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989B1 -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989B1
KR101920989B1 KR1020170014230A KR20170014230A KR101920989B1 KR 101920989 B1 KR101920989 B1 KR 101920989B1 KR 1020170014230 A KR1020170014230 A KR 1020170014230A KR 20170014230 A KR20170014230 A KR 20170014230A KR 101920989 B1 KR101920989 B1 KR 101920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offshore structure
injection
tub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9635A (ko
Inventor
양승호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9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8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auxiliary jet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4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essels, e.g. monitoring their speed, routing or maintenance schedules
    • B63B273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는 해양구조물의 양측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본체, 하단은 본체의 저면을 관통하고, 상단은 본체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본체 내측에 결합 설치하며, 해양구조물의 선수에서 선미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된 해수분사튜브, 길이방향 일단은 해수분사튜브에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해상의 수중에 잠김되도록 배치하는 해수공급튜브, 각각의 해수분사튜브 일측에 연결 설치하며, 해수분사튜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분사조절밸브, 해수공급튜브의 일측에 연결 설치하며, 해수공급튜브의 길이방향 타단에서 해수를 흡입되게 한 후, 해수분사튜브의 하단을 통해 본체의 하방으로 해수를 분사 배출되게 펌핑력을 발생시키는 펌핑장치, 해양구조물에 설치하며, 해양구조물의 롤링 및 피칭에 의한 기울기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분사조절밸브와 펌핑장치 및 위치측정부와 연결되어, 위치측정부에서 측정된 해양구조물의 기울기에 따라 펌핑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분사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면서 해수분사튜브를 통한 해수의 분사여부 및 분사량을 제어하면서 해양구조물의 롤링 및 피칭 운동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Motion reduction device for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는 해양구조물의 움직임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부유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구조물은 해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로 계류될 수 있는 것으로, 기능, 구조, 계류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해양구조물은 SEMI(Semi-Submersible), TLP(Tensioned Leg Platform), SPAR,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SRU 또는 시추용 리그(Rig) 등으로 칭해지는 많은 종류의 해양 구조물이 있다.
이러한, 해양구조물은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선체가 좌우로 흔들리거나 전후로 흔들리게 되는데, 이러한, 해양구조물의 흔들림은 안정적인 계류를 어렵게 하여, 해양구조물 상의 승객이나 승무원에게 불쾌감과 피로 누적의 부담을 주게 됨과 더불어 적재된 화물의 전복이나 안정적인 작업을 방해한다.
따라서, 선박 및 해양구조물에는 해상에서의 움직임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는데, 대표적인 선저만곡부(Bilge) 외판에 직각에 가깝도록 선수미 방향으로 길게 결합하는 빌지킬(Bilge Keel)을 비롯하여 핀의 각도를 조정하여 선체의 동요 운동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핀안정기(Fin Stabilizer)와 선체의 내부에 U형 수조를 형성하여 동요를 억제하는 ART(Anti-Rolling Tank) 등이 있다.
그러나, 빌지킬이나 핀 안정기 및 ART 장치들은 해당 해양구조물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고려되어 건조 완료할 때까지 그 정밀성을 유지하면서 선체에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그 제작 및 설치가 매우 까다롭고, 설치 후에도 유지보수 및 관리가 어려우며, 과도한 동력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동요 저감장치는, 해양구조물의 롤링에 대한 운동만을 저감시킴으로써, 해양구조물의 피칭 등 다른 자유도에 대한 동요를 저감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해양구조물의 동요 저감장치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3202호(2010.10.21)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도록 배치된 해양구조물의 롤링 및 피칭 운동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부유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는 해양구조물의 양측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본체, 하단은 상기 본체의 저면을 관통하고, 상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해양구조물의 선수에서 선미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된 해수분사튜브,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해수분사튜브에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해상의 수중에 잠김되도록 배치하는 해수공급튜브, 각각의 상기 해수분사튜브 일측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해수분사튜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분사조절밸브, 상기 해수공급튜브의 일측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해수공급튜브의 길이방향 타단에서 해수를 흡입되게 한 후, 상기 해수분사튜브의 하단을 통해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상기 해수를 분사 배출되게 펌핑력을 발생시키는 펌핑장치, 상기 해양구조물에 설치하며, 상기 해양구조물의 롤링 및 피칭에 의한 기울기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상기 분사조절밸브와 상기 펌핑장치 및 상기 위치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위치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해양구조물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펌핑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사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해수분사튜브를 통한 해수의 분사여부 및 분사량을 제어하면서 상기 해양구조물의 롤링 및 피칭 운동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양구조물의 롤링 운동시, 상기 해양구조물의 일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해양구조물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는 상기 분사조절밸브에 의해 폐쇄상태가 되고, 상기 해양구조물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에서 상기 해수를 분사 배출되게 상기 분사조절밸브에 의한 개방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해양구조물의 피칭 운동시, 상기 해양구조물의 선수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해양구조물의 선미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는 상기 분사조절밸브에 의해 폐쇄상태가 되고, 상기 해양구조물의 선수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에서 상기 해수를 분사 배출되게 상기 분사조절밸브에 의한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공급튜브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해수분사튜브의 상단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펌핑장치의 출수구에 연결되는 분기튜브,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펌핑장치의 입수구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수중에 잠김되도록 배치되는 연결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는, 해양구조물의 양측에는 선수에서 선미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해수분사튜브가 마련된 본체를 결합하여, 해양구조물의 롤링 및 피칭 운동에 따른 기울기를 위치측정부에서 측정한 후, 제어부에서 펌핑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해양구조물의 측정된 기울기에 따라 분사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바, 해수분사튜브를 통한 해수의 본체 하방으로의 분사 배출을 제어하면서 해양구조물이 해상에서 안정적인 부유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는, 본체(100), 해수분사튜브(200), 해수공급튜브(300), 분사조절밸브(400), 펌핑장치(500), 위치측정부(600), 제어부(7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해상에 부유하는 선박이나 해양플랜트와 같은 해양구조물(10) 상에 이후 설명될 해수분사튜브(200)를 결합 배치할 수 있게 하는 프레임이다. 즉, 상기 본체(100)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양측 하방으로 해수분사튜브(200)를 통해 해수가 분사 배출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해양구조물(100)의 양측 하단에 각각 결합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상기 해양구조물(10)에 부력을 추가하도록 부력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직육면체의 구조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안정성을 높이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는 이후 설명될 해수공급튜브(300)로부터 공급되는 해수를 상기 본체(100)의 하방,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양측 하방으로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는 양단을 개방시킨 관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본체(100) 내측에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 즉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선수에서 선미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복수개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는 해수면에 수직한 상태로 상기 해수분사튜브(200)의 하단은 상기 본체(100)의 저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해수분사튜브(200)의 상단은 상기 본체(10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해수분사튜브(200)의 하단에는 해수를 고속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도록 노즐(210)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해수공급튜브(300)는 상기 해수분사튜브(200)와 연결되어, 이후 설명될 펌핑장치(300)에서 생성된 펌핑력에 의해 흡입되는 해수를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로 전달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해수공급튜브(300)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각각의 상기 해수분사튜브(200)와 연결되도록 한 쌍을 구비하며, 상기 해수공급튜브(300)는 양단을 개방시킨 관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해수공급튜브(3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해수분사튜브(200)의 상단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해수공급튜브(3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해상의 수중에 잠김되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해수공급튜브(300)는 분기튜브(310), 연결튜브(320)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튜브(310)는 상기 해수분사튜브(200)와 이후 설명될 펌핑장치(5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양단을 개방시킨 관 형상 부재이다. 즉, 상기 분기튜브(310)는 펌핑장치(500)에서 배출되는 해수를 각각의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로 전달되게 가이드한다. 이러한, 상기 분기튜브(310)의 길이방향 일단은 각각의 상기 해수분사튜브(200)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지관부분(311)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분기튜브(310)의 길이방향 타단의 본관부분(312)은 펌핑장치(500)의 출수구(502)에 연결 결합한다.
상기 연결튜브(320)는 펌핑장치(500)를 상기 해상의 수중과 연결하도록 양단을 개방시킨 관 형상 부재이다. 즉, 상기 연결튜브(320)는 펌핑장치(500)에서 펌핑력이 발생될 때, 상기 해상의 해수를 펌핑장치(500) 내부로 전달되게 가이드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튜브(320)의 길이방향 일단은 펌핑장치(500)의 입수구(501)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튜브(32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해상의 수중에 잠김되도록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튜브(32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수중 생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차단망(도면미도시)이 결합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사조절밸브(400)는 각 상기 해수분사튜브(200)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밸브이다. 즉, 상기 분사조절밸브(400)는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를 통한 상기 해수의 분사 여부 및 해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분사조절밸브(400)는 각각의 상기 해수분사튜브(200)에 연결 설치하도록 복수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조절밸브(400)는 이후 설명될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제어부(600)에 의해 상기 해수분사튜브(200)의 개폐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펌핑장치(500)는 상기 해상의 수중에 잠김된 상기 해수공급튜브(300)의 길이방향에서 해수를 흡입되게 한 후, 상기 해수분사튜브(200)의 하단을 통해 상기 본체(100) 하방의 수중으로 상기 해수가 배출되게 펌핑력을 발생되게 한다. 상기 펌핑장치(500)는 상기 해수공급튜브(30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펌핑장치(500)의 입수구(501)는 상기 해수공급튜브(300)의 연결튜브(320)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 결합되며, 상기 펌핑장치(500)의 출수구(502)는 상기 해수공급튜브(300)의 분기튜브(310) 길이방향 타단을 연결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펌핑장치(500)는 제어부(700)와 연결되어, 제어부(700)에 의한 제어를 통해 작동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위치측정부(600)는 상기 해상에 부유하면서 바람이나 파도에 의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롤링운동 및 피칭운동에 따른 기울기를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위치측정부(600)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일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본체(100)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위치측정부(600)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기울기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측정부(600)는 이후 설명될 제어부(700)와 연결되어, 측정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기울기 수치를 제어부(700)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측정부(600)는 상기 해상에 부유하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기울기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감지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를 통한 상기 본체(100) 하방으로의 해수 분사 여부 및 분사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롤링 및 피칭 운동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부유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위치측정부(600)에서 측정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기울기 값을 전달받아, 상기 해양구조물(10)이 설정된 범위의 기울기를 넘길 경우, 상기 펌핑장치(50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사조절밸브(400)의 개폐를 조절하면서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를 통한 해수의 분사 여부 및 분사량을 제어하면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롤링운동 및 피칭 운동을 감소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위치측정부(600)에서 측정된 기울기가 설정된 기울기보다 클 경우에, 상기 펌핑장치(500) 및 상기 분사노절밸브(4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0)에 설정된 기울기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안정성에 위험이 되는 정도의 기울기로 설정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수치는 수학적 계산이나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또는 샘플제작을 통한 실험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분사조절밸브(400)와 상기 펌핑장치(500) 및 상기 위치측정부(60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100) 또는 상기 해양구조물(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은,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해상에서 바람이나 파도에 의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롤링 운동으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일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펌핑장치(500)를 작동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해양구조물(10)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200), 즉 상기 해양구조물(10)의 타측에 결합된 상기 본체(100) 내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는 상기 분사조절밸브(400)에 의해 폐쇄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200), 즉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일측에 결합된 상기 본체(100)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는 상기 분사조절밸브(400)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해수를 분사 배출되게 하면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일측을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반대로 밀어올리면서 평형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타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때는 상기 펌핑장치(500)를 작동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는 상기 분사조절밸브(400)로 폐쇄상태가 되게 하고, 상기 해양구조물(10)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는 상기 분사조절밸브(400)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해수를 분사 배출되게 하면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타측을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반대로 밀어 올리면서 평형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해상에서 바람이나 파도에 의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피칭 운동으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선수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펌핑장치(500)를 작동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선미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200), 즉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된 상기 본체(100) 내 후단부의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는 상기 분사조절밸브(400)에 의해 폐쇄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선수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200), 즉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된 상기 본체(100) 내 선단부의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는 상기 분사조절밸브(400)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해수를 분사 배출되게 하면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선수측을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반대로 밀어올리면서 평형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선미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때는 상기 펌핑장치(500)를 작동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선수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는 상기 분사조절밸브(400)로 폐쇄상태가 되게 하고,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선미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는 상기 분사조절밸브(400)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해수를 분사 배출되게 하면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선미측을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반대로 밀어 올리면서 평형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는,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양측에는 선수에서 선미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상기 해수분사튜브(200)가 마련된 상기 본체(100)를 결합하여, 상기 해양구조물(10)의 롤링 및 피칭 운동에 따른 기울기를 상기 위치측정부(600)에서 측정한 후, 상기 제어부(700)에서 상기 펌핑장치(50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해양구조물(10)의 측정된 기울기에 따라 상기 분사조절밸브(400)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바, 상기 해수분사튜브(200)를 통한 상기 해수의 상기 본체(100) 하방으로의 분사 배출을 제어하면서 상기 해양구조물(10)이 해상에서 안정적인 부유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200: 해수분사튜브
300: 해수공급튜브 310: 분기튜브
320: 연결튜브 400: 분사조절밸브
500: 펌핑장치 600: 위치측정부
700: 제어부

Claims (3)

  1. 해상에 부유하는 해양구조물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상태로 해양구조물의 양측 하단에 각각 결합하며, 해양구조물에 부력을 추가하도록 부력체인 본체와;
    하단은 상기 본체의 저면을 관통하고, 상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 내측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해양구조물의 선수에서 선미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된 해수분사튜브와;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해수분사튜브에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해상의 수중에 잠김되도록 배치하는 해수공급튜브와;
    각각의 상기 해수분사튜브 일측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해수분사튜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복수개의 분사조절밸브와;
    상기 해수공급튜브의 일측에 연결 설치하며, 상기 해수공급튜브의 길이방향 타단에서 해수를 흡입되게 한 후, 상기 해수분사튜브의 하단을 통해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상기 해수를 분사 배출되게 펌핑력을 발생시키는 펌핑장치와;
    상기 해양구조물에 설치하며, 상기 해양구조물의 롤링 및 피칭에 의한 기울기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 및
    상기 분사조절밸브와 상기 펌핑장치 및 상기 위치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위치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해양구조물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펌핑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사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해수분사튜브를 통한 해수의 분사여부 및 분사량을 제어하면서 상기 해양구조물의 롤링 및 피칭 운동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양구조물의 롤링 운동시, 상기 해양구조물의 일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해양구조물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는 상기 분사조절밸브에 의해 폐쇄상태가 되고, 상기 해양구조물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에서 상기 해수를 분사 배출되게 상기 분사조절밸브에 의한 개방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해양구조물의 피칭 운동시, 상기 해양구조물의 선수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해양구조물의 선미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는 상기 분사조절밸브에 의해 폐쇄상태가 되고, 상기 해양구조물의 선수측에 배치된 상기 해수분사튜브에서 상기 해수를 분사 배출되게 상기 분사조절밸브에 의한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급튜브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해수분사튜브의 상단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펌핑장치의 출수구에 연결되는 분기튜브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펌핑장치의 입수구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수중에 잠김되도록 배치되는 연결튜브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
KR1020170014230A 2017-02-01 2017-02-01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 KR101920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30A KR101920989B1 (ko) 2017-02-01 2017-02-01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30A KR101920989B1 (ko) 2017-02-01 2017-02-01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635A KR20180089635A (ko) 2018-08-09
KR101920989B1 true KR101920989B1 (ko) 2018-11-21

Family

ID=6325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230A KR101920989B1 (ko) 2017-02-01 2017-02-01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9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2598A (ja) * 2008-04-22 2009-11-12 Ihi Corp 多胴船の減揺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2598A (ja) * 2008-04-22 2009-11-12 Ihi Corp 多胴船の減揺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635A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888B1 (ko) 선박의 능동적 및 수동적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NO338346B1 (no) Dobbelt-dybdegående fartøy
EP3075646A1 (en) Wakesurfing boat
JP7341627B2 (ja) ドライドック未浮揚タンデム工法を適用した船舶建造工法
AU2017423234B2 (en) Offshore vessel for production and storage of hydrocarbon products
KR101302037B1 (ko) 부유식 도크
JP6657064B2 (ja) 浮沈装置
KR101920989B1 (ko)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
KR101964836B1 (ko) 횡동요 저감장치
KR101468227B1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가변형 빌지 킬을 이용한 횡요운동 제어방법
WO2010033058A1 (en) Hull form intended for vessels provided with an air cavity
KR20190094693A (ko) 해양구조물용 동요감소장치
RU2433937C2 (ru) Судно (варианты),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качки, погружное тело, устройство стабилизации и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качки
KR102266932B1 (ko) 선체 하중 밸런스 제어 장치
RU2380274C1 (ru) Подводный танкер
JPH0710080A (ja) 潜水式タンクバージ及び輸送方法
US10822060B1 (en) Multi hull vessel with mechanical systems to facilitate safe transfer of cargo by crane to and from vessel in high waves
KR101411508B1 (ko) 동요제어장치 및 동요제어방법.
CN107000823A (zh) 滑行式船舶及其制造方法
WO2016190746A1 (en) Float with lowering system for deep running wanes
KR101059864B1 (ko)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KR101732381B1 (ko) 해상 구조물의 부력제어시스템
KR20120011570A (ko) 선박의 건조 방법
KR20230023910A (ko)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KR101751844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횡 동요 및 상하동요 저감장치, 그리고 그 횡 동요 및 상하동요 저감장치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