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605B1 -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605B1
KR101399605B1 KR1020110062048A KR20110062048A KR101399605B1 KR 101399605 B1 KR101399605 B1 KR 101399605B1 KR 1020110062048 A KR1020110062048 A KR 1020110062048A KR 20110062048 A KR20110062048 A KR 20110062048A KR 101399605 B1 KR101399605 B1 KR 101399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seawater
side wall
wall body
sp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363A (ko
Inventor
마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60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63C1/06Arrangements of pumping or filling equipment for raising or lowering 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해양에서 부유하거나 육상 안벽의 일측에 안착되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와,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에 배치되어 해수를 선택적으로 유입 또는 유출시키는 발라스트부와,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에 형성되는 스퍼드 장치를 구비하는 평형유지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안벽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부유식 안벽장치의 상측에서 구조물을 건조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의 해수를 외부로 유출시키고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를 부유시켜 해양으로 인도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 건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Floating dock device and method for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을 건조를 위한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및 해양구조물을 건조하는 장치 및 방법은 육상에서 선박 및 해양구조물을 건조하고 해양으로 이동시켜 진수시키거나, 해양에 부유하는 부유식 도크에서 건조하여 부유식 도크를 침수시켜 진수시켰다.
그러나 상기의 장치 및 방법 중 육상에서 건조하는 경우 선박 및 해양구조물을 진수하기 위한 진수용 바지선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진수용 바지선은 선박 및 해양구조물이 대형화되는 경우 바지선도 대형화되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지선이 안벽에 접안하여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을 진수하기 위해서는 물때를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제한이 있다.
반면, 부유식 도크를 활용하는 경우 부유식 도크의 육상 접근이 어려워 물류 이동이 어렵다. 또한, 부유식 도크의 건조 비용이 비싸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생산비용이 증대되었다. 특히 부유식 도크는 태풍 등 황천(荒天) 시 안전성 확보가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선박 및 해양구조물을 건조할 수 있는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해양에서 부유하거나 육상 안벽의 일측에 안착되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와,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에 배치되어 해수를 선택적으로 유입 또는 유출시키는 발라스트부와,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에 형성되는 스퍼드 장치를 구비하는 평형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라스트부는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가 상기 육상 안벽에 안착시 해수를 유입시키고, 상기 해양으로 부유시 해수를 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형유지부는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해수를 유입 또는 유출시켜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의 평형을 유지하는 윙탱크(Wing tan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퍼드 장치는 높이가 가변하여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를 상기 육상 안벽에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퍼드 장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와, 외면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스퍼드와,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고, 상기 기어이와 연동하여 상기 스퍼드를 이동시키는 피니언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퍼드 장치는 길이가 가변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가 해수에 부유할 때,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평형유지부를 제어하는 컨트롤 타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부유식 안벽장치의 상측에서 구조물을 건조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의 해수를 외부로 유출시키고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를 부유시켜 해양으로 인도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 전에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에 해수를 유입시키고, 상기 평형유지부를 작동시켜 상기 육상 안벽에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형유지부를 작동하여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를 하강시키고, 상기 평형유지부의 일단을 해저에 안착시키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에 해수를 유입시켜 해수면 아래로 하강시키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을 인양하여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와 분리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를 상기 해수면 위로 상승시키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형유지부를 상승시키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은 신속하고 안전하게 선박 및 해양구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안벽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라스트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라스트부를 보여주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평형유지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의 제 3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의 제 4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의 제 5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의 제 6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안벽장치(1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부유식 안벽장치(100)는 육상 안벽(C)에 안착하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를 포함한다. 이때, 안벽 바디부(110)의 상측에는 건조되는 구조물(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조물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조물은 선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은 해양구조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구조물이 상기 해양구조물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육상 안벽(C)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외측에는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금속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육상 안벽(C)의 일측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육상 안벽(C)의 일측에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가 안착하도록 안착부(D)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D)는 육상 안벽(C)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육상 안벽(C)으로부터 다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D)는 육상 안벽(C)의 상면보다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D)는 해양과 접하여 해수면 아래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가 안착부(D)에 안착하는 경우,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상면과 육상 안벽(C)의 상면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및 해양구조물에 사용되는 각종 자재들을 육상 안벽(C)으로부터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부유식 안벽장치(100)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 내측에 배치되는 발라스트부(120, 도 2 참고)를 포함한다. 발라스트부(120)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부터 해수를 선택적으로 유입 또는 유출시킨다.
부유식 안벽장치(100)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일측에 체결되는 평형유지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평형유지부(130)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윙탱크(미도시, Wing tank)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윙탱크는 외부로부터 해수를 유입하여 부유식 안벽장치(100)의 평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평형유지부(130)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에 배치되는 스퍼드(Spud)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퍼드 장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윙탱크와 유사하게 부유식 안벽장치(100)의 평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평형유지부(130)는 상기 스퍼드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평형유지부(130)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에 복수개가 결합할 수 있다. 복수개의 평형유지부(130)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를 관통하도록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에 체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평형유지부(130)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평형유지부(130)는 상기 구조물 진수를 위하여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를 수중으로 하강 또는 수면으로 상승시킬 때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안정성을 유지시킨다.
한편, 복수개의 평형유지부(130)는 안착부(D)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평형유지부들(130)은 안착부(D)에 안착하여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를 육상 안벽(C)에 고정시킨다.
이하에서 발라스트부(120) 및 적어도 하나의 평형유지부(1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라스트부(120)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라스트부(120)를 보여주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발라스트부(120)는 발라스트탱크(121)를 포함한다. 발라스트탱크(121)는 금속재질 및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해수를 저장한다.
발라스트탱크(121)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발라스트탱크(121)는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발라스트탱크(121)의 일부는 해수가 서로 유동하도록 유동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발라스트부(120)는 발라스트탱크(121)로 해수를 공급하거나 유출시키는 해수유동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해수유동부(124)의 일측에는 해수유동부(124)를 단속하는 개폐밸브(미표기)가 배치될 수 있다.
해수유동부(124)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해수유동부(124)는 각 발라스트탱크(12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해수유동부(124)는 각 발라스트탱크(121)에 해수를 공급하거나 유출시킨다.
한편, 발라스트부(120)는 해수유동부(124)와 체결되는 유동파이프(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해수유동부(124)가 배치되는 경우 유동파이프(125)는 각 해수유동부(124)와 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해수유동부(124)가 복수개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유동파이프(125)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해수를 각 해수유동부(124)에 공급한다. 또한, 유동파이프(125)는 각 발라스트탱크(121)로부터 각 해수유동부(124)로 공급되는 해수를 외부로 안내한다.
발라스트부(120)는 유동파이프(125)에 체결되는 발라스트펌프(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발라스트펌프(123)는 유동파이프(125)에 해수가 유동하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발라스트펌프(123)는 해수의 유동 방향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각 발라스트탱크(121)로 해수를 유출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라스트펌프(123)가 정회전 하는 경우 해수가 각 발라스트탱크(121)로 유입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발라스트부(1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수를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유동시킨다. 따라서 발라스트부(120)는 필요에 따라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부유시키거나 침수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평형유지부(13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평형유지부(13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평형유지부(1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퍼드(Spud)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형유지부(130)는 유압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평형유지부(130)가 상기 스퍼드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퍼드장치는 스퍼드(131,Spud)를 포함할 수 있다. 스퍼드(131)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일면에 복수개의 기어이(미표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기어이는 스퍼드(13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퍼드장치는 스퍼드(131)의 일측에 체결되는 피니언(132, Pin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니언(132)의 일측은 상기 복수개의 기어이와 맞물려 체결된다.
상기 스퍼드장치는 피니언(13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33)는 피니언(132)과 체결되어 피니언(132)을 구동시킨다.
이때, 구동부(133)는 모터(미표기)와 상기 모터 및 피니언(132)에 체결되는 체인(미표기)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133)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피니언(13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피니언(132)의 회전에 의하여 스퍼드(131)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평형유지부(130)가 상기 유압시스템으로 형성되는 경우, 평형유지부(130)는 유압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형유지부(130)는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공급부가 상기 유압실린더로 유체를 공급하면, 상기 유압실린더가 상승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유압공급부가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체를 회수하면, 상기 유압실린더가 하강할 수 있다.
또한, 평형유지부(1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윙탱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윙탱크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가 수면 아래로 하강할 때 일부가 수면 위에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윙탱크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작동 시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평형유지부(130)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평형유지부(130)는 상기 유압시스템 및 상기 스퍼드장치 이외에도 길이가 가변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부유식 안벽장치(100)는 평형유지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타워(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타워(140)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가 해수에 부유할 때,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평형유지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형유지부(130)가 상기 윙탱크를 포함하는 경우, 컨트롤 타워(140)는 윙탱크에 유출입되는 해수의 양을 제어하여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평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평형유지부(130)가 상기 유압실린더 또는 상기 스퍼드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컨트롤 타워(140)는 상기 유압실린더 도는 상기 스퍼드장치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평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길이를 가변시키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100)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부유식 안벽장치(100)는 육상 안벽(C)의 안착부(D)에 안착한다.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육상 안벽(C)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때, 발라스트펌프(123)는 외부로부터 해수를 각 발라스트탱크(121)로 유입시킨다. 복수개의 발라스트탱크들(121)의 내측에 해수가 저장되면,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침수된다.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침수되면서 안착부(D)에 안착한다.
한편, 발라스트펌프(123)가 작동하는 경우, 평형유지부(130)의 구동부(133)가 작동한다. 구동부(133)는 피니언(132)을 회전시켜 스퍼드(131)를 하강시킨다. 스퍼드(131)는 하강하여 안착부(D)의 체결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홀은 안착부의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스퍼드(13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안착부(D)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상기에서 설명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안착부(D)에 안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상기 체결홀에 스퍼드(131)가 체결되고,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내측에 해수가 유입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상단에서 해양구조물(S) 등을 건조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100)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부유식 안벽장치(100)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착부(D)에 안착하면, 해양구조물(S)을 건조한다.
이때,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육상 안벽(C)과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므로 육상에서 건조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해양구조물(S)을 건조할 수 있다.
또한, 해양구조물(S)이 건조되는 동안,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자체의 중량에 의해 또는 스퍼드(131)에 의하여 안착부(D)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가 파랑에 의하여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100)의 제 3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해양구조물(S)의 건조가 완료되면, 스퍼드(131)를 상승시킨다. 이때, 스퍼드(131)는 상기 체결홀을 이탈하여 상기 체결홀과 분리된다.
또한, 스퍼드(131)를 체결홀과 분리하여도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안착부(D)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발라스트펌프(123)는 각 발라스트탱크(121)의 해수를 외부로 펌핑한다.
해수가 외부로 펌핑되면, 각 발라스트탱크(121)의 내측에는 공기가 체워진다. 이때, 공기에 의하여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부력이 발생한다.
발라스트펌프(123)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가 안착부(D)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계속해서 해수를 외부로 펌핑한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안착부(D)로부터 분리되어 부유한다. 이때,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를 예인선박(미도시)으로 연결하여 부유식 안벽장치(100)를 해양으로 인도한다.
따라서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를 용이하게 안착부(D)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해양구조물(S)을 별도의 바지선 등에 이동시키지 않아도 됨으로써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의 제 4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작업자는 부유식 안벽장치(100)를 상기 예인선박으로 예인 한 후 소정 깊이의 해양에 도달하면, 각 스퍼드(131)를 하강시킨다.
이때, 각 구동부(133)가 작동되면, 각 피니언(132)이 회전한다. 각 피니언(132)이 회전하면서 각 스퍼드(131)를 하강시킨다. 각 스퍼드(131)의 일단은 계속해서 하강하여 해저에 안착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하강한 복수개의 스퍼드들(130)은 해저에 파고들어 고정된다.
복수개의 스퍼드들(130)은 소정 깊이까지 하강하여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를 고정한다. 또한, 복수개의 스퍼드들(130)은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가 유동하지 않도록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파랑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상단에 배치되는 해양구조물(S) 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100)의 제 5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부유식 안벽장치(100)는 복수개의 스퍼드들(130)에 의하여 상기 도 8에서 설명에서와 같이 고정된다.
이때, 발라스트펌프(123)가 작동하여 다시 해수를 각 발라스트탱크(121) 내부로 유입시킨다. 해수는 각 발라스트탱크(121)의 내측에 유입되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각 발라스트탱크(121)에 소정의 해수가 유입되면,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다시 침수한다.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가 소정수위 이하로 침수되면, 상단의 해양구조물(S)이 부유한다.
이때, 발라스트펌프(123)는 계속 작동하여 해양구조물(S)이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를 침수시킨다.
한편,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로부터 해양구조물(S)이 완전히 분리되면, 상기 예인선박을 통하여 해양구조물(S)을 해양으로 인도한다.
따라서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로부터 용이하게 해양구조물(S)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안벽장치(100)의 제 6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다시 발라스트펌프(123)를 작동시킨다. 이때, 발라스트펌프(123)가 작동하면, 각 발라스트탱크(121) 내부에 저장된 해수가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해수의 배출로 인하여 각 발라스트탱크(121) 내부에는 다시 공간이 발생한다. 상기 공간으로 인하여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부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부력에 의하여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해수면 위로 부유한다.
한편, 발라스트펌프(123)를 작동하면서, 각 구동부(133)를 작동시킨다. 각 구동부(133)는 각 피니언(132)을 회전시킨다. 각 피니언(132)은 회전하면서 각 스퍼드(131)를 상승시킨다.
각 스퍼드(131)가 상승하면, 각 스퍼드(131)는 해저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라스트펌프(123)를 계속 작동시키면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는 해수면 위로 완전히 부유한다.
한편,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예인선박을 통하여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를 다시 육상 안벽(C)으로 예인한다.
부유식 안벽 바디부(110)가 육상 안벽(C)에 예인되면, 작업자는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퍼드(131)와 발라스트펌프(123)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부유식 안벽장치(100)는 육상 안벽(C)과 거의 유사하게 형성되어 해양구조물(S)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부유식 안벽장치(100)는 육상 안벽(C)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제조 시간을 단축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부유식 안벽장치
110 : 부유식 안벽 바디부
120 : 발라스트부
121 : 발라스트탱크
123 : 발라스트펌프
124 : 해수유동부
130 : 평형유지부

Claims (14)

  1. 해양에 부유되거나, 육상 안벽으로부터 다단지게 연장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육상 안벽으로부터 연장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부유식 안벽 바디부;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에 배치되어 해수를 선택적으로 유입 또는 유출시키는 발라스트부; 및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스퍼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퍼드 장치는 상하로 승하강되어 상기 안착부에 고정되거나 상기 안착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평형유지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안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라스트부는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가 상기 육상 안벽에 안착시 해수를 유입시키고, 상기 해양으로 부유시 해수를 유출시키는 부유식 안벽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유지부는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윙탱크(Wing tank)를 포함하며, 상기 윙탱크는 외부로부터 해수를 유입 또는 유출시켜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의 평형을 유지하는 부유식 안벽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드 장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와,
    외면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스퍼드와,
    상기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고, 상기 기어이와 연동하여 상기 스퍼드를 이동시키는 피니언을 구비하는 부유식 안벽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드 장치는 길이가 가변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부유식 안벽장치.
  7.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가 해양에 부유할 때, 상기 부유식 안벽 바디부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평형유지부를 제어하는 컨트롤 타워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안벽장치.
  8. 부유식 안벽장치를 육상 안벽과 인접한 안착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부유식 안벽장치에 마련된 스퍼드 장치를 하강시켜 상기 안착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부유식 안벽장치가 상기 육상 안벽에서 연장된 작업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상기 부유식 안벽장치 상에서 구조물을 건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스퍼드 장치를 상승시켜 상기 안착부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부유식 안벽장치를 부유시켜 해양으로 인도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 건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부유식 안벽장치에 해수를 유입시켜 상기 부유식 안벽장치를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 건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안벽장치를 해양으로 인도한 후, 상기 스퍼드 장치를 하강시켜 해저에 고정시키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건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안벽장치에 해수를 유입시켜 해수면 아래로 하강시키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건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을 인양하여 상기 부유식 안벽장치와 분리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건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안벽장치 내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부유식 안벽장치를 상기 해수면 위로 상승시키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건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드장치를 상승시키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건조 방법.
KR1020110062048A 2011-06-27 2011-06-27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 KR101399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048A KR101399605B1 (ko) 2011-06-27 2011-06-27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048A KR101399605B1 (ko) 2011-06-27 2011-06-27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363A KR20130001363A (ko) 2013-01-04
KR101399605B1 true KR101399605B1 (ko) 2014-05-30

Family

ID=4783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048A KR101399605B1 (ko) 2011-06-27 2011-06-27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037A (ko) 2015-02-13 2016-08-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크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8679A (ko) * 2004-12-30 2006-07-05 유영현 육상 구축물의 바지선 수평 이동구조 및 안착용지지대
KR20070050548A (ko) * 2005-11-11 2007-05-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KR101078391B1 (ko) * 2011-06-21 2011-11-01 주식회사 보강테크 2개의 스퍼드를 이용한 밸런스 바지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8679A (ko) * 2004-12-30 2006-07-05 유영현 육상 구축물의 바지선 수평 이동구조 및 안착용지지대
KR20070050548A (ko) * 2005-11-11 2007-05-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KR101078391B1 (ko) * 2011-06-21 2011-11-01 주식회사 보강테크 2개의 스퍼드를 이용한 밸런스 바지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363A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48051A (en) Offshore drilling rig
JP4559633B2 (ja) 作業船
US9199704B2 (en) Floatable dry docks
KR101324602B1 (ko) 스러스터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761587B1 (ko) 해양 구조물 설치선 및 해양 구조물 설치방법
US8220406B2 (e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JP4636985B2 (ja) 汚濁防止装置
RU2668020C2 (ru) Судно, совмещающее функции перевозки тяжеловесных грузов и логистики
KR101399605B1 (ko)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
US28953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submersible vessels
JP4362552B2 (ja) 貯水システム
KR101422605B1 (ko) 스러스터 승강장치
KR20130141163A (ko) 운반작업선
KR20120002981U (ko) 반잠수선이 되는 쌍동선
KR101785519B1 (ko) 해양 구조물
KR102338441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JPH06219372A (ja) 浮沈自在な浮体の係留方法
KR102087355B1 (ko) 해상 이동형 상가 장치
KR102067255B1 (ko) 해상 공사용 부력식 앵커 블럭
TWM415870U (en) Boat lifter
KR100239923B1 (ko) 해상 구조물 보수, 보강 및 시공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JP2005290719A (ja) 汚濁防止装置
KR20240106572A (ko) 잭업 선박의 펌프 위치 조작 시스템
ES2913839A9 (es) Plataforma flotante para construcción de grandes estructuras de hormigón
CN110816791A (zh) 一种细长型水下浮箱的注排水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