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885A - 차량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885A
KR20090122885A KR1020090045473A KR20090045473A KR20090122885A KR 20090122885 A KR20090122885 A KR 20090122885A KR 1020090045473 A KR1020090045473 A KR 1020090045473A KR 20090045473 A KR20090045473 A KR 20090045473A KR 20090122885 A KR20090122885 A KR 20090122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source image
light guid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951B1 (ko
Inventor
다쿠야 고타지마
사토시 야마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9012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21S41/334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 F21S41/336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with discontinuity at the junction between adjacent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21S41/295Attachment thereof specially adapted to 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적절하게 경계를 공유하는 복수의 투영상을 형성 가능한 차량용 전조등을 제안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광원상 형성 수단은 제1 광원상 및 제2 광원상을 형성한다. 투영 렌즈(50)는, 형성된 제1 광원상 및 제2 광원상을, 서로 경계를 공유하도록 투영한다. 광원상 형성 수단은, 제1 광원상 및 제2 광원상을, 공유하는 경계를 형성하는 각각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서로 이격시킨 위치에 형성한다. 투영 렌즈(50)는, 제1 광원상을 투영하는 제1 렌즈부(50a)와, 제2 광원상을 투영하는 제2 렌즈부(50b)를 구비한다. 제1 렌즈부(50a) 및 제2 렌즈부(50b)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구획 부재가, 제1 광원상 또는 제2 광원상과 투영 렌즈(5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광원상으로부터 제2 렌즈부(50b)의 입사면에 입사하는 광을 억제하고, 또는 제2 광원상으로부터 제1 렌즈부(50a)의 입사면에 입사하는 광을 억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HEADLAMP}
본 발명은,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야간에 차로 주행할 때에는, 통상은 로우빔을 조사하여 노면을 비추어 주행하고, 필요에 따라 하이빔을 조사하여 전방을 확인하면서 주행한다. 그러나, 소위 컷오프 라인보다 위쪽으로 광을 조사하면, 전방 주행 차량의 운전자나 차량 전방에 있는 보행자에게 글레어를 가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인물의 위치를 결정하고, 인물에 대응하는 치수 및 위치를 갖는 마스크를 상(像) 형성기 상에 형성하여 인물의 주위에 투영된 그림자를 형성하는 차량용 헤드 라이트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예컨대 전방 주행 차량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한 방향을 감광(減光)하도록 조광(調光)하고, 이에 따라 감광한 광을 다른 방향으로 조사하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예컨대 물체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광감쇠 매트릭스 내의 복수의 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소의 광을 감쇠시키는 차량용 암시(暗視)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3117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4-8133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88224호 공보
전술한 특허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투광과 차광을 전환 가능한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된 중간 부재를 광원과 투영 렌즈 사이에 배치하고, 전방으로의 광의 조사를 마스크하는 등 하여 전방에 존재하는 사람에게 가하는 글레어를 억제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채용한 경우, 구획끼리의 경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광의 투과 또는 발광을 하기 어렵게 되며, 투영상에 있어서 경계 부분이 어둡게 되어 표시될 가능성이 있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서로 적절하게 경계를 공유하는 복수의 투영상을 형성 가능한 차량용 전조등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임의의 양태의 차량용 전조등은, 제1 광원상 및 제2 광원상을 형성하는 광원상 형성 수단과, 형성된 제1 광원상 및 제2 광원상을, 서로 경계를 공유하도록 투영하는 투영 렌즈를 구비한다. 광원상 형성 수단은, 제1 광원상 및 제2 광원상을, 공유하는 경계를 형성하는 각각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서로 이격시킨 위치에 형성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우선 서로 이격시킨 위치에 제1 광원상 및 제2 광원상을 형성함으로써, 서로의 경계가 눈에 띄지 않도록 투영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투영상을 이격시킬 때, 공유하는 경계를 형성하는 각각의 가장자리부와 수직으로 제1 광원상 및 제2 광원상을 이격시키는 양태도 고려된다. 그러나, 이 양태에서는 전조등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가상면 상에 있어서 경계를 중첩할 수는 있지만, 그보다도 가까운 가상면, 또는 먼 가상면에서는, 각각의 투영상의 가장자리부가 경계와 수직으로 이격 또는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경계를 적절하게 공유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 양태에 따르면, 전조등으로부터 가상면까지의 거리가 변화하여도 인접하는 투영상끼리의 경계가 적절하게 공유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투영 렌즈는, 제1 광원상을 투영하는 제1 렌즈부와, 제2 광원상을 투영하는 제2 렌즈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제1 렌즈부 및 제2 렌즈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양태에 따르면, 제1 렌즈부 및 제2 렌즈부 모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고정밀도로 확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광원상 및 제2 광원상 모두의 투영상의 경계를 더욱 적절하게 공유시킬 수 있다.
제1 광원상 또는 제2 광원상과 투영 렌즈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광원상으로부터 제2 렌즈부의 입사면에 입사하는 광을 억제하고, 또는 제2 광원상으로부터 제1 렌즈부의 입사면에 입사하는 광을 억제하는 구획 부재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 양태에 따르면, 제1 광원상으로부터 제2 렌즈부의 입사면에 광이 입사하고, 또는 제2 광원상으로부터 제1 렌즈부의 입사면에 광이 입사함으로써, 형성해야 할 투영상 이외의 부분을 향해 누출되는 광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광원상 또는 제2 광원상과 투영 렌즈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광원상으로부터 제1 렌즈부의 입사면을 통과하여 제2 렌즈부의 출사면에 도달하는 광을 억 제하고, 또는 제2 광원상으로부터 제2 렌즈부의 입사면을 통과하여 제1 렌즈부의 출사면에 도달하는 광을 억제하는 차광 부재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부와 제2 렌즈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경우, 따로따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양자 사이에 구획 부재를 마련하기가 곤란해진다. 이 때문에, 제1 광원상으로부터 제2 렌즈부의 출사면에 광이 입사하고, 또는 제2 광원상으로부터 제1 렌즈부의 출사면에 광이 입사하기가 쉬워진다. 이 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경로를 통해 의도하지 않는 방향으로 누출되는 광을 억제할 수 있다.
투영 렌즈는, 제1 렌즈부의 광축과 제2 렌즈부의 광축 사이에 위치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도 좋다. 이 양태에 따르면, 투영 렌즈를 회동시킴으로써, 제1 렌즈부에 의한 투영상과 제2 렌즈부에 의한 투영상을, 공유해야 할 경계와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 또는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경계를 양호하게 공유하도록 양(兩) 투영상의 상대적인 위치를 간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에 의하면, 서로 적절하게 경계를 공유하는 복수의 투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이하, 실시형태라고 함)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측 전조등 유닛(10R)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다. 도 1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우측 전조등 유닛(10R)을 수평면으로 절단하여 위쪽에서 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우측 전조등 유닛(10R)과 좌측 전조등 유닛[도시 생략. 이하, 「좌측 전조등 유닛(10L)」이라 함]에 의해 전조등 유닛이 구성된다. 또한, 좌측 전조등 유닛(10L)은 우측 전조등 유닛(10R)과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하에서는 우측 전조등 유닛(10R)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좌측 전조등 유닛(10L)의 설명은 생략한다.
우측 전조등 유닛(10R)은, 투광 커버(20), 램프 보디(22), 익스텐션(extension)(24), 제1 등기구 유닛(26) 및 제2 등기구 유닛(28)을 구비한다. 램프 보디(22)는 수지 등에 의해 가늘고 긴 개구부를 갖는 컵 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투광 커버(20)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 등에 의해 성형되고, 램프 보디(22)의 개구부를 막도록 램프 보디(22)에 부착된다. 이렇게 해서 램프 보디(22)와 투광 커버(20)에 의해 등실이 형성되고, 이 등실 내에 익스텐션(24), 제1 등기구 유닛(26) 및 제2 등기구 유닛(28)이 배치된다.
익스텐션(24)은 제1 등기구 유닛(26) 및 제2 등기구 유닛(28)으로부터의 조사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2개의 개구부를 갖는다. 익스텐션(24)은 램프 보디(22)에 고정된다. 제1 등기구 유닛(26)은 제2 등기구 유닛(28)보다 차량 외측에 배치된다. 제1 등기구 유닛(26)은 소위 파라볼라형의 등기구 유닛이고, 후술하는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제1 등기구 유닛(26)은 리플렉터(32), 광원 벌브(34) 및 쉐이드(36)를 구비한다. 광원 벌브(34)는 컵 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광원 벌브(34)는 할로겐 램프 등의 필라멘트를 갖는 백열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광원 벌브(34)는 메탈할라이드 벌브 등의 HID 램프(방전 램프라고도 함)로 이루어지는 방전등이 채용되어도 좋다. 광원 벌브(34)는, 내부에 돌출하도록 리플렉터(32)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리플렉터(32)에 고정된다. 리플렉터(32)는 광원 벌브(34)가 조사한 광을 차량 전방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내면의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쉐이드(36)는 광원 벌브(34)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직접 진행하는 광을 차단한다. 제1 등기구 유닛(26)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제1 등기구 유닛(26)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등기구 유닛(28)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 등기구 유닛(28)은 투영 렌즈(50) 및 광원상 형성 유닛(52)을 구비한다. 투영 렌즈(50)는 제1 렌즈부(50a) 및 제2 렌즈부(50b)에 의해 구성된다. 제1 렌즈부(50a) 및 제2 렌즈부(50b) 각각은, 전방측 표면이 볼록면이고 후방측 표면이 평면인 평볼록 비구면 렌즈로 이루어져, 그 후방측 초점면 상에 형성되는 광원상을 반전상으로서 등기구 전방에 투영한다. 이하에서는, 예컨대 차량 전방 25 미터의 위치에 배치된 가상 수직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투영상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투영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는 가상면은 이러한 수직인 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예컨대 노면을 상정한 수평면이라도 좋다. 제1 렌즈부(50a) 및 제2 렌즈부(50b)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남은 두 렌즈부의 광축이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서로 겹쳐 맞춰진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영 렌즈(50)는 전방에서 보아 원형의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투영 렌즈(50)는 제1 렌즈부(50a)의 광축이 제2 렌즈부(50b)의 광축의 수직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광원상 형성 유닛(52)은, 제1 광원상 형성 유닛(54) 및 제2 광원상 형성 유닛(56)을 구비한다. 제1 광원상 형성 유닛(54)은 제2 광원상 형성 유닛(56)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 광원상 형성 유닛(54)은, 제1 렌즈부(50a)에 의해 투영되는 광원상을 형성한다. 제2 광원상 형성 유닛(56)은, 제2 렌즈부(50b)에 의해 투영되는 광원상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등기구 유닛(28)을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제1 광원상 형성 유닛(54)은 투영 렌즈(50)의 평면부에 대향하는 제1 도광 부재(60)를 갖는다. 제1 도광 부재(60)는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를 갖는다. 이들은 각각 직사각형의 개구부를 갖고, 전방에서 보아 우측에서 좌측의 순서로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각각의 개구부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병설(竝設)된다.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3 도광로(60c)는, 각각 개구부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상부 제4 도광로(60d)는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3 도광로(60c)보다도 개구부가 낮은 높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부 제1 도광로(60a)의 개구부의 폭이 가장 넓고, 상부 제4 도광로(60d)의 개구부가 2번째, 상부 제2 도광로(60b)의 개구부가 3번째로 넓으며, 상부 제3 도광로(60c)의 개구부가 가장 좁게 되도록 각각이 형성된다.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각각의 개구부는 광원상으로서 이용되고, 이 개구부의 상이 제1 렌즈부(50a)를 통해 전방에 투영된다. 따라서, 제1 도광 부재(60)는 투영해야 할 광원상을 형성하는 광원상 형성 부재로서 기능한다.
제2 광원상 형성 유닛(56)은, 투영 렌즈(50)에 대향하는 제2 도광 부재(62)를 갖는다. 제2 도광 부재(62)는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를 갖는다. 이들은 각각 직사각형의 개구부를 갖고, 전방에서 보아 우측에서 좌측의 순서로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 각각의 개구부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병설된다. 하부 제1 도광로(62a) 및 하부 제2 도광로(62b)는, 각각 개구부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하부 제3 도광로(62c) 및 하부 제4 도광로(62d)는, 개구부의 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또한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3 도광로(62c)보다도 개구부가 낮은 높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부 제4 도광로(62d)의 개구부의 폭이 가장 넓고, 하부 제1 도광로(62a)의 개구부가 2번째, 하부 제3 도광로(62c)의 개구부가 3번째로 넓으며, 하부 제2 도광로(62b)의 개구부가 가장 좁게 되도록 각각이 형성된다.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 각각의 개구부는 광원상으로서 이용되고, 이 개구부의 상이 제2 렌즈부(50b)를 통해 전방으로 투영된다. 따라서, 제2 도광 부재(62)도 또한, 투영해야 할 광원상을 형성하는 광원상 형성 부재로서 기능한다.
광원상 형성 유닛(52)은,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각각의 개구부 및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 각각의 개구부에 따른 8개의 광원상에 의한 투영상을, 인접하는 것끼리 서로 경계를 공유하도록 가상 수직 스크린에 투영한다. 광원상 형성 유닛(52)은, 공유하는 경계를 형성하는 각각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서로 이격시킨 위치에 이들 8개의 광원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광원상 형성 유닛(52)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부를 따라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시킨 위치에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각각의 개구부와,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 각각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전조등 유닛(10)으로부터 가상 수직 스크린까지의 거리가 변화하여도, 인접하는 투영상끼리의 경계가 양호하게 중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는, 제1 렌즈부(50a)의 후방 초점(F1)의 궤적이 각각의 개구부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는, 제2 렌즈부(50b)의 후방 초점(F2)의 궤적이 각각의 개구부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광원상에 있어서, 렌즈의 초점에 가까운 부분은, 먼 부분보다도 높은 광도로 투영상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투영 렌즈(50)의 초점을 본 실시형태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아래쪽으로 진행함에 따라 광도가 증가하는 투영상을 가상 수직 스크린 상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평선 부근에서의 조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P-P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2 등기구 유닛(28)은, 홀더(58), 구획 부재(72), 상부 차광 부재(74) 및 하부 차광 부재(76)를 더 구비한다. 홀더(58)에는 투영 렌즈(50)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 원환형의 렌 즈 부착부(58a)가 마련되어 있다. 렌즈 부착부(58a)의 후방에는, 렌즈 부착부(58a)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58b)가 마련되어 있다. 투영 렌즈(50)는, 평면부가 걸림부(58b)에 맞닿을 때까지 렌즈 부착부(58a)에 끼워 넣어 고정된다. 이하, 제1 렌즈부(50a)의 평면부를 제1 입사면(50c)이라고 하고, 제2 렌즈부(50b)의 평면부를 제2 입사면(50d)이라고 한다. 또한, 제1 렌즈부(50a)의 볼록형의 곡면부를 제1 출사면(50e)이라고 하고, 제2 렌즈부(50b)의 볼록형의 곡면부를 제2 출사면(50f)이라고 한다. 또한, 제1 입사면(50c)과 제2 입사면(50d)의 경계는, 제1 출사면(50e)과 제2 출사면(50f) 사이의 곡부(谷部)에 형성되는 라인으로부터 이면(裏面)의 평면부에 수직으로 투영한 라인으로 한다.
여기서, 예컨대 제2 렌즈부(50b)는,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의 개구부 각각의 투영상을 전방에 투영한다. 이 때문에,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2 입사면(50d)으로 광이 입사한 경우, 투영해야 할 상 이외의 부분을 향해 광이 조사된다.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입사면(50c)으로 광이 입사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제2 등기구 유닛(28)에는 구획 부재(72)가 형성되어 있다. 구획 부재(72)는, 제1 입사면(50c)과 제2 입사면(50d)의 경계선으로부터, 광원상 형성 유닛(52)의 전면(前面)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경우 구획 부재(72)는,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의 개구부와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의 개구부 사이에 맞닥뜨리게 된다. 구획 부재(72)의 표면에 는, 광의 반사를 억제하는 반사 방지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구획 부재(72)는,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각각의 개구부로부터 제2 입사면(50d)으로 입사하는 광을 억제한다. 또한, 구획 부재(72)는,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 각각의 개구부로부터 제1 입사면(50c)으로 입사하는 광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방향을 향해 누출되는 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렌즈부(50a)와 제2 렌즈부(50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렌즈부(50a)와 제2 렌즈부(50b) 사이에 차광 부재를 배치하기가 곤란하다. 한편, 예컨대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로부터 조사된 광이 제1 입사면(50c)을 통과한 후, 제1 출사면(50e)이 아니라 제2 출사면(50f)에 도달하는 경우, 투영해야 할 상과는 상이한 부분을 향해 광이 누출되게 된다.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 중 어느 하나의 개구부로부터 조사된 광이, 제2 입사면(50d)을 통과한 후, 제2 출사면(50f)이 아니라 제1 출사면(50e)에 도달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제2 등기구 유닛(28)에는 상부 차광 부재(74) 및 하부 차광 부재(76)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차광 부재(74)는, 제1 입사면(50c)과 제2 입사면(50d)의 경계선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제1 입사면(50c)에 접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부 차광 부재(74)의 높이는 제1 입사면(50c)과 제2 입사면(50d)의 경계선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차광 부재(74)는, 제1 입사면(50c)과 제2 입사면(50d)의 경계선으로부터 의 높이가 좌우 방향의 중앙에 근접할수록 높아지는 곡선 형상의 상부 가장자리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상부 차광 부재(74)의 표면에도 반사 방지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상부 차광 부재(74)는,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각각의 개구부로부터 제1 입사면(50c)을 통과하여 제2 출사면(50f)에 도달하는 광을 억제한다.
하부 차광 부재(76)는, 제1 입사면(50c)과 제2 입사면(50d)의 경계선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제2 입사면(50d)에 접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하부 차광 부재(76)의 높이는 제1 입사면(50c)과 제2 입사면(50d)의 경계선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차광 부재(76)는, 제1 입사면(50c)과 제2 입사면(50d)의 경계선으로부터의 높이가 좌우 방향의 중앙에 근접할수록 높아지는 곡선 형상의 하부 가장자리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하부 차광 부재(76)의 표면에도 반사 방지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하부 차광 부재(76)는,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 각각의 개구부로부터 제2 입사면(50d)을 통과하여 제1 출사면(50e)에 도달하는 광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방향을 향해 누출되는 광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58b)는 렌즈 부착부(58a)로부터 직경 내측을 향해 돌출한다. 이 때문에, 걸림부(58b)는,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및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 각각의 개구부로부터 투영 렌즈(50)의 가장자리부에 도달하는 광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투영 렌즈(50)의 가장자리부에서 반사되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누출되는 광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상부 제3 도광로(60c) 및 하부 제2 도광로(62b)의 단면을 예로 들어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제3 도광로(60c)의 상부 내면에는 제5 발광 소자(70N5)가 마련되고, 하부 제2 도광로(62b)의 상부 내면에는 제4 발광 소자(70N4)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와 관련하여 제1 광원상 형성 유닛(54)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 6과 관련하여 제2 광원상 형성 유닛(56)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Q-Q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는 제1 렌즈부(50a)의 광축을 포함하는 수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제1 광원상 형성 유닛(5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 광원상 형성 유닛(54)은, 제1 발광 소자(70N1), 제3 발광 소자(70N3), 제5 발광 소자(70N5), 제7 발광 소자(70N7), 제1 리플렉터(64N1), 제3 리플렉터(64N3), 제5 리플렉터(64N5) 및 제7 리플렉터(64N7)를 더 구비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광원상 형성 유닛(56)에는, 제2 발광 소자(70N2), 제4 발광 소자(70N4), 제6 발광 소자(70N6) 및 제8 발광 소자(70N8)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발광 소자(70N1)∼제8 발광 소자(70N8)를 필요에 따라 「발광 소자(70)」라고 총칭한다. 각 발광 소자(70)는, 발광칩(도시 생략) 및 박막을 갖는다. 발광칩은, 1 ㎟ 정도의 정사각형의 발광면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발광칩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예컨대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대략 점형으로 면발광하는 다른 소자형의 광원이라도 좋다. 박막은 이 발광칩의 발광면을 덮도록 마련된다.
제1 도광 부재(60)에는, 투영 렌즈(50)를 향하는 외면에 전면(前面)(60e)이 마련되어 있다. 전면(60e)은 투영 렌즈(50)의 후방 초점의 궤적을 그리도록 후방을 향해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면(60e)은 평면이어도 좋다.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각각은, 이 전면(60e)에 개구부를 갖는다. 상부 제1 도광로(60a)는, 전면(60e)에서의 개구부로부터 후방으로 진행하여도 횡폭이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제2 도광로(60b)∼상부 제4 도광로(60d)는, 전면(60e)에서의 개구부로부터 후방으로 진행함에 따라 횡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제1 도광로(60a)의 후방의 개구부는 제1 리플렉터(64N1)에 의해 막혀 있고, 상부 제2 도광로(60b)의 후방의 개구부는 제3 리플렉터(64N3)에 의해 막혀 있다. 또한, 상부 제3 도광로(60c)의 후방의 개구부는 제5 리플렉터(64N5)에 의해 막혀 있고, 상부 제4 도광로(60d)의 후방의 개구부는 제7 리플렉터(64N7)에 의해 막혀 있다.
상부 제1 도광로(60a)의 좌측 내면에는, 제1 발광 소자(70N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발광 소자(70N1)에 의한 조사광은, 제1 리플렉터(64N1)의 내면에 의해 반사되어, 상부 제1 도광로(60a)의 개구부에 따른 광원상을 형성한다. 상부 제2 도광로(60b)의 상부 내면에는, 제3 발광 소자(70N3)가 마련되어 있다. 제3 발광 소자(70N3)에 의한 조사광은, 제3 리플렉터(64N3)의 내면에 의해 반사되어, 상부 제2 도광로(60b)의 개구부에 따른 광원상을 형성한다. 상부 제3 도광로(60c)의 상부 내면에는, 제5 발광 소자(70N5)가 마련되어 있다. 제5 발광 소자(70N5)에 의한 조 사광은, 제5 리플렉터(64N5)의 내면에 의해 반사되어, 상부 제3 도광로(60c)의 개구부에 따른 광원상을 형성한다. 상부 제4 도광로(60d)의 우측 내면에는, 제7 발광 소자(70N7)가 마련되어 있다. 제7 발광 소자(70N7)에 의한 조사광은, 제7 리플렉터(64N7)의 내면에 의해 반사되어, 상부 제4 도광로(60d)의 개구부에 따른 광원상을 형성한다.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의 내면은, 전체 영역에 걸쳐 알루미늄 재료가 증착되어, 광의 반사율이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알루미늄 대신에 은이 증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도광로 내면에 증착 처리를 하여 광의 반사율을 높임으로써, 투영 렌즈(50)를 향해 도광로 내면에서 반사하는 광의 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R-R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은 제2 렌즈부(50b)의 광축을 포함하는 수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제2 광원상 형성 유닛(56)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2 광원상 형성 유닛(56)은, 제2 발광 소자(70N2), 제4 발광 소자(70N4), 제6 발광 소자(70N6), 제8 발광 소자(70N8), 제2 리플렉터(64N2), 제4 리플렉터(64N4), 제6 리플렉터(64N6) 및 제8 리플렉터(64N8)를 더 구비한다.
제2 도광 부재(62)에는, 투영 렌즈(50)를 향하는 외면에 전면(前面)(62e)이 마련되어 있다. 전면(62e)은, 투영 렌즈(50)의 후방 초점의 궤적을 그리도록 후방을 향해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면(62e)은 평면이어도 좋다.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 각각은, 이 전면(62e)에 개구부를 갖 는다.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3 도광로(62c)는, 전면(62e)에서의 개구부로부터 후방으로 진행함에 따라 횡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 제4 도광로(62d)는, 전면(62e)에서의 개구부로부터 후방으로 진행하여도 횡폭이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 제1 도광로(62a)의 후방의 개구부는 제2 리플렉터(64N2)에 의해 막혀 있고, 하부 제2 도광로(62b)의 후방의 개구부는 제4 리플렉터(64N4)에 의해 막혀 있다. 또한, 하부 제3 도광로(62c)의 후방의 개구부는 제6 리플렉터(64N6)에 의해 막혀 있고, 하부 제4 도광로(62d)의 후방의 개구부는 제8 리플렉터(64N8)에 의해 막혀 있다.
하부 제1 도광로(62a)의 좌측 내면에는, 제2 발광 소자(70N2)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발광 소자(70N2)에 의한 조사광은, 제2 리플렉터(64N2)의 내면에 의해 반사되어, 하부 제1 도광로(62a)의 개구부에 따른 광원상을 형성한다. 하부 제2 도광로(62b)의 상부 내면에는, 제4 발광 소자(70N4)가 마련되어 있다. 제4 발광 소자(70N4)에 의한 조사광은, 제4 리플렉터(64N4)의 내면에 의해 반사되어, 하부 제2 도광로(62b)의 개구부에 따른 광원상을 형성한다. 하부 제3 도광로(62c)의 상부 내면에는, 제6 발광 소자(70N6)가 마련되어 있다. 제6 발광 소자(70N6)에 의한 조사광은, 제6 리플렉터(64N6)의 내면에 의해 반사되어, 하부 제3 도광로(62c)의 개구부에 따른 광원상을 형성한다. 하부 제4 도광로(62d)의 우측 내면에는, 제8 발광 소자(70N8)가 마련되어 있다. 제8 발광 소자(70N8)에 의한 조사광은, 제8 리플렉터(64N8)의 내면에 의해 반사되어, 하부 제4 도광로(62d)의 개구부에 따른 광원상을 형성한다.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의 내면은, 전체 영역에 걸쳐 알루미늄 재료가 증착되어, 광의 반사율이 높게 되어 있는 점은,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알루미늄 대신에 은이 증착되어 있어도 좋은 점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측 전조등 유닛(10R) 및 좌측 전조등 유닛(10L)에 의해 가상 수직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은 제1 등기구 유닛(26)에 의해 형성된다.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은 좌측 배광의 로우빔용 배광 패턴이고, 그 상단 가장자리에 제1 컷오프 라인(CL1)∼제3 컷오프 라인(CL3)을 갖는다. 제1 컷오프 라인(CL1)∼제3 컷오프 라인(CL3)은, 등기구 정면 방향의 소점(消点)인 H-V를 통과하는 수직선인 V-V선을 경계로 하여 좌우 단(段)에 차이가 있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컷오프 라인(CL1)은 V-V선보다 우측에서 또한 H-H선보다 아래쪽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때문에, 제1 컷오프 라인(CL1)은 대향 차선 컷오프 라인으로서 이용된다. 제3 컷오프 라인(CL3)은, 제1 컷오프 라인(CL1)의 좌단부로부터 좌상방을 향해 15°의 경사 각도로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제2 컷오프 라인(CL2)은, 제3 컷오프 라인(CL3)과 H-H선의 교점으로부터 좌측에 있어서 H-H선 상으로 연장된다. 이 때문에, 제2 컷오프 라인(CL2)은 자차선측 컷오프 라인으로서 이용된다.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에 있어서, 제1 컷오프 라인(CL1)과 V-V선의 교점인 엘보점(E)은 H-V의 0.5∼0.6°정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고, 이 엘보점(E)을 약간 좌측으로 치우쳐서 둘러싸도록 하여 고광도 영역인 핫존(HZ)을 형성한다.
좌측 전조등 유닛(10L)에도, 제1 등기구 유닛(26) 및 제2 등기구 유닛(28)이 마련된다.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은, 우측 전조등 유닛(10R)의 제1 등기구 유닛(26)으로부터의 조사광과, 좌측 전조등 유닛(10L)의 제1 등기구 유닛(26)으로부터의 조사광이 중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등기구 유닛(26)은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을 형성하는 로우빔용 광원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부가 배광 패턴(PA)은, 우측 전조등 유닛(10R)의 제2 등기구 유닛(28)으로부터의 조사광과, 좌측 전조등 유닛(10L)의 제2 등기구 유닛(28)으로부터의 조사광이 중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등기구 유닛(28)은, 부가 배광 패턴(PA)을 형성하는 부가 광원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2 등기구 유닛(28)은 소위 하이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하이빔용 광원으로서 기능하여도 좋다.
부가 배광 패턴(PA)은 수평선을 포함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부가 배광 패턴(PA)은, 상측 5°의 위치에 상단이 설정되어 있고, 제1 컷오프 라인(CL1) 및 제2 컷오프 라인(CL2) 상에 접하도록 하단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 단부는 각각 좌우 20°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부가 배광 패턴(PA)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놓이는 8개의 직사각형 영역으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있다. 이하, 이들의 영역을 우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부분 영역(PA1)∼제8 부분 영역(PA8)이라고 하고, 인접하는 부분 영역의 경계를 분할 라인이라고 한다. 제4 부분 영역(PA4)과 제5 부분 영역(PA5)의 분할 라인은 0°로 설정되어 있다. 제3 부분 영역(PA3)과 제4 부분 영역(PA4)의 분할 라인은 우측 2°로 설정되어 있고, 제5 부분 영역(PA5)과 제6 부분 영역(PA6)의 분할 라인은 좌 측 2°로 설정되어 있다. 제2 부분 영역(PA2)과 제3 부분 영역(PA3)의 분할 라인은 우측 4°로 설정되어 있고, 제6 부분 영역(PA6)과 제7 부분 영역(PA7)의 분할 라인은 좌측 4°로 설정되어 있다. 제1 부분 영역(PA1)과 제2 부분 영역(PA2)의 분할 라인은 우측 8°로 설정되어 있고, 제7 부분 영역(PA7)과 제8 부분 영역(PA8)의 분할 라인은 좌측 8°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 이외의 각도로 분할 라인이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들 부분 영역은 직사각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사다리꼴이나 평행사변형, 또는 그 외의 형상이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라인은 어느 정도 폭을 가진 라인이라고 되어 있고, 인접하는 부분 영역끼리는, 이 라인의 폭 만큼 서로 오버랩되도록 부가 배광 패턴(PA)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각각의 개구부 및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 각각의 개구부는, 형성해야 할 부분 영역에 기초한 폭보다도 약간 큰 폭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가상 수직 스크린에 투영되었을 때에, 인접하는 부분 영역끼리가 오버랩되는 부가 배광 패턴(PA)의 형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부분 영역끼리를 오버랩시킴으로써, 분할 라인의 조도가 저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1 부분 영역(PA1)은 상부 제1 도광로(60a)의 개구부를 광원상으로 한 투영상으로서 형성된다. 제2 부분 영역(PA2)은 하부 제1 도광로(62a)의 개구부를 광원상으로 한 투영상으로서 형성된다. 제3 부분 영역(PA3)은 상부 제2 도광로(60b)의 개구부를 광원상으로 한 투영상으로서 형성된다. 제4 부분 영역(PA4)은 하부 제2 도광로(62b)의 개구부를 광원상으로 한 투영상으로서 형성된다. 제5 부분 영 역(PA5)은 상부 제3 도광로(60c)의 개구부를 광원상으로 한 투영상으로서 형성된다. 제6 부분 영역(PA6)은 하부 제3 도광로(62c)의 개구부를 광원상으로 한 투영상으로서 형성된다. 제7 부분 영역(PA7)은 상부 제4 도광로(60d)의 개구부를 광원상으로 한 투영상으로서 형성된다. 제8 부분 영역(PA8)은 하부 제4 도광로(62d)의 개구부를 광원상으로 한 투영상으로서 형성된다.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및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에 포함되는 발광 소자(70) 각각은, 부가 배광 패턴(PA)을 분할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부분 영역 각각을 형성하는 개별 광원으로서 기능한다.
전조등 유닛(10)이 탑재되는 차량(도시 생략)에는 공지의 하이빔 스위치(도시 생략) 외에, 중간빔 스위치(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중간빔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온(ON) 되면, 중간빔 모드가 개시된다. 중간빔 모드에서는, 제1 부분 영역(PA1)∼제8 부분 영역(PA8) 중, 대향차나 선행차 등의 전방 주행 차량이 존재하는 부분 영역을 형성하는 발광 소자(70)를 소등함으로써, 전방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가하는 글레어를 억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조등 유닛(10)이 탑재되는 차량에는, 카메라(도시 생략) 및 제어부(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는,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 데이터 저장이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RAM 등을 구비하고, 전조등 유닛(10)에 의한 광의 조사를 제어한다. 카메라는, 예컨대 CCD(전하 결합 소자) 센서나 COMS(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 센서 등의 촬상 소자를 구비하고, 차량 전방의 영상을 촬상하여 화상 데이 터를 생성한다. 카메라는 제어부에 접속되어 있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제어부에 출력된다.
중간빔 스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온이 되면, 중간빔 온 신호가 제어부에 출력되어, 제어부는 중간빔 모드에 따른 전조등 유닛의 조사광 제어를 개시한다. 중간빔 모드 시에, 제어부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예컨대 전조등이 점등 상태에 있는 대향차 등의 전방 주행 차량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와 같은 전방 주행 차량이 있는 경우에, 제어부는, 해석하여 얻어진 전조등의 위치를 이용하여 그 대향차의 위치를 특정한다. 이와 같이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방 주행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는, 특정한 전방 주행 차량의 위치를 이용하여, 제1 부분 영역(PA1)∼제8 부분 영역(PA8) 중 어느 하나에 전방 주행 차량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어느 하나의 부분 영역에 전방 주행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는, 그 부분 영역을 형성하는 발광 소자(70)를 소등시킨다. 또한, 제어부는, 발광 소자(70)를 소등시키는 대신에, 전방 주행 차량이 존재한다고 판정된 부분 영역을 형성하는 조사광의 광도를,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될 때보다도 낮아지도록 발광 소자(70)의 점등을 제어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 실시형태의 각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유효하다. 또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각종 설계 변경 등의 변형을 각 실시형태에 대해 부가할 수 있고, 그와 같은 변형이 부가된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그러한 예를 든다.
임의의 변형예에서, 투영 렌즈(50)는, 제1 렌즈부(50a)의 광축과 제2 렌즈부(50b)의 광축 사이에 위치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경우, 투영 렌즈(50)는 렌즈 부착부(58a)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다. 제1 렌즈부(50a)의 일부에는 광축과 평행하게 요철 형상으로 기어부가 평면부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기어부에 맞물리며, 홀더(5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어가 마련된다. 이 기어는 조정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조정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기어를 통해 투영 렌즈(50)가 홀더(58)에 대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각각의 개구부의 투영상과,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 각각의 개구부의 투영상의 좌우 방향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간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투영상끼리가 적절하게 경계를 공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투영상의 위치 관계의 조정은, 통상은 전조등 유닛(10)의 제품 출하 전의 최종 공정에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예컨대 투영 렌즈(50) 및 홀더(58)가 함께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투영상의 위치 관계의 조정 후에 양자를 용착시키는 등 하여, 제품 출하 전에 투영 렌즈(50)가 홀더(58)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양자를 서로 고정한다. 예컨대, 투영 렌즈(50)가 유리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투영상의 위치 관계의 조정 후에 양자를 접합부에서 접착하는 등 하여, 제품 출하 전에 투영 렌즈(50)가 홀더(58)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양자를 서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제품 출하 후에 투영상의 위치 관계가 틀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임의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제1 도광 부재(60), 제2 도광 부재(62) 및 이들의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70) 대신에, 복수의 발광 소자가 투영 렌즈(50)의 후방측 초점면 상에 배치된다.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이 발광칩 및 박막을 갖는 점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들 복수의 발광 소자는, 상부 제1 도광로(60a)∼상부 제4 도광로(60d) 각각의 개구부 및 하부 제1 도광로(62a)∼하부 제4 도광로(62d) 각각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도광 부재 대신에 발광 소자를 마련하여, 이 발광 소자에 의해 광원상을 직접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복수의 부분 영역에 분할된 부가 배광 패턴(PA)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임의의 다른 변형예에서는, 상부 차광 부재(74) 및 하부 차광 부재(76)가 삭제된다. 이에 따라, 상부 차광 부재(74) 및 하부 차광 부재(76)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측 전조등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등기구 유닛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등기구 유닛을 전방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3의 P-P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Q-Q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R-R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우측 전조등 유닛 및 좌측 전조등 유닛에 의해 가상 수직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R : 우측 전조등 유닛
28 : 제2 등기구 유닛
50 : 투영 렌즈
50a : 제1 렌즈부
50b : 제2 렌즈부
50c : 제1 입사면
50d : 제2 입사면
50e : 제1 출사면
50f : 제2 출사면
52 : 광원상 형성 유닛
54 : 제1 광원상 형성 유닛
56 : 제2 광원상 형성 유닛
60 : 제1 도광 부재
62 : 제2 도광 부재
70N1∼70N8 : 발광 소자
72 : 구획 부재
74 : 상부 차광 부재
76 : 하부 차광 부재

Claims (4)

  1. 제1 광원상 및 제2 광원상을 형성하는 광원상 형성 수단과,
    형성된 제1 광원상 및 제2 광원상을, 서로 경계를 공유하도록 투영하는 투영 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상 형성 수단은, 제1 광원상 및 제2 광원상을, 공유하는 경계를 형성하는 각각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서로 이격시킨 위치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렌즈는, 제1 광원상을 투영하는 제1 렌즈부와, 제2 광원상을 투영하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2 렌즈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3. 제2항에 있어서, 제1 광원상 또는 제2 광원상과 상기 투영 렌즈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광원상으로부터 상기 제2 렌즈부의 입사면에 입사하는 광을 억제하고, 또는 제2 광원상으로부터 상기 제1 렌즈부의 입사면에 입사하는 광을 억제하는 구획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 광원상 또는 제2 광원상과 상기 투영 렌즈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광원상으로부터 상기 제1 렌즈부의 입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제2 렌즈부의 출사면에 도달하는 광을 억제하고, 또는 제2 광원상으로부터 상기 제2 렌즈부의 입사면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렌즈부의 출사면에 도달하는 광을 억제하는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KR1020090045473A 2008-05-26 2009-05-25 차량용 전조등 KR101172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36772A JP2009283408A (ja) 2008-05-26 2008-05-26 車両用前照灯
JPJP-P-2008-136772 2008-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885A true KR20090122885A (ko) 2009-12-01
KR101172951B1 KR101172951B1 (ko) 2012-08-10

Family

ID=4126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473A KR101172951B1 (ko) 2008-05-26 2009-05-25 차량용 전조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42981B2 (ko)
JP (1) JP2009283408A (ko)
KR (1) KR101172951B1 (ko)
CN (1) CN101596880B (ko)
DE (1) DE102009021046B4 (ko)
FR (1) FR2931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8439B1 (fr) * 2009-07-21 2011-08-05 Valeo Vision Module d'eclairage pou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jecteur equipe d'au moins un tel module.
DE102009035743A1 (de) * 2009-08-01 2011-02-17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JP5398507B2 (ja) * 2009-12-16 2014-01-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装置
IT1398639B1 (it) * 2010-03-02 2013-03-08 Ecie Electric Components And Instr Europ Srl Proiettore multifunzione a led per veicoli a due ruote
TWM405382U (en) * 2010-11-26 2011-06-11 Sirius Light Technology Co Ltd vehicle lamp
JP5716990B2 (ja) * 2011-01-24 2015-05-1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DE102011007123B4 (de) 2011-04-11 2022-02-17 Osram Gmbh Halbleiter-Glühlampen-Retrofitlampe
US20130170225A1 (en) * 2011-12-29 2013-07-04 Kuo-Chin Huang Converging lens with multiple-curvature compound surface, concentrator module and lighting fixture having the same
JP5801731B2 (ja) * 2012-01-24 2015-10-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DE102013215359B3 (de) * 2013-08-05 2015-02-19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Mechanikfreies Kurvenlichtmodul
KR20150018288A (ko) * 2013-08-09 201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EP4006415A1 (en) * 2013-09-03 2022-06-01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ular lighting system
CN105090852B (zh) * 2014-05-09 2018-10-1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照明装置及具备照明装置的汽车
JP6340687B2 (ja) * 2014-05-09 2018-06-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を備える自動車
JP6319725B2 (ja) * 2014-05-09 2018-05-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を備える自動車
KR102234378B1 (ko) * 2014-07-31 2021-03-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FR3028469B1 (fr) * 2014-11-18 2017-11-03 Renault Sas Dispositif d'eclairage pour vehicule et vehicule correspondant
KR102310288B1 (ko) * 2014-11-18 2021-10-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장치
FR3038695A1 (fr) * 2015-07-10 2017-01-13 Valeo Vision Module lumineux pour l'eclairage et/ou la signal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JP6639163B2 (ja) * 2015-09-07 2020-0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灯具
AT517752B1 (de) * 2015-09-17 2018-04-15 Zkw Group Gmbh 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zur abstrahlung einer langreichweitigen lichtverteilung sowie beleuchtungsvorrichtung
JP6416736B2 (ja) * 2015-11-12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CN107091443B (zh) 2016-02-18 2019-10-18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车辆用灯具
JP6709654B2 (ja) 2016-03-25 2020-06-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および当該車両用灯具を備えた車両
JP6709655B2 (ja) * 2016-03-25 2020-06-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および当該車両用灯具を備えた車両
FR3052535B1 (fr) * 2016-06-09 2019-11-29 Valeo Vision Module optique pour dispositif d'eclairage de vehicule automobile
CN107062119A (zh) * 2017-01-09 2017-08-18 成都恒坤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出光透镜及双光车灯
DE102018110793A1 (de) * 2018-05-04 2019-11-07 HELLA GmbH & Co. KGaA Projektionsscheinwerfer
DE102019123936A1 (de) * 2019-09-06 2021-03-11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und Projektionsmodul für eine solche Beleuchtungseinrichtung
CN112628683B (zh) * 2019-10-09 2023-02-28 坦德科技股份有限公司 车用照明装置
EP3865765A1 (en) * 2020-02-14 2021-08-18 Tan de Tech Co., Ltd. Light device for vehicle
US11473747B1 (en) * 2021-08-31 2022-10-18 Valeo North America, Inc. Light system including a lens texture shutoff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1337A (ja) 1990-07-24 1992-03-1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
US5101326A (en) 1990-09-27 1992-03-31 The Grote Manufacturing Co. Lamp assembly for motor vehicle
DE19750495B4 (de) * 1997-11-14 2009-12-03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Scheinwerferanlage für Fahrzeuge
TW493054B (en) * 1999-06-25 2002-07-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hicle headlamp and a vehicle
JP3488960B2 (ja) * 2000-02-18 2004-01-1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JP3967153B2 (ja) * 2002-03-04 2007-08-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FR2850616B1 (fr) 2003-01-30 2006-02-17 Valeo Vision Procede d'eclairage module d'une route et projecteur de vehicule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FR2858042B1 (fr) * 2003-07-24 2005-09-23 Valeo Vision Module d'eclairage elliptique sans cache realisant un faisceau d'eclairage a coupure et projecteur comportant un tel module
JP4044024B2 (ja) * 2003-09-29 2008-02-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413762B2 (ja) * 2004-12-07 2010-02-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照明灯具
US7195379B2 (en) 2005-01-03 2007-03-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i-blinding system for a vehicle
DE102005041234A1 (de) 2005-08-31 2007-03-01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Fahrzeuge
JP4615417B2 (ja) 2005-10-13 2011-01-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DE102005049685A1 (de) 2005-10-14 2007-04-19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Multifunktions-Kfz-Scheinwerfermodul insbesondere für den Frontbereich eines Fahrzeugs
JP4624257B2 (ja) 2005-12-28 2011-02-0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4664830B2 (ja) * 2006-01-31 2011-04-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83408A (ja) 2009-12-03
FR2931536B1 (fr) 2015-02-20
CN101596880A (zh) 2009-12-09
DE102009021046B4 (de) 2010-12-30
US8042981B2 (en) 2011-10-25
DE102009021046A1 (de) 2009-12-10
US20090290372A1 (en) 2009-11-26
FR2931536A1 (fr) 2009-11-27
KR101172951B1 (ko) 2012-08-10
CN101596880B (zh)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951B1 (ko) 차량용 전조등
JP5280074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US7234852B2 (en) Vehicle headlamp
JP5255301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US8801250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CN102192459B (zh) 车辆用前照灯以及车辆用前照灯用的发光模块
US11873962B2 (en) Vehicle lamp
US8029175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JP2011023157A (ja) 車両用前照灯
JP2005251435A (ja) 車両用前照灯
US8752991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US7175322B2 (en) Vehicle headlamp
JP5394700B2 (ja) 車両用前照灯
JP2017111977A (ja) 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用照射システム
US7198395B2 (en) Vehicle headlamp
JP4038649B2 (ja) 照明装置
US7461953B2 (en) Vehicle headlamp
JP5698330B2 (ja) 車両用前照灯
US11867372B2 (en) Vehicle light guide body and vehicle lighting unit
WO2023234259A1 (ja) 車両用導光体及び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2018116802A (ja) 車両用灯具
JP2012186010A (ja) 車両用前照灯
JP2003217319A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を用いた暗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209

Effective date: 201205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