도, 단자(61)의 배열은 정확히 유지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자(61)와 프레임 부재(71) 사이의 위치 관계는 정확히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편평 케이블(101)의 폭 방향의 양 측의 최외 측면에 위치한 전도성 리드(151)의 외측 표면을 양 측의 케이블 가이드부(75)의 내측 표면을 따라 위치시킴으로써, 양 측의 프레임 부재(71)의 내측 표면들 사이의 거리가 편평 케이블(101)의 폭 방향의 양 측의 최외 측면에 위치한 전도성 리드(151)의 외측 표면들 사이의 거리와 대체로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면, 편평 케이블(101)은 배열 방향에서의 각각의 전도성 리드(151)의 위치가 각각의 단자(61)에 접촉하도록 정확히 위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덮개 부재(21)는 하우징(11)에 부착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커넥터(1)는 하우징(11)의 단자 수용 리세스부(15)에 단자 조립체(60)를 제공하고, 단자 수용 홈(16)에 수용된 단자 유지 부재(31)를 접착제를 통해 홈(16)의 하부 표면에 부착시키고,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재(21)의 개구(24)를 하우징(11)의 체결 돌출부(14)와 체결시킴으로써 하우징(11) 에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편평 케이블(101)을 커넥터(1)에 연결시키는 것이 설명된다. 도 14에서, 편평 케이블(101)은 케이블이 종방향의 중간부분에서 거의 직각으로 만곡되고 폭 크기가 만곡부에서 변화되는 대략 L자형 형상을 가지나, 어떤 유형의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편평 케이블(101)은 선형 스트립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일정한 폭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편평 케이블(101)은 절연성의 얇은 플레이트 부재인 기판부(111) 및 기판부(111)의 일 표면상에 배열된 전도성 리드(151)를 포함한다. 전도성 리드(151)는 예컨대, 구리 등으로부터 형성된 포일형 선형체이며, 소정의 두께를 지닌 기판부(111) 상에 형성되고 지정된 피치로, 예컨대, 약 100[m]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전도성 리드(151)의 상부 표면은 절연층(121)으로 덮이며, 편평 케이블(101)의 단부의 영역은 전도성 리드(151)의 표면을 노출시키도록 제거되는 절연층을 가진다. 편평 케이블(101)의 일 단부(도 14에 도시된 하부 단부)에서의 전도성 리드(151)의 노출된 부분은 단자(61)의 만곡부(68c)에 접촉하는 대응 단자로서 작용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리드(151)의 배열 방향에서 최외 측면(도면에서 우측면)에 제공된 전도성 리드(151)의 폭이 다른 전도성 리드(151)의 폭보다 넓게 도시되었지만, 최외 측면에 제공된 전도성 리드(151)의 폭이 적절히 변화될 수 있으며 다른 전도성 리드(151)의 폭과 동일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양 단부로부터 지정된 길이를 지닌 편평 케이블(101)의 영역에서, 보 강판(113)이 전도성 리드(151)가 노출되는 면, 즉, 기판부(111)의 후방면에 반대인 면에 대어진다. 보강판(113)이 대어지는 영역이 전도성 리드(151)가 노출되는 영역보다 넓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커넥터(1)에 편평 케이블(101)을 연결할 때, 덮개 부재(21)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으로부터 제거된다. 이후, 편평 판형상 케이블(101)의 자세가 조정되고, 편평 케이블(101)의 일 단부에 노출된 전도성 리드(151)가 하우징(11)의 기판부(12)에 대면하도록 편평 케이블(101)의 일 단부가 위치되며, 전도성 리드(151)가 연장되는 방향은 단자(61)가 연장되는 방향과 부합된다.
예컨대, 도 18에서, 하우징(11)의 상부 우측부에 연결되는 편평 케이블(101)은 단자의 단부의 종방향이 경사지도록 단자(61) 위에 위치되고 단자의 단부는 하부 좌측을 향한다. 또한, 예컨대, 도 18에서 하우징(11)의 하부 좌측부에 연결되는 편평 케이블(101)은 단자의 단부의 종방향이 경사지도록 단자(61) 위에 위치되고 단자의 단부는 상부 우측을 향한다.
다음으로, 편평 케이블(101)의 단부에서의 폭 방향의 양 측의 기판부(111)는 체결 돌출부(14)의 오버행부(14a)와 프레임 부재(71)의 케이블 가이드부(75) 사이에 삽입된다. 이러한 경우에, 오버행부(14a)와 케이블 가이드부(75) 사이에 삽입되는 기판부(111)의 일부는 전도성 리드(151)의 방향으로 최외측 위치에 제공된 전도성 리드(151)보다 외부 측면에 위치한 부분, 즉, 도 17에서 최우측면에 위치한 전도성 리드(151)보다 더 우측에 위치한 부분이다.
또한, 편평 케이블(101)의 폭 방향에서 양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전도성 리 드(151)의 두께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표면은 전도성 리드(151)의 두께를 이용함으로써 양 케이블 가이드부(75)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편평 케이블(101)은 배열 방향으로의 전도성 리드(151)의 위치가 대응 단자(61)의 위치에 부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대체로, 절연성의 얇은 플레이트 부재인 기판부(111)의 크기 정확성은 비교적 낮으며, 따라서, 예컨대, 폭 방향에서의 기판부(111)의 양측 표면이 위치설정을 위해 사용될 때, 대체로 100[m]의 미세 피치로 전도성 리드(151)를 구비한 편평 케이블(101)을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이 어렵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도성 리드(151)의 치수 정확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전도성 리드(151)의 외측 표면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위치설정을 위해 사용되며, 외측 표면은 양 측의 케이블 가이드부(75)의 내측 표면을 따라 위치된다. 따라서, 편평 케이블(101)은 높은 정확성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배열 방향으로의 전도성 리드(151)의 위치를 대응 단자(61)의 위치에 정확히 부합하게 한다.
케이블 가이드부(75)의 경사부(75a)가 편평 케이블(101)의 삽입 방향에 대해 만곡부(68c)의 외부 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만곡부(68c)와 전도성 리드(151)의 전도성 표면이 서로 접촉하기 이전에, 전도성 리드(151)는 케이블 가이드부(75)의 내측 표면이 최외 측면에 위치한 전도성 리드(151)의 외측 표면을 따라 위치되게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블 가이드부(75)를 먼저 전도성 리드(151)의 외측 표면을 따라 위치시키기 위하여, 케이블 가이드부(75)는 만곡부(68c)보다 약간 높게 상승될 수도 있다. 이는 경사부(75a)와 만곡부(68c)가 삽입 방향으로 대체로 동일 위치에 있을 때 효과적이다.
또한, 편평 케이블(101)의 끝 에지를 오버행부(14a)의 하부 표면 상에 형성된 케이블 위치설정 돌출부(14b)와 접촉하게 함으로써, 위치설정은 편평 케이블(101)의 연장 방향으로, 즉, 전도성 리드(151)의 연장 방향으로 이뤄진다. 따라서, 전도성 리드(151)가 노출된 단부로부터 지정된 길이에 대한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101)의 면적은 단자(61)의 만곡부(68c)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부재(21)는 상부로부터 하우징(11)에 부착된다. 이러한 경우, 덮개 부재(21)의 체결 개구(24)는 하우징(11)의 체결 돌출구(14)와 체결되며, 따라서, 덮개 부재(21)는 하우징(11)에 의해 래치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우징(11)의 기판부(12)에 대향하는 덮개 부재(21)의 덮개부(22)의 표면, 즉, 하부 표면은 오버행부(14a)의 하부표면과 거의 같은 높이로 되며,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101)은 하우징(11)의 기판부(12)를 향해, 즉 하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단자(61)의 만곡부(68c)는 대응 전도성 리드(151)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이동한다. 이후, 하향 이동됨으로써, 만곡부(68c)는 탄성으로 인해 스프링과 같이 척력을 발생시키고, 척력에 의해 전도성 리드(151)에 대해 가압된다. 이는 만곡부(68c)와 전도성 리드(151) 사이의 접촉을 보장하고 전기 전도성을 확보한다.
또한, 만곡부(68c)가 스프링과 같이 만곡부(68c)의 척력을 이용함으로써 편평 케이블(101)을 덮개 부재(21)의 덮개부(22)에 끼워넣기 때문에, 편평 케이 블(101)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고, 커넥터(1)로부터 결코 탈착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기술된 바와 같이, 편평 케이블(101)이 커넥터(1)의 상부 우측부와 하부 좌측부에 각각 연결될 때, 각각의 편평 케이블(101)의 전도성 리드(151)와 단자(6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 편평 케이블(101)의 전도성 리드(151)는 단자(61)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재(71)는 단자(61)의 배열 방향으로 양 외측부에 제공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부재로부터 형성되며, 전도성 리드(151)를 안내함으로써 각각의 전도성 리드(151)와 각각의 단자(61)를 위치시키며, 단자 유지 부재(31)는 양 단부에서 종방향으로 프레임 부재(71)에 연결되고 단자(61)의 말단 단부(66)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단자(61)의 피치가 좁더라도, 단자 조립체(60)와 커넥터(1)의 제조가 쉽고 빠른 시간에 이뤄지고, 단자(61)의 배열이 정확히 유지될 수 있으며, 단자(61)와 프레임 부재(71)의 위치설정 정확도가 높으며, 전도성 리드(151)는 프레임 부재(71)에 의해 안내되며, 편평 케이블(101)은 매우 정확히 위치될 수 있는 단자 조립체(60)와 커넥터(1)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자(61)의 피치가 좁아질수록, 단자 조립체(60)와 커넥터(1)의 높이 치수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단자 조립체(60)와 커넥터(1)는 쉽게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71)는, 양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전도성 리드(151)를 전도성 리드(151)의 배열 방향으로 안내하고 양 측의 가이드부(75)의 내측 표면과 함 께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전도성 리드(151)의 외측 표면을 위치시킴으로써 전도성 리드(151)가 배열 방향으로 위치되게 하는 가이드부(75)를 구비한다. 따라서, 낮은 크기 정확성을 지닌 기판부(111) 대신에, 높은 크기 정확성을 지닌 전도성 리드(151)의 외측 표면이 위치설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편평 케이블(101)의 위치설정이 정확히 높게 수행될 수 있으며, 배열 방향으로의 전도성 리드(151)의 위치는 대응 단자(61)의 위치와 정확히 부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단자(61)는 양 단부에 종방향으로 위치하고 단자 유지 부재(31)에 의해 유지되는 말단 단부(66) 및 양 측의 말단 단부(66)를 연결시키고 탄성적으로 탈착가능한 아암부(68)를 구비하며, 아암부(68)는 각 말단 단부(66)에 연결된 상향으로 돌출되고 각진 도출부 및 양 측의 돌출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68d)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전도성 리드(151)와 접촉한다. 따라서, 아암부(68)는 탄성으로 인해 스프링과 같이 척력을 발생시키며, 돌출부가 척력에 의해 전도성 리드(151)에 대해 가압되기 때문에, 돌출부와 전도성 리드(151) 사이의 접촉은 파손 없이 유지되며 이들 사이의 전기 전도를 보장한다.
또한, 덮개 부재(21)는 착탈 방식으로 하우징(11)에 부착디고, 하우징(11)의 상부 표면을 덮고 편평 케이블(101)을 유지시킨다. 따라서, 스프링과 같이 아암부(68)에 의해 발생된 척력으로 인해, 아암부(68)는 덮개 부재(21)의 덮개부(22)와 협력하여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101)을 수직 방향으로 끼워넣으며, 편평 케이블(101)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케이블이 커넥터(1)로부터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에 기초한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제외되지 않는다.

Claims (9)

  1. 프레임 부재, 지정된 피치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단자 및 단자를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 부재에 연결된 단자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단자 조립체이며,
    프레임 부재는 각각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단자의 양 외측에 제공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하며, 대응 단자를 안내함으로써 각각의 대응 단자와 각각의 단자의 위치설정을 수행하며,
    단자 유지 부재는 양 단부에서 종방향으로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며 단자의 말단 단부들을 유지시키는 단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는 양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대응 단자를 대응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프레임 부재는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대응 단자의 외측 표면을 양 가이드부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대응 단자를 배열 방향으로 위치설정할 수 있게 하는 단자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자는 종방향으로 양 단부에 위치하고 단자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말단 단부 및 양 말단 단부들을 연결시키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아암부를 포함하며,
    아암부는 말단 단부에 각각 연결된 상향으로 돌출된 각진 돌출부 및 각진 돌출부들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각진 돌출부는 대응 단자와 접촉하게 되는 단자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 유지 부재는 절연 물질로부터 형성되며 단자의 말단 단부와 양 단부에 인접한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부재인 단자 조립체.
  5. 복수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며 지정된 피치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단자 및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단자를 유지시키는 단자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단자의 두 개의 평행한 외부 측면에 상기 단자의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부재를 포함하며, 한 쌍의 편평 가요성 케이블을 이들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편평 케이블의 대응 단자를 이들 사이의 위치로 안내하며,
    상기 단자 유지 부재는 양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종방향으로 연결되며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각 단자의 말단 단부를 유지하는, 연결용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 표면을 덮음으로써 상기 프레임 부재들 사이의 제 위치에 상기 편평 케이블을 유지시키는 덮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결용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형성된 편평 기부와 단자 수용 리세스, 단자 수용 리세스부에 형성되며 단자 유지 부재를 수납하는 한 쌍의 단자 유지 부재 수용 홈 및 한 쌍의 체결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체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를 향해 내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편평 케이블의 단부와 접촉하는 오버행부 및 외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체결 개구와 체결되는 덮개 래치부를 각각 구비하는 연결용 커넥터.
  8.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프레임 부재는 양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대응 단자를 대응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 부재는 최외측 위치에 위치한 상기 대응 단자의 외측 표면이 가이드부의 내측 표면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편평 케이블을 폭 방향으로 위치설정시키는 연결용 커넥터.
  9.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자는 단자의 양 단부에 종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단자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말단 단부 및 양 말단 단부를 연결시키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아암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부는 말단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상향으로 돌출된 각진 돌출부 및 상기 각진 돌출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진 돌출부는 각각의 한 쌍의 상기 편평 케이블의 대응 단자와 접촉하 게 되고 상기 덮개 부재와 협력하여 상기 편평 플레이트 형상 케이블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편평 케이블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연결용 커넥터.
KR1020097020480A 2007-03-01 2008-03-03 단자 조립체 및 편평 케이블 커넥터 KR200901273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51323 2007-03-01
JP2007051323A JP4963988B2 (ja) 2007-03-01 2007-03-01 端子組立体及び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314A true KR20090127314A (ko) 2009-12-10

Family

ID=3963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480A KR20090127314A (ko) 2007-03-01 2008-03-03 단자 조립체 및 편평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42233B2 (ko)
JP (1) JP4963988B2 (ko)
KR (1) KR20090127314A (ko)
CN (1) CN101682134B (ko)
WO (1) WO20081090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5268B2 (ja) * 2007-01-19 2012-08-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端子組立体、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0018858B4 (de) 2010-04-30 2013-01-03 Few Fahrzeugelektrikwerk Gmbh & Co. Kg Kontaktierungs- und Verbindungsanordnung bestehend aus in einem Gehäuse eingebrachten Folienleitern
JP2014093123A (ja) * 2012-10-31 2014-05-19 Tyco Electronics Japan Kk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US9331432B1 (en) * 2014-10-21 2016-05-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bussed ground contacts
KR101552825B1 (ko) * 2015-03-18 2015-09-14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성회로기판용 커넥터
DE112015006664T5 (de) * 2015-07-01 2018-05-24 Intel Corporation FPC-Steckverbinder für bessere Signalintegrität und Designkompaktierung
WO2021184188A1 (zh) * 2020-03-17 2021-09-23 元锦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可拆式接合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83296A (en) 1971-10-07 1974-02-12 Plessey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s
JPS6036809A (ja) 1983-08-05 1985-02-26 Onoda Cement Co Ltd 微粉固形燃料用バ−ナ
JPS61153276U (ko) * 1985-03-14 1986-09-22
US4633582A (en) * 1985-08-14 1987-01-06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for assembling an optoisolator and leadframe therefor
US4743080A (en) * 1986-09-25 1988-05-10 G & H Technology, Inc. Flat cable connector
US4740867A (en) * 1987-03-26 1988-04-26 Advanced Circuit Technology, Inc. Printed circuit connection system
JPH0766844B2 (ja) * 1991-12-13 1995-07-19 株式会社フジソク コネクタ装置とその接触装置
DE69426344T2 (de) * 1993-09-14 2001-08-09 Zierick Mfg Corp Oberflächenmontierter elektrischer Verbinder
US5631192A (en) * 1995-10-02 1997-05-20 Motorola, Inc. Semiconductor device on an opposed leadframe and method for making
US6595796B1 (en) * 1997-03-31 2003-07-22 The Whitaker Corporation Flexible film circuit connector
JP3859871B2 (ja) * 1998-06-25 2006-12-20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6171149B1 (en) * 1998-12-28 2001-01-09 Berg Technology, Inc. High speed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113438A (en) * 1999-06-16 2000-09-0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2001068184A (ja) * 1999-08-31 2001-03-16 Oki Electric Ind Co Ltd 水平接続基板間コネクタ
JP2001176588A (ja) * 1999-12-17 2001-06-29 Fci Japan Kk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6764336B2 (en) * 2001-02-27 2004-07-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ethod for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obtained thereby
GB2395372B (en) * 2002-11-13 2005-08-31 Contour Electronics Ltd Connector
US7112072B2 (en) * 2002-12-31 2006-09-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Ground bu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7682207B2 (en) * 2008-07-24 2010-03-23 Illinois Tool Works Inc. Carrier strip for electrical cont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2134B (zh) 2012-07-18
CN101682134A (zh) 2010-03-24
US8142233B2 (en) 2012-03-27
WO2008109044A3 (en) 2008-10-23
JP4963988B2 (ja) 2012-06-27
WO2008109044A2 (en) 2008-09-12
JP2008218083A (ja) 2008-09-18
US20100075529A1 (en)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599B1 (ko) 커넥터
EP3151341B1 (en) Connector
KR101232437B1 (ko) 보드간 컨넥터
KR101241686B1 (ko) 보드간 컨넥터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CN111934110B (zh) 连接器
US8142233B2 (en) Terminal assembly and flat cable connector
CN111146630B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106981754B (zh) 连接器
KR10132639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JP7473613B2 (ja) 金具、金具付き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20230396012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pair
US20090081900A1 (en) Electric connector
US6890216B2 (en) Connector which can be simplified in structure of an end portion in a card inserting/removing direction
JP5015268B2 (ja) 端子組立体、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71607A (ko) 무접촉단자형 fpc 커넥터
JP2015002094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端末接続具
JP2004179094A (ja) 挿入基板の電気コネクタ
CN117501550A (zh) 基板用连接器
JP2008181700A (ja) 端子組立体、コネクタ及び端子組立体の製造方法
JP2008177072A (ja) 端子組立体及びコネクタ
KR20160128540A (ko) 케이블 커넥터
JP2008177066A (ja) 端子組立体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