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954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954B1
KR101832954B1 KR1020110044170A KR20110044170A KR101832954B1 KR 101832954 B1 KR101832954 B1 KR 101832954B1 KR 1020110044170 A KR1020110044170 A KR 1020110044170A KR 20110044170 A KR20110044170 A KR 20110044170A KR 101832954 B1 KR101832954 B1 KR 101832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elete delete
key body
window port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415A (ko
Inventor
박병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954B1/ko
Priority to US13/401,587 priority patent/US9285829B2/en
Priority to CN201210076413.9A priority patent/CN102778929B/zh
Priority to EP12002321.3A priority patent/EP2523066B1/en
Publication of KR2012012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39Selective or different modes of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85Capacitive 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부와,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키 영역에 적층되도록 상기 윈도우부의 타면에 배치되는 키바디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키바디 조립체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멤버 또는 돌출 멤버를 구비하고, 타면은 도광필름(light guide film)과 결합되는 키 바디(key body)를 포함함으로써, 개성있는 미감을 불러일으키고, 외관을 고급화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 단말기의 입력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성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특히, 이동 단말기의 제작에 있어서, 외관의 미감 등을 향상하고자, 케이스나 키 마크 등의 외관에 특징을 주는 방안들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외관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단말기 케이스의 외면에 독특한 패턴을 형성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부와,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키 영역에 적층되도록 상기 윈도우부의 타면에 배치되는 키바디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키바디 조립체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멤버 또는 돌출 멤버를 구비하고, 타면은 도광필름(light guide film)과 결합되는 키 바디(key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바디 조립체는, 터치시에 상기 키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광필름의 일면과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전기적 소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 바디와 도광필름 사이에 단말기의 기능과 관련된 각각의 다른 패턴들로 형성되는 키 마크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부는 단말기의 기능과 관련된 각각의 다른 패턴들로 형성되는 키 마크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 바디는 복수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각의 키 바디는 단말기의 기능과 관련된 각각의 다른 패턴들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 바디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 바디와 상기 윈도우부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일정 갭만큼 이격되고, 상기 갭을 메우도록 형성되는 충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 바디는 제1굴절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부는 제2굴절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굴절률은 상기 제1굴절률보다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적어도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윈도우부 및 상기 일면에 배치되고, 배면에 배치된 발광 소자에 의해 빛이 입사되는 경우,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적어도 일부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는 형상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외관에 독특한 패턴을 구현하여, 개성있는 미감을 불러일으키고, 외관을 고급화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단말기의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2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음향 입력부(1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41,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는 윈도우부 상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키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음향 입력부(1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측에 장착된 리어 케이스(121)에는 제2 조작부(123), 인터페이스(124), 전원 공급부(12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작부(123)는 리어 케이스(12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와 더불어 제2 조작부(12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조작부(123)는 스크롤 기능 외에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1 및 조작부(116,123)이 예시된 바와 같이 최소화된다면, 전화 번호나 문자 등은 디스플레이부(113)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어 케이스(121)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21)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7), 제2 음향출력부(130),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8)와 거울부(129)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8)는 제2 영상 입력부(1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9)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7)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130)는 제1 음향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와 별도로 리어 케이스(121)의 일 측에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1)는 리어 케이스(121)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조작부(116) 등은 프론트 케이스(111)에, 제2 조작부(123) 등은 리어 케이스(121)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23)가 제1 조작부(116)와 인접하게 프론트 케이스(1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7)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7)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1)의 일면을 덮도록 윈도우부(140)가 결합 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일면을 덮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윈도우부(140)가 디스플레이부(113, 도 1 참조)를 이룬다.
윈도우부(14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정보(명령, 신호 등)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140)에는 빛이 투과되지 않거나 빛의 투과율이 아주 낮은 불투명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부(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빛이 투과할 수 없도록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윈도우부(14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부(14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들(140b, 140c)이 주변과 달리 반투명 또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영역(140b)들의 하면 및 제2 영역(140c)의 하면에 각각 적층되는 키 바디(181)나 형상부(191)에 입체적 효과를 더하거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개성있는 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베젤에 근접한 윈도우부(140)와 제1 조작부(116)가 형성되는 키 영역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하고, 제1 영역(140b)을 투명하게 하여 제1 영역을 통해 하면에 형성된 키 바디(181)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단말기의 독특한 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 조작부(116)에 대응하여 조작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패드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누름 조작하는 대상이 된다. 이러한 조작 패드 윈도우부(140)의 일부분에 조작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음향홀(114b), 윈도우홀(112b), 그리고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음향홀(114b)은 음향출력부(11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이동 단말기의 음향, 예를 들어 벨소리, 음악 등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윈도우홀(112b)은 디스플레이부(11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1 영상 입력부(115, 이상 도 1 참조)에 대응하여서는 광 투과성의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1)에는 회로기판(170), 디스플레이 모듈(141), 스피커 모듈(114a), 카메라 모듈(115a), 그리고 스위치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사용자가 윈도우부(140)를 터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윈도우부(14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 예를 들어 정전용량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부(140)의 내부에는 전극이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전극은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에는 전하가 충전될 수 있으며, 도전체가 가까운 거리에서 움직이면 그에 따라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의 변화할 수 있다. 도전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윈도우를 터치하면 전극에 충전된 전하량이 변하며, 이는 결국 손가락과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과 같다.
윈도우부(140)의 전극은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어부, 예를 들어 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연성회로기판이 홀(미도시)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70, 이상 도 3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전하량의 변화의 감지에 따라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부(140)의 일면에는 제1 조작부(116, 이하 제1 조작부는 터치입력을 받는 키 영역이다.)이 형성된다. 상기 키 영역(116)을 터치시 이를 감지하여 해당 영역에 대한 기 설정된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단말기가 일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키 영역(116)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윈도우부(140)의 하단에는 키바디 조립체(180)가 형성된다. 즉, 키바디 조립체(180)의 상단에는 윈도우부(140) 및 키 영역(116)이 적층된다.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바디 조립체(180)는 전체가 오목한 형상이나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키 바디(key body, 18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c 및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 바디(181)는 각각이 분할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키 바디(181)가 전체로서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키 바디(181)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인 두께의 변화로 인하여, 키바디 조립체(180)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투과된 빛은 산란 또는 굴절되어, 키바디 조립체(180)에 독특한 입체감을 부여한다. 또는 어느 일부분만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 굴절률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빛의 진행 경로가 두께 또는 굴절률의 차이로 인하여 각 부분에 있어서 달라지므로, 키바디 조립체(180)가 독특한 입체감을 가질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키 바디(181)는 복수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각의 키 바디(181)는 단말기의 기능과 관련된 각각의 다른 패턴들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들은 일종의 키 마크(key mark)로서, 각각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홈, 되돌리기, 서치 등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사각형 형상, 집 형상, 화살표가 후방을 가르키는 형상, 돋보기의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들이 키 마크들을 보고, 해당 키 영역(116)를 누르거나, 접촉하면 단말기의 원하는 기능이 수행된다는 것을 직감할 수 있다. 즉, 상기 키 영역(116)에는, 서로 다른 패턴으로 이루어진 키 마크들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키 마크들이 배치된 영역을 터치하게 되면 미리 정해진 단말기의 일정 기능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키 바디(18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UV molding, Silicon molding 또는 Epoxy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키 바디(181)는 도광필름(182)에 적층된다. 도광필름(182)은 하단에 배치된 전기적 소자(184)로부터 나오는 빛의 통로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키 영역(116)을 터치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고, 터치 영역에 대하여 전기적 소자(184)가 빛을 발하면, 터치 영역의 일부가 발광될 수 있다. 전기적 소자(184)는 전력 소모 대비 효율이 높은 발광 다이오드(LED)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필름(182)의 하단(183)에는 회로기판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키 바디(181)와 도광필름(182) 사이에 단말기의 기능과 관련된 각각의 다른 패턴들로 형성되는 키 마크 인쇄층(1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키 마크 인쇄층(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부(140)에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키 마크 인쇄층(150)에 배치되는 키 마크들은 메뉴, 홈, 되돌리기, 서치 등의 기능을 연상시키도록, 사각형 형상, 집 형상, 화살표가 후방을 가르키는 형상, 돋보기의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들이 키 마크들을 보고, 해당 키 영역(116)를 누르거나, 접촉하면 단말기의 원하는 기능이 수행된다는 것을 직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키 마크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키 영역(116)은 분할될 수 있다.상기 복수의 키 마크들은 터치 입력시 상기 키 영역(116)의 하부에 배치된 전기적 소자(184)가 발광되는 경우 빛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키 마크들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키 영역(116)들은 하면에 배치된 전기적 소자(184)에 의해 발광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보다 확실하게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되며, 분할된 키 영역(116)에 서로 다른 밝기나 색상의 빛이 새어나와 사용자의 편의성 또는 단말기에 색다른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키 바디(181)들은 키 바디(181)와 키 바디(181)에 적층되는 윈도우부(140)의 굴절률을 다르게 함으로써,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은 Nb2O5, BaO 및 TiO2 을 포함하게 되면 굴절률이 상승하게 된다. 특히 Nb2O5는 40 - 50 중량 %, BaO는 17 - 26 중량 %, TiO2는 1 - 6 중량 %를 포함하면, 유리 기판은 1.8 이상의 굴절률을 갖게 된다. 이에 반해, 키 바디(181)의 굴절률은 통상적으로 1.5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윈도우부(140)의 굴절률을 키 바디(181)보다 더 크게 함으로써, 키 마크들의 시인성을 개선되고, 키 바디(181)의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키 바디(181)와 윈도우부(140)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일정 갭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갭을 메우도록 형성되는 충진체(185)가 배치되어 윈도우부(140)가 가압되는 경우 윈도우부(1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갭으로 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키 바디(181)와 키 바디가 하면에 적층되는 키 영역(116)에 해당하는 윈도우부(140)는 적어도 일부가 각각 다른 컬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키 바디나 윈도우부는 두께 방향 또는 너비 방향으로 각각 다른 컬러가 교번하거나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키 바디의 일면상의 일부는 리세스 되며, 진하거나 옅은 파란색으로 형성되고, 리세스된 일부를 둘러싸는 부분은 옅거나 진한 파란색으로 형성하여, 리세스 된 부분에 입체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키 바디나 윈도우부는 두께 방향 또는 너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복수의 컬러들로 형성되거나, 진하거나 옅은 점진적인 변화를 갖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키 바디(181)의 입체감과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컬러의 변화와 아울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영역(140b)은 주변의 윈도우부에 비해, 굴절률을 달리하거나, 투명도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면에 형성되는 키 바디(181)는 보다 커 보이거나, 보다 작아보일 수 있다. 또한, 베젤에 인접한 윈도우부의 테두리를 불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하고, 제1 영역(140b)만을 투명하게 형성하여, 제1 영역(140b)의 하면에 형성되는 키 바디(181)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거나 키 바디(181)의 리세스 멤버나 돌출멤버의 입체감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로고부(190)는 윈도우부(140)와 단말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며, 형상부(191) 등을 포함하여 적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키 마크는 형상부(191)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로고를 형성하는 패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상부(191)는 일부만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돌출되거나 리세스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형상부(191)가 전체로서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형상부(191)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인 두께의 변화로 인하여, 형상부(191)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하여 투과된 빛은 산란 또는 굴절되어, 형상부(191)에 독특한 입체감을 부여한다. 또는 어느 일부분만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 굴절률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께 또는 굴절률의 차이로 인하여 일 부분에 있어서 빛의 진행 경로가 달라지게 되면, 형상부(191)가 독특한 입체감을 가질 수 있다.
형상부(19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UV molding, Silicon molding 또는 Epoxy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형상부(191)는 도광필름(192)에 적층된다. 도광필름(192)은 하단에 배치된 전기적 소자(194)로부터 나오는 빛의 통로가 되도록 형성된다. 단말기 전원의 온/오프 라든지, 통화 중인 경우 전기적 소자(194)가 빛을 발하면, 형상부(191)의 적어도 일부가 발광될 수 있다. 전기적 소자(194)는 전력 소모 대비 효율이 높은 발광 다이오드(LED)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필름의 하단(193)은 디스플레이 모듈이거나 회로기판일 수 있다.
형상부(191)와 도광필름(192) 사이에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로고를 형성하는 패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쇄층(19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층(19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부(140)에 형성될 수 있다.
형상부(191)는 복수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각의 형상부(191)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로고를 형성하는 패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광 필름, 형상부(191) 및 윈도우부(140)의 굴절률을 각각 달리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쌍이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게 함으로써, 형상부(191)의 시인성을 개선시키고, 형상부(191)의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형상부(191)와 윈도우부(140)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일정 갭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갭을 메우도록 형성되는 충진체가 배치되어 윈도우부(140)가 가압되는 경우 윈도우부(1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갭으로 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형상부(191)와 하면에 형상부가 배치되는 영역의 윈도우부(140)는 적어도 일부가 각각 다른 컬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형상부나 윈도우부는 두께 방향 또는 너비 방향으로 각각 다른 컬러가 교번하거나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형상부의 일면상의 일부는 리세스 되며, 진하거나 옅은 파란색으로 형성되고, 리세스된 일부를 둘러싸는 부분은 옅거나 진한 파란색으로 형성하여, 리세스 된 부분에 입체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형상부나 윈도우부는 두께 방향 또는 너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복수의 컬러들로 형성되거나 진하거나 옅은 점진적인 변화를 갖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형상부(191)의 입체감과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6)

  1.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부;
    상기 윈도우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영역; 및
    상기 키 영역에 적층되도록 상기 윈도우부의 타면에 배치되는 키바디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키바디 조립체는,
    일면이 리세스 또는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타면은 도광필름(light guide film)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 바디(key body);
    터치시에 상기 키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발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광필름의 일면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전기적 소자들; 및
    상기 키 바디와 도광필름 사이에 단말기의 기능과 관련된 각각의 다른 패턴들로 형성되는 키 마크 인쇄층을 포함하며,
    상기 키 바디는 제1굴절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부는 상기 제1굴절률보다 큰 제2굴절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키 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키 바디의 두께는, 상기 키바디 조립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전달되는 빛이 확산 또는 굴절되도록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바디는 복수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각의 키 바디는 단말기의 기능과 관련된 각각의 다른 패턴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바디와 상기 윈도우부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일정 갭만큼 이격되고, 상기 갭을 메우도록 형성되는 충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컬러로 형성되고, 상기 키 바디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컬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 바디에 형성되는 제2 컬러는,
    서로 다른 컬러들이 상기 키 바디의 두께 방향 또는 너비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 바디에 형성되는 제2 컬러는,
    상기 키 바디의 두께 방향 또는 너비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복수의 컬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단말기 바디의 적어도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면에는,
    배면에 배치된 발광 소자에 의해 빛이 입사되는 경우,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적어도 일부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는 형상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부와 상기 발광 소자 사이에 도광 필름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10044170A 2011-05-11 2011-05-11 이동 단말기 KR101832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170A KR101832954B1 (ko) 2011-05-11 2011-05-11 이동 단말기
US13/401,587 US9285829B2 (en) 2011-05-11 2012-02-21 Mobile terminal
CN201210076413.9A CN102778929B (zh) 2011-05-11 2012-03-21 移动终端
EP12002321.3A EP2523066B1 (en) 2011-05-11 2012-03-30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170A KR101832954B1 (ko) 2011-05-11 2011-05-11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415A KR20120126415A (ko) 2012-11-21
KR101832954B1 true KR101832954B1 (ko) 2018-04-13

Family

ID=4597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170A KR101832954B1 (ko) 2011-05-11 2011-05-11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85829B2 (ko)
EP (1) EP2523066B1 (ko)
KR (1) KR101832954B1 (ko)
CN (1) CN1027789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5369A1 (en) * 2012-08-22 2014-02-27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Single-gesture mobile computing device operations
CN103019439B (zh) * 2012-11-15 2017-03-01 福州华映视讯有限公司 触控屏幕与触控按键之整合系统
CN103090316A (zh) * 2013-02-25 2013-05-08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触摸按键导光结构
US9223429B2 (en) * 2013-03-21 2015-12-29 Htc Corporation Touch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3279221A (zh) * 2013-05-21 2013-09-04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徽标组件、控制方法、控制器和电子设备
KR20150084600A (ko) * 2014-01-14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50227167A1 (en) * 2014-02-10 2015-08-13 Ming Yi CHIANG Back cover assembly of electronic mobile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light emission effect
USD892781S1 (en) * 2018-01-12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892780S1 (en) 2018-01-12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11175700B1 (en) 2020-05-14 2021-11-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appearance housing structur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173A (ja) * 2005-08-30 2007-03-15 Lg Electronics Inc タッチ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
US7663071B2 (en) 2008-01-22 2010-02-16 Ichia Technologies, Inc. Keypad assembly having three-dimensional pattern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2422B2 (ja) * 1998-07-10 200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7417624B2 (en) * 2003-02-14 2008-08-26 Duff Michael J Zero-force key activation keyboard with dynamic individual key illumination
GB0306337D0 (en) 2003-03-20 2003-04-23 Global Display Solutions Ltd Improvements to a display screen structure
US7223004B2 (en) * 2003-04-18 2007-05-2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ight guide plate with narrowed center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incorporating same
US7196693B2 (en) * 2003-12-12 2007-03-27 Compal Electronics, Inc. Lighting keyboard and lighting module thereof
US7113342B2 (en) * 2005-02-24 2006-09-26 Pong & Huang International Co., Ltd. Composite structure for light diffusion
US8698752B2 (en) * 2005-11-10 2014-04-15 Id8 Group R2 Studios, Inc. Multi-functional control interface
JP2007311325A (ja) * 2006-04-17 2007-11-29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の導光板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WO2007146634A2 (en) 2006-06-06 2007-1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Keypad with virtual image
US7830368B2 (en) * 2006-06-06 2010-1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Keypad with virtual image
US20080007964A1 (en) * 2006-07-05 2008-01-10 Tai-Yen Lin Light guiding structure
KR100853518B1 (ko) * 2007-01-09 2008-08-21 주식회사 옵틱스 다기능성 광학 필름, 이를 채용한 면광원장치와액정표시소자
KR20100069666A (ko) * 2007-09-06 2010-06-2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요성 및 내구성을 갖는 도광체
CN101424752A (zh) * 2007-10-31 2009-05-06 富士迈半导体精密工业(上海)有限公司 光学透镜及光源模组
TWI406551B (zh) 2007-11-06 2013-08-21 Lg Electronics Inc 行動式終端機
US8120726B2 (en) * 2008-06-23 2012-02-21 Sony Corporatio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US20110199322A1 (en) * 2010-02-15 2011-08-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evices that present media content
CN102243544B (zh) * 2010-05-12 2013-08-14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触控屏、触控屏的制造方法及触控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173A (ja) * 2005-08-30 2007-03-15 Lg Electronics Inc タッチ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
US7663071B2 (en) 2008-01-22 2010-02-16 Ichia Technologies, Inc. Keypad assembly having three-dimensional patter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415A (ko) 2012-11-21
US9285829B2 (en) 2016-03-15
EP2523066A3 (en) 2014-11-26
EP2523066B1 (en) 2016-12-21
CN102778929B (zh) 2017-05-03
US20120287060A1 (en) 2012-11-15
EP2523066A2 (en) 2012-11-14
CN102778929A (zh)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954B1 (ko) 이동 단말기
EP2541880B1 (en) Mobile terminal
RU2399085C2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KR101909602B1 (ko) 이동 단말기
KR101537687B1 (ko) 휴대 단말기
KR20120036076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패드 장치
KR101772078B1 (ko) 이동 단말기
KR101392916B1 (ko) 휴대 단말기
KR101918983B1 (ko) 단말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단말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1910381B1 (ko) 이동 단말기
CN101267620B (zh) 移动通信设备
KR101931942B1 (ko) 이동 단말기
KR1019605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30178A (ko) 휴대용 단말기
KR101595362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14B1 (ko) 휴대 단말기
KR101119474B1 (ko)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301522B1 (ko) 휴대 단말기
KR101789536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11060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20090012619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36466A (ko) 휴대 단말기
KR20110058524A (ko) 이동 단말기
KR20130005575A (ko) 이동 단말기
KR20130107643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