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609A -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 - Google Patents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609A
KR20090120609A KR1020080046501A KR20080046501A KR20090120609A KR 20090120609 A KR20090120609 A KR 20090120609A KR 1020080046501 A KR1020080046501 A KR 1020080046501A KR 20080046501 A KR20080046501 A KR 20080046501A KR 20090120609 A KR20090120609 A KR 20090120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ching
pants
ship
land
launching p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도성득
정종민
김회용
강경혁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0609A/ko
Publication of KR2009012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longitudinal movement of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8Tracks on slip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에 건조된 선박을 종 방향으로 진수하되, 두 개의 진수바지를 이용하여 진수를 함으로써 선박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선박을 진수시킬 수 있도록 한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을 제공하고, 육상에서 중대형 선박 및 그 이하의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 라인을 나란히 구비한 경우에, 중대형 선박을 건조하여 진수할 때에는 제1 진수바지와 제2 진수바지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면 되고, 이보다 작은 선박을 건조하여 진수할 때에는 제2 진수바지)를 다른 위치의 안벽으로 이동시켜 제2 진수바지 단독으로 진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그 종방향으로 진수하는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에 있어서, 두개의 제1,2 진수바지를 상기 선박의 진수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하되, 상기 제1,2 진수 바지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일렬이 되게 배열하여 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진수 바지를 육상의 안벽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진수 바지부터 탑재되도록 하여 상기 제1,2 진수 바지에 탑재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1,2 진수 바지를 잠수시켜 상기 선박을 부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육상,건조,진수, 종 방향, 진수바지

Description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A Method for Shipbuilding on the ground and Launching Ships}
본 발명은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그 종방향으로 진수하는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선박을 육상에서 건조한 후, 레일이나 스키드 웨이(Skid Way)를 이용하여 이동시켜 부유식 구조물인 단일의 진수 바지(barge) 위에 탑재한 다음, 이 진수바지를 바다속으로 가라앉히는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적재된 선박을 진수하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진수 바지를 육상의 안벽에 선박의 종방향으로 설치하여, 선박을 그 종방향으로 스키드 웨이를 통해서 진수바지 위에 탑재되도록 런칭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수바지는 그 부양능력이 선박의 경하중량과 거의 동일하게 제작된 것이 사용된다.
그런데, 전술한 단일의 진수바지는 일례로 경하중량이 15,000ton급의 선박의 건조 및 부양 능력에 맞게 자체 종강도가 고려된 상태로 설계 제작되어 있기 때문 에 일례로 경하중량이 22,000ton급 정도로 큰 중대형 선박을 건조하고자 경우에는 상기 단일의 진수바지에 중대형 선박의 길이에 맞게 일체로 길이 연장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으나, 길이가 길어짐에 따른 종강도의 저하가 생기지 않도록 고려하여 추가 길이만큼의 연장부를 최초의 단일 진수바지에 일체가 되도록 보강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따라서, 중대형 선박을 건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단일의 진수바지로는 진수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육상에 건조된 선박을 종 방향으로 진수하되, 두 개의 진수바지를 이용하여 진수를 함으로써 선박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켜 보다 안정적인 진수가 가능하도록 한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육상에서 중대형 선박 및 그 이하의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 라인을 나란히 구비한 경우에, 중대형 선박을 건조하여 진수할 때에는 제1 진수바지와 제2 진수바지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면 되고, 이보다 작은 선박을 건조하여 진수할 때에는 제2 진수바지를 다른 위치의 안벽으로 이동시켜 제2 진수바지 단독으로 진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그 종방향으로 진수하는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에 있어서, 두개의 제1,2 진수바지를 상기 선박의 진수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하되, 상기 제1,2 진수 바지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일렬이 되게 배열하여 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진수 바지를 육상의 안벽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진수 바지부터 탑재되도록 하여 상기 제1,2 진수 바지에 탑재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1,2 진수 바지를 잠수시 켜 상기 선박을 부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육상에 건조된 선박을 종 방향으로 진수하되, 두 개의 진수바지를 이용하여 진수를 함으로써 선박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선박을 진수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중대형 선박을 진수할 경우에, 비교적 제작이 쉬운 제1 진수바지를 추가로 더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단일로 이루어진 진수바지를 대체하여 별도의 다른 신규의 단일로 된 진수바지를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세째, 육상에서 중대형 선박 및 그 이하의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 라인을 나란히 구비한 경우에, 중대형 선박을 건조하여 진수할 때에는 제1 진수바지와 제2 진수바지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면 되고, 이보다 작은 선박을 건조하여 진수할 때에는 제2 진수바지를 다른 위치의 안벽으로 이동시켜 제2 진수바지 단독으로 진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b)(c)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진수바지와 제2 진수바지를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의 (a)(b)(c)(d)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진수 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육상(40)에서 건조된 선박(30)을 그 종방향으로 진수하는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에 있어서, 두 개의 제1,2 진수바지(10)(20)를 상기 선박(30)의 진수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하되, 제1,2 진수 바지(10)(20)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일렬이 되게 배열하여 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함과 아울러 제1 진수 바지(10)를 육상(40)의 안벽(4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단계와; 육상(40)에서 건조된 선박(30)을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진수 바지(10)부터 탑재되도록 하여 상기 제1,2 진수 바지(10)(20)에 탑재되도록 하는 단계와; 제1,2 진수 바지(10)(20)를 잠수시켜 상기 선박(30)을 부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면중 미설명 부호 50은 육상(40)과 제1 진수바지(10) 및 제2 진수바지(20)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선박(30)을 이송시키는 데 사용되는 주행로인 스키드 웨이(Skid Way)인 것이다.
이 스키드 웨이(50)는 선박(30)의 건조전에 미리 육상(40)에 설치되는 것이고, 제1 진수바지(10)의 제작후 그 위에 육상(40)에 설치된 스키드 웨이(50)와 길이 방향으로 일치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제2 진수바지(20)의 제작후 그 위체 제1 진수바지(10)에 설치된 스키드 웨이(50)와 길이 방향으로 일치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육상(40)에 설치된 스키드 웨이(50)와 제1 진수바지(10)에 설치된 스키드 웨이(50)는 미도하였지만 별도의 브릿지 빔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 연결한다.
그리고, 제1 진수바지(10)와 제2 진수바지(20)에 각각 설치된 스키드 웨이(50)는 별도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선박의 진수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30)을 육상(40)에서 건조하되, 선박(30)을 그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건조하는 육상건조단계를 진행한다.
선박(30)의 육상건조단계를 진행한 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상(40)의 안벽(41)에 두 개의 제1, 제2 진수바지(10)(20)중 어느 하나인 제1 진수바지(10)를 연결 설치하되, 육상(40)에 설치된 스키드 웨이(50)와 제1 진수바지(10)에 설치된 스키드 웨이(50)는 미도하였지만 별도의 브릿지 빔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 연결하는 것으로서, 제1 진수바지 설치단계를 진행한다.
제1 진수바지 설치단계를 진행한 후,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진수바지(10)에 선박(30)의 종방향으로 제2 진수바지(20)를 연결 설치하는 제2 진수바지 설치단계를 진행한다.
여기서, 안벽(41)에 연결된 바지(10), 즉 제1 진수바지(10)의 종방향 길이를 나머지 다른 바지(20), 즉 제2 진수바지(20)의 종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고, 제1 진수바지(10)와 제2 진수바지(20)의 전체 길이의 합은 선박(30)의 종방향 총길이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진수바지(10)(20)에 탑재된 선박(30)이 바지위에서 별도의 다른 작업 공정의 수행을 감안하여 작업 여유 공간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두 개의 진수바지(10)(20), 즉 제1 진수바지(10)와 제2 진수바지(20)는, 이들에 각각 설치된 스키드 웨이(50)를 별도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제2 진수바지(20)를 설치한다.
제2 진수바지 설치단계를 진행한 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30)을 그 종방향으로 육상(40)에서 이동시켜 순차적으로 제1 진수바지(10)와 제2 진수바지(20)에 탑재되도록 하는 선박탑재단계를 진행한다.
선박탑재단계를 진행한 후,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30)이 탑재된 제1 진수바지(10)와 제2 진수바지(20)를 잠수시켜 선박(30)을 부상시키는 선박진수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제1 진수바지(10)와 제2 진수바지(20)를 잠수시키기 전에 육상(40)의 스키드 웨이(50)와 제1 진수바지(10)의 스키드 웨이(50)를 상호 연결한 브릿지 빔을 탈거하는 공정을 먼저 진행한다.
한편, 제1 진수바지(10)와 제2 진수바지(20)를 잠수시킨 다음, 선박(30)을 부상시킨 후에는 다시 제1 진바지(10)와 제2 진수바지(20)를 부상시켜야 하는바, 진수바지를 잠수시키거나 부상시키는 원리는 내부에 구비된 밸러스트 탱크에 물을 채우거나, 밸러스트 탱크의 내부를 비우는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으로,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술이어서,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선박(30)을 그 종방향으로 육상(40)에서 이동시켜 순차적으로 제1 진수바지(10)와 제2 진수바지(20)에 탑재되도록 하는 선박탑재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30)을 그 종방향으로 이동시켜 선수 부분(31)이 제1 진수바지(31)위에 탑재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30)을 계속적으로 이동시켜 그 선수 부분(31)이 제1 진수바지(10)와 제2 진수바지(20)의 연결 부분을 경유하여 제2 진수바지(20)의 선단부(22)에 탑재되도록 한 후, 선박(30)을 계속적으로 이동시켜 그 선수 부분(31)이 제2 진수바지(20)의 후단부(21)에 도달되도록 하면, 선박(30) 전체는 두개의 진수바지(10)(20)에 탑재되는데, 부언하면 선박(30)의 일부분은 제1 진수바지(10)에 탑재되고, 선박(30)의 나머지 부분은 제2 진수바지(20)위에 탑재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박(30)의 선수 부분(31)이 제일 먼저 안벽(41)에 가장 인접한 제1 진수바지(10)에 먼저 탑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선박(30)의 선미 부분(32)이 제1 진수바지(10)에 먼저 탑재되도록 육상(40)에서 선박(30)을 건조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 방법에 따르면, 진수바지(10)(20)가 두 개로 분리 구성되어 있고, 두 개의 진수바지(10)(20)중 안벽(41)에 연결 설치된 제1 진수바지(10)의 길이가 제2 진수바지(20)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선박(30)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박(41)이 제일 먼저 탑재되기 시작하는 제1 진수 바지(10)의 선단부(11)에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제1 진수바지(10)에서 발생되는 굽힘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진수바지(10)의 길이를 70M로 한정하지 않지 않고, 선박(30)의 선수 부분이 제2 진수바지(20)에 탑재될 수 있도록 도움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범위이내에서 그 길이를 가변적으로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박(30)의 선수 부분(31)을 포함한 일부분이 제1 진수바지(10)에 완전히 탑재된 상태에서 더 이동하여 제2 진수바지(20)의 선단부(22)에 탑재되게 되면, 선박(30)은 육상(40)과 제1 진수바지(10) 및 제2 진수바지(20)의 선단부(22)에 모두 탑재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선박(30)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육상(40)과 제1 진수바지(10)와 제2 진수바지(20)의 선단부(22)측으로 분산된다. 즉 본 발명은 두 개의 진수바지중 안벽에 인접한 제1 진수바지(10)가 선박을 이동시키는 진수 역할 및 선박(30)의 하중 분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2 진수바지(20)의 설계 구조 변경없이 제1 진수바지(10)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경하중량이 대략 일례로 22,000ton급 이상의 중대형 선박을 건조하여 진수할 수 있다.
즉, 제2 진수바지(20)를 의미하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단일의 진수바지를, 중대형 선박의 진수에 맞게 부양능력이 향상된 다른 진수바지를 또다시 제작하지 않아도 되고, 제2 진수바지(20)는 그대로 둔 채 이보다 작은 종방향 길이를 갖는 제1 진수바지(10)를 추가로 제작하면 된다. 제1 진수바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진수바지(20)에 비해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제작 소요시간이 길지가 않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미 종강도가 고려되어 제작된 제2 진수바지(20)를 중대형 선박의 건조 및 진수에 맞게 종강도를 다시 고려하여 그 길이를 연장할 필요가 없으며, 제2 진수바지(20)를 그대로 둔 채 제1 진수바지(10)를 종강도를 고려하여 신규로 제작하는 것이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2 진수바지(20)의 부양 능력보다 작은 경하중량의 선박을 건조할 경우에는, 상기 제2 진수바지(20)를 상기 제1 진수바지(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 진수바지(10)가 설치된 안벽(41)으로부터 이격된 다른 지점의 안벽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2 진수바지(20)만으로도 육상(40)에서 건조된 선박을 진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육상(40)에 경하중량 22,00ton급 이상의 선박과 15,000ton 정도의 선박을 별도로 건조할 수 있는 건조 설비를 나란히 구비하여,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선박을 진수할 경우에 전술한 제2 진수바지(20)를 위치 이동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대형 선박을 건조하여 진수할 때에는 제1 진수바지(10)와 제2 진수바지(20)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면 되고, 이보다 작은 선박을 건조하여 진수할 때에는 제2 진수바지(20)를 다른 위치의 안벽으로 이동시켜 제2 진수바지(20) 단독으로 진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진수바지(20)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 사용하지 않는 제1 진수바지(20)위에 선박을 이루는 블럭을 적재하여 두는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a)(b)(c)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진수바지와 제2 진수바지를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2의 (a)(b)(c)(d)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진수 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진수바지
20 : 제2 진수바지
30 : 선박
40 : 육상
41 : 안벽
50 : 스키드 웨이

Claims (3)

  1. 육상(40)에서 건조된 선박(30)을 그 종방향으로 진수하는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에 있어서,
    두개의 제1,2 진수바지(10)(20)를 상기 선박(30)의 진수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하되, 상기 제1,2 진수 바지(10)(20)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일렬이 되게 배열하여 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진수바지(10)를 육상(40)의 안벽(4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육상(40)에서 건조된 선박(30)을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진수바지(10)부터 탑재되도록 하여 상기 제1,2 진수바지(10)(20)에 탑재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1,2 진수바지(10)(20)를 잠수시켜 상기 선박(30)을 부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수바지(10)의 종방향 길이는 제2 진수바지(20)의 종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수바지(20)의 부양 능력보다 작은 경하중량의 선박을 건조할 경우에는, 상기 제2 진수바지(20)를 상기 제1 진수바지(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1 진수바지(10)가 설치된 안벽(41)으로부터 이격된 다른 지점의 안벽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
KR1020080046501A 2008-05-20 2008-05-20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 KR20090120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501A KR20090120609A (ko) 2008-05-20 2008-05-20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501A KR20090120609A (ko) 2008-05-20 2008-05-20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609A true KR20090120609A (ko) 2009-11-25

Family

ID=4160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501A KR20090120609A (ko) 2008-05-20 2008-05-20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06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2041A (zh) * 2013-09-30 2014-01-01 中船桂江造船有限公司 大型船舶纵向大坡度短轨道下水方法
CN107226182A (zh) * 2017-06-13 2017-10-03 广东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一种大型船舶的水下转移船台的方法及系统
KR20200034891A (ko) * 2018-09-21 2020-04-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 제조용 스키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2041A (zh) * 2013-09-30 2014-01-01 中船桂江造船有限公司 大型船舶纵向大坡度短轨道下水方法
CN107226182A (zh) * 2017-06-13 2017-10-03 广东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一种大型船舶的水下转移船台的方法及系统
KR20200034891A (ko) * 2018-09-21 2020-04-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 제조용 스키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58463C (fi) Fartyg foer transport av lastbaerande praomar
TWI314536B (en) Method for building ship on ground and launching ship using skid launching system
CN102356200A (zh) 挖泥船系统
CN105813938A (zh) 船型结构物
JP6838795B2 (ja) 浮体式炭化水素貯蔵プラントおよび/または浮体式炭化水素処理プラントの外殻として用いる船体、同船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同船体を備える船舶、ならびに同船体を有する同船舶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0796410B1 (ko) 탠덤 건조공법에 적용되는 침수공법
CN101920771A (zh) 一种船舶建造中的出坞压载方法
EP2465764B1 (en) Spar hull load out method
KR20100129451A (ko) 분할 건조 방식을 이용한 선박 진수 방법
KR20090120609A (ko) 육상건조 선박의 진수방법
NO121640B (ko)
KR101302037B1 (ko) 부유식 도크
KR20070093552A (ko) 카고홀드블록부 선행화를 통한 선박 건조공법
RU2483969C1 (ru) Разборный судоподъемный понтон
RU2403168C1 (ru) Наплавное судно понтонного типа
KR20090006248A (ko) 선박의 블록건조방법
KR100835493B1 (ko) 3점지지 스키드를 이용한 선박건조공법
KR100938309B1 (ko) 두 대의 해상크레인을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의 런칭 및탑재방법
KR100953487B1 (ko) 탠덤 건조공법에 적용되는 고박을 이용한 침수공법
KR101807600B1 (ko) 부유체 상부에서의 해양구조물 건조공법
NO843654L (no) Selvdrevet transportinnretning og fremgangsmaate for transport av prefabrikerte offshorekonstruksjoner
JP2009113734A (ja) シングルハル貨物船のダブルハル化工法
CN105059484A (zh) 一种大型海洋结构物的上下船作业方式
SU1449474A1 (ru) Эластичный резервуар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жидких грузов по воде
RU2616506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удно арктического плавания, оснащенное составным самоходным паромом на базе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мобильных модулей для работы в условиях предельного мелководь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