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580B1 - 플로팅 도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로팅 도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580B1
KR102218580B1 KR1020200151382A KR20200151382A KR102218580B1 KR 102218580 B1 KR102218580 B1 KR 102218580B1 KR 1020200151382 A KR1020200151382 A KR 1020200151382A KR 20200151382 A KR20200151382 A KR 20200151382A KR 102218580 B1 KR102218580 B1 KR 102218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ating dock
main body
wa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6Polyethe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팅 도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특히 개인용 선박, 보트, 요트(Yacht) 등)을 정착시켜놓을 때, 해당 선박이 수면 상측으로 이격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돕는 부유식 도크와, 이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로팅 도크 시스템{SSYSTEM OF FLOATING DOCK}
본 발명은 플로팅 도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특히 개인용 선박, 보트, 요트(Yacht) 등)을 정착시켜놓을 때, 해당 선박이 수면 상측으로 이격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돕는 부유식 도크와, 이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이하, 'App(앱)'으로 지칭)을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대형선박에서부터 개인용 보트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미사용 중 대부분이 정박구역에 닻을 이용해 고정하여 보관하고 있다.
선박은 물에 부유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물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고는 있지만, 주기적으로 수면 외부로 노출시켜 건조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선박이 정박구역에 머물러 있는 동안, 처리되는 선박 선체를 세척 및 세정하는 수단을 구동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반-부유 또는 부유 수조 플랜트(floating basin plant)가 있다.
이에 대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9240호의 선박용 부유 및 기동 가능한 선체 세척 및 세정 플랜트(선행기술 1)와, 등록특허공보 제10-2173166호의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선행기술 2)와, 등록특허공보 제10-2076497호의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선행기술 3)가 있다.
선행기술 1은, 선박용 부유 및 기동 가능한 선체 세척 및 세정 플랜트(22)는 수위(L) 아래로 침수되고 선체에 대해 작동하는 세정 및 세정 수단(5); 플랜트를 결합하여 이동시키고 그의 길이 방향으로 선체를 세척하기 위한 추진 부재(13, 14); 및 침수 레벨을 제어하여 플랜트의 부력 변위를 제어 및 변경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고; 플랜트 구조물이 세정 및 세척 수단이 내부에 위치되는 측벽(3)을 갖는 수조(2)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플랜트는 플랜트 부유의 제어 그리고 수조 자체에 대한 세정 및 세척 수단의 지지 부재(8, 9) 위치의 제어에 의해서 세정 동안 선체(22)와 접촉되게 수조(2)에 배열된 세정 및 세척 수단(5); 및 처리 동안 선박과 결합하고 선박을 위치 설정시키기 위한 안내 부재를 가지며; 세정 및 세척 수단은 수조의 변위로 처리되는 선체를 따라서 이동하며; 세정 및 세척 수단은 측벽(3)의 길이에 의해 덮인 선체 섹션에 동시 작동하며; 수조(2)는 부유 플랜트(1) 자체의 변위에 대한 제어 부재를 수용하도록 측벽 길이의 선수 및 선미에서 도크의 바닥(4)의 더 연장된 부분(23)을 가진다.
선행기술 2는,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도나 물살에 의한 충격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 2에 따른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는 필요한 경우에 수중에 침강함으로써, 파도나 물살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선행기술 3은, 몰 선박을 포위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부력에 의해 전복 및 침몰 선박을 인양할 수 있는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에 관한 것으로, 부력을 가지도록 내부가 빈 중공 구조를 가지고, 측면에는 해수 유출입공이 형성되되, 상부에는 공기 유출입공이 형성되며, 내측에는 침몰 선박이 위치되는 격리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쌍으로 대향되게 마련되는 부력 탱크와, 한 쌍의 상기 부력 탱크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부력 탱크 또는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윈치와, 일단은 상기 윈치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침몰 선박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인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선박을 사용할 때 별도의 인양장치 또는 인상장치 없이 구조물을 침수시켜 선박을 착수시킬 수 있고, 선박의 회수의 경우에는 선박을 정박시키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해당 선박을 수면 위로 띄울 수 있는 새로운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508987호에는 보트의 착수 및 회수를 위한 장치(선행기술 4)가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 4는, 선박, 뜨는 상태 플랫폼 또는 고정 설비에 관한 것으로, 구명보트, 구조정, 선박으로 탑재되는 유사한 소정 중 어느 하나를 착수시켜, 회수하기 위한 도크로 불리는 장치에 관한다. 보트 14는, 통상, 도크에 수용된다. 도크는, 프레임 3에 고정된 부양 부재 1을 구비하고 있다. 보트는 프레임 3 내의 크레이들(cradle) 2에 의지한다. 보트의 착수 및 회수시에는, 도크가 수면위의 부유 위치에 강판 당한다. 보트 14를 도크에 고정하기 위해서 록 장치 9, 15가 있다. 부양 부재의 형상 및 치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보트의 롤링/피칭 주기와 합치하는 롤링/피칭 주기가 도크에 가해진다. 가지는이라고, 도크와 보트가 수상에서 거의 동일한 거동을 나타내고, 큰 파란한 해상에서도 보트를 도크에 비교적 간단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보트는, 완전히 도크에 진입 그러면, 적어도 2개소에서 도크와 접촉하고, 보트와 도크와는 록 장치에 의하고 서로 고정된다. 보트와 도크는, 숨겨, 신속히 1개가 결정된 유닛을 형성한다.
그러나, 선행기술 4의 경우에도 여전히 별도의 인양 또는 인상을 위한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9240호(2019.12.17.) 등록특허공보 제10-2173166호(2020.11.02.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2076497호(2020.02.13. 공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508987호(2000.07.18.)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특히 개인용 선박, 보트, 요트(Yacht) 등)을 정착시켜놓을 때, 해당 선박이 수면 상측으로 이격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돕는 부유식 도크와, 이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 시스템은, 원통의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2개의 주부유체(10)와; 2개의 주부유체(10)의 상면 일측으로 연장되되 1개의 주부유체(10)에 선단 및 후단으로 각각 1개씩 총 2개로 구성된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상측에 위치된 2개의 부부유체(30);를 포함하되,
상기 부부유체(30)의 일측으로는 선단 연결판(21) 및 후단 연결판(22)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2개의 주부유체(10) 사이에는 연결봉(11)으로 연결되어 2개의 주부유체(10)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하되,
상기 주부유체(10)와 연결부재(20)의 표면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의 재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단 연결판(21)은,
상기 부부유체(3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주부유체(10)의 선단에 위치된 연결부재(20)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되되, 2개의 부부유체(30)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2개로 구비됨에 따라, 2개의 선단연결판(21)은 마주하는 각 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단 연결판(22)은,
상기 부부유체(3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주부유체(10)의 후단에 위치된 연결부재(20)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되며, 선단 연결판(21)과 마찬가지로 2개의 부부유체(30)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2개로 구비되되, 선단 연결판(21)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짐에 따라, 2개의 후단 연결판(22)끼리는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부유체(30)의 일측으로는 에어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는 호스를 통해 2개의 주부유체(10) 각각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기(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에어공급기(2)는 호스를 통해 유입구에 결합되어 에어를 주부유체(10) 내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부유체(10)의 일측으로는 상기 주부유체(10)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절곡되어 선단 또는 후단의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 배관(12)이 구성되며,
상기 배관(12)은 2개의 주부유체(10) 각각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1개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부유체(10) 내부에는 격벽(10a)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주부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10a)에는 수위센서가 구비되어 주부유체(1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양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된 플로팅 도크(1) 및 상기 플로팅 도크(1) 및 에어공급기(2)와 통신하는 앱(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앱(3)은,
플로팅 도크(1)가 수중에 침수되었는지 감지하는 센서인 제2 수위센서 및 주부유체(10)의 하측 또는 연결봉(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면의 바닥까지의 높이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센서인 초음파센서와 통신하여 상기 플로팅 도크(1)가 물에 침수되었는지와 침수된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침수높이확인부와;
상기 에어공급기(2)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공기흡입제어부와 공기배출제어부와;
주부유체(10) 내에 구비된 격벽(10a) 일측에 설치된 수위센서와 통신하여 센서값을 수신하여, 주부유체(10)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양을 확인하는 평형수잔량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 시스템에 의하면, 플로팅 도크를 이용하여 선박이 안정적인 정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수면으로부터 선박을 들어올려 선박이 물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통상적으로 물의 외측에 노출되기 어려운 선박의 하측부분의 부식을 방지하는 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선박의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플로팅 도크의 사용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리에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 시스템의 플로팅 도크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플로팅 도크의 구성을 상측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 시스템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 시스템의 플로팅 도크 구성 중, 주부유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 시스템 중 앱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플로팅 도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특히 개인용 선박, 보트, 요트(Yacht) 등)을 정착시켜놓을 때, 해당 선박이 수면 상측으로 이격되어 정착될 수 있도록 돕는 부유식 도크와, 이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이하, 'App(앱)'으로 지칭)을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플로팅 도크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 시스템의 플로팅 도크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플로팅 도크의 구성을 상측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에 따른 플로팅 도크(1)는, 원통의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2개의 주부유체(10)와; 2개의 주부유체(10)의 상면 일측으로 연장되되 1개의 주부유체(10)에 선단 및 후단으로 각각 1개씩 총 2개로 구성된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상측에 위치된 2개의 부부유체(30);를 포함하되,
상기 부부유체(30)의 일측으로는 선단 연결판(21) 및 후단 연결판(22)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2개의 주부유체(10) 사이에는 연결봉(11)으로 연결되어 2개의 주부유체(10)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부유체(10)와 연결부재(20)의 표면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의 재질로 코팅하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선단 연결판(21)은 상기 부부유체(3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주부유체(10)의 선단에 위치된 연결부재(20)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되되, 2개의 부부유체(30)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2개로 구비됨에 따라, 2개의 선단연결판(21)은 마주하는 각 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단 연결판(22)은 상기 부부유체(3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주부유체(10)의 후단에 위치된 연결부재(20)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되며, 선단 연결판(21)과 마찬가지로 2개의 부부유체(30)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2개로 구비되되, 선단 연결판(21)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짐에 따라, 2개의 후단 연결판(22)끼리는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1)에 선박을 안치하여 설치하였을 때, 선박 하단 및 후단부의 구성(모터 등)이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부부유체(30)의 일측으로는 에어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는 호스를 통해 2개의 주부유체(10) 각각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유입구를 주부유체(10)에 구비하지 않는 이유는, 주부유체(10)가 수면에 침수된 경우 공기의 유입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입구는 후술되는 도 3의 에어공급기(2)를 통해 에어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에어공급기(2)는 콤프레셔 또는 블로워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에어공급기(2)에 의하여, 주부유체(10)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었다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에어의 공급은 에어공급기(2)로부터 연장된 호스를 유입구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가능하도록 하고, 에어의 배출은 에어공급이(2)로부터 연장된 호스를 유입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유입구에서부터 주부유체(10)까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주부유체(10) 내부의 공기가 유입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주부유체(10)의 일측으로는 배관(12)이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배관(12)은 주부유체(10)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배관(12)은 주부유체(10)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절곡되어 선단 또는 후단의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관(12)은 주부유체(10)가 침수되는 경우 물이 흡입되어 주부유체(12)로 유입되어 에어가 배출된 주부유체(10)의 침수를 돕도록 하고, 주부유체(10)에 에어가 공급되어 다시 수면에 부유되는 경우, 공급된 공기에 의해 주부유체(10) 내부에 유입되었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펌프를 배관(12) 일측에 구비할 수도 있으나, 에어공급기(2)의 에어 공급만으로 주부유체(10)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는 경우, 펌프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 시스템의 플로팅 도크 구성 중, 주부유체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첨부도니 도면의 도 4와 같이 주부유관(10)은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선단과 후단이 폐쇄되되, 내측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주부유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격벽(10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격벽(10a)은 소정의 높이를 가짐으로써 주부유관(10) 내부에 수용되는 물에 의해 안정적인 침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격벽(10a)의 일측으로는 수위센서가 구비되어 주부유체(1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양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앱(3)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유입구에서부터 주부유체(10)까지 연결되는 호스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주부유체(10)의 일측 중, 격벽(10a)의 직선상 높이에 해당하는 영역부터, 주부유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되는 영역까지 중 일측인 a영역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벽(10a)은 배관(12)이 연결된 영역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다시 말해 격벽(10a)은 주부유체(10)의 중심영역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주부유체(10) 내부의 물 배출이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격벽(10a)의 일측 중, 배관(12)에 인접한 일측에는 배관(12)의 반대방향으로 볼록영역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격벽(10a)은 다소 유연한 재질인 플라스틱, 스덴 등으로 얇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유입구를 통해 주부유체(10)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면 볼록한 재질을 공압으로 가압하여 반대편에 수용된 물이 배관(12)으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주부유체(10)가 수면에 부유된 경우 주부유체(10) 내부에 물이 잔여하는 양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플로팅 도크 시스템
상술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는 앱(3)에 연계되어 원격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앱(3)은 응용프로그램으로서 SW 및 HW를 포함하고, 소정의 단말기에 설치되며, 설치된 단말기가 플로팅 도크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앱(3)은 첨부된 도면의 도 3 및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 시스템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 시스템 중 앱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5와 같이 앱(3)은 침수높이확인부; 공기흡입제어부; 공기배출제어부; 및 평형수잔량확인부;를 포함한다.
먼저, 침수높이확인부는 플로팅 도크(1)에 구비된 제2 수위센서 및 초음파센서와 통신하여 상기 플로팅 도크(1)가 물에 침수되었는지와 침수된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소정의 시각정보로 단말기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 수위센서는 예컨대 주부유체(10) 또는 연결부재(20)에 설치되어 플로팅 도크(1)가 수중에 침수되었는지 감지하는 센서이다.
또한, 초음파센서는 주부유체(10)의 하측 또는 연결봉(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면의 바닥까지의 높이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센서이다.
또한, 공기흡입제어부와 공기배출제어부는 상술된 에어공급기(2)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앱(3)은 단말기를 통해 에어공급기(2)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에어공급기(2)는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평형수잔량확인부는 상술된 주부유체(10) 내에 구비된 격벽(10a) 일측에 설치된 수위센서와 통신하여 센서값을 수신하여, 주부유체(10)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양을 확인하고, 이를 소정의 시각정보로 단말기에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격벽(10a) 일측에 설치된 수위센서는 다수 개가 높이방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혹은 수위센서는 초음파센서로 구성하여 초음파를 이용해 물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플로팅 도크(1)는 일측에 GSP센서와 충돌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앱(3)은 상기 GPS센서 및 충돌센서와 통신하여 센서값을 수신한 후, 시각정도 출력 혹은 소정의 알림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GPS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에 기반하여 플로팅 도크(1)의 위치를 확인하여, 정박된 선박의 위치가 움직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도난이나 고정되지 않음으로 인해 부유되어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선박위치확인부를 앱(3)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선박위치확인부는, 선박이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알림을 출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아울러, GPS센서에 기반하여 선박의 위치를 시각정보로 단말기에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앱(3)은 충돌센서로부터 센서값을 수신하여 선박에 충돌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고, 충돌 발생시 단말기를 통해 알람을 울리는 충돌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플로팅 도크
2 : 에어공급기
3 : 앱
10 : 주부유체
11 : 연결봉
12 : 배관
10a : 격벽
20 : 연결부재
21 : 선단 연결판
22 : 후단 연결판
30 : 부부유체

Claims (10)

  1. 원통의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2개의 주부유체(10)와; 2개의 주부유체(10)의 상면 일측으로 연장되되 1개의 주부유체(10)에 선단 및 후단으로 각각 1개씩 총 2개로 구성된 연결부재(20)와; 상기 연결부재(20)의 상측에 위치된 2개의 부부유체(30);를 포함하되,
    상기 부부유체(30)의 일측으로는 선단 연결판(21) 및 후단 연결판(22)이 연결되며;
    상기 부부유체(30)의 일측으로는 에어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는 호스를 통해 2개의 주부유체(10)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기(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에어공급기(2)는 호스를 통해 유입구에 결합되어 에어를 주부유체(10) 내부에 공급하며,
    상기 주부유체(10)의 일측으로는 상기 주부유체(10)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절곡되어 선단 또는 후단의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 배관(12)이 구성되며,
    상기 배관(12)은 2개의 주부유체(10) 각각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1개씩 구성되고,
    상기 주부유체(10) 내부에는 격벽(10a)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주부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도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주부유체(10) 사이에는 연결봉(11)으로 연결되어 2개의 주부유체(10)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하되,
    상기 주부유체(10)와 연결부재(20)의 표면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의 재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도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단 연결판(21)은,
    상기 부부유체(3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주부유체(10)의 선단에 위치된 연결부재(20)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되되, 2개의 부부유체(30)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2개로 구비됨에 따라, 2개의 선단연결판(21)은 마주하는 각 단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단 연결판(22)은,
    상기 부부유체(3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주부유체(10)의 후단에 위치된 연결부재(20)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되며, 선단 연결판(21)과 마찬가지로 2개의 부부유체(30)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2개로 구비되되, 선단 연결판(21)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짐에 따라, 2개의 후단 연결판(22)끼리는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도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10a)에는 수위센서가 구비되어 주부유체(1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양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도크.
  5. 청구항 1 내지 4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로팅 도크(1) 및 상기 플로팅 도크(1) 및 에어공급기(2)와 통신하는 앱(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도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앱(3)은,
    플로팅 도크(1)가 수중에 침수되었는지 감지하는 센서인 제2 수위센서 및 주부유체(10)의 하측 또는 연결봉(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면의 바닥까지의 높이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센서인 초음파센서와 통신하여 상기 플로팅 도크(1)가 물에 침수되었는지와 침수된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침수높이확인부와;
    상기 에어공급기(2)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공기흡입제어부와 공기배출제어부와;
    주부유체(10) 내에 구비된 격벽(10a) 일측에 설치된 수위센서와 통신하여 센서값을 수신하여, 주부유체(10)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양을 확인하는 평형수잔량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도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51382A 2020-11-12 2020-11-12 플로팅 도크 시스템 KR102218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382A KR102218580B1 (ko) 2020-11-12 2020-11-12 플로팅 도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382A KR102218580B1 (ko) 2020-11-12 2020-11-12 플로팅 도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580B1 true KR102218580B1 (ko) 2021-02-22

Family

ID=7468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382A KR102218580B1 (ko) 2020-11-12 2020-11-12 플로팅 도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58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6981A (ja) * 1994-12-15 1996-08-27 Nobutaka Miura 浮船台
JP2000508987A (ja) 1996-04-22 2000-07-18 グロンストランド,ヤン ボートの着水および回収のための装置
JP2004168275A (ja) * 2002-11-15 2004-06-17 Motohiko Takeshita 小型船舶用浮船台
US20110146554A1 (en) * 2009-12-23 2011-06-23 Jeff Wright Elevated dock
KR20130104325A (ko) * 2012-03-13 2013-09-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양식 도크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39240A (ko) 2017-04-04 2019-12-17 구이도 바르델리 선박용 부유 및 기동 가능한 선체 세척 및 세정 플랜트
KR102076497B1 (ko) 2019-06-13 2020-02-13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
KR102173166B1 (ko) 2020-02-24 2020-11-02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6981A (ja) * 1994-12-15 1996-08-27 Nobutaka Miura 浮船台
JP2000508987A (ja) 1996-04-22 2000-07-18 グロンストランド,ヤン ボートの着水および回収のための装置
JP2004168275A (ja) * 2002-11-15 2004-06-17 Motohiko Takeshita 小型船舶用浮船台
US20110146554A1 (en) * 2009-12-23 2011-06-23 Jeff Wright Elevated dock
KR20130104325A (ko) * 2012-03-13 2013-09-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양식 도크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39240A (ko) 2017-04-04 2019-12-17 구이도 바르델리 선박용 부유 및 기동 가능한 선체 세척 및 세정 플랜트
KR102076497B1 (ko) 2019-06-13 2020-02-13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
KR102173166B1 (ko) 2020-02-24 2020-11-02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9704B2 (en) Floatable dry docks
KR102173166B1 (ko)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JP7341627B2 (ja) ドライドック未浮揚タンデム工法を適用した船舶建造工法
US5860765A (en) In-water dry dock system with removable centerline insert
KR101302037B1 (ko) 부유식 도크
KR102218580B1 (ko) 플로팅 도크 시스템
CA2900357C (en) A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JPH0986485A (ja) 大型構造物の製造作業方法及び修理作業方法並にこれらの方法の実施に用いるバージ
KR101453740B1 (ko)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KR101453741B1 (ko) 유압실린더-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JPH0710080A (ja) 潜水式タンクバージ及び輸送方法
KR101871103B1 (ko)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JP4560773B2 (ja) 簡易マリーナ装置
RU2603340C1 (ru) Морска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едостойкая платформа
US20150060137A1 (en) Tender Barge for Drillship Operating in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JP2008049977A (ja) 浮船台
KR102594823B1 (ko)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KR101453745B1 (ko) 웜기어-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JP2002220823A (ja) 移動式防波堤
AU2006292867A1 (en) Vessel with movable float
KR20110049500A (ko) 버블을 이용한 탠덤건조공법
KR200454660Y1 (ko) 잠수식 중화물 운반선의 반건조선용 밸러스팅 장치
JPH07132881A (ja) 潜水式タンクバージ及び輸送方法−2
RU158156U1 (ru) Морска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едостойкая платформа
KR101655119B1 (ko) 프레임이 개선된 유압실린더-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