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290A - 다기능 제어 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다기능 제어 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290A
KR20090122290A KR1020097021394A KR20097021394A KR20090122290A KR 20090122290 A KR20090122290 A KR 20090122290A KR 1020097021394 A KR1020097021394 A KR 1020097021394A KR 20097021394 A KR20097021394 A KR 20097021394A KR 20090122290 A KR20090122290 A KR 20090122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terface
user control
devices
pressabl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7313B1 (ko
Inventor
폴 크르지자노브스키
저스틴 플로어즈
Original Assignee
오픈픽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픈픽 인크. filed Critical 오픈픽 인크.
Publication of KR2009012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8Electroluminescent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26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with programm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39Selective or different modes of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4Optical isolation of switch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2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다중 디바이스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이 사용된다. 시스템은 지지 구조체, 제어 영역들,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및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 영역들은 지지 구조체에 형성된다. 제어 영역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발광 패널을 포함한다.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은 제어 영역들 중 개별의 제어 영역들을 커버한다. 제어기는 제어 영역들에 결합되고, 하나 이상의 발광 패널 중 어느 부분이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호작용 장치들 중 개별 상호 장치들로부터 출력되는지를 제어한다.
다기능 장치,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 제어기, 발광 패널, 제어기

Description

다기능 제어 인터페이스 {MULTI-FUNCTIONAL CONTROL INTERFA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고, 특히 다중 디바이스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전 제품(CE) 산업에서는 보다 적은 장치가 보다 많은 성능 및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컨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는, 처음에는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정리하도록 설계된 반면, 이제는 음성 전화와 같은 다른 장치에 의해 정상적으로 제공되는 부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PDA에서의 전화 기능의 집적화는 장치 통합을 위해 제공되고, 사용자가 PDA와 개별의 휴대 전화기를 갖고 다닐 필요성을 없앤다.
그러나, 이러한 "콤보(combo)" 또는 "멀티플-인-1(multiple-in-1)" 장치의 단점은, 상이한 인터페이스/제어 세트가 개별 부품 또는 장치 각각을 작동시키고 제어하도록 요구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PDA/전화 장치의 경우에,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PDA 기능을 제어하는데 필요하고, 또 다른 인터페이스가 전화 기능을 제어하는데 필요하다. 이는 작은 CE 장치가 각각의 장치를 위한 개별의 전용 제어 인터페이스를 위해 물리적 공간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인터페이스 부동품(interface real-estate)" 문제를 다루는 하나의 방법은, 컴퓨터로 생성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다. 단일의 터치 스크린은 여러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로 버튼을 나타내는 스크린 상의 영역을 누름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는 가상 버튼(virtual button)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이 큰 효율과 유연성을 제공할지라도, 많은 사용자들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대신에, 이들은 강성 버튼(예컨대, 물리적 버튼, 디텐트(detent) 버튼, 눌러질 수 있는 버튼 등)에 의해 제공되는 응답 및 촉감을 선호한다. 이는 물리적 버튼은 사용자가 익숙해지도록 습득할 수 있는 특유의 촉감을 통상적으로 갖기 때문이다. 이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에서 무시하지 않으면서 제어를 조종하여 작동시키게 한다. 이는 "연성(soft)" 버튼에는 실용적이지 않다.
그러나, 물리적 버튼 각각은 장치에서의 물리적 공간을 점유한다. 작은 휴대용 장치의 고유한 공간 제약으로 인해, 이들 장치는 휴대성을 위해 요구되는 작은 치수를 포기하지 않으면서 각각의 구성요소를 위한 개별의 전용 제어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오히려, 이들 장치는 하나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제어 인터페이스에서 물리적 버튼 각각에 하나보다 많은 기능을 할당하여야 한다. 예컨대, PDA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인터페이스에서 문자 "S" 버튼에 대응할 수도 있는 물리적 버튼은, 또한 전화 작동을 위한 "4" 버튼으로서 이중 의무(duty) 를 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중 의무 할당은 버튼을 적절하게 마킹함으로써 표시된다. 그러나, 보다 많은 기능이 버튼에 할당될수록, 보다 많은 마킹이 버튼에 프린트되어야 한다. 이는 매우 "복잡한 외관(busy-looking)"와 혼란스런 버튼 레이아웃(layout)을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레이아웃이 사용자에게 혼란을 감소시키는 물리적 상호작용 장치를 사용하여 다기능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지 구조체, 제어 영역들,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다중 디바이스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 영역들은 지지 구조체 상에 형성된다. 제어 영역들 각각은 발광 영역들을 포함한다.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은 제어 영역들 각각을 커버한다(cover). 제어기는 제어 영역들에 결합되고, 발광 영역들의 어느 것이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의 1개 이상의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호작용 장치들 중 개별의 상호작용 장치들로부터 출력되는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중 디바이스 기능을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세트의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의 제1 세트의 개구가 제1 작동 모드 동안에 조명된다. 제1 또는 제2 세트의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 중 하나의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의 제2 세트의 개구가 제2 작동 모드 동안에 조명된다. 제2 세트의 개구는 제1 세트의 개구 모두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거나, 제1 세트의 개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지지 구조체, 제어 영역들,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다중 디바이스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 영역들은 지지 구조체 상에 형성된다. 제어 영역들 각각은 1개 이상의 발광 패널을 포함한다.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은 1개 이상의 제어 패널 중 개별의 제어 패널들을 커버한다. 제어기는 제어 영역들에 결합되고, 1개 이상의 발광 패널 중 어느 부분이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의 1개 이상의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호작용 장치들 중 개별의 상호작용 장치들로부터 출력되는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의한다. 이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본원에 포함된 교시에 기초하여 관련 기술분야(들)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원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1개 이상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고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가 본 발명을 제조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어기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작동 모드를 위한 상호작용 장치 또는 버튼의 다양한 조명 구조 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지 장치 및 제어 영역들의 사시도 및 분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호작용 장치를 아래에서 본 도면과 위에서 본 도면을 각각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호작용 장치를 아래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상호작용 장치의 다양한 분해도들을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호작용 장치가 삽입 가능한 장치 주위에 배치되기 전과 후의 도면을 각각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어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5,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작동 모드로 작용하는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를 갖는 다기능 장치를 도시한다.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및 도 24는 다양한 조명 영역과 버튼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부호의 최좌측 숫자(들)은 도면부호가 처음으로 나오는 도면을 식별할 수 있다.
특정 구조 및 장치가 본원에 기재되지만,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행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다른 구조 및 장치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다양한 다른 적용물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전체 인터페이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어기 인터페이스(100)의 다양한 작동 모드를 위한 상호작용 장치(102)(예컨대, 버튼, 물리적 버튼, 디텐트 "연성" 버튼, 눌러질 수 있는 버튼 등)의 다양한 조명 구조를 도시한다. 사용자 제어기 인터페이스(100)는 음성 통화 기능을 갖는 다중 CE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유닛과 같은 다기능 장치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다기능 장치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버튼(102) 모두가 조명되지 않는 휴식(rest) 모드에 있는 다기능 장치를 위한 버튼(102)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2는 텔레비전, 케이블 박스, 셋톱 박스, 오디오 수신기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조명식 버튼(102)의 "채널" 배열을 도시한다.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작동들은 (도면부호 "102-n"(여기서, n≥1)로 표시된) 개별 버튼 상의 (도 2에서 도면부호 "104-n"(여기서, n≥1)으로 표시된) 일 세트의 조명 영역에서 조명된다. 이 일례에서, 조명 영역(104-1)은 버튼(102-1)이 눌러질 때 온-스크린(on-screen) 메 뉴가 관련 디스플레이에 나타날 것이라고 표시하여 "MENU" 기능을 표시한다. 유사하게, 버튼(102-2 내지 102-4)은 조명 영역(104-2 내지 104-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널리 알려진 양방향 보기 기능(interactive viewing function)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버튼(102-2) 상의 조명 영역(104-2)은 프로그래밍 정보를 얻기 위한 "GUIDE" 기능을 표시하고, 버튼(102-3) 상의 조명 영역(104-3)은 스크린 또는 모드로부터 나가는 "EXIT" 기능을 표시하고, 버튼(102-4) 상의 조명 영역(104-4)은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INFO" 기능을 표시한다. 버튼(102-1 내지 102-4)은 메뉴 항목을 조종하고 선택하기 위한 방향성 또는 "D" 패드(101)를 둘러싼다.
버튼(102-5 내지 102-13 및 102-15)은 숫자를 입력하도록 작동한다. 버튼(102-14)는 입력을 삭제하도록 작동한다. 버튼(102-16)은 스크린에서 나가도록 작동한다. 버튼(102-17, 102-19)은 채널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한다. 버튼(102-18)은 이전 스크린으로 스크린을 복귀시키도록 작동한다. 이들 기능 모두는 대응 조명 영역(104-5 내지 104-19)에서 조명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각각 도시하는데, 도 1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동일한 버튼 도면부호 체계(102-1 내지 102-n) 및 조명 영역 도면부호 체계(104-1 내지 104-n)를 사용한다. 이 도면부호들은 단순성과 편의를 위해서 도 3 및 도 4에 기재되지 않는다.
도 3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와 같은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트랜스포트(transport)" 모드를 위해 조명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도시 한다. 이 예시적인 구조에서, 버튼(102-2)의 조명 영역(104-2)은 버튼(102-2)의 작동 시에 온-스크린 작동 메뉴에 접근하기 위한 "DVR MENU" 기능을 표시하고, 버튼(102-4)의 조명 영역(104-4)은 TV 튜너를 통해 프로그램을 보기 위한 "LIVE TV" 기능을 표시한다. 버튼(102-5 내지 102-10 및 102-12)은 기록된 컨텐츠의 보기를 제어하기 위한 널리 알려져 있는 기능(즉, 되돌려 감기, 재생, 고속 감기, 이전/다시 재생, 일시정지, 다음/건너뛰기, 정지)을 제공한다. 버튼(102-13, 102-15)은 볼륨을 제어하도록 작동한다. 버튼(102-17, 102-19)은 라이브 TV 중에 채널 이동을 제어하도록 작동한다. 버튼(102-18)은 사용자가 이전에 본 채널로 복귀시키도록 작동한다. 이들 기능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의 104-n 조명 영역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도 4는 음성 통화 작동을 위한 "전화(phone)" 모드를 위해 조명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 버튼(102-1, 102-3)은 전화 "받기(picking up)" 및 전화 "끊기(hanging up)"를 제어하도록 작동하고, 버튼(102-5 내지 102-13 및 102-15)은 일반 전화 키패드에 대응하도록 작동하고, 버튼(102-14, 102-16)은 일반 전화 키패드 상의 별표(*) 및 우물정자(#)에 대응하도록 작동한다. 이들 기능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의 104-n 조명 영역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식 모드, 채널 모드, 트랜스포트 모드, 전화 모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중 모드로 작동하는 다기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선택적인 조명을 통해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는 강성 버튼으로 구성되는 단일 사용 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전술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기능 제어 및 모드의 개수 및 유형은 적용 의존적이고 본 실시예에서 단지 예시적이다.
예시적인 제어 영역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포함하는 버튼의 소정의 구조 요소들의 사시도 및 분해도를 각각 도시한다. 각 버튼은 인터페이스(100)에 의해 제어되는 다기능 장치의 일부인 지지 층(510)에 배열되는 조립체(512)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버튼은 지지 층(510) 상에 위치되는 불투명 스토크(stalk)/스페이서(spacer)(516) 내에 장착되는 광 패널(예컨대 전계 발광(EL) 디스플레이)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514)와 같은 1개 이상의 단색 또는 다색 광 소스(light source)의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스토크/스페이서(516)는 LED를 물리적으로 수납하는 것 이외에, LED로부터 방출된 광이 측방향으로 방사되는(emanated) 것을 방지한다. 다른 유형의 광 소스 또는 광 파이프 등이 LED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버튼에 할당되는 LED(514)의 개수는, 각 LED가 장치의 단일 기능을 조명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 다기능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작동 모드/기능의 개수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광 파이프는 단일 LED의 광을 다중 조명 영역으로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서, 요구되는 LED 개수를 감소시킨다.
부가적으로, 각 버튼에 있어서, 스위치(518)는 다기능 장치의 기본 회로(underlying circuitry)(도시 안됨)에 전기 접속성을 제공하는 지지 층(510) 상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버튼(102)이 눌러질 때, 이는 버튼(102)의 조명 영역(104) 내에 표시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작동을 초기화하기 위해 개별 스위치(518) 를 활성화한다. 정확한 기능은 활성화 시간에서의 다기능 장치의 작동 모드에 의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의 제1 실시예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포함하는 버튼의 추가 부품인 강성 캡 또는 커버(702)를 아래에서 본 도면과 위에서 본 도면을 각각 도시한다. 각각의 강성 캡(702)은 표면 벽(720), 4개의 측벽(722, 724, 726, 728) 및 적어도 하나의 구획 벽(730)(도 7에는 2개의 구획 벽(730, 732)이 도시됨)을 포함한다. 구획 벽(730, 732)은 내부 섹션 또는 공동(736, 738, 740, 742)을 형성한다. 구획 벽(730, 732)의 하부면을 지나 연장되는 연장부 또는 돌출부(734)가 적어도 하나의 구획 벽(730, 732)에 대해 위치된다. 일 일례에서 연장부(734)는 구획 벽(730, 732)을 통해 지나가는 표면 벽(720)에 결합되는 스템인 반면, 다른 일례에서 연장부(734)는 구획 벽(730, 732) 중 하나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성 캡(702)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LED-스위치 조립체(512) 위에 장착되어서, (1) 강성 캡(702)의 섹션 또는 공동(736, 738, 740, 742) 각각이 광 소스(514) 및 대응 스토크/스페이서(516)를 수납하고 (2) 강성 캡(702)의 연장부(734)가 스위치(518)와 접촉하게 한다. 또한, 측벽(722, 724, 726, 728, 730, 732)에 의해 형성되는 섹션 또는 공동(736, 738, 740, 742)은 강성 캡(702)의 섹션 또는 공동(736, 738, 740, 742) 중 하나에서의 조명된 광 소스(514)로부터 방출된 광이 다른 섹션 또는 공동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강성 캡(702)은 소정의 개구(744, 748, 750)가 표면 벽(720)에 형성되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되는 강성 캡(702)의 섹션(736)에서의 개구(744)는 단어 "MENU"로 성형된다. 강성 캡(702)의 섹션(740)에서의 개구(748)는 숫자 "1"로 성형되고, 섹션(742)에서의 개구(750)는 "재생" 작동을 위한 화살표 기호로 성형된다. 본 실시예에서, 강성 캡(702)은 섹션(738)의 영역에서 표면 벽(720)에 성형되는 개구를 갖지 않는다. 완전한 개구들 대신에, 개구들(744, 746, 750)이 버튼(702)의 표면 벽(720) 내로 물리적으로 삽입되는 투명(tranparent)/반투명(translucent) 라벨에 의해 덮어질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박막 층(752)이 각 버튼(702)의 표면 벽(720)의 상부면에 결합되거나 형성된다. 반-불투명(semi-opaque)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층(752)은, 하부에 있는 대응 광 소스(514)가 조명되지 않을 때 개구 또는 라벨(744, 746, 750)을 광학적으로 숨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가 사용 중이 아닐 때, 즉 휴식 모드일 때, 층(75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의 각 버튼에 편평하고 매끄럽고 비어 있는(blank) 표면의 외관을 제공한다(도 1 참조). 채널 모드, 트랜스포트 모드 및 전화 모드와 같은 다른 모드 중에는, 층(752)은 광 소스(514)가 조명될 때 하부 광 소스(514)(도 5 및 도 6)로부터의 광이 통과하게 하여, 이에 의해 대응 개구 또는 라벨(744, 746, 750)이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의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버튼에 대한 대체 구조의 이하 설명과 관련하여 도 12 및 도 13이 참조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962)은 기부 층(510)으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중공 프롱(prong) 또는 부재(1154, 1156, 1158, 1160)를 포함한다. 편(962)은 가요성의 반투명 광 확산 재료로 제조된다.
도 13은 편(962) 위에 끼워지도록 설계되는 버튼 캡(902)을 도시한다. 버튼 캡(902)은 강성의 반-불투명 재료로 제조되고 편(962)을 위한 외부 셀(shell)로서 기능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캡(902) 내로 삽입되는 편(962)을 아래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버튼 캡(902) 및 편(962)을 포함하는 버튼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962)은 중공 공동(1066)을 갖는 여러 부재 또는 프롱(1055)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버튼 캡(902)은 중공 공동(1036 내지 1042)을 갖는다. 편(960)이 버튼 캡(902) 내로 삽입되어서, 프롱(1055)이 버튼 캡(902)의 개별 또는 대응 섹션(1036 내지 1042) 내에 수납된다. 도 9는 편(962)이 버튼 캡(902)과 적절히 정합된 후의 편(962)을 도시한다. 기부층(510) 상의 하부 스위치(518)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편(962)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템(934)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버튼 캡(902) 내로 삽입하기 전에 버튼 캡(902) 아래에 위치되는 편(962)의 상이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캡의 표면 벽(1120)에 성형되는 개구를 갖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버튼 캡과는 대조적으로, 도 11의 버튼 캡(902)은 개구 또는 다른 라벨링 또는 마크를 갖지 않는다. 오히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 이, 라벨(1144, 1148, 1150)이 편(962)의 프롱(1055)의 개별 표면들(1154, 1158, 1160)에 형성된다. 일 일례에서, 각 프롱(1055)의 개별 상부 표면(1154 내지 1160)은 네거티브 이미지(negative image) 기술(예컨대, 실크스크린(silkscreen))을 사용하여 라벨(1144 내지 1150)로 마킹되어서, 라벨 자체는 불투명하게 남아있고 둘러싸는 영역은 블랙으로 덮어진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제어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편(962)은 편(962)의 각 프롱(1055) 내의 공동(1066) 각각이 개별 광 소스(514)와 스페이스(516) 쌍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기부 층(510) 상의 LED-스위치 조립체(512) 위에 끼워 맞춰진다. 그 결과, LED(514) 각각은 편(962)의 프롱(1055)의 개별 공동(1066) 내측에 위치된다. 이어서, 편(962)은 편(962)의 프롱(1055) 각각이 강성 캡(902)의 대응 공동(1036 내지 1042) 내로 수용되도록, 강성 캡(902) 내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강성 캡(902)의 연장부(934)는 편(962) 내의 개구(964)를 통과하고, 기부 층(510) 상의 스위치(518)와 정렬되어 접촉하게 한다. 버튼이 눌러질 때, 연장부(934)는 스위치(518)와 상호작용하는데, 이는 기부 층(510) 아래의 회로소자 층(도시 안됨)에 대한 접속성(connectivity)을 갖는다.
일 일례에서, LED(514)가 조명되지 않을 때, 라벨(1144, 1148, 1150)은 버튼 캡(9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다(예컨대, 도 1 참조). 그러나, 하나의 LED(514)가 조명될 때, LED로부터의 광은 라벨(1144, 1148, 1150) 중 개별의 라벨을 통해 그리고 버튼 캡(902)을 통해 진행하여, 라벨이 사용자에게 노출된다(예컨 대, 도 2, 도 3 및 도 4 참조). 예컨대, 도 12는 하부 광 소스에 의해 조명되는 "재생" 화살표 라벨(1150)을 갖는 편(962)의 프롱(1160)을 도시한다. 조명된 재생 라벨(1150)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불투명 재료로 제조되는 버튼(902)을 통과하고 버튼(902)을 통해 보인다.
도 15, 도 16 및 도 17은 다양한 작동 모드로 기능을 하는, 인터페이스(1500) 및 디스플레이(1572)를 갖는 다기능 장치(1570)를 도시한다. 인터페이스(1500)는 본 발명에 따라 강성 버튼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키보드이다. 도 15에는 DVR의 제어를 위한 "트랜스포트" 작동 모드에 따라 조명되는 장치(1570)의 인터페이스(1500)가 도시된다. 도 16에는 TV의 제어를 위한 "채널" 작동 모드에 따라 조명되는 장치(1670)의 인터페이스(1600)가 도시된다. 도 17에는 전화의 제어를 위한 "전화" 작동 모드로 조명되는 장치(1770)의 인터페이스(1700)가 도시된다.
또한, 장치(1570)의 디스플레이(1572)는 장치(1570)의 작동 모드와 관련된 다른 정보와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트랜스포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572)는 "Thumbs Up" 및 "Thumbs Down"과 같은 뷰어 상호작용(viewer interaction)에 관한 커맨드의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채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672)는 선호하는 채널의 선택에 관한 커맨드(command)의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전화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772)는 저장된 전화 번호의 선택에 관한 커맨드의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장치(1570)는 본 발명의 버튼 인터페이스(1500)가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플랫폼이다. 본 발명은 다중 디바이스 기능의 제어가 요구되는 어떠한 다른 플랫 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다중 언어(예컨대, 키릴 문자, 아라비아 문자, 그리스 문자)에 사용하기 위해 그리고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사진 편집 또는 그래픽 디자인을 위한 기호)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 정의될 수 있는(customizable) 키를 제공하도록 컴퓨터 키보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1개 이상의 일례 및/또는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가 강성이거나 디텐트이거나 물리적인 버튼을 사용하는데, 버튼 각각은 문제가 있는 장치 기능에 따라 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명될 때까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다양한 작동 라벨로 구성된다.
일례에서, 원격 제어부(1570, 1670, 1770)(이하, 모두 1570으로 함)의 작동 모드는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도시안됨)을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는 기본(underlying)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또는 이들 모두에 기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72), 사용자 제어기 인터페이스(1500), 또는 여러 다른 양상의 원격 제어부(1570)에 의해 원하는 작동 모드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이 정보를 수신할 때, 프로세서는 개별의 제어 영역(512)으로 신호를 송신한다. 신호는 개별의 제어 영역(512) 각각 내의 광 소스(514)가 특정 작동 모드를 위해 조명되는 것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또 다른 일례에서, 원격 제어부(1570)의 기본 기능은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4를 참조하면,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902)가 눌러질 때, 연장부(934)는 스위치(518)와 접촉한다. 스위치(518)는 프로세서로 송신되는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세서는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개별 스위 치(518)와 관련되는 기본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또는 이들 모두를 통해 작동을 개시한다.
예시적인 조명 영역 및 버튼 구조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및 도 24는 다양한 조명 영역 및 버튼 구조를 도시한다.
도 18은 착색(tinting) 층(1852), 반투명/투명 버튼(1802)(예컨대, 반투명부 또는 투명부를 갖는 버튼), 라벨 마스크 층(1862) 및 광 패널 층(1812)을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착색 층(1852)은 휴식 모드 또는 휴식 상태 동안에 이용 가능한 라벨이 보이지 않게 할 필요가 있을 때, 즉 라벨이 조명되지 않는 경우에 보이지 않게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착색 층(1852)은 특정 파장에서 실질적으로 어떠한 광도 통과시키지 않는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광 패널 층(1812) 상의 광 소스 또는 조명 영역(1814)이 조명될 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된 영역으로부터의 광은 라벨 마스크 층(1862)에서의 대응 라벨(1844 또는 1850)을 통해, 반투명/투명 버튼(1802)을 통해 그리고 착색 층(1852)을 통해 지나가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라벨을 노출시킨다. 라벨(1844, 1850)이 도시되어 있지만, 전술된 라벨들 중 1개 이상의 라벨, 또는 다른 라벨들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버튼(1802)은 광 패널 층(1812)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특정 파장에서 라벨 마스크 층(1862)의 가시성을 위해 원하는 투과를 허용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부가 적으로, 버튼(1802)은 라벨 마스크 층(1862) 및/또는 광 패널 층(1812)을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라벨 마스크 층(1862)은 라벨(1844, 1850)만을 조명하기 위해 하부 광 패널 층(1812)으로부터의 조명을 제한하고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라벨 마스크 층(1862)은 반투명 버튼(1802) 위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배열에서는, 조명 영역(1814)에 의해 방출된 광으로부터 버튼(1802)의 다른 영역을 차폐하기 위해 버튼(1802) 내에 내부 배플(baffle) 또는 벽(도시 안됨)이 요구될 수도 있다.
광 패널 층(1812)은 조명 영역 또는 광 소스(1814)를 지지하는 지지 층(18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들 조명 영역 또는 광 소스(1814)는 얇고 편평한 전계 발광(EL) 디스플레이 재료로 제조되는 소스와 같은 1개 이상의 발광 패널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른 유형의 광 소스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1개 이상의 광 패널(1814) 전체 또는 1개 이상의 광 패널(1814) 중 임의의 일부는 제시간에 소정의 모멘트로 에너지 공급될(energized) 수 있어서, 1개 이상의 광 패널(1814) 전체 또는 1개 이상의 광 패널(1814) 중 일부는 제시간에 소정의 모멘트로 광을 방출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다르게는, 광 패널(1814) 각각의 위치는 라벨(1844 또는 1850) 또는 임의의 다른 라벨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각 라벨은, 광 패널(들)(1814)이 제시간에 소정의 모멘트로 에너지 공급되는 것에 기초하여 광 패널(1814)들 중 개별 광 패널에 의해 조명된다. 예컨대, 이는 라벨 마스크 층(1862)을 가장 효율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제어기(1890) 또는 다른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도시하는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착색 층(1852)을 갖는 대신에, 버튼(1902) 자체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착색된다. 도 19에 도시되는 다른 요소들은 도 18에서 전술된 기능과 설명과 유사하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다르게는 라벨 마스크 층(1862)은 반투명 버튼(1902)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도시하는데, 버튼(2002)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라벨 마스크 층(1862) 대신에, 매립된 라벨(1844, 1850)을 포함한다. 도 20에 도시되는 다른 요소는 도 18에서 전술된 기능과 설명과 유사하다. 부가적으로 또는 다르게는, 라벨(1844, 1850)은 버튼(2002)의 하부 또는 상부 근처에 또는 하부 또는 상부에,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장소에 매립될 수 있다. 라벨(1844, 1850)이 버튼(2002)의 하부로부터 상향 이동된다면, 불필요한 영역이 조명 영역(1814)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수용하는 것을 차폐하기 위해, 버튼(2002) 내에 내부 배플 또는 벽이 필요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21에 도시된 일례에서, 버튼(2101) 자체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착색되고, 또한 매립된 라벨(1844, 1850)을 포함한다. 이들 요소와 도 21에 도시된 다른 요소들은 도 18, 도 19 및 도 20에 대해 전술된 기능과 설명과 유사하다.
도 22는 착색 층이 없고 다르게는 버튼(2101)이 반투명/투명한 점을 제외하 고 도 18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도시한다. 그 결과, 라벨(1844, 1850)을 포함하는 라벨 마스크 층(1862)은 휴식(비조명) 모드 동안에 보일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되는 다른 요소들은 도 18에 전술된 기능과 설명과 유사하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다르게는 라벨 마스크 층(1862)은 반투명 버튼(2202)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되는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도시하는데, 버튼(2302)은 착색 층 없이 완전히 반투명(착색 안됨)하게 남아있다. 도 23에 도시되는 다른 요소들은 도 18 및 도 21에 전술된 기능과 설명과 유사하다.
부가적으로 또는 다르게는, 컬러는 다기능 장치의 비주얼(visual) 디스플레이에 도입될 수 있다. 예컨대, 이는 착색된 조명 소스, 컬러 필터 층, 컬러 코팅, 또는 다른 알려져 있거나 앞으로 개발될 컬러 도입 방식을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결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전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제한되지 않고 단지 일례로써 나타내어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형태 및 상세의 다양한 변화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관련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너비(breadth)와 범주는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고, 단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의 동등물에 따라 한정되어야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요약서 부분이 아니라 실시예 부분이 특허청구범위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요약서 부분에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인식되는 본 발명의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가 아니라 1개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임의의 방식으로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17)

  1. 다중 디바이스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이며,
    지지 구조체와,
    지지 구조체 상에 형성되고, 각각이 1개 이상의 발광 패널을 포함하는 제어 영역들과,
    제어 영역들 각각을 커버하는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와,
    제어 영역들에 결합되고, 발광 패널의 어느 것이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의 1개 이상의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호작용 장치들 중 개별의 상호작용 장치들로부터 출력되는지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발광 패널은 전계발광(EL) 디스플레이 재료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체는 제어기와 제어 영역들을 결합시키는 회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는 물리적 버튼인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작동 모드는 휴식 모드, 채널 모드, 트랜스포트 모드, 전화 모드 중 1개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영역들은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각각이 눌러질 때 활성화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스위치의 활성화는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작동을 초기화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는 1개 이상의 발광 패널의 측방향 출력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는 작동 모드가 휴식 모드에 있을 때 1개 이상의 발광 패널의 출력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중 대응하는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에 결합되는 개별의 착색 층들을 더 포함하고,
    개별의 착색 층들은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의 1개 이상의 작동 모드 중 휴식 모드 동안에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의 부분이 안보이게 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각각은 반투명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중 대응하는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에 결합되는 개별의 라벨 마스크 층들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중 대응하는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에 결합되고,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의 1개 이상의 작동 모드 중 휴식 모드 동안에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의 부분이 안보이게 하도록 구성되는 개별의 착색 층들과,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중 대응하는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에 결합되는 개별의 라벨 마스크 층들을 더 포함하고,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각각은 반투명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에 결합되고, 1개 이상의 작동 모드 중 개별의 작동 모드 각각 동안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중 대응하는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에 결합되는 개별의 라벨 마스크 층들을 더 포함하고,
    개별의 라벨 마스크 층들은 1개 이상의 발광 패널의 측방향 출력을 실질적으 로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각각은 작동 모드가 휴식 모드에 있을 때 1개 이상의 발광 패널들의 출력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도록 착색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각각은 1개 이상의 라벨을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눌러질 수 있는 상호작용 장치들 각각은 투명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KR1020097021394A 2007-03-15 2008-03-12 다기능 제어 인터페이스 KR101477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24,272 2007-03-15
US11/724,272 US8698752B2 (en) 2005-11-10 2007-03-15 Multi-functional control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290A true KR20090122290A (ko) 2009-11-26
KR101477313B1 KR101477313B1 (ko) 2014-12-29

Family

ID=39767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394A KR101477313B1 (ko) 2007-03-15 2008-03-12 다기능 제어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98752B2 (ko)
EP (1) EP2122604A4 (ko)
JP (1) JP5554572B2 (ko)
KR (1) KR101477313B1 (ko)
CN (1) CN101583993B (ko)
CA (1) CA2676784A1 (ko)
WO (1) WO20081153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160B1 (ko) * 2005-11-10 2013-07-23 오픈픽 인크. 다기능 제어 인터페이스
US8698752B2 (en) 2005-11-10 2014-04-15 Id8 Group R2 Studios, Inc. Multi-functional control interface
US20090179859A1 (en) * 2008-01-14 2009-07-16 Shaul Wisebourt Handhel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Keypad Having Multiple Character Sets Assigned Thereto, With The Character Sets Being Individually Illuminable
JP5643746B2 (ja) 2008-04-16 2014-12-17 ナイキ イノベイト セー. フェー. モバイルデバイスのための運動パフォーマンス用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US8178802B2 (en) * 2008-07-31 2012-05-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Unitized appliance control panel assembly and components of the assembly
US20110281652A1 (en) * 2009-02-02 2011-11-17 Marc Laverdiere Touch Music Player
WO2011079300A2 (en) * 2009-12-23 2011-06-30 Comau, Inc. Universal human machine interface for automation installation
KR101832954B1 (ko) * 2011-05-11 2018-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2587510B1 (en) * 2011-10-28 2018-02-28 BlackBerry Limited Key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JP5963849B2 (ja) * 2012-04-18 2016-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操作パネルおよびこれを備える情報機器
KR102049635B1 (ko) 2013-06-12 2019-11-28 로히니, 엘엘씨. 피착된 광-생성 소스에 의한 키보드 백라이팅
CN106233411B (zh) * 2014-08-01 2020-04-03 Abb瑞士股份有限公司 自动化控制设备
KR102298484B1 (ko) 2016-01-15 2021-09-03 로히니, 엘엘씨. 장치 상의 커버를 통해 후면 발광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732U (ja) 1984-06-23 1986-01-21 日本電気株式会社 キ−ボ−ドのキ−構造
JPS6165614U (ko) 1984-10-03 1986-05-06
JPS63132323A (ja) 1986-08-27 1988-06-04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ポレイテツド データエントリー装置
JPH01138131U (ko) 1988-03-12 1989-09-21
JPH0218138U (ko) 1988-07-22 1990-02-06
US5239152A (en) 1990-10-30 1993-08-24 Donnelly Corporation Touch sensor panel with hidden graphic mode
JP2934510B2 (ja) 1990-12-12 1999-08-1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の扉構造
FI88345C (fi) 1991-01-29 1993-04-26 Nokia Mobile Phones Ltd Belyst tastatur
JPH04268909A (ja) 1991-02-25 1992-09-24 Hitachi Ltd キーボード
FR2673761A1 (fr) 1991-03-08 1992-09-11 Systemes Audio Frequences Clavier a touches mobiles.
JP3203880B2 (ja) 1993-05-26 2001-08-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操作釦表示装置
JPH075966A (ja) 1993-06-15 1995-01-10 Nec Corp キーボード装置
JPH07105782A (ja) 1993-09-30 1995-04-21 Sharp Corp キー入力装置
US5542770A (en) 1994-02-22 1996-08-06 Lin; Meng H. Multifunctional micropocessor input device
US6199996B1 (en) * 1998-08-26 2001-03-13 Twenty-First Century Technology, Inc. Low power, low cost illuminated keyboards and keypads
JP3542916B2 (ja) 1999-01-07 2004-07-14 日本電気株式会社 キー機能表示装置
JP2000207978A (ja) 1999-01-14 2000-07-28 Yazaki Corp 多機能スイッチ装置
JP4298115B2 (ja) 2000-02-23 2009-07-15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部材
US6798359B1 (en) * 2000-10-17 2004-09-28 Swedish Keys Llc Control unit with variable visual indicator
FR2812966B1 (fr) 2000-08-11 2002-12-20 Telecomm Electronique Aeronaut Touche lumineuse multi-messages a eclairages independants, notamment pour facade d'equipement aeronautique, et barrette constituee de telles touches
US6704004B1 (en) 2000-08-17 2004-03-09 Nokia Mobile Phones Ltd. Arrangement for integration of key illumination into keymat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6803903B1 (en) * 2000-08-17 2004-10-12 Nokia Mobile Phones, Ltd. Integration of organic light-emitting components into the key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US6608271B2 (en) 2001-08-17 2003-08-19 Danger, Inc. Method of dynamically lighting keyboard glyphs
JP2005504370A (ja) 2001-09-20 2005-02-10 ティモシー ビー. ヒギンソン ユニバーサルキーボード
US6789359B2 (en) 2001-12-10 2004-09-14 Merrill Millwork, Inc. Weeped end plug for sill assembly
KR100455991B1 (ko) 2002-08-28 2004-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 백라이트 제어 장치
JP2005077874A (ja) 2003-09-02 2005-03-24 Alpine Electronics Inc 照光式表示装置
US7636748B2 (en) 2003-09-29 2009-12-22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configurations for a data processing device
US20050073446A1 (en) 2003-10-06 2005-04-07 Mihal Lazaridis Selective keyboard illumination
US7412653B2 (en) 2003-11-06 2008-08-12 Universal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having a display with multi-function EL segments
US7872642B2 (en) 2004-03-12 2011-01-18 Universal Electronics Inc. Controlling device having multiple user interfaces
WO2005109644A1 (en) 2004-04-27 2005-11-17 Wildseed Ltd. Reduced keypad for predictive input
KR100664982B1 (ko) 2004-05-03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Led를 이용한 lcd 백라이트 모듈
EP1596395A3 (en) 2004-05-07 2007-02-07 Yamaha Corporation Signal level adjus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adjustment apparatus
JP2006060334A (ja) 2004-08-17 2006-03-02 Nec Saitama Ltd キーボタン構造及びそのキーボタン構造を有する携帯端末機器
JP2006277013A (ja) 2005-03-28 2006-10-12 Denso Wave Inc キーボード装置
US7331727B2 (en) * 2005-04-27 2008-02-19 Varia Mobil Llc Selectively illuminated key chambers
US7319426B2 (en) * 2005-06-16 2008-01-15 Universal Electronics Controlling device with illuminated user interface
DE602005023450D1 (de) 2005-07-26 2010-10-21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Anordnung zur Erzeugung von Doppel-Bildern
JP4563895B2 (ja) 2005-08-26 2010-10-13 東洋電装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機能を備えたプッシュ式スイッチ
US8698752B2 (en) 2005-11-10 2014-04-15 Id8 Group R2 Studios, Inc. Multi-functional control interface
KR101289160B1 (ko) 2005-11-10 2013-07-23 오픈픽 인크. 다기능 제어 인터페이스
KR100756662B1 (ko) 2006-03-10 2007-09-07 영일산업기술 주식회사 순간 살균수 생성장치
US7523862B2 (en) * 2006-05-18 2009-04-28 Motorola, Inc. Multi-function keypad using colored light sources and optical fil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313B1 (ko) 2014-12-29
WO2008115373A1 (en) 2008-09-25
EP2122604A4 (en) 2011-01-19
CA2676784A1 (en) 2008-09-25
EP2122604A1 (en) 2009-11-25
US20070152965A1 (en) 2007-07-05
US8698752B2 (en) 2014-04-15
JP2010521740A (ja) 2010-06-24
CN101583993A (zh) 2009-11-18
JP5554572B2 (ja) 2014-07-23
CN101583993B (zh)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313B1 (ko) 다기능 제어 인터페이스
EP2033419B1 (en) Device with modal lighting control and method thereof
JP5100214B2 (ja) 携帯端末機
CN101779176A (zh) 用于图形符号的照明键盘和光导以及方法
JP5546073B2 (ja) 多機能制御インターフェース
US20090268454A1 (en) Light guide sheet and movable contact element using the same
JP5211168B2 (ja) 入力装置
JP4094602B2 (ja) 電子機器のキーボタン照明構造
CN105632825A (zh) 键盘
KR1006981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키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3257271A (ja) 照光式押し釦スイッチ装置
JP2001345912A (ja) 携帯端末装置
WO2002093982A1 (fr) Element el et unite d'eclairage le comprenant
JP2009099307A (ja) キー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たキーユニット
JP2005223606A (ja) El発光機能付き電子機器
JP2012119168A (ja) 導光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可動接点体
JP2003060755A (ja) 携帯端末装置
JP2004192955A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2010080282A (ja) 携帯機器の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