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389A - 인쇄 스크린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 Google Patents

인쇄 스크린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389A
KR20090122389A KR1020097021562A KR20097021562A KR20090122389A KR 20090122389 A KR20090122389 A KR 20090122389A KR 1020097021562 A KR1020097021562 A KR 1020097021562A KR 20097021562 A KR20097021562 A KR 20097021562A KR 20090122389 A KR20090122389 A KR 20090122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screen
sheet
attachment
members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2777B1 (ko
Inventor
제임스 그라함 할
프라절 써
Original Assignee
데크 벡토가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92173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12238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GB0210102A external-priority patent/GB0210102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225130A external-priority patent/GB0225130D0/en
Application filed by 데크 벡토가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데크 벡토가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22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B41N1/248Mechanical details, e.g. fixation holes, reinforcement or guiding means; Perforation lines; Ink holding means; Visually or otherwise detectable marking means; Stenci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4Forme preparation for stencil-printing or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B41F15/36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F27/12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F27/12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 B41F27/1281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details of the printing plate e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25Screens or stencils;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aper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이나 부품과 같은 전자 기판의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에 사용되는 인쇄 스크린(printing screens),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및 인쇄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인쇄 스크린은 적어도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부착요소를 형성하도록 접혀진 시트(sheet)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는 상기 시트의 적어도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에서 부착요소에 부착할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인쇄 스크린, 프레임, 인쇄 스크린 장치, 스크린 인쇄

Description

인쇄 스크린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PRINTING SCREENS, FRAMES THEREFOR AND PRINTING SCREEN UNITS}
본 발명은, 때로는 스텐슬(stencils) 또는 마스크(masks)라 불리며 소재들, 전형적으로는 기판이나 부품과 같은 전자 기판의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에 사용되는 인쇄 스크린(printing screens),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및 인쇄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쇄 스크린 장치의 경우, 상기 인쇄 스크린은 얇고 경직된(stiff) 금속재료, 전형적으로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황동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땜납과 같은 인쇄 매개물의 인쇄에 사용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다수의 인쇄 개구(printing aperture)를 갖는다. 상기 인쇄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으로 짜인 메쉬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스트랜드(strand)로 이루어진 휘기 쉬운 천공 시트에 의해, 상기 인쇄 스크린을 인장시키는 사각형 프레임에 장착된다.
전술한 인쇄 스크린 장치는 잘 사용되어 왔지만, 상기 장치는 제조하기에 값비싸고, 상기 천공 시트를 훼손하지 않고는 상기 인쇄 스크린을 상기 프레임으로부 터 분리할 수 없는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다.
좀더 최근의 인쇄 스크린 장치의 경우, 상기 인쇄 스크린은 얇고 경직된(stiff) 금속재료, 전형적으로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땜납과 같은 인쇄 매개물의 인쇄에 사용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다수의 인쇄 개구(printing aperture) 및 그 마주보는 모서리들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 개구(fixing aperture)를 갖는다. 상기 인쇄 스크린은, 상기 인쇄 스크린의 고정 개구와 맞물리며 일반적으로 유압, 공압 또는 탄성수단에 의해 제공된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인쇄 스크린을 인장시키는 프레임에 의하여 장착된다.
PCT 공개 WO-A-93/25061호에서는 이와 같은 인쇄 스크린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인쇄 스크린은 그 각각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을 따라 고정 개구로 기능하는 다수의 신장 슬롯(elongate slots)을 구비하고, 상기 인장 장치(tensioning mechanisms)는 각각 상기 인쇄 스크린을 인장시키기 위해 상기 인쇄 스크린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에 있는 슬롯과 맞물리는 맞물림부(teeth)를 구비하며, 상기 인장장치는 상기 인쇄 스크린의 마주보는 모서리들 각각이 상기 프레임의 각각의 지지모서리를 통해 당겨지도록 배치된다.
영국 특허공개 GB-A-2364961호에서는 또 다른 인쇄 스크린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인쇄 스크린은 그 각각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을 따라 형성되며 각각의 인장장치에 의해 맞물리는 다수의 제1의 고정 개구, 및 그 각각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을 따라 형성되며 굽힘성(flexibility)이 증가된 영역을 제공하고 각각의 고정 개구의 내측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제2의 굽힘 개구(flexing aperture)를 구비하 며, 상기 인장장치는 상기 인쇄 스크린의 마주보는 모서리들 각각이 상기 프레임의 각각의 지지모서리를 통해 당겨지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인쇄 스크린 장치들은, 프레임에 인쇄 스크린을 영구 부착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상기 인쇄 스크린이 분리되어 보관될 수 있고 필요할 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싸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쇄 스크린 장치들은 여전히 중대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인쇄 스크린의 모서리들이 그 본체보다 좀 더 잘 휘어야 하며 다루는 동안 또는 장착 중에 훼손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특히 지지되지 않은 시트 상태로 상기 인쇄 스크린이 보관될 때 특히 그러하다. 또한, 상기 인쇄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그 두께가 대략 0.1 내지 0.25mm 정도로 매우 얇기 때문에, 그 모서리들은 칼날같이 날카로워 매우 주의하지 않는다면 작업자의 부상을 유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인쇄 스크린은 인장장치에 의한 직접적인 인장에 필요한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조되어야 한다는 제한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인쇄 스크린은 에칭, 전기주조(electroforming) 및 천공과 같은 특별한 제조 기술을 필요로 하고, 그에 따라 대량생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인쇄 스크린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해결하기 위한 인쇄 스크린 장치, 인쇄 스크린 및 이러한 인쇄 스크린 장치에 사용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다루거나 장착하는 동안에 그 훼손을 막을 수 있으며 탈착가능한 인쇄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다루기에 보다 안전하며 탈착가능한 인쇄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플라스틱을 포함한 광범위한 재료로 이루어진 인쇄 스크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인쇄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부착요소를 형성하도록 접혀진 시트(sheet)를 포함하는 인쇄 스크린(printing screen)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요소들은 각각 상기 시트의 주된 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접혀진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부착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사각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부착요소의 돌출부들은 성곽 모양의 구조를 이룬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부착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단일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는 각각의 접힌 부분의 접음선을 따라 겹치는 영역에서 그 각각의 마주하는 모서리들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굽힘 개구(flexing aperture)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두 쌍의 마주하는 모서리들을 가지며, 상기 시트의 각각의 쌍의 마주하는 모서리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부착요소를 형성하도록 접혀진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길이 방향으로 충분히 뻗어 있는 부착요소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part)에 뻗어 있는 부착요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부분(part)은 중간부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들(parts)에 뻗어 있는 부착요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부분들(parts)은 끝단 부분들(end parts)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그곳을 통하여 인쇄되는 피복물(deposits)의 패 턴을 형성하는 인쇄 개구(printing aperture)의 패턴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그 안에 어떠한 인쇄 개구도 구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금속 시트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다.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시트(sheet)를 포함하는 인쇄 스크린(printing screen)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사각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돌출부들은 성곽 모양의 구조를 이룬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그곳을 통하여 인쇄되는 피복물(deposits)의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 개구(printing aperture)의 패턴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그 안에 어떠한 인쇄 개구도 구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금속 시트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부착요소를 갖는 시트(sheet)를 구비하는 인쇄 스크린(printing screen); 및 상기 시트의 적어도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에서 상기 부착요소에 부착할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printing screen unit)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의 적어도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부착요소를 형성하도록 접혀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요소들은 각각 상기 시트의 주된 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접혀진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부착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그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사각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부착요소의 돌출부는 성곽모양의 구조를 이룬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부착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단일의 연속된 부착요소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는 각각의 접힌 부분의 접음선을 따라 겹치는 영역에서 그 각각의 마주하는 모서리들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굽힘 개구(flexing aperture)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체적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충분히 뻗어 있는 부착요소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part)에 뻗어 있는 부착요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부분(part)은 중간부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일부분들(parts)에 뻗어 있는 부착요소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부분들(parts)은 끝단 부분들(end parts)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는 상기 시트의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에서 부착요소에 부착할 수 있는 한 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두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을 구비하며,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는, 상기 시트의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에서 부착요소에 부착할 수 있는 한 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의 다른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에 부착할 수 있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두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을 갖고 적어도 일부분에서 부착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는, 상기 시트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각각의 상에서 상기 부착요소들에 부착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쌍의 연결부재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는,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상기 연결부재의 인접하는 끝단을 연결하는 코너부재들;을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너부재들은 각각 제1 및 제2의 개구들(recesses) 또는 돌출부들(projections) 중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재들의 끝단들은 다른 개구들 또는 돌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들 및 개구들은 상기 연결 부재들의 연결에 제공되도록 맞물린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너부재의 개구부들 및 돌출부들과 상기 연결부재들은 인장장치에 의해 인장될 때 상기 연결부재들의 상대운동에 제공되도록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너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코너부재의 돌출부들 및 개구들과 연결부재들이 맞물리는 조립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들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들에 부착된 연결부재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그 곳을 통하여 인쇄되는 피복물의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 개구들의 패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그 안에 어떠한 인쇄 개구도 갖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금속 시트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들은 각각,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부착요소에의 부착에 제공되는 부착부 및 인장장치와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착요소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부착면을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부착면은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부착면의 자유 모서리(free edge)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부착면은 연속면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맞물림부는 인장장치와 맞물리는 맞 물림면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맞물림면은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맞물림면의 자유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맞물림면은 연속면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두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분에서 부착요소를 갖는 시트를 구비하는 인쇄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각각의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에서 부착요소에 부착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쌍의 연결부재들; 및 상기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연결부재의 인접하는 끝단을 연결하는 코너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너부재들은 각각 제1 및 제2의 개구들(recesses) 또는 돌출부들(projections) 중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재들의 끝단들은 다른 개구들 또는 돌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들 및 개구들은 상기 연결 부재들의 연결에 제공되도록 맞물린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너부재의 개구들 및 돌출부들과 상기 연결부재들은 인장장치에 의하여 인장될 때 상기 연결부재들의 상대운동에 제공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너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코너부재의 돌출부들 및 개구들과 연결부재들이 맞물리는 조립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들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시트의 각각 의 모서리들에 부착된 연결부재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들은 각각,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부착요소에의 부착에 제공되는 부착부 및 인장장치와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착요소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부착면을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부착면은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부착면의 자유 모서리(free edge)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부착면은 연속면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맞물림부는 인장장치와 맞물리는 맞물림면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맞물림면은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맞물림면의 자유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맞물림면은 연속면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시트를 구비하는 인쇄 스크린; 및 상기 시트의 적어도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에 부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인쇄 스크린에 접착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부재는 인장장치에 맞물리는 맞물림면을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부재의 맞물림면은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에 대하여 상기 맞물림면의 자유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맞물림면은 연속면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맞물림면은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의 외측으로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맞물림면은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의 내측으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들은 각각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들은 각각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의 마주보는 측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스트립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들은 각각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의 마주보는 측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스트립을 포함하며, 그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인장장치에 맞물리는 다수의 맞물림 개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는 두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을 갖고, 적어도 일부분에서 부착요소들을 구비하며,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는 상기 시트의 각각의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착요소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루는 동안이나 장착 중에 인쇄 스크린의 모서리들이 파손되는 것을 막으며, 그에 의하여 상기 인쇄 스크린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통상의 지지 프레임 시스템과 호환가능한 개선된 인쇄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인쇄 스크린의 날카로운 모서리들이 둘러싸여 상기 인쇄 스크린을 더욱 안전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연결부재들은 구조적 지지를 통하여 보관 중에 상기 인쇄 스크린의 굽힘을 줄인다.
특히, 연결부재를 도입함으로써 인장가능한 지지프레임에 장착하는 인쇄 스크린들의 주재료로 플라스틱 시트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더 나아가, 연결부재들에 인쇄 스크린을 부착할 때 접착제가 불필요하므로 일반적으로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제조를 단순화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printing screen unit)(10)를 도시한다.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10)는 본 실시예에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인쇄 스크린(printing screen)(12),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에 부착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interfacing member)(16) 및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다른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에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 스크린(12)은 인쇄되는 피복물(deposits)의 패턴을 형성하는 개구(20)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개구(20) 패턴은, 예를 들어 레이저 커팅 또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스크린(12)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시트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16)는 각각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각각의 모서리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신장부재를 구비한다.
도 1(c)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6)는 각각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각각의 자유 모서리(free edge)로부터 내측으로 뻗어있는 부착부(22)를 구비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쇄 스크린(12)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인쇄 스크린(12)에 상기 연결부재(16)를 접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과 같이 어떠한 적절한 접착 또는 큐어링(curing) 기술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16)는 각각, 상기 인쇄 스크린(12)에 대하여 상기 부착부(22)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인장 장치에 맞물림을 제공하는 맞물림부(24)를 더 구비한다.
상기 맞물림부(24)는 본 실시예에서 연속된 채널로 형성된, 내측을 향하는 맞물림면(28)을 구비하는데, 상기 맞물림면(28)은 각각의 연결부재(16)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기 맞물림면(28)은 인장 장치와 맞물리는 훅 배치(hook arrangement)를 이루도록 상기 인쇄 스크린(12)에 대하여 그 자유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속 채널로 형성된 상기 맞물림면(28)은 기계가공, 루팅(routing), 압출가공 기술과 같은 광범위한 가공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은 종래의 인쇄 스크린 장치들의 인쇄 스크린들의 가공에 요구되는 가공기술보다 더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기술이다.
상기 지지부재(18)는 각각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각각의 모서리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신장 스트립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18)는 상기 인쇄 스크린의 어떠한 자유 모서리나 날카로운 모서리가 돌출되지 않게 하여 작업 중에 부상 위험을 막도록 기능하며, 또한 취급할 때 또는 보관할 때 상기 인쇄 스크린(12)이 덜 휘어지도록 상기 인쇄 스크린(12)을 지지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인쇄 스크린(12)에 추가적인 구조 지지부재가 제공된다면, 상기 인쇄 스크린(12)은 플라스틱 시트를 좀 더 쉽게 사용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플라스틱 시트가 사용되면, 비용이 절감되고 가공이 더 쉬우며 더 가볍다는 점에서 많은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인쇄 스크린들은 인장가능한(tensionable) 지지 프레임에 의하여 가해진 인장력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설계되는 것은 아니므로, 인장가능한 지지 프레임에 직접 장착되는 통상의 인쇄 스크린들에는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와 같은 금속 시트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부재(18)는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10)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20)는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마주보는 또 다른 모서리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재(16)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10)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인쇄 스크린 장치(10)와 유사하며,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차이점만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10)는 상기 연결부재(16)에 상기 인쇄 스크린(12)이 부착되는 방식에 있어서만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6)는 각각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각각의 자유 모서리 위에 접착되어 그것을 덮는 신장된 커버 스트립(30)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 스크린(12)을 본체와 상기 연결부재(16)의 커버 스트립(30)과 접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과 같이 어떠한 적절한 접착 또는 큐어링(curing) 기술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10)를 도 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인쇄 스크린 장치(10)와 상당히 유사하며,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차이점만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10)는 상기 연결부재(16)에 상기 인쇄 스크린(12)이 부착되는 방식에 있어서만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16)가 부착되는 인쇄 스크린(12)의 모서리는 부착요소(32)를 형성하도록 접혀지고, 각각의 연결부재(16)의 부착부(22)는 좁은 부착슬롯(34)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부착슬롯(34)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그 안에서 상기 부착요소(32)가 마찰력에 의해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모서리들은 상기 부착요소(32)가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본체와 예각을 이루도록 접혀지며, 상기 연결부재(16)의 부착슬롯(34)은 각각의 그 내부 모서리들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16)는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각각의 부착요소(32) 위로 슬라이딩되며, 따로 접착하지 않더라도 그 사이에서 마찰 끼워 맞춤에 의해 지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16)는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부착요소(32)에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서, 상기 부착요소(32)는 인장하는(tensioning) 인쇄 스크린 장치(10)의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16) 내의 부착슬롯(34) 안에 보다 견고하게 맞물리게 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10)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인쇄 스크린 장치(10)와 유사하며,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차이점만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10)는 상기 연결부재(16)에 상기 인쇄 스크린(12)이 부착되는 방식과 상기 지지부재(18)가 없다는 점에 있어서만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16)가 부착되는 인쇄 스크린(12)의 모서리는 접혀져서 부착요소(32)를 형성하며, 각각의 연결부재(16)의 부착부(22)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부착홈(36)을 구비하며, 상기 부착홈(36)은 그 안에 각각의 부착요소(32) 중 하나가 위치하는 연속적인 채널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모서리들은 상기 부착요소(32)가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본체와 예각을 이루도록 접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16)의 부착부(22) 내의 부착홈(36)은 상기 인쇄 스크린(12)에 대한 내부 모서리에서 부착면(38)을 형성한다. 상기 부착면(38)은 상기 인쇄 스크린(12)에 대하여 그 자유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져 있어,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부착요소(32)의 하나와 부착하도록 제공되는 훅 배치를 형성한다. 내측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각각의 부착홈(36)의 부착면(38)은 인장하는(tensioning) 상기 스크린 장치(10) 위에 있는 상기 인쇄 스크린(12)의 각각의 부착요소(32)에 부착력을 제공한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40)를 도시한다.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40)는 본 실시예에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인쇄 스크린(42), 상기 인쇄 스크린(42)의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에 부착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 스크린(42)은 인쇄되는 피복물(deposits)의 패턴을 형성하는 개구(50)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개구(50) 패턴은, 예를 들어 레이저 커팅 또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스크린(12)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시트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46)가 부착되는 상기 인쇄 스크린(42)의 모서리들은 부착요소(52)를 형성하기 위하여 접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 스크린(42)의 모서리들은 상기 부착요소(52)가 상기 인쇄 스크린(42)의 본체와 예각을 이루도록 접혀진다.
상기 연결부재(46)는 각각 상기 인쇄 스크린(42)의 각각의 모서리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신장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46)는 각각, 그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인쇄 스크린(42)의 각각의 부착요소(52)를 그 안에 위치시키는 부착슬롯(56)을 갖는 부착부(54)를 구비한다.
상기 부착슬롯(56)은, 본 실시예에서 직선부로 도시된 제1의 지지슬롯부(56a)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슬롯부(56a)는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46)의 내측 모서리로부터 부착부(54) 내측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인쇄 스크린(42) 영역(region)을 수용하고, 상기 인쇄 스크린(42)의 영역은 상기 인쇄 스크린(42)의 각각의 부착요소(52)와 내측에서 인접하며 상기 인쇄 스크린(42)에 대하여 요구되는 원점에서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46)를 지지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부착슬롯(56)은 제2의 부착슬롯부(56b)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부착슬롯부(56b)는 상기 인쇄 스크린(42)의 각각의 부착요소(52)와 부착되는 훅 배치를 이루도록 상기 지지슬롯부(56a)의 끝단으로부터 내측 및 후방으로 뻗어 있다. 상기 부착슬롯(56)의 부착슬롯부(56b)는 내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므로, 상기 인쇄 스크린(42)의 각각의 부착요소(52)와 부착된다.
상기 연결부재(46)는 각각, 인장 장치에 맞물림을 제공하는 맞물림부(58)를 더 구비한다.
상기 맞물림부(58)는 본 실시예에서 연속된 리베이트(rebate)로 형성된, 내측을 향하는 맞물림면(59)을 구비하는데, 상기 맞물림면(28)은 각각의 연결부재(46)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기 맞물림면(59)은 인장 장치와 맞물리는 훅 배치를 이루도록 상기 인쇄 스크린(42)에 대하여 그 자유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속된 리베이트로 형성된 상기 맞물림부(58)는 기계가공, 루팅(routing), 압출가공 기술과 같은 광범위한 가공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은 종래의 인쇄 스크린 장치들의 인쇄 스크린들의 가공에 요구되는 가공기술보다 더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기술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40)는 상기 인쇄 스크린(42)의 마주보는 또 다른 모서리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재(46)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60)를 도시한다.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60)는 본 실시예에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인쇄 스크린(62), 상기 인쇄 스크린(62)의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에 부착되며 그 내측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연결부재(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 스크린(62)은 인쇄되는 피복물(deposits)의 패턴을 형성하는 개구(70)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개구(70) 패턴은, 예를 들어 레이저 커팅 또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스크린(62)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시트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66)는 각각 상기 인쇄 스크린(62)의 각각의 모서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신장부재를 구비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66)는 각각 상기 인쇄 스크린(62)의 각각의 자유 모서리에 위치하는 부착부(72)를 구비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쇄 스크린(62)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인쇄 스크린(62)에 상기 연결부재(66)를 접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과 같이 어떠한 적절한 접착 또는 큐 어링(curing) 기술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66)는 각각, 인장 장치에 맞물림을 제공하는 맞물림부(74)를 더 구비한다.
상기 맞물림부(74)는 본 실시예에서 연속면으로 형성된, 내측을 향하는 맞물림면(78)을 구비하는데, 상기 맞물림면(78)은 각각의 연결부재(66)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기 맞물림면(78)은 인장 장치와 맞물리는 훅 배치를 이루도록 상기 인쇄 스크린(62)에 대하여 그 자유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속면으로 형성된 상기 맞물림면(28)은 기계가공, 루팅(routing), 압출가공 기술과 같은 광범위한 가공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은 종래의 인쇄 스크린 장치들의 인쇄 스크린들의 가공에 요구되는 가공기술보다 더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기술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60)는 상기 인쇄 스크린(62)의 마주보는 다른 모서리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부재(66)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66)는 상기 연결부재(66)가 부착되는 상기 인쇄 스크린(62)의 각각의 모서리를 넘어서서 뻗어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66)는 각각,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인쇄 스크린(62)의 각각의 자유 모서리 위에 접착되어 그것을 덮는 신장된 커버 스트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60)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60)는 전술한 제6 실시예의 인쇄 스크린 장치(60)와 상당히 유사하며,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차이점만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60)는 상기 연결부재(16)의 구조에서만 제6 실시예와 구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66) 각각은, 상기 연결부재(66)가 부착되는 상기 인쇄 스크린(62)의 각각의 모서리들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블록요소(66‘)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스크린(62)이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때, 상기 연결부재(66)의 블록요소(66‘)는 기계가공되거나 균일한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80)를 도시한다.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80)는 본 실시예에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인쇄 스크린(82), 상기 인쇄 스크린(62)의 각각의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에 부착되며 지지프레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연결부재(86,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 스크린(82)은 인쇄되는 피복물(deposits)의 패턴을 형성하는 개구(90)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개구(90) 패턴은, 예를 들어 레이저 커팅 또는 에칭 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스크린(92)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시트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들(86,87)은 각각 상기 인쇄 스크린(62)의 각각의 모서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신장 스트립(86a,86b,87a,87b)을 구비하며, 상기 신장 스트립들(86a,86b,87a,87b)은 상기 인쇄 스크린(82)의 대향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 스크린(82)의 각각의 모서리를 겹치게 하여 끼우도록 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들(86,87)은 각각 상기 인쇄 스크린(82)의 각각의 자유 모서리의 안쪽으로 뻗어 있는 부착부(92)를 구비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쇄 스크린(82)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인쇄 스크린(82)에 상기 연결부재들(86,87)을 접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과 같이 어떠한 적절한 접착 또는 큐어링(curing) 기술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들(86,87)은 각각, 인장 장치에 맞물림을 제공하는 맞물림부(94)를 더 구비한다.
상기 맞물림부(94)는,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86,8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인장 장치와 맞물림을 제공하는 다수의 맞물림 개구(96)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80)는, 상기 인쇄 스크린(82)의 각각의 모서리를 따라 뻗어 있으며 상기 인쇄 스크린(82)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연결부재(86,87)를 구비하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80)는 상기 인쇄 스크린(82)의 한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를 따라 뻗어 있는 단지 한 쌍의 연결부재(86)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86,87)를 통하여 구조적으로 지지되는 인쇄 스크린(82)의 경우에, 상기 인쇄 스크린(82)은 플라스틱 시트의 사용을 좀 더 쉽게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이 있다. 플라스틱 시트가 사용되면, 값이 더 싸지고 가공하기가 더 쉬우며 더 가볍다는 점에서 많은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인쇄 스크린들은 인장가능한(tensionable) 지지 프레임에 의하여 가해진 인장력을 견딜 수 있을 정도는 아니므로, 인장가능한 지지 프레임에 직접 장착되는 통상의 인쇄 스크린들에는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와 같은 금속 시트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102)을 도시한다.
상기 인쇄 스크린(102)은 인쇄되는 피복물(deposits)의 패턴을 형성하는 개구(104) 패턴을 구비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구(104) 패턴은, 예를 들어 레이저 커팅 또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스크린(102)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시트로 이루어진다.
인장장치가 각각 부착되는 상기 인쇄 스크린(102)의 모서리들은 그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성곽 모양의 구조를 이루는 다수의 돌출부(106)를 구비하며, 부착요소(108)를 형성하기 위하여 접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 스크린(102)의 모서리들은 상기 돌출부(106)의 길이의 절반지점에서 상기 돌출부(106)를 가로지르는 선을 따라 접혀지며, 각각의 돌출부(106)는 훅 요소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 스크린(102)의 모서리들은 상기 부착요소(108)가 상기 인쇄 스크린(102)의 본체와 예각을 이루도록 접혀진다.
성곽 모양의 구조를 이루는 상기 돌출부(106)는, 예를 들어 프레스 기구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돌출부(106)는 전기방전가공(electro-discharge machining, EDM) 또는 워터 제트 밀링(water jet milling)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가공기술은 한 번에 여러 개의 인쇄 스크린(102)의 가공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인쇄 스크린(102)의 모서리들은, 예를 들어 롤 또는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여 접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성곽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는 접힌 형상의 상기 돌출부(106)의 배치를 통하여 인장장치의 형상을 팽팽하게 할 때 상기 인쇄 스크린(102)의 본체 전체가 균일하게 인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대체로 편평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상기 인쇄 스크린(102)의 본체의 찌그러짐을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0(a) 내지 10(f)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11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110)는 본 실시예에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인쇄 스크린(printing screen)(112),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각각의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에 부착되며 지지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코너부재(118a,118b,118c,118d)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116,117)를 포함한다.
상기 인쇄 스크린(112)은 인쇄되는 피복물의 패턴을 형성하는 개구(120) 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개구(120) 패턴은, 예를 들어 레이저 커팅 또는 에칭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인쇄 스크린(112)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시트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다.
인장장치가 각각 부착되는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모서리들은 그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성곽 모양의 구조를 이루는 다수의 돌출부(122)를 구비하며, 부착요소(124)를 형성하기 위하여 접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모서리들은 상기 돌출부(122)의 길이의 절반지점에서 상기 돌출부(122)를 가로지르는 선을 따라 접혀지며, 각각의 돌출부(122)는 훅 요소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모서리들은 상기 부착요소(124)가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본체와 예각을 이루도록 접혀진다.
성곽 모양의 구조를 이루는 상기 돌출부(122)는, 예를 들어 프레스 기구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돌출부(122)는 전기방전가공(electro-discharge machining, EDM) 또는 워터 제트 밀링(water jet milling)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가공기술은 한 번에 여러 개의 인쇄 스크린(112) 의 가공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모서리들은, 예를 들어 롤 또는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여 접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성곽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는 접힌 형상의 상기 돌출부(122)의 배치를 통하여 인장장치의 형상을 팽팽하게 할 때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본체 전체가 균일하게 인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대체로 편평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상기 인쇄 스크린(102)의 본체의 찌그러짐을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연결부재(116,117)는 각각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각각의 모서리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신장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116,117)는 각각 제1의 하부 몸체부(128) 및 제2의 상부 몸체부(130)를 가지며 상기 하부 몸체부(128) 및 상부 몸체부(130)에 의해 부착슬롯(132)을 형성하는 부착부(126)를 구비하며, 상기 부착슬롯(132)은 그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그 안에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부착요소(124) 중 하나가 위치한다.
상기 부착슬롯(132)은, 본 실시예에서 직선부로 도시된 제1의 지지슬롯부(134)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슬롯부(134)는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116,117)의 내측 모서리로부터 부착부(126) 내측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인쇄 스크린(112) 영역(region)을 수용하고,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영역은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각각의 부착요소(124)와 내측에서 인접하며 상기 인쇄 스크린(112)에 대하여 요구 되는 원점에서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116,117)를 지지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부착슬롯(132)은 제2의 부착슬롯부(136)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부착슬롯부(136)는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각각의 부착요소(124)와 부착되는 훅 배치를 이루도록 상기 지지슬롯부(134)의 끝단으로부터 내측 및 후방으로 뻗어 있다. 상기 부착면(138)은 내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므로,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각각의 부착요소(124)와 부착된다.
상기 연결부재(116,117)는 각각, 상기 인쇄 스크린(112)에 대하여 상기 부착부(126)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인장 장치에 맞물림을 제공하는 맞물림부(1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맞물림부(140)는 본 실시예에서 연속면으로 형성된, 내측을 향하는 맞물림면(142)을 구비하는데, 상기 맞물림면(142)은 각각의 연결부재(116,117)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기 맞물림면(142)은 인장 장치와 맞물리는 훅 배치를 이루도록 상기 인쇄 스크린(112)에 대하여 그 자유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속면으로 형성된 상기 맞물림부(140)는 기계가공, 루팅(routing), 압출가공 기술과 같은 광범위한 가공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은 종래의 인쇄 스크린 장치들의 인쇄 스크린들의 가공에 요구되는 가공기술보다 더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기술이다.
상기 연결부재(116,117)는 각각, 각각의 코너 부재(118a,118b,118c,118d)의 연결판(160,164)을 수용하도록 그 끝단에,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단면으로 이루어진, 개구(144,146)를 포함하며, 이에 관한 상세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너 부재(118a,118b,118c,118d)는 각각, 각각의 코너 부재(118a,118b,118c,118d)를 형성하도록 서로 끼워지는 제1 커플링 부재(152) 및 제2 커플링 부재(15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커플링 부재(152)는 상기 연결부재(116,117) 끝단의 개구(144,146)와 동일한 사각단면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를 관통하여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슬롯(158)을 갖는 몸체 요소(156) 및, 상기 연결부재(116,117) 끝단의 개구(144,146) 중 하나에 끼워지며 상기 슬롯(158)의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상기 몸체 요소(156)로부터 뻗어 있는 연결판(16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커플링 부재(154)는 몸체 요소(162) 및, 상기 연결부재(116,117) 끝단의 개구(144,146) 중 이웃하는 하나에 끼워지며 상기 몸체 요소(162)로부터 뻗어 있는 연결판(164)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커플링 부재(154)의 몸체 요소(162)는 삽입될 때 상기 커플링 부재(152,154)의 몸체 요소(160,164)가 커플링 구조 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커플링 부재(154)의 상기 몸체 요소(156) 내의 슬롯(158)에 견고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하여, 상기 커플링 부재(152,154)는, 마지막 코너 부재(118a,118b,118c,118d)를 조립할 때 각각의 쌍의 커플링 부재(152,154)의 연결판(160,164)이 상기 연결부재(116,117) 끝단에 있는 각각의 개구(144,146) 안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코너 부재(118a,118b,118c,118d)가 마지막에 끼워져 제자리에(in situ) 조립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코너 부재(118a,118b,118c,118d) 중 세 개가 미리 조립될 수 있고 세 개가 제자리에(in situ) 조립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중요한 이점이다. 더욱이, 일 실시예로서 상기 코너 부재(118a,118b,118c,118d) 중 세 개는 통상 몰딩(moulding) 또는 주조에 의해 집합적 유닛으로 가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링 부재(152,154)의 연결판(160,164)은 상기 연결부재(116,117)의 끝단에 있는 개구(144,146) 안으로 견고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배치되지만, 상기 인쇄 스크린(112)에 가해진 인장력의 방향으로 각각의 개구(144,146) 안에서 상기 연결판(160,164)이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116,117)는 다루는 동안에는 강체 프레임으로 표현되지만, 인장장치에 의해 인장될 때 각각의 쌍의 연결부재(116,117)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한다. 상기 연결부재(116,117)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균일한 인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설계공차를 둘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 스크린(112)은 그 각각의 모서리를 따라 하나의 연속적인 부착 요소(12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인쇄 스크린(112)은 각각의 접힌 부분의 접음선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굽힘 개구(flexing aperture)(166)를 갖는다. 성곽 모양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본체 전체에 균일한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더욱이 상기 인쇄 스크린(112)의 굽힘(flexing)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 부재(118a,118b,118c,118d)는 각각, 상기 연결부재(116,117)의 끝단에 있는 각각의 개구(144,146) 중 하나에 끼워 맞추기 위한 연결판(176)과 커플링 구조로서 상기 커플링 부재(172,174)와 맞물리어 고정되도록 하는 키 구조물(keying structure)(178)을 갖는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172,174), 상기 커플링 부재(172,174)와 마주보는 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캡 부재(180,182), 및 커플링 배치로서 상기 커플링 부재(172,174)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캡 부재(180,182)를 상기 커플링 부재(172,174)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184)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캡 부재(180,182)는 상기 연결부재(172,174)에 접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겹침 관계 및 그 후의 지그재그(jigsaw) 방식으로 키 구조물(178)을 고정시킴에 있어서, 각각의 쌍의 커플링 부재(172,174)의 연결판(176)을 상기 연결부재(116,117)의 끝단에 있는 각각의 개구(144,146) 안으로 삽입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상기 커플링 부재(172,174)는 시트 재료로부터 가공되고, 상기 코너 부재(118a,118b,118c,118d)가 마지막에 끼워져 제자리에(in situ) 조립되는 것을 허용할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 변경예로서, 제3 내지 제4 실시예의 상기 인쇄 스크린(12,42)의 접혀진 모서리들은 제9 실시예의 성곽 모양의 모서리 구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결부재(16,46,66,86)를 사용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16,46,66,86)는 상기 인쇄 스크린(12,42,62,82)의 각각의 모서리들의 전체 길이 를 따라 뻗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16,46,66,86)는 상기 인쇄 스크린(12,42,62,82)의 각각의 모서리의 일부분에만, 예를 들어 중간부분 또는 끝부분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6,46,66,86)는 상기 인쇄 스크린(12,42,62,82)의 모서리를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인쇄 스크린(12,42,62,82)의 날카로운 모서리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단순히 다른 부분들을 따라 뻗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이나 부품과 같은 전자 기판의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에 사용되는 인쇄 스크린(printing screens),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및 인쇄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 인쇄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인쇄 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코너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모서리부를 통과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의 코너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모서리부를 통과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의 코너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모서리부를 통과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인쇄 스크린 장치의 코너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모서리부를 통과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한 인쇄 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코너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 다.
도 5(c)는 도 5(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모서리부를 통과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한 인쇄 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코너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모서리부를 통과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대한 인쇄 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코너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모서리부를 통과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대한 인쇄 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코너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모서리부를 통과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대한 인쇄 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코너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 다.
도 9(c)는 도 9(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모서리부를 통과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대한 인쇄 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코너 영역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코너 영역의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d)는 도 10(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코너 영역을 전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e)는 도 10(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모서리부를 통과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f)는 도 10(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의 코너 부재를 전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에 대하여 다른 인쇄 스크린의 코너부의 사시도로서, 상기 부착요소는 부분적으로 절단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도 10(a)의 상기 인쇄 스크린 장치에 사용되는 다른 코너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28)

  1. 인쇄 스크린 장치(printing screen unit)에 있어서,
    두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요소를 갖는 시트를 구비하는 인쇄 스크린;
    상기 시트의 각각의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에 상기 부착요소에 부착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쌍의 연결부재(interface members)들; 및
    각각의 상기 연결부재들의 인접하는 끝단을 연결하여, 취급될 때에는 거의 강체이지만 인장장치에 의한 인장에 의해 각각의 쌍의 상기 연결부재들의 상대운동을 허용하는 프레임을 형성하는 코너부재들;을 포함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각각의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부착요소를 형성하도록 접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요소들은 각각 상기 시트의 주된 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접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그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사각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부착요소의 돌출부는 성곽모양의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단일의 연속된 부착요소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는 각각의 접힌 부분의 접음선을 따라 겹치는 영역에서 그 각각의 마주하는 모서리들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굽힘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대략 그 길이방향을 따라 충분히 연장된 부착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착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들은 각각 제1 및 제2의 개구들 또는 돌출부들 중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재들의 끝단들은 각각 다른 개구들 또는 돌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들 및 개구들은 맞물려 상기 연결 부재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들의 개구부들 및 돌출부들과 상기 연결부재들은 인장장치에 의해 인장될 때 상기 연결부재들의 상대운동에 제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재와 연결부재들의 돌출부들 및 개구들이 맞물려 조립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들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들에 부착된 연결부재의 조립을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그곳을 통하여 인쇄되는 피복물의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 개구들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블랭크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들은 각각,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들에 상기 부착요소에 부착되도록 제공되는 부착부 및 인장장치와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에서 상기 부착요소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부착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부착면은 외측 자유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시트의 부착요소 중 각각의 하나와의 부착을 제공하는 훅 배치(hook arrangement)를 이루 도록 상기 자유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맞물림부는 인장장치와 맞물리는 맞물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맞물림면은 내측 자유 모서리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인장장치와의 결합을 제공하는 훅 배치를 이루도록 상기 자유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스크린 장치.
  20. 두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분에서 부착요소를 갖는 시트를 구비하는 인쇄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각각의 쌍의 마주보는 모서리들에서 상기 부착요소에 부착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쌍의 연결부재들; 및
    각각의 연결부재의 인접하는 끝단을 연결하여, 취급될 때에는 거의 강체이지 만 인장장치에 의한 인장에 의해 각각의 쌍의 상기 연결부재들의 상대운동을 허용하는 상기 프레임을 형성하는 코너부재들;을 포함하는 프레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들은 각각 제1 및 제2의 개구들 또는 돌출부들 중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재들의 끝단들은 각각 다른 개구들 또는 돌출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들 및 개구들은 상기 연결 부재들의 연결에 제공되도록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들의 개구들 및 돌출부들과 상기 연결부재들은 인장장치에 의하여 인장될 때 상기 연결부재들의 상대운동에 제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재와 연결부재들의 돌출부들 및 개구들이 맞물려 조립이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제1 및 제2 커플링 부재들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과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들에 부착된 연결부재의 조립을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들은 각각,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들에 상기 부착요소에 부착되도록 제공되는 부착부 및 인장장치와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25. 제24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시트의 각각의 모서리에서 상기 부착요소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부착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26. 제25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부착면은 외측 자유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시트의 상기 부착요소 중 각각의 하나와의 부착을 제공하는 훅 배치를 이루도록 내측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27. 제24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부재의 상기 맞물림부는 인장장치와 맞물리는 맞물림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맞물림면은 내측 자유 모서리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인장장치와의 결합을 제공하는 훅 배치를 이루도록 상기 자유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KR1020097021562A 2002-05-02 2003-04-30 인쇄 스크린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KR101102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210102A GB0210102D0 (en) 2002-05-02 2002-05-02 Improved stencil
GB0210102.0 2002-05-02
GB0225130A GB0225130D0 (en) 2002-10-29 2002-10-29 Improved stencil
GB0225130.4 2002-10-29
PCT/GB2003/001858 WO2003093012A1 (en) 2002-05-02 2003-04-30 Printing screens, frames therefor and printing screen uni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638A Division KR20050026386A (ko) 2002-05-02 2003-04-30 인쇄 스크린,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및 인쇄 스크린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715A Division KR20110036140A (ko) 2002-05-02 2003-04-30 인쇄 스크린과,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및 인쇄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389A true KR20090122389A (ko) 2009-11-27
KR101102777B1 KR101102777B1 (ko) 2012-01-05

Family

ID=2921737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562A KR101102777B1 (ko) 2002-05-02 2003-04-30 인쇄 스크린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KR1020047017638A KR20050026386A (ko) 2002-05-02 2003-04-30 인쇄 스크린,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및 인쇄 스크린 장치
KR1020117006715A KR20110036140A (ko) 2002-05-02 2003-04-30 인쇄 스크린과,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및 인쇄 스크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638A KR20050026386A (ko) 2002-05-02 2003-04-30 인쇄 스크린,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및 인쇄 스크린 장치
KR1020117006715A KR20110036140A (ko) 2002-05-02 2003-04-30 인쇄 스크린과,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및 인쇄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5) US8069783B2 (ko)
EP (3) EP2347901B2 (ko)
JP (1) JP2005524551A (ko)
KR (3) KR101102777B1 (ko)
CN (1) CN100519185C (ko)
AT (1) ATE537967T1 (ko)
AU (1) AU2003239661A1 (ko)
BR (1) BR0309627B1 (ko)
DK (2) DK1499499T3 (ko)
ES (2) ES2526087T3 (ko)
GB (1) GB2388073B (ko)
HK (1) HK1153986A1 (ko)
HU (1) HUE033750T2 (ko)
MX (1) MXPA04010790A (ko)
PT (2) PT2626206T (ko)
RU (1) RU2341377C2 (ko)
SI (2) SI1499499T1 (ko)
TR (1) TR201710711T4 (ko)
WO (1) WO20030930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08763U1 (de) * 2003-05-23 2003-08-07 Priesnitz Walter Abdeckschablone zum Abdecken und Bedrucken von Leiterplatten und Abdeckschabloneneinheit
GB2407799B (en) 2003-11-07 2006-02-08 Dek Int Gmbh A frame unit for tensioning a printing screen and a jig for fitting a printing screen to or removing a printing screen from a frame unit
DE102004028448B4 (de) 2004-06-14 2007-08-02 Lpkf Laser & Elektronika D.O.O. Schutzvorrichtung zum Halten einer Druckschablone und Schablonenspannrahmen
GB2419357B (en) * 2004-10-20 2010-04-21 Dek Int Gmbh Mandrels for electroforming printing screens, electroforming systems for electroforming printing screens, methods of electroforming printing screens.
DE102004051935B4 (de) * 2004-10-25 2006-09-28 Metaq Gmbh Druckschablone
EP1651019B1 (de) 2004-10-25 2008-05-14 METAQ GmbH Druckschablone, Spannrahmen zum Einspannen der Druckschablon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r Druckschablone
NL1028790C2 (nl) * 2005-04-18 2006-10-20 Stork Veco Bv Werkwijze voor het elektroformeren van een stencil, alsmede een dergelijk stencil.
GB2435011B (en) * 2006-02-08 2010-06-02 Dek Int Gmbh Printing screens, frames therefor and printing screen units
JP2009101514A (ja) * 2006-02-08 2009-05-14 Hirotake Kasuya シート状素材の張設具
JP4880379B2 (ja) * 2006-06-23 2012-02-22 粕谷 普烈 型板の緊張度が調節自在な枠体
GB2455493A (en) 2007-10-08 2009-06-17 Dek Int Gmbh Frame assembly for tensioning de-mountable printing screens
WO2011120700A2 (en) 2010-04-01 2011-10-06 Dtg International Gmbh Printing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497086A (en) 2011-11-29 2013-06-05 Architectural & Metal Systems Ltd Printing screen
ES2420033B1 (es) * 2012-01-26 2014-10-08 Ibil Laser S.L. Pantalla de serigrafía para dispositivos de montaje superficiales
WO2014035528A2 (en) * 2012-06-15 2014-03-06 Tufts University Paint-on approach for fabrication of electrically active structures
US9631417B2 (en) * 2012-12-21 2017-04-25 Milgard Manufacturing Incorporated Screen corner attachment
GB201306154D0 (en) * 2013-04-05 2013-05-22 Tannlin Group Ltd Printing screen
US9351406B2 (en) * 2013-12-17 2016-05-24 QTS Engineering, Inc. Stencil foil assembly
KR101440062B1 (ko) * 2014-02-19 2014-09-17 (주)디앤에프 이종색상의 도색이 가능한 스크린 인쇄 제판 어셈블리
CN104176396A (zh) * 2014-04-08 2014-12-03 邵妮 一种集装箱用角件及其集装箱、集装箱式活动房
US20160332437A1 (en) * 2015-05-11 2016-11-17 Arthur Guidi Solder Paste Stencil with Integral Stiffener and Mounting Device
KR101656022B1 (ko) * 2016-03-24 2016-09-08 (주)본트로닉스 인쇄스크린 유닛
US10421315B2 (en) 2016-03-26 2019-09-24 Francois Roy Device for tensioning a canvas on a frame and kit for assembling a frame for canvas
KR101685899B1 (ko) * 2016-04-28 2016-12-13 (주)본트로닉스 인쇄스크린 프레임 고정장치
KR101931928B1 (ko) * 2017-11-24 2018-12-24 (주)본트로닉스 인쇄스크린 프레임 고정장치
US20200180300A1 (en) * 2018-07-26 2020-06-11 Ricky Paul Bennett Meshless foil stencil frame
USD909769S1 (en) 2018-10-25 2021-02-09 Gesplan Gestion Conseil Inc. Stretcher bar frame
KR102154825B1 (ko) * 2019-01-18 2020-09-11 (주)본트로닉스 인쇄스크린 유닛
GB2586610A (en) 2019-08-28 2021-03-03 Asm Assembly Systems Singapore Pte Ltd Reinforced tensioning frame
GB2588633B (en) * 2019-10-29 2023-11-22 Tannlin Tech Limited Precision cut printing screen
MX2022005310A (es) * 2019-11-05 2023-04-14 Blue Ring Stencils Llc Conjunto de marco para plantilla de tecnología de montaje superficial.
GB201916469D0 (en) 2019-11-13 2019-12-25 Asm Assembly Systems Singapore Pte Ltd Screen loading system
KR102562472B1 (ko) * 2021-07-30 2023-08-03 한빅솔라(주) 스텐실 마스크의 재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서브 프레임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8451A (en) * 1938-09-27 1940-10-15 Owens Illinois Glass Co Stencil screen construction
US2925774A (en) * 1955-11-08 1960-02-23 Admiral Corp Frame for a screen
US3280731A (en) 1964-01-28 1966-10-25 Electrostatic Printing Corp Stencil screen frame attachment and tensioning means
US3416445A (en) 1965-10-18 1968-12-17 Theodore H. Krueger Jr. Screen stencil with separate border strips
US3359663A (en) 1967-02-23 1967-12-26 James A Black Stencil screen frame
US3485165A (en) * 1968-01-08 1969-12-23 Richard G Hughes Silk-screening frame
US3482343A (en) * 1968-01-22 1969-12-09 Kaino J Hamu Frame for stressing sheet material
US3608482A (en) * 1969-10-31 1971-09-28 American Screen Process Equip Locking bar for screen-printing frame
US3788216A (en) * 1971-12-08 1974-01-29 Dia Print Co Inc Adjustable screen printing chase
JPS5224709A (en) 1975-07-09 1977-02-24 Hitachi Ltd Screen mask for printing
JPS5328778A (en) 1976-08-27 1978-03-17 Akio Nagayoshi Bonding of synthetic resin nets
US4190974A (en) * 1978-06-21 1980-03-04 Siler Todd L Artists' canvas and frame assembly
IE50691B1 (en) 1979-11-15 1986-06-25 Davies Peter A metal printing scree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printing screen
DE3043666A1 (de) 1980-11-19 1982-07-08 Elmar Dipl.-Kfm. Dr. 8000 München Messerschmitt Siebdruck-rahmen mit loesbarer befestigung des geweberahmens
US4409749A (en) 1981-09-08 1983-10-18 Hamu Kaino J Stretch frame
US4442772A (en) 1982-10-26 1984-04-17 American Screen Printing Equipment Company Screen tensioning apparatus
US4893556A (en) 1987-02-23 1990-01-16 Tdk Corporation Screen printer with double doctor/squeegee, printing pressure sensor and aligning mechanism
US5136797A (en) 1989-09-09 1992-08-11 Hildebrandt Greg A Frame having shiftable bars with flexible ends for securing fabric using adhesive
JPH03224145A (ja) * 1990-01-30 1991-10-03 Sony Corp 光ディスクの製造方法
US5076162A (en) 1990-10-04 1991-12-31 Goin Bobby G Expandable mesh frame
US5113611A (en) * 1991-05-11 1992-05-19 Rosson Gene T Expandable screen tensioning frame with expansion devices
US5220867A (en) * 1991-07-15 1993-06-22 Carpenter Robert C Adjustable tension silk screen frame
US5327828A (en) 1991-09-17 1994-07-12 Barocas Ervin V Clamp and process for protecting printing screens and frames
GB2264460B (en) * 1992-06-03 1994-02-16 David Godfrey Williams Improved stencil or mask for applying solder to circuit boards and support frame
US5379691A (en) * 1992-09-14 1995-01-10 Hamu; Alan J. Screen printing frame assembly with screen anchors
GB9220727D0 (en) 1992-10-01 1992-11-11 Cane Paul Screen printing tensioning device
GB9220700D0 (en) 1992-10-01 1992-11-11 Cane Paul A screen printing stencil
SI9300252B (sl) 1993-05-12 2002-02-28 Zeltra Podjetje Za Projektiranje Vpenjalno - napenjalni sistem za šablone za tiskalnike, s tiskalno mizo za tiskana vezja
US5819651A (en) * 1993-05-12 1998-10-13 Zeltra, Podjetje Za Projektiranje, Proizvodnjo In Trgovino Elektrotehnike,Naklo,D.O.O. Clamping-stretching system for stencils for screen printers,with printing table for PC boards
WO1996014210A1 (de) 1994-11-05 1996-05-17 Bebro-Electronic Bengel & Bross Gmbh Schablonenhalter
US5941171A (en) 1994-11-05 1999-08-24 Bebro-Electronic Bengel & Bross Gmbh Stencil holder
GB2292115B (en) 1994-11-17 1996-07-10 Nicholas Mark Baker Solder stencil mounting frame
JPH08150698A (ja) 1994-11-25 1996-06-11 Gunma Toobi:Kk 多色印刷装置と同装置を用いる多色印刷方法
GB2303333B (en) * 1995-07-20 1998-09-23 David Godfrey Williams Improved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tensioning a stencil or mask for use in applying solder paste to circuit boards and a mounting support means therefor
JPH09187914A (ja) 1996-01-10 1997-07-22 Sony Corp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3078225B2 (ja) 1996-03-22 2000-08-21 鐘紡株式会社 芯鞘複合フィラメントを使用したメッシュ状布帛からなるスクリーン状メッキ品及びロータリースクリーン用シリンダー
DE19615058C2 (de) 1996-04-17 1998-06-18 Tele Quarz Gmbh Spannvorrichtung und Schablonen für Schablonen- oder Siebdruck
JP3257397B2 (ja) 1996-05-09 2002-02-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マスクの製造方法
GB2317366B (en) 1996-09-19 2000-09-20 David Godfrey Williams Improved stencil tensioning frame and stencil mounting/dismounting apparatus therefor
JP2926224B2 (ja) 1997-02-28 1999-07-28 株式会社石井表記 シルク製版用金属製紗張り枠体及び該枠体を使用したシルク製版の製造方法
US5979313A (en) 1997-03-25 1999-11-09 Bebro-Electronic Bengel & Bross Gmbh Stencil holder having independently movable tensioning elements
JP3705313B2 (ja) 1997-05-22 2005-10-12 凸版印刷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用スクリーン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749449C1 (de) 1997-11-10 1999-01-07 Lpkf D O O Spannrahmen
JP3078775B2 (ja) 1997-12-10 2000-08-21 東京プロセスサービス株式会社 コンビネーションマスク
US5983790A (en) * 1998-04-27 1999-11-16 Pnc2, Inc. Foil screen registering apparatus and method
US6561089B1 (en) 1999-09-20 2003-05-13 Eugene F. Newman, Jr. Screen assembly having border construction with cupping features and method of making
JP3639482B2 (ja) 1999-12-01 2005-04-2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及び孔版原紙組立体
US6318255B1 (en) * 2000-02-07 2001-11-20 James D. Larson Method of attaching coated silk screen fabric to a frame and the reusable silk screen
US6427588B1 (en) * 2000-09-05 2002-08-06 Christopher Kline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nd tensioning a silk screen
JPWO2002055304A1 (ja) 2001-01-16 2004-05-13 粕谷 普烈 スクリーン印刷用スクリーン、スクリーン版、スクリーン枠、スクリーンの貼り合せ方法、スクリーンの張設方法、絵画用キャンバス、宣伝用シート及び平面鏡
GB2371519A (en) 2001-01-25 2002-07-31 Dek Printing Machines Ltd Printing screen support and assembly jig
US6494134B2 (en) 2001-04-17 2002-12-17 Gunter Erdmann Frame for foil stencil and stencil foil assembly
GB2364961B (en) 2001-08-10 2002-06-26 Tecan Components Ltd Stencil for use with stencil mounting frame
US6588334B2 (en) * 2001-10-09 2003-07-08 Ronald Salisbury Screen printing frame assembly having hollow connectors with drain holes
DE10154265A1 (de) 2001-11-05 2003-05-22 Laserjob Gmbh Spannrahmen mit Druckschablone
FR2840851B1 (fr) 2002-06-13 2004-09-03 Novatec Sa Soc Procede de mise en oeuvre d'un pochoir de serigraphie adapte permettant de dissocier le traitement des phases de remplissage et de moulage
DE20209385U1 (de) 2002-06-17 2002-08-29 Ltc Laserdienstleistungen Gmbh Schabl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6206A1 (en) 2013-08-14
KR20110036140A (ko) 2011-04-06
EP2626206B1 (en) 2017-04-26
ATE537967T1 (de) 2012-01-15
US9623650B2 (en) 2017-04-18
WO2003093012A1 (en) 2003-11-13
US8490545B2 (en) 2013-07-23
TR201710711T4 (tr) 2018-03-21
US8904929B2 (en) 2014-12-09
DK1499499T3 (en) 2015-01-05
US20170217238A1 (en) 2017-08-03
HUE033750T2 (en) 2018-01-29
SI2626206T1 (sl) 2017-08-31
PT1499499E (pt) 2014-12-23
US10081211B2 (en) 2018-09-25
JP2005524551A (ja) 2005-08-18
GB2388073A (en) 2003-11-05
CN1662377A (zh) 2005-08-31
EP2347901B2 (en) 2016-03-02
EP2347901A1 (en) 2011-07-27
ES2635134T3 (es) 2017-10-02
GB2388073B (en) 2004-06-23
BR0309627B1 (pt) 2012-12-25
PT2626206T (pt) 2017-08-01
EP2347901B1 (en) 2011-12-21
AU2003239661A1 (en) 2003-11-17
EP1499499A1 (en) 2005-01-26
US20150083005A1 (en) 2015-03-26
BR0309627A (pt) 2005-03-08
DK2626206T3 (en) 2017-08-21
KR101102777B1 (ko) 2012-01-05
CN100519185C (zh) 2009-07-29
US20110219967A1 (en) 2011-09-15
RU2341377C2 (ru) 2008-12-20
US20060005721A1 (en) 2006-01-12
US8069783B2 (en) 2011-12-06
EP1499499B1 (en) 2014-09-17
SI1499499T1 (sl) 2015-03-31
RU2004135104A (ru) 2005-05-27
US20130305938A1 (en) 2013-11-21
ES2526087T3 (es) 2015-01-05
KR20050026386A (ko) 2005-03-15
HK1153986A1 (en) 2012-04-13
MXPA04010790A (es)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777B1 (ko) 인쇄 스크린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프레임
JP5053295B2 (ja) 印刷スクリーン、印刷スクリーン用フレーム及び印刷スクリーンユニット
JP3639482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及び孔版原紙組立体
US6189448B1 (en) Dual image stencil apparatus having stencil including sections with curled edges
CN101544095B (zh) 印刷丝网、其框架和印刷丝网装置
JP2010006001A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