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037B1 - 부유식 도크 - Google Patents

부유식 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037B1
KR101302037B1 KR1020120010190A KR20120010190A KR101302037B1 KR 101302037 B1 KR101302037 B1 KR 101302037B1 KR 1020120010190 A KR1020120010190 A KR 1020120010190A KR 20120010190 A KR20120010190 A KR 20120010190A KR 101302037 B1 KR101302037 B1 KR 10130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hull
ballast
pumping unit
ballast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8941A (ko
Inventor
김병우
구재헌
김경훈
백승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0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0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8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63C1/06Arrangements of pumping or filling equipment for raising or lowering 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부유식 도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도크는, 갑판과 선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홀부를 구비한 선체부; 선체부에 배치된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및 선체부에 설치되되,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공급하거나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에 공급된 해수를 배출하는 펌핑유닛(pumping unit)을 포함하며, 펌핑유닛은, 선체부에 설치되되, 해수를 선체부의 선저로부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중 선체부의 중앙부에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를 관통하는 중공홀부를 따라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중 선체부의 중앙부에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에 공급하거나 공급된 해수를 배출하는 제1 펌핑유닛; 및 선체부에 설치되되, 해수를 선체부의 외측으로부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중 선체부의 외곽에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에 공급하거나 공급된 해수를 배출하는 제2 펌핑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도크{FLOATING DOCK}
본 발명은, 부유식 도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식 도크의 밸러스트 탱크들에 수용되는 해수를 정밀 제어할 수 있는 부유식 도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주문으로 시작하여 설계, 건조, 인도로 이루어지는 조선업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업상의 채산성에 의해 그 산업의 생존 및 성공이 판가름 지어진다.
이와 같은 채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한가지는 선박의 건조 방식에서 나타나는 생산성이며, 모든 조선업은 선박 건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블록 공법이 등장하였다.
블록 공법이란 우선 선체를 수십 개 혹은 수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블록들을 지상에서 먼저 조립시킨 후, 조립된 블록을 다시 순차적으로 도크(건식 도크, 부유식 도크) 또는 바지선에 탑재한 후 하나의 선박을 건조하는 공법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블록들을 그 형상에 따라 각각의 공장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법으로 완성시키고, 그 다음에 완성된 블록들에 대한 도장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장이 완료된 블록들을 몇 개의 블록씩 결합한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블록들을 하나로 결합시키는 작업을 피이(Pre-Erection, 이하 'PE'라 칭함) 작업이라 한다.
대부분의 조선소에서는 선박에 필요한 많은 블록들을 먼저 PE 작업을 통해서 대형블록으로 제작하고, 이를 도크 내부로 운반하여 선박을 건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크 회전율을 높이려는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한편, 도크(Dock)란 선박을 수리 및 건조하기 위해 조선소 또는 항만에 세워진 시설물이며, 크게 건식 도크(Dry Dock)와 부유식 도크(Floating Dock)로 구별된다.
먼저, 건식 도크란 선박 건조를 위한 육상 구조물로서, 해상에 접안 되어 있는 도크 게이트(Dock Gate)를 개폐시켜, 도크 내부에 물을 채우거나, 도크 내부로부터 물을 빼낼 수 있는 작업장이다.
이에 반해, 부유식 도크란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를 포함하고 있는 해상 구조물로서, 밸러스트 탱크 내부로 해수를 공급하면 부유식 도크는 해수 중으로 잠수하고, 밸러스트 탱크에서 해수를 배출하면 부유식 도크는 부유되는 형태를 갖는다.
종래의 부유식 도크에서의 선박 건조 방법은, 육상에서 크레인의 최대 용량에 근접하도록 대형 블록들을 제작한 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고, 대형 블록들을 서로 용접하여 선박을 완성한 후 부유식 도크의 밸러스트 탱크들에 해수를 공급하여 부유식 도크를 해수면 아래로 잠수시킨 후, 완성된 선박을 진수한다.
특히, 선박의 진수시에 종래의 부유식 도크의 밸러스트 탱크들에 설치된 밸러스트 펌프의 용량이 부족하여, 신속하게 밸러스트 탱크들에 해수를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추가적으로 밸러스트 탱크들에 해수를 공급할 수 있는 포터블 펌프(Portable Pump)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포터블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밸러스트 탱크들과 연통되는 파이프 라인을 부유식 도크의 선체부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되 파이프 라인의 끝단부가 선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파이프 라인 자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해수에 대한 파이프 라인의 표면 저항의 증가 및 파이프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해수의 이동거리의 증가로 인하여, 포터블 펌프의 반응속도가 느려져 밸러스트 탱크들에 공급 또는 밸러스트 탱크들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정밀 제어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밸러스트 탱크들에 공급 또는 밸러스트 탱크들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정밀 제어가 곤란함에 따라, 완성된 선박을 진수함에 있어 부유식 도크를 잠수시키는 과정에서 부유식 도크의 선수 및 선미로부터 갑작스레 많은 양의 해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해수의 유동에 의해 부유식 도크의 선체부가 기울어지거나 요동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특히 선박을 진수하고자 부유식 도크를 잠수시키는 경우에 부유식 도크의 선수 및 선미로부터 유입되는 해수로 인한 부유식 도크의 기울임 및 요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러스트 탱크들에 공급되는 해수의 양을 정밀 제어할 필요가 있다.
[문헌1] KR 10-2009-0088246 A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2009.08.19.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유식 도크의 밸러스트 탱크들에 공급되는 해수 및 밸러스트 탱크들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정밀 제어할 수 있는 부유식 도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갑판과 선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홀부를 구비한 선체부; 상기 선체부에 배치된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및 상기 선체부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공급하거나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에 공급된 해수를 배출하는 펌핑유닛(pumping unit)을 포함하며, 상기 펌핑유닛은, 상기 선체부에 설치되되, 해수를 상기 선체부의 선저로부터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중 상기 선체부의 중앙부에 인접한 상기 밸러스트 탱크를 관통하는 상기 중공홀부를 따라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중 상기 선체부의 중앙부에 인접한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공급하거나 공급된 해수를 배출하는 제1 펌핑유닛; 및 상기 선체부에 설치되되, 해수를 상기 선체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중 상기 선체부의 외곽에 인접한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공급하거나 공급된 해수를 배출하는 제2 펌핑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 도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펌핑유닛 및 제2 펌핑유닛은, 상기 선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에 해수를 공급하거나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의 해수를 배출하는 펌프; 및 일단부가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해수에 침지되는 파이프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펌핑유닛 및 제2 펌핑유닛은,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의 수위를 이용하여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제1 펌핑유닛 및 제2 펌핑유닛은,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들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펌핑유닛 및 제2 펌핑유닛은, 각각 연결된 밸러스트 탱크에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라인의 타단부가 상기 중공홀부에 삽입되어 해수에 침지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 라인의 타단부는 상기 선체부의 선저 아래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체부의 갑판과 선저를 관통하는 중공홀부를 통하여 밸러스트 탱크들에 해수를 공급하거나 밸러스트 탱크들에서 해수를 배출함으로써 해수의 이동경로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해수의 양을 정밀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도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도크의 잠수시에 부유식 도크의 갑판으로 해수가 유입되는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도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도크의 잠수시에 부유식 도크의 갑판으로 해수가 유입되는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도크(10)는, 갑판(110)과 선저(130)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홀부(140)를 구비한 선체부(100)와, 선체부(100)에 배치된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00)와, 선체부(100)에 설치되되, 밸러스트 탱크(200)로 유입되는 해수가 중공홀부(140)을 따라 밸러스트 탱크(200)의 하부에 위치한 선체부(100)의 선저(130)로부터 공급되고, 밸러스트 탱크(200)에서 배출되는 해수가 중공홀부(140)을 따라 밸러스트 탱크(200)의 하부에 위치한 선체부(100)의 선저(130)로 배출되게 하는 제1 펌핑유닛(300)과, 선체부(100)에 설치되되,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00) 중 선체부(100)의 외곽에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230)로 선체부(100)의 외측에서 해수가 공급되고,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00) 중 선체부(100)의 외곽에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230)에서 선체부(100)의 외측으로 해수가 배출되게 하는 제2 펌핑유닛(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도크(10)는, 특히 부유식 도크(10)에서 건조된 선박 등을 진수함에 있어, 부유식 도크(10)를 잠수시키는 경우에 부유식 도크(10)에 설치된 밸러스트 탱크(200)에 해수를 공급함에 있어 밸러스트 탱크(200)에 공급되는 해수의 유입경로를 단축하여 공급하여 해수량을 정밀 제어할 수 있도록 해수를 중공홀부(140)를 통해 밸러스트 탱크(200)의 하부 위치인 부유식 도크(10)의 선저(130)로부터 공급받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선체부(100)는 선박의 건조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선박의 건조에 필요한 많은 블록이 놓여지고 건조작업을 수행하는 갑판(110)과, 갑판(110)의 양측부에 설치된 측벽(170)과, 선저(130)와, 선수(150)와, 선미(160) 및 갑판(110)과 선저(130)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홀부(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체부(100)는 단면이 요(凹)형 형상을 갖고 중심부에 선박의 건조작업이 수행되는 갑판(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부유식 도크(10)의 선체부(100), 즉 갑판(110) 및 측벽(170)의 내부에는 해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00)가 배치된다. 밸러스트 탱크(200)에 해수를 주입하면 선체부(100)는 해수면 아래로 잠수되고(침하(沈下)), 밸러스트 탱크(200)에서 해수를 배출하면 선체부(100)는 해수면 위로 부상(浮上)하게 된다.
밸러스트 탱크들(200)은 소단위로 분할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선체부(100)에 좌우대칭 및 전후대칭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선체부(100)에는 밸러스트 탱크(200) 내부의 해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밸러스트 수 조절유닛(미도시)이 설치된다.
밸러스트 수 조절유닛은 복수의 펌프(미도시) 및 밸브(미도시)를 포함하며, 개별적으로 밸러스트 탱크(200)에 공급되는 해수 또는 밸러스트 탱크(200)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제어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밸러스트 수 조절유닛에 의한 밸러스트 탱크들(200)에 공급되는 해수 및 밸러스트 탱크들(200)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제어함과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밸러스트 탱크들(200) 내의 해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펌핑유닛(300)이 더 사용된다.
제1 펌핑유닛(300)은, 중공홀부(140)를 따라 해수를 밸러스트 탱크(210) 하부에 위치한 선체부(100)의 선저(130)로부터 해당 밸러스트 탱크(210)로 공급함과 아울러 해수를 밸러스트 탱크(210) 하부에 위치한 선체부(100)의 선저(130)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펌핑유닛(300)은, 선체부(100)에 설치된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00) 중 선체부(100)의 외곽에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들(230)을 제외한 나머지 밸러스트 탱크들(210)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된다. 즉, 제1 펌핑유닛(300)은 갑판(110)의 중심부에 위치한 중심부 밸러스트 탱크들(210)(도 1의 C 영역 내에 배치된 밸러스트 탱크들(210))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제1 펌핑유닛(300)은, 선체부(100)에 설치되되, 밸러스트 탱크(210) 내에 해수를 공급하거나 밸러스트 탱크(210) 내의 해수를 배출하는 제1 펌프(330)와, 중공홀부(140)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가 제1 펌프(330)에 연결되는 제1 파이프 라인(350)과, 밸러스트 탱크(210)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와,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밸러스트 탱크(210) 내의 수위를 이용하여 제1 펌프(3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공홀부(140)는 갑판(110)과 선저(130)를 관통하도록 선체부(100)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또한 밸러스트 탱크(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파이프 라인(350)은 일단부가 중공홀부(140)에 삽입설치되며, 타단부가 제1 펌프(33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 파이프 라인(350)의 일단부는 선체부(100)의 선저(130) 아래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는 선체부(100)가 부양된 경우에도 선저(130)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중공홀부(140)를 갑판(110) 및 선저(130)를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제1 파이프 라인(350)을 중공홀부(140)에 삽입설치하여 밸러스트 탱크(210)에서 공급되거나 밸러스트 탱크(210)에서 배출되는 해수의 이동경로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부(100)가 잠수되는 경우에 해수는 선체부(100)의 선수(150) 및 선미(160) 뿐만 아니라 중공홀부(140)를 통해 갑판(110)으로 밀려올라오게 되므로 선체부(100)가 균형을 이루며 잠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선체부(100)의 선수(150) 및 선미(160)로부터 갑작스런 많은 양의 해수에 유입으로 인하여 선체부(100)가 기울어지거나 선체부(100)가 전후, 좌우방향으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펌프(330)는 밸러스트 탱크(210)의 펌프용 홀부(250)에 설치되며, 제1 펌프(330)는 제1 파이프 라인(350)을 따라 이동하는 해수의 이동경로를 단축하기 위하여 중공홀부(140)에 인접하게 마련한다. 이에 따라 제1 파이프 라인(350)의 설치가 용이해지며,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를 이용하여 밸러스트 탱크(210) 내의 해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밸러스트 탱크(210) 내의 수위를 이용하여 제1 펌프(33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갑판(110)의 중심부에 위치한 밸러스트 탱크들(210)(도 1의 C 영역 내에 배치된 밸러스트 탱크들(210))을 제외한 선체부(100)의 외곽에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들(230)(도 1의 D 영역 내에 배치된 밸러스트 탱크들(230))로 선체부(100)의 외측에서 해수가 공급되고, 선체부(100)의 외곽에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230)에서 선체부(100)의 외측으로 해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제2 펌핑유닛(400)이 더 마련된다.
제2 펌핑유닛(400)은, 제1 펌핑유닛(300)과 마찬가지로 해수를 밸러스트 탱크들(230)로 공급함과 아울러 해수를 밸러스트 탱크들(230)에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펌핑유닛(400)은,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00) 중 선체부(100)의 외곽에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들(230)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된다. 즉, 제2 펌핑유닛(400)은 선체부(100)의 선미(160) 및 선수(150) 측에 위치한 외곽부 밸러스트 탱크들(230)(도 1의 D 영역 내에 배치된 밸러스트 탱크들(230))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제2 펌핑유닛(400)은, 선체부(100)에 설치되되, 밸러스트 탱크(230) 내에 해수를 공급하거나 밸러스트 탱크(230) 내의 해수를 배출하는 제2 펌프(430)와, 제2 펌프(430)에 일단부가 연결되되, 타단부가 선체부(100) 외측의 해수에 침지되는 제2 파이프 라인(450)과, 밸러스트 탱크(230)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와,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밸러스트 탱크(230) 내의 수위를 이용하여 제2 펌프(4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2 펌프(430)는 밸러스트 탱크(230)의 펌프용 홀부(250)에 설치되며, 제2 펌프(430)는 제2 파이프 라인(450)을 따라 이동하는 해수의 이동경로를 단축하기 위하여 선수(150) 및 선미(160)에 근접하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도크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유식 도크(10)의 갑판(110)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 선박을 진수하기 위해서는, 부유식 도크(10)의 선체부(100)에 배치된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00)에 해수를 공급하여 선체부(100)를 잠수시킨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밸러스트 탱크들(200)에 공급되는 해수를 정밀 제어하기 위하여 밸러스트 수 조절유닛(미도시)과 더불어 제1 펌핑유닛(300) 및 제2 펌핑유닛(400)을 작동시킨다.
특히, 제1 펌핑유닛(300)은 갑판(110)의 중앙부에 배치된 밸러스트 탱크들(210)을 관통하게 형성된 중공홀부(140)에 제1 파이프 라인(350)을 삽입설치하고, 제1 펌프(330)가 제1 파이프 라인(350)을 통해 해수를 밸러스트 탱크들(210)로 공급하여, 해수의 이동경로를 단축함과 아울러 밸러스트 탱크들(210) 내에 공급되는 해수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식 도크(10)가 잠수하는 경우에, 중공홀부(140)를 통해 해수가 갑판(110)으로 밀려올라오므로 선체부(100)의 선수(150)와 선미(160) 및 갑판(110)에 해수가 균형을 이루며 유입되어 부유식 도크(10)가 기울어지거나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펌핑유닛(400)은 제2 펌프(430)가 선체부(100)의 외측으로 설치된 제2 파이프 라인(450)을 통해 선체부(100)의 외곽에 인접한 밸러스트 탱크들(230)에 해수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부유식 도크(10)에서 선박을 건조하기 위하여 선체부(100)를 부상시키는 경우에는, 전술한 선체부(100)를 잠수시키는 동작과 반대로, 밸러스트 수 조절유닛(미도시)과 더불어 제1 펌핑유닛(300) 및 제2 펌핑유닛(400)을 작동시켜 밸러스트 탱크들(200)에 공급된 해수를 선체부(1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선체부(100)를 해수면에 대하여 부상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선체부 110: 갑판
130: 선저 140: 중공홀부
200: 밸러스트 탱크 300: 제1 펌핑유닛
330: 제1 펌프 350: 제1 파이프 라인
400: 제2 펌핑유닛 430: 제2 펌프
450: 제2 파이프 라인

Claims (6)

  1. 갑판과 선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공홀부를 구비한 선체부;
    상기 선체부에 배치된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및
    상기 선체부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공급하거나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에 공급된 해수를 배출하는 펌핑유닛(pumping unit)을 포함하며,
    상기 펌핑유닛은,
    상기 선체부에 설치되되, 해수를 상기 선체부의 선저로부터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중 상기 선체부의 중앙부에 인접한 상기 밸러스트 탱크를 관통하는 상기 중공홀부를 따라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중 상기 선체부의 중앙부에 인접한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공급하거나 공급된 해수를 배출하는 제1 펌핑유닛; 및
    상기 선체부에 설치되되, 해수를 상기 선체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중 상기 선체부의 외곽에 인접한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공급하거나 공급된 해수를 배출하는 제2 펌핑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 도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핑유닛 및 제2 펌핑유닛은,
    상기 선체부에 설치되되,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에 해수를 공급하거나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의 해수를 배출하는 펌프; 및
    일단부가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해수에 침지되는 파이프 라인을 포함하는 부유식 도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핑유닛 및 제2 펌핑유닛은,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밸러스트 탱크 내의 수위를 이용하여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도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핑유닛 및 제2 펌핑유닛은,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들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도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핑유닛 및 제2 펌핑유닛은,
    각각 연결된 밸러스트 탱크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도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라인의 타단부가 상기 중공홀부에 삽입되어 해수에 침지되는 경우, 상기 파이프 라인의 타단부는 상기 선체부의 선저 아래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도크.
KR1020120010190A 2012-02-01 2012-02-01 부유식 도크 KR10130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190A KR101302037B1 (ko) 2012-02-01 2012-02-01 부유식 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190A KR101302037B1 (ko) 2012-02-01 2012-02-01 부유식 도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941A KR20130088941A (ko) 2013-08-09
KR101302037B1 true KR101302037B1 (ko) 2013-09-04

Family

ID=4921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190A KR101302037B1 (ko) 2012-02-01 2012-02-01 부유식 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0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121B1 (ko) * 2020-12-17 2021-06-07 우현선박기술 주식회사 유회수기
KR102261123B1 (ko) * 2020-12-17 2021-06-07 우현선박기술 주식회사 유출오일 회수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816B1 (ko) * 2013-10-18 2015-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접안 장치
KR102663967B1 (ko) * 2023-08-16 2024-05-08 차동열 소형선박 나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039A (ko) * 1996-12-11 1998-09-15 신영균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KR20000038282A (ko) * 1998-12-05 2000-07-05 권상문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KR20100107097A (ko) * 2009-03-25 2010-10-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039A (ko) * 1996-12-11 1998-09-15 신영균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KR20000038282A (ko) * 1998-12-05 2000-07-05 권상문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KR20100107097A (ko) * 2009-03-25 2010-10-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121B1 (ko) * 2020-12-17 2021-06-07 우현선박기술 주식회사 유회수기
KR102261123B1 (ko) * 2020-12-17 2021-06-07 우현선박기술 주식회사 유출오일 회수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941A (ko)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9829B1 (en) Floatable dry docks
EP2000400A1 (en) Twin-hulled sea-going vessel
JP7341627B2 (ja) ドライドック未浮揚タンデム工法を適用した船舶建造工法
KR101302037B1 (ko) 부유식 도크
KR100687812B1 (ko) 해상과 육상을 겸한 선박 건조 공법
EP3221213B1 (en) A submersible vessel for dry docking a vessel
CN103228531B (zh) 载货船舶以及装载和卸载这种载货船舶的方法
RU2483967C2 (ru) Ледоко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лавающих тел
KR101078434B1 (ko) 부양식 도크를 이용한 2척 선박 건조 방법
KR101313381B1 (ko) 선박 수리용 부유 도크
KR20130141163A (ko) 운반작업선
RU2403168C1 (ru) Наплавное судно понтонного типа
KR20140036851A (ko) 높낮이 조절 서포트를 갖는 도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진수방법
KR100960087B1 (ko) 해상교각을 이용한 선박건조공법
US20110061581A1 (en) Floating Structure
KR102218580B1 (ko) 플로팅 도크 시스템
KR20120011570A (ko) 선박의 건조 방법
KR101399605B1 (ko)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
KR101807600B1 (ko) 부유체 상부에서의 해양구조물 건조공법
KR102450502B1 (ko) 반잠수식 리그선의 종방향 경사시험 방법
KR101920989B1 (ko)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
KR200454660Y1 (ko) 잠수식 중화물 운반선의 반건조선용 밸러스팅 장치
KR20080099939A (ko) 잠수바지선을 이용한 선체 블록 건조 방법
KR101566523B1 (ko) 선박 건조 방법
KR20030083939A (ko) 신조 선박 건조용 부양식 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