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441B1 -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441B1
KR102338441B1 KR1020170103820A KR20170103820A KR102338441B1 KR 102338441 B1 KR102338441 B1 KR 102338441B1 KR 1020170103820 A KR1020170103820 A KR 1020170103820A KR 20170103820 A KR20170103820 A KR 20170103820A KR 102338441 B1 KR102338441 B1 KR 102338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submerged
offshore structure
seawat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980A (ko
Inventor
최인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4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06Emptying the contents of sunken, stranded, or disabled vessels, e.g. by engaging the vessel; Underwater collecting of buoyant contents, such as liquid, particulate or gaseous contents, escaping from sunken vessels, e.g. using funnels, or tents for recovery of escaping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으로 구획한 후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하여 침수구역의 해수를 수밀구역으로 먼저 배수시킨 후 수밀구역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순차적인 단계를 통해, 별도의 특수방지 없이도 구난작업의 능률을 극대화하고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RESCUING METHOD USING EQUIPMENT MOUNTED ON SHIP OR MARINE STRUCTURE}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이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침수 및 침몰하는 경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부양하는 과정에 있어서,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으로 구획한 후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하여 침수구역의 해수를 먼저 수밀구역으로 배수시킨 후 수밀구역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순차적인 단계를 통해, 별도의 특수방지 없이도 구난작업의 능률을 극대화하고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은 건조시나 운항시 여러가지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침수되거나 침몰하게 될 수 있다.
만약, 천해에서 이러한 침수 및 침몰이 발생하는 경우, 현재는 부력을 얻기 위하여 해당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별도의 부력체를 부착하거나 혹은 선체의 외관에 임의의 구멍을 천공함으로써 내부 탱크의 액체(예컨데, 해수 등)를 외부로 배수시켜 부력을 얻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의 경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단순 배수 작업 및 부양시키는 과정에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내부 유체의 흐름에 의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고 이를 통해 조정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2차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의 경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부력을 추진하는 부력체를 부착하는데 드는 비용, 천공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용 등과 같은 제반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과, 부력을 얻는데 걸리는 오래걸린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의 침수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구난하는 방법이 가지는 다양한 문제점 및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이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침수 및 침몰하는 경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부양하는 과정에 있어서,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으로 구획한 후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하여 침수구역의 해수를 먼저 수밀구역으로 배수시킨 후 수밀구역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순차적인 단계를 통해, 별도의 특수방지 없이도 구난작업의 능률을 극대화하고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6752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이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침수 및 침몰하는 경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부양하는 과정에 있어서,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으로 구획한 후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하여 침수구역의 해수를 먼저 수밀구역으로 배수시킨 후 수밀구역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순차적인 단계를 통해, 별도의 특수방지 없이도 구난작업의 능률을 극대화하고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은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watertight segregation)으로 선정 및 구획하는 단계,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펌프를 통해 상기 다수 개의 수밀구역 중 코너에 해당하는 수밀구역을 건조구역(dry space)으로 만드는 단계,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펌프를 통해,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중앙부에 위치한 침수구역의 해수를 상기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 상기 침수구역에 대한 배수가 완료된 후 상기 건조구역에 채워진 해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단계 및 배수가 완료된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부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 개의 수밀구역으로 선정 및 구획하는 단계는 선박이 침수된 경우에는, 부양 시 종경사(trim) 및 횡경사(heel)를 조정하기 위한 트림 및 힐 구역을 먼저 선정한 후 상기 트림 및 힐 구역을 수밀구역으로 선정 및 구획하는 단계 및 해양 구조물이 침수된 경우에는, 해수의 배수시간 최소화를 위하여 각각의 수밀구역 내에 위치되는 맨홀(man hole) 및 도어(door)를 개방시켜 각각의 수밀구역 내의 경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침수구역의 해수를 상기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는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배관라인의 밸브를 개방(OPEN)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해수의 수두차(differential head)를 통해 상기 침수구역의 해수를 상기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맨홀 및 도어를 개방시킴에 따라 형성되는 홀을 통해 상기 침수구역의 해수를 상기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부양하는 단계는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부양하는 선박 도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선박 자동제어 시스템(IAS)을 이용하여,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부터 배수되는 해수의 배수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부양하는 단계는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침수구역에 대한 해수의 배수작업을 추가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이 침수된 위치의 지반에 형성된 해저 점착력을 산출 및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침수구역의 해수를 상기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는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휴대용 펌프(portable pump)로부터 연장되는 펌프 호스를 상기 침수구역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침수구역의 해수를 상기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는 상기 침수구역의 측면부에 추가 배수홀을 천공하여 상기 침수구역 및 상기 건조구역 간의 해수의 수두차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외측부에 하나 이상의 임시 흘수표(draft mark)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경하중량(lightweight)을 선 산출하고, 상기 침수구역에 대한 배수가 완료된 후의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경하중량을 재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수밀구역으로 선정되지 않은 영역에 대한 추가 침수구역을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선박 자동제어 시스템(IAS)을 통해 상기 침수구역에 대한 위치 및 침수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으로 구획한 후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하여 침수구역의 해수를 먼저 수밀구역으로 배수한 후 수밀구역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순차적인 단계를 통해, 별도의 특수방지 없이도 구난작업의 능률을 극대화하고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을 통해 해양 구조물(1)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으로 선정 및 구획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을 통해 선박(2)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으로 선정 및 구획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을 통해 침수구역의 해수를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은 크게,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watertight segregation)으로 선정 및 구획하는 단계(S101),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펌프를 통해 다수 개의 수밀구역 중 코너에 해당하는 수밀구역을 건조구역(dry space)으로 만드는 단계(S102),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펌프를 통해,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중앙부에 위치한 침수구역의 해수를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S103), 침수구역에 대한 배수가 완료된 후 건조구역에 채워진 해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단계(S104) 및 배수가 완료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부양하는 단계(S10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watertight segregation)으로 선정 및 구획하는 단계(S101)는 선박이 침수되는 경우, 이를 부양 시 종경사(trim) 및 횡경사(heel)를 조정하기 위한 트림 및 힐 구역을 먼저 선정하고, 그 후 트림 및 힐 구역을 수밀구역으로 선정 및 구획하는 단계와, 해양 구조물이 침수된 경우, 해수의 배수시간 최소화를 위하여 각각의 수밀구역 내에 위치되는 맨홀(manhole) 및 도어(door)를 개방시켜 각각의 수밀구역 내의 경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으로 선정 및 구획하는 이유는, 침수된 선박 혹은 해양 구조물이 부력을 얻어 플로팅(floating) 상태가 되는 경우, 내부 유체(예컨데, 해수 등)의 흐름이 선박 혹은 해양 구조물이 치우치는 방향으로 흘러 선박 혹은 해양 구조물의 거동에 영향을 주어 조정불가한 거동으로 인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2차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을 통해 해양 구조물(1)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으로 선정 및 구획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을 통해 선박(2)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으로 선정 및 구획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살펴보면, 도 2에는 해양 구조물(Semi-Rig, 1)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해양 구조물(1)을 6개의 큰 수밀구역으로 나누어 해수의 배수 시간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이 경우, 하나의 수밀구역 내에서는 수밀 경계가 제거되도록 내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맨홀 혹은 도어를 개방하여, 해당 수밀구역 내에서의 해수는 갇히지 않고 자유롭게 흐르도록 한다. 만약, 각 수밀구역을 보다 촘촘히 세분화한다면 구난작업현장의 배수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특히, 도 2에서는 각 코너(코너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중앙부로부터 원거리 떨어진 끝단부를 의미한다. 예컨데, 도 2에서는 해양 구조물(1)의 네 방향 끝단에 위치한 꼭지점 부근이 코너에 해당할 수 있다.)에 해당하는 수밀구역이 건조구역으로 선정될 수 있는데, 이렇게 각 코너에 해당하는 수밀구역에는 추후, 펌프를 통해 해양 구조물(1)의 중앙부에 위치한 침수구역의 해수가 지속적으로 배수될 수 있고, 건조구역에 배수되는 해수는 추후, 펌프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수됨으로써 해양 구조물(1) 내의 해수가 외부로 배수되면서 해양 구조물(1) 전체적인 중심이 안정적으로 잡히게 된다.
도 3을 살펴보면, 도 3에는 일반적인 선박(2) 혹은 상선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선박(2)을 7개의 큰 수밀구역으로 나누어 해수의 배수 시간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이때, 선박(2)은 해양 구조물(1)과는 달리 부양 시 종경사(trim) 및 횡경사(heel)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의 2, 3, 5, 6 구역에 해당하는 트림 및 힐 구역을 선정한 후, 이를 수밀구역을 선정하게 된다. 이때, 트림 및 힐 구역 혹은 수밀구역의 선정 및 선정갯수는 선박(2)의 복원성 해석 및 배수 방안을 고려하여 얼마든지 변경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도 도 2와 마찬가지로, 선박(2)의 각 코너(코너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중앙부로부터 원거리 떨어진 끝단부를 의미한다. 예컨데, 도 3에서는 선박(2)의 전후 방향 끝단에 위치한 선수 또는 선미 부근이 코너에 해당할 수 있다.)에 해당하는 수밀구역이 건조구역으로 선정될 수 있는데, 이렇게 각 코너에 해당하는 수밀구역에는 추후, 펌프를 통해 선박(2)의 중앙부에 위치한 침수구역의 해수가 지속적으로 배수될 수 있고, 건조구역에 배수되는 해수는 추후, 펌프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수됨으로써 선박(2) 내의 해수가 외부로 배수되면서 선박(2) 전체적인 중심이 안정적으로 잡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부양 시 선박(2)의 종경사 및 횡경사가 안정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펌프를 통해 다수 개의 수밀구역 중 코너에 해당하는 수밀구역을 건조구역(dry space)으로 만드는 단계(S102)에 있어서, 수밀구역은 침수구역의 해수를 1차적으로 배수시켜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의미할 수 있고, 건조구역은 다수의 수밀구역 중에서 해양 구조물(1)의 각 코너에 위치하는 구역, 선박(2)의 코너 혹은 부양 시 종경사 및 횡경사를 조정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하는 구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구역은 해양 구조물(1) 또는 선박(2)의 중심부에 위치한 침수구역 내의 해수가 배수 및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S102를 통해,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에서 해수의 배수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각 건조구역은 해양 구조물(1) 또는 선박(2)의 각 코더 혹은 종경사 및 횡경사를 조정할 수 있는 영역에 위치되기 때문에 부양 시 안정성이 높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펌프를 통해 침수구역의 해수를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S103)는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배관라인(예컨데, Ballast line, F.O/D.O 라인 등)의 밸브를 개방(OPEN) 시켜 발생되는 해수의 수두차(differential head)를 통해 침수구역의 해수를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 및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맨홀 및 도어를 개방시켜 형성되는 홀을 통해 침수구역의 해수를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을 통해 침수구역의 해수를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설비된 배관라인을 이용하는 경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배관라인이 원격으로 통제가 가능한 경우에는 배관라인 상의 수두차를 이용하게 되는데, 단순히 배관라인의 밸브를 개방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수두차에 의해 침수구역의 해수가 건조구역으로 배수될 수 있다.
또는, 배관라인이 없는 경우에는 침수구역의 맨홀 또는 도어를 부분 개방시킴으로써 침수구역의 해수가 건조구역으로 배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일 실시예에서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휴대용 펌프(portable pump)로부터 연장되는 펌프 호스를 침수구역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데, 이때 만약 선박인 경우에는 종경사 및 횡경사를 고려하여 도 3에서의 2, 3, 5, 6 영역에 위치하는 수밀구역에 각각 한대 이상의 휴대용 펌프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만약 수두차가 너무 커서 펌프의 배출량 효율이 감소되는 경우에는 침수구역의 측면부에 추가 배수홀을 추가적으로 천공하여 침수구역과 건조구역 간의 해수의 수두차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침수구역에 대한 배수가 완료된 후 건조구역에 채워진 해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단계(S104)는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펌프 혹은 휴대용 펌프를 이용하여 건조구역에 채워진 해수를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외부로 배수시키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앞서 설명한 침수구역 내의 해수를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와 함께 지속적으로 수행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내의 해수가 외부로 지속적으로 배출되면서도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부력 증가에 의한 중심안정성이 유지되게 된다.
다음으로, 배수가 완료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부양하는 단계(S105)에서는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선박 자동제어 시스템(IAS)를 이용하여,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부터 배수되는 해수의 배수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또한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펌프를 이용하여 침수구역에 대한 해수의 배수작업을 추가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있는 탱크가 탑재되는 선박 혹은 해양 구조물의 경우에는 대부분 선박 자동제어 시스템(IAS)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침몰된 선박 혹은 해양 구조물의 선박 자동제어 시스템(IAS)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이를 활용하여 침수구역의 대략적인 위치 및 침수량 등과 같은 침수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부양시에는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선박 자동제어 시스템(IAS)를 활용하여 실제 배수되는 양과 배수측정되는 양을 비교하여 IAS 정보의 오차를 줄이고 실제 배수 유무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게 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부양 작업 시에는 부양 작업현장의 외부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펌프의 배수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외측부에 하나 이상의 임시 흘수표(draft mark)를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부양 중 흘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선수미 혹은 좌우현에 임시 흘수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이 침수된 위치의 지반에 형성된 해저 점착력을 산출 및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해저 점착력의 판단이 필요한 이유는, 선박 혹은 해양 구조물이 플로팅 상태(부력과 중력이 동일해지는 시점)에 진입하는 시점에서 해당 수역 해저지반의 점착력이 선박 혹은 해양 구조물의 거동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데, 해저 점착력이 강한 지반일 경우 플로팅 상태가 되는 시점을 조절하여 갑작스런 거동을 예방하여야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경하중량(lightweight)을 선 산출하고, 침수구역에 대한 배수가 완료된 후의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경하중량을 재산출하게 된다. 예컨데, 배수 예정인 구역은 구난용 경하중량으로 고려하지 않으나, 배수가 불가능한 구역에 충수된 해수는 구난용 경하중량으로 고려하게 된다. 또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이 정상적으로 운상 시에는 각 구역의 수밀성(water tightness)가 확보될 수 있지만,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경우 맨홀 혹은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는 수밀성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침수구역으로 별도로 고려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해양 구조물
2: 선박

Claims (12)

  1.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다수 개의 수밀구역(watertight segregation)으로 선정 및 구획하되, 선박이 침수된 경우에는 부양 시 종경사(trim) 및 횡경사(heel)를 조정하기 위한 트림 및 힐 구역을 먼저 선정한 후 상기 트림 및 힐 구역을 수밀구역으로 선정 및 구획하고, 해양 구조물이 침수된 경우에는 각각의 수밀구역 내에서의 해수가 갇히지 않고 자유롭게 흐르도록 각각의 수밀구역 내에 위치되는 맨홀(man hole) 및 도어(door)를 개방시켜 각각의 수밀구역 내의 경계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펌프를 통해 상기 다수 개의 수밀구역 중 코너(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중앙부로부터 원거리 떨어진 끝단부)에 해당하는 수밀구역을 건조구역(dry space)으로 만드는 단계;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펌프를 통해,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중앙부에 위치한 침수구역의 해수를 상기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
    상기 침수구역에 대한 배수가 완료된 후 상기 건조구역에 채워진 해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단계; 및
    배수가 완료된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부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구역의 해수를 상기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는,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배관라인의 밸브를 개방(OPEN)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해수의 수두차(differential head)를 통해 상기 침수구역의 해수를 상기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맨홀 및 도어를 개방시킴에 따라 형성되는 홀을 통해 상기 침수구역의 해수를 상기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부양하는 단계는,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부양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선박 자동제어 시스템(IAS)을 이용하여,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부터 배수되는 해수의 배수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을 부양하는 단계는,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침수구역에 대한 해수의 배수작업을 추가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이 침수된 위치의 지반에 형성된 해저 점착력을 산출 및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구역의 해수를 상기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는,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휴대용 펌프(portable pump)로부터 연장되는 펌프 호스를 상기 침수구역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구역의 해수를 상기 건조구역으로 배수시키는 단계는,
    상기 침수구역의 측면부에 추가 배수홀을 천공하여 상기 침수구역 및 상기 건조구역 간의 해수의 수두차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외측부에 하나 이상의 임시 흘수표(draft mark)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경하중량(lightweight)을 선 산출하고, 상기 침수구역에 대한 배수가 완료된 후의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경하중량을 재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수밀구역으로 선정되지 않은 영역에 대한 추가 침수구역을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선박 자동제어 시스템(IAS)을 통해 상기 침수구역에 대한 위치 및 침수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KR1020170103820A 2017-08-16 2017-08-16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KR102338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820A KR102338441B1 (ko) 2017-08-16 2017-08-16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820A KR102338441B1 (ko) 2017-08-16 2017-08-16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80A KR20190018980A (ko) 2019-02-26
KR102338441B1 true KR102338441B1 (ko) 2021-12-09

Family

ID=6556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820A KR102338441B1 (ko) 2017-08-16 2017-08-16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4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752Y1 (ko) 2000-04-07 2000-09-15 이규진 선박의 부양 추진장치
KR101261868B1 (ko) * 2011-07-06 2013-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비상배수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24114B1 (ko) * 2011-11-25 2013-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수 펌프를 이용한 선박 감속 장치 및 방법
KR20150096355A (ko) * 2015-07-03 2015-08-24 주식회사 서준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80A (ko)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888B1 (ko) 선박의 능동적 및 수동적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US2248051A (en) Offshore drilling rig
US53854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ment of oil and other pollutants
US2699042A (en) Portable marine foundation for drilling rigs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175985B1 (ko) 조난선용 구조선박, 선박 구조 방법, 및 구조선박의사용방법
CN103603364A (zh) 深水用吸力式重力基础及其深水安装装置和深水安装方法
KR102338441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KR100952910B1 (ko) 부양식 수문 독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US3186180A (en) Offshore well drilling and oil storage platform
NO337402B1 (no) Et flytende skrog med stabilisatorparti
JPS5837449B2 (ja) カイテイセキユサイクツヨウサクセイキ
KR102376885B1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RU2719650C1 (ru)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амоподъемной плавучей буровой установки
KR101399605B1 (ko)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
KR101654608B1 (ko) 반잠수식 리그 및 반잠수식 리그의 경사시험 방법
KR100528315B1 (ko) 부유식 반잠수형 시추 플랫폼을 수리하는 방법
KR20090085233A (ko)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CN101768968A (zh) 潜水桩机
KR101785519B1 (ko) 해양 구조물
KR101029653B1 (ko)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도크게이트 개폐방법 및 그도크게이트
KR20150119308A (ko)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50502B1 (ko) 반잠수식 리그선의 종방향 경사시험 방법
JPS6349595A (ja) 簡易浮きドツク
RU2529244C1 (ru) Способ умерения бортовой качки судна посредством пассивного успокоителя бортовой качки и пассивный успокоитель бортовой качки судна
CN215761499U (zh) 一种吸力筒小水线面型海上钻探基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