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355A -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 - Google Patents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355A
KR20150096355A KR1020150095585A KR20150095585A KR20150096355A KR 20150096355 A KR20150096355 A KR 20150096355A KR 1020150095585 A KR1020150095585 A KR 1020150095585A KR 20150095585 A KR20150095585 A KR 20150095585A KR 20150096355 A KR20150096355 A KR 20150096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ge
ship
line
lifting
sun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준
Priority to KR1020150095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6355A/ko
Publication of KR20150096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 B63C7/04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using ponto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16Apparatus engaging vessels or objects
    • B63C7/22Apparatus engaging vessels or objects using electromagnets or s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8Refloating stranded vessels
    • B63B2738/08
    • B63B2738/10

Abstract

본 발명은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결합할 수 있는 바지선과; 침몰선 인양작업시 상기 바지선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바지선 밀착형 크레인과; 각각의 크레인의 일측 바지선에 천공된 천공홀과;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천공홀을 통하여 침몰선까지 하강시킬 수 있는 견인줄과; 견인줄 일단에 부착되어 있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에 결속되는 고정결속부로; 구성되어 있어, 침몰선에 상기 견인줄을 하강하여 고정결속부를 대형 침몰선에 견고하게 결속시킨 후 인양할 수 있는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sunken vessel salving apparatus and salving method}
본 발명은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결합할 수 있는 바지선과; 침몰선 인양작업시 상기 바지선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바지선 밀착형 크레인과; 각각의 크레인의 일측 바지선에 천공된 천공홀과;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천공홀을 통하여 침몰선까지 하강시킬 수 있는 견인줄과; 견인줄 일단에 부착되어 있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에 결속되는 고정결속부로; 구성되어 있어, 침몰선에 상기 견인줄을 하강하여 고정결속부를 대형 침몰선에 견고하게 결속시킨 후 인양할 수 있는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반도 국가로서 어업 활동과 해상 교통 수단이 발달하였다. 하지만 해상 교통이 활발해지고 어업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해상 선박 침몰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침몰선의 연료 유출에 의한 해양 오염 발생으로 해양 생태계가 파괴될 우려가 있고, 침몰된 선박의 선체가 해저 암초로 작용하여 추가 선박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침몰 사고 후 단기간 내에 인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침몰선을 인양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인양선의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양와이어를 침몰선에 체결하고 크레인의 붕대를 들어올려 무거운 하중을 인양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크레인 붕대 상단으로 무게가 집중되므로 무게 하중 한계점과 균형유지의 확보가 제한되어 있어 대형 침몰선을 인양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침몰선 인양을 위해 다수의 크레인 등의 대형 바지선이 사용되어야 하며, 침몰선 인양을 위한 많은 사전 준비 작업이 필요하므로 많은 비용의 소요되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에 대하여, 출원번호 제10-2006-0118936호 부력을 이용한 선박인양기구에서는 부구튜브가 삽결된 선박인양기구를 침몰선에 체결하여 부구튜브의 부력에 의해 침몰선을 인양할 수 있는 부력을 이용한 선박인양기구에 관하여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존 발명은 침몰선의 자중이 클 경우 부구튜브에 의해 발생하는 부력으로만 침몰선을 인양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침몰선 인양시 침몰선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인양 중 침몰선이 균형을 잃고 선박인양기구에서 이탈하여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지선 상면에 다수기의 바지선 밀착형 크레인을 설치하고, 크레인에서 인출되는 견인줄을 침몰선에 결속시킴으로써 인양에 소요되는 힘의 효율적인 분배 및 균형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침몰선의 중량 또는 크기에 따라, 다수기의 바지선이 상호 결합될 수 있어 인양에 필요한 힘의 균형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지선의 균형을 맞출 수 있으며 바지선의 중량을 상쇄할 수 있는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침몰선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일측의 결합프레임 및 타측의 결합홈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되는 바지선과; 상기 바지선 상면에 밀착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견인줄이 인출되는 크레인부와; 바지선 저면에 설치되어 바지선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수평수가 채워질 수 있는 균형유지체와; 바지선의 중량을 상쇄하고 침몰선 인양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바지선 저면에 설치될 수 있는 부력체 또는 하중체와; 견인줄 일단에 부착되어 있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에 결속되는 고정결속부로; 구성되어 있어, 침몰선에 상기 견인줄을 하강하여 고정결속부를 침몰선에 견고하게 결속시킨 후 인양할 수 있는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해양바지선은 수면 밖에서 물체를 들어올릴 때의 크레인 붕대 및 바지선 등의 중량한계점을 개선하여 중량이 큰 물체를 들어올릴 때, 기존의 방식보다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바지선의 저면에 부력체, 하중체 또는 균형유지체를 설치함으로써 바지선의 부력체 또는 하중체를 선택적으로 추가설치할 수 있어, 크레인의 균형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중심이 바지선 저면에 있으므로, 기존의 인양방법 대비 대형 침몰선을 인양하는데 바지선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크레인은 바지선 상면에 밀착되어 있어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바지선의 실내외에 설치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고, 평상시에는 바지선으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활용성이 개선되었다.
도 1은 침몰선 인양바지선에 대한 세부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침몰선 인양바지선의 실시도이다.
도 4는 침몰선 인양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지선(10)과; 침몰선(40) 인양작업시 상기 바지선(1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크레인(20)과; 각각의 크레인의 일측의 바지선을 관통하여 천공된 천공홀(13)과;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천공홀을 통하여 침몰선까지 하강시킬 수 있는 견인줄(21)과; 견인줄 일단에 부착되어 있는 고리부(22)와; 상기 고리부에 결속되는 고정결속부(23)로; 구성되어 있어, 침몰선에 상기 견인줄을 하강하여 고정결속부를 침몰선에 견고하게 결속시킨 후 인양할 수 있는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지선(10)은 그 일측의 결합프레임(12)과; 타측의 결합홈(11)과; 크레인의 견인줄(21)이 하강할 수 있도록 바지선에 천공되어 있는 천공홀(13)과; 바지선 저면에 설치되어 바지선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수평수가 채워질 수 있는 균형유지체(14)와; 바지선의 중량을 상쇄하고 침몰선 인양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바지선 저면에 성형되어 있는 결합레일(15)과; 상기 결합레일에 설치될 수 있는 부력체 또는 하중체(30)로; 구성되어 있어, 결합프레임과 결합홈을 이용하여 다수기의 바지선을 상호 결합시키고 바지선 상면의 나사체결홈(16)에 나사부(50)를 체결하여, 바지선의 결합을 견고하게할 수 있으며, 수평수가 채워질 수 있는 균형유지체(14) 및 결합레일에 선택적으로 결합된 부력체 또는 하중체를 이용하여 침몰선 인양시 바지선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크레인은 바지선 상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일측에 천공홀(13)이 구비되어 있어, 천공홀을 통하여 견인줄을 하강 시킬 수 있으며, 견인줄 일단에 부착되어 있는 고리부(22)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 및 형태를 구비한 고정결속부(23)를 상기 고리부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고정결속부는 침몰선의 개구부 또는 걸림턱에 체결됨으로써 침몰선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침몰선(40)에 개구부 또는 걸림턱의 미형성 시 고리부에 자성체를 체결하여, 체결된 자성체를 침몰선의 선체에 부착함으로써 침몰선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자성체는 인양시 강한 자성에 의해 자성체(2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성체삽결부(25a)가 구비된 철제케이스에 삽결되어 침몰선의 선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자성체가 삽결되는 철재케이스의 외부면은 높은 마찰도를 가질 수 있도록 성형되어 있어 침몰선 인양 시 수직력에 의해 침몰선 선체로부터 철재케이스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철재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된 자성체체결고리에 의해 인양고리에서 이탈 없이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는 봉형 고리부(도시) 또는 면형 고리부(미도시)일 수 있다.
실시 예로는,
상기 인양바지선을 이용하여, 아래의 단계로 침몰선을 인양할 수 있다.
침몰선인양방법에 있어서,
바지선 결합단계(S1a)와;
내부물체유출방지단계(S1)와;
견인줄고정단계(S2)와;
고정결속부부착단계(S3)
수압측정기설치단계(S4)와;
견인줄 결속단계(S5)와;
바지선분리단계(S6)와;
견인줄추가고정단계(S7)와;
균형조절단계(S8)와
파손부위보수단계(S9)와;
배수단계(S10)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바지선 결합단계(S1a)에서는, 침몰선 1기에 대해 인양작업시, 바지선 2기를 각각의 바지선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프레임 및 결합홈을 이용하여 합체하는 단계이며,
내부물체유출방지단계(S1)에서는 침몰선의 개구부를 밀폐하여 침몰선 내부의 물품이 침몰선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이며,
견인줄고정단계(S2)는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되는 견인줄의 고리부 및 고리부에 체결되는 고정결속부를 침몰선의 개구부, 걸림턱 또는 선체에 부착하여 침몰선을 인양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몰선의 넘어진 쪽에 상기 고정결속부 및 고리부를 고정부착하는 단계이며,
고정결속부부착단계(S3)는 침몰선의 노출된 바닥면에 인양을 위한 고정결속부를 부착하는 단계이며,
수압측정기설치단계(S4)는 침몰선의 동일평면상의 2 내지 4곳에 수압측정기를 설치함으로써 침몰선의 수심을 측정하고 기울어짐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단계이며,
견인줄결속단계(S5)는 침몰선에 부착된 고리부 및 고정결속부와 결합된 견인줄을 바지선 상면에 밀착 설치된 크레인을 가동하여 침몰선을 직립시키는 단계이며,
바지선분리단계(S6)는 바지선 저면에 설치된 부력체 또는 하중체를 추가삽입 혹은 분리함으로써 합체된 2기의 바지선을 분리하는 단계이며,
견인줄추가고정단계(S7)는 침몰선의 넘어진 쪽 타측에 부착된 고정결속부에 견인줄을 연결하는 단계이며,
균형조절단계(S8)는 침몰선의 하중에 적합하게 바지선 저면에 형성된 결합레일에 하중체와 부력체를 추가 또는 분리하여 바지선간 균형을 조절하는 단계이며,
파손부위보수단계(S9)는 침몰선의 파손부위를 보수하여 침몰선의 기능을 일정 회복시키는 단계이며,
배수단계(S10)는 침몰선으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단계이다.
또한, 침몰선을 수중에서 항만으로 이동시,
바지선결합단계(S1a)와;내부물체유출방지단계(S1)와;견인줄고정단계(S2)와; 고정결속부부착단계(S3)와; 수압측정기설치단계(S4)와;견인줄 결속단계(S5)와;견인줄추가고정단계(S7)와; 균형조절단계(S8)와;배수단계(S10)를; 거쳐 침몰선을 인양할 수 있다.
부력체 물을 주입하면 하중체의 역할을 하며 배수하면 부력체의 역할을 하여 기능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상기 단계는 전복된 침몰선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하나, 침몰형태와 침몰선의 종류에 따라서 공정일부를 선택 적용 가능하다.
10. 바지선
11. 결합홈
12. 결합프레임
13. 천공홀
14. 균형유지체
15. 결합레일
16. 나사체결홈
20. 크레인
21. 견인줄
22. 고리부
23. 고정결속부
24. 자성체
25. 철제케이스
25a. 자성체삽결부
30. 부력체, 하중체
40. 침몰선
50. 나사부

Claims (6)

  1. 침몰선 인양바지선에 있어서,
    상호 결합 가능한 바지선과; 침몰선 인양작업시 상기 바지선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크레인과; 각각의 크레인의 일측의 바지선을 관통하여 천공된 천공홀과;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천공홀을 통하여 침몰선까지 하강시킬 수 있는 견인줄과; 견인줄 일단에 부착되어 있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에 결속되는 고정결속부로; 구성되어 있어, 침몰선에 상기 견인줄을 하강하여 고정결속부를 침몰선에 견고하게 결속시킨 후 인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바지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호 결합가능한 바지선은 바지선 일측의 결합프레임과; 바지선 타측의 결합홈을; 더 포함하여 다수의 바지선을 상호 결합하여 침몰선을 인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바지선.
  3. 제 1항에 있어서,
    바지선 저면에 설치되어 바지선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수평수가 채워질 수 있는 균형유지체와; 바지선의 중량을 상쇄하고 침몰선 인양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바지선 저면에 성형되어 있는 결합레일과; 상기 결합레일에 설치될 수 있는 부력체 또는 하중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바지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에 결속되는 고정결속부는 자성체와; 자성체삽결부구 형성된 철제케이스로; 구성되어 있어, 고리부에 철제케이스를 결속하여, 자성체를 침몰선의 선체에 부착함으로써 침몰선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바지선.
  5. 침몰선 인양바지선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에 있어서,
    침몰선 인양작업시, 바지선 2기를 각각의 바지선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프레임 및 결합홈을 이용하여 합체하는 바지선 결합단계(S1a)와;
    침몰선의 개구부를 밀폐하여 침몰선 내부의 물품이 침몰선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물체유출방지단계(S1)와;
    크레인으로부터 인출되는 견인줄의 고리부 및 고리부에 체결되는 고정결속부를 침몰선의 개구부, 걸림턱 또는 선체에 부착하여 침몰선을 인양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몰선의 넘어진 쪽에 상기 고정결속부 및 고리부를 고정부착하는 견인줄고정단계(S2)와;
    침몰선의 노출된 바닥면에 인양을 위한 고정결속부를 부착하는 고정결속부부착단계(S3)와;
    침몰선의 동일평면상의 4곳에 수압측정기를 설치함으로서 침몰선의 수심을 측정하고 기울어짐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압측정기설치단계(S4)와;
    침몰선에 부착된 고리부 및 고정결속부와 결합된 견인줄을 바지선 상면에 밀착 설치된 크레인을 가동하여 침몰선을 직립시키는 견인줄 결속단계(S5)와;
    침몰선의 넘어진쪽의 타측에 부착된 고정결속부에 고리부를 이용하여 견인줄을 연결하는 견인줄추가고정단계(S7)와;
    침몰선의 하중에 적합하게 바지선에 형성된 결합레일에 하중체와 부력체를 추가 또는 분리하여 바지선간 균형을 조절하는 균형조절단계(S8)와
    침몰선으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배수단계(S1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바지선을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견인줄결속단계와 견인줄추가고정단계 사이에, 바지선 저면에 설치된 부력체 또는 하중체를 추가삽입 혹은 분리함으로써 합체된 2기의 바지선을 분리하는 바지선분리단계(S6)와;
    균형조절단계와 배수단계사이에, 침몰선의 파손부위를 보수하여 침몰선의 기능을 일정 회복시키는 파손부위보수단계(S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 인양바지선을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
KR1020150095585A 2015-07-03 2015-07-03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 KR20150096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585A KR20150096355A (ko) 2015-07-03 2015-07-03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585A KR20150096355A (ko) 2015-07-03 2015-07-03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355A true KR20150096355A (ko) 2015-08-24

Family

ID=5405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585A KR20150096355A (ko) 2015-07-03 2015-07-03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63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5514A (zh) * 2017-12-08 2018-05-18 中国铁建港航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施工的打捞装置
KR20190018980A (ko) * 2017-08-16 2019-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980A (ko) * 2017-08-16 2019-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CN108045514A (zh) * 2017-12-08 2018-05-18 中国铁建港航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施工的打捞装置
CN108045514B (zh) * 2017-12-08 2023-10-20 中国铁建港航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施工的打捞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65616B (zh) 大直径水下输水管道浮运装置及方法
CN101881148B (zh) 一种导管架立管安装方法及其专用立管组件
CN110155262B (zh) 一种具有自安装功能的干树半潜式平台
CN103422483A (zh) 浅水导管架浮托安装的方法
BRPI1001222A2 (pt) União de estrutura de casco flutuante com estrutura de armação
US6354765B2 (en) Method of transporting and disposing of an offshore platform jacket
CN110185057B (zh) 一种用于海上风电单桩基础钢管桩起吊立桩的工装及施工方法
KR20150096355A (ko) 침몰선 인양바지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선 인양방법
CN102219047A (zh) 泥质海底水下锚系打捞装置与方法
JP2020117067A (ja) 船舶用の架台昇降装置
CN108377948A (zh) 防风浪漂浮装置及防风浪方法
CN103963931B (zh) 大型构件半潜式水上出运安装系统及施工方法
KR20170055631A (ko) 침몰 선박을 인양하는 방법
CN107150763A (zh) 一种船锚固定装置
KR101699056B1 (ko) 반잠수식 구난 인양선 및 이를 이용한 침몰 선체 인양공법
US20120027519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sealing and/or securing a borehole
CN103552655A (zh) 一种400吨起重铺管船托管架水上安装方法
WO2018000544A1 (zh) 无人船载管线维修方法
GB2475688A (en) An anchor having a number of floodable chambers
GB2222190A (en) Installing large, heavy structures on the sea bottom
PL232649B1 (pl) Sposób instalowania w morzu platformy pływającej typu TLP pod elektrownie wiatrowe
JP2014117980A (ja) 浮標の設置方法
KR101702432B1 (ko) 침몰된 선체의 인양 장치
KR102653589B1 (ko) 대구경 강관으로 이루어진 해양 구조물 해체시 절단된 강관의 지지방법
CN109237124A (zh) 海底悬空管道治理用砂袋堆砌施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