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121B1 - 유회수기 - Google Patents

유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121B1
KR102261121B1 KR1020200177230A KR20200177230A KR102261121B1 KR 102261121 B1 KR102261121 B1 KR 102261121B1 KR 1020200177230 A KR1020200177230 A KR 1020200177230A KR 20200177230 A KR20200177230 A KR 20200177230A KR 102261121 B1 KR102261121 B1 KR 102261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ank
cover
seawater
water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재
Original Assignee
우현선박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현선박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현선박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7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5Separating means for recovering oil floating on a surface of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8Oil collectors moved over the water skimming the wate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또는 하천에 유출된 오일의 회수 작업시 자세 제어가 가능한 유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대향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격실을 갖는 한 쌍의 탱크와, 한 쌍의 탱크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커버와, 커버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커버의 공간부로 오일을 안내하는 오일 회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회수기{OIL RECOVERY APPARATUS}
본 발명은 유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 또는 하천에 유출된 오일의 회수 작업시 자세 제어가 가능한 유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달로 인해 오일(Oil) 소비량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오일을 수송하는 과정에서 유조선이나 유조차의 전복 사고 등으로 인하여 해상 또는 하천으로 오일이 유출되는 오일 유출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오일 유출사고는 해상 또는 하천에서 다량의 오일이 한꺼번에 배출되어 급속하게 넓은 지역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에 심각한 환경 오염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해상 또는 하천으로 유출된 유출유는 정화에 수달에서 수년이 걸린다고는 하나, 실제적으로 바다 속 오일을 완전히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수십년이 지나도 쉽게 정화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해상 또는 하천에서의 오일 유출은 오랜 기간동안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므로, 오일이 유출됨과 동시에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해상 또는 하천에서 유출된 오일을 제거하는 방법은 먼저 오일 펜스(oil fence)로 유출된 오일이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한 후, 방제 작업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방제하는 방법으로는 수면에 막을 형성한 오일을 흡유제로 흡수하거나, 오일 흡착기로 표면에 떠 있는 오일을 걷어내는 물리적 처리 방법, 일종의 액체 세제인 오일 처리제를 뿌려 오일을 작은 방울로 나누어 물과 오일이 섞인 덩어리가 해저에 가라앉지 않도록 하는 화학적 방법 및 해상의 미생물들이 오일 성분을 분해하도록 하는 생물학적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오일 유출이 발생하여 주변에 퍼진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후속 처리의 사용에 적합한 것으로서, 오일 유출 발생 즉시 선박으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을 빠른 속도로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기름 유출이 주변으로 퍼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즉각적인 대응 조치로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해양 또는 하천에서 오일 유출 발생 즉시 능동적인 초기 대응을 통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유회수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발 상황에서 과다 유입되는 해수가 오일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회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전후 또는 좌우 밸런스를 유지함으로써 오일 회수 효율을 높이는 한편, 전복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유회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대향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격실을 갖는 한 쌍의 탱크; 상기 한 쌍의 탱크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공간부로 오일을 안내하는 오일 회수부를 포함하는 유회수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탱크 사이에 해수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입구에 유수분리막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탱크는, 상기 커버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구획 형성되며 오일과 해수가 분리되는 유수분리실과, 상기 유수분리실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며 해수가 저장되는 제1 밸러스트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탱크는, 상기 유수분리실에서 분리된 오일이 유입되도록 구획 형성되는 제1 오일탱크와, 상기 제1 오일탱크와 오버플로우관에 의해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오일탱크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는 제2 오일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탱크는, 상기 제1 밸러스트탱크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며 공기압에 의해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개폐하는 압축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탱크는, 상기 압축실과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튜브 연결관과, 상기 압축실의 공기압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개폐하는 신축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탱크는, 상기 제1 밸러스트탱크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는 제2 밸러스트탱크와, 상기 제1 밸러스트탱크의 내부에 상기 커버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공기튜브와, 상기 제1 밸러스트탱크와 상기 제2 밸러스트탱크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공기튜브의 용적은 상기 제1 오일탱크의 최대 용적과 동일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상기 제2 오일탱크로 유입되는 오일량과 상기 배수관을 통해 상기 제2 밸러스트탱크에서 배출되는 해수량이 대응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탱크는, 상기 제2 오일탱크와 상기 제2 밸러스트탱크를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공기연통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유로를 가로질러 상기 한 쌍의 탱크의 오일탱크를 연통하는 분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오일 회수부는, 상기 커버의 전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밸러스트탱크의 해수 배출을 위한 펌프 작동을 제어하는 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탱크는, 상기 제1 오일탱크 또는 상기 제2 오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밸러스트탱크의 해수 배출을 위한 펌프 작동을 제어하는 수위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회수기에 의하면, 본체의 전후 또는 좌우 밸런스를 유지함으로써, 기상 악화로 인해 높은 파도 또는 파랑이 일더라도 그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오일을 안정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회수기에 의하면, 오일과 해수를 분리하는 유수분리막을 2단계로 형성함으로써 최상의 정제오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회수기는 선박 또는 모든 해양 시설물에 비치 가능하여 그 사용에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가격이 저렴한 보급형으로 보급될 수 있으며, 선박 또는 해양 시설물의 위치 또는 방향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탱크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커버 사시도.
도 7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도 7의 탱크 확대도.
도 10과 도 11은 유수분리실과 제1, 제2 오일탱크의 외측에 격벽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평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A-A"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B-B" 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C-C" 단면도.
도 16은 도 12의 "D-D"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100)는 본체(200)와, 본체(200)의 전단부(도면상 우측)에 구비되는 오일 회수부(600)와, 본체(200)의 전단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오일 붐(7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200)는 해수(또는 하천수, 이하 같음)로부터 오일을 분리, 정제한 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오일 회수부(600)는 해상(또는 하천, 이하 같음)의 수면에 오일막을 형성한 유출 오일을 본체(200) 내부로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한 쌍의 오일 붐(700)은 부력을 갖는 것으로, 선박 견인 또는 자체 추진에 의한 본체(200)의 전진시 오일의 확산을 방지하는 한편, 오일을 본체(200) 쪽으로 안내해서 모으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오일 붐(700)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오일 붐을 가로질러 스워시 네트(swash net)(710)가 설치된다. 이 스워시 네트(710)는 오일 붐(7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오일 붐(700) 사이로 유입된 오일막이 출렁거리지 않도록 파랑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스워시 네트(710)는 한 쌍의 오일 붐(700)이 파랑에 의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스워시 네트(710)는 해수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거나, 해수면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200)는 한 쌍의 탱크(300)와, 한 쌍의 탱크(3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500)를 포함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탱크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310) 위에 본체(20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한 쌍의 탱크(300)가 대향토록 형성된다.
한 쌍의 탱크(300) 사이에는 해수가 통과하도록 유로(210)가 형성되며, 유로(210)의 전방 입구에는 제1 유수분리막(220)이 설치된다. 본체(200) 전진시 해수는 제1 유수분리막(220)을 통과하여 유로(210)를 따라 흐르게 되며, 해수 표면의 오일은 제1 유수분리막(220)에 걸려서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때, 제1 유수분리막(220)에 걸린 오일이 제1 유수분리막(220)을 타고 유로(210)의 상측으로 올라가도록, 제1 유수분리막(220)은 상단이 후방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유로(210)와 한 쌍의 탱크(300)의 상측을 덮도록 덮개판(320)이 결합되며, 유로(210)의 상측으로 유도된 오일과 해수가 탱크(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탱크(300)의 상측면, 즉 덮개판(320)에 제1 유입구(330)가 관통 형성된다. 또한, 탱크(300)의 양측 하단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며 해수의 유출입이 자유로운 씨체스트(sea chest)(340)가 관통 형성된다.
한 쌍의 탱크(300)의 상측을 덮도록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커버(500)가 덮개판(320) 위에 결합되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커버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0)의 전단부에는 후술하는 오일 회수부(600)의 설치를 위한 장착홈(501)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커버(50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벽에 의해 복수 개의 격실로 구획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장착홈(501)의 양측에 제1 커버격실(510)이 각각 구획 형성된다.
또한, 장착홈(501)의 후단에는 오일 회수부(600)에 의해 회수된 오일과 해수가 유입되는 제2 커버격실(520)이 장착홈(501)과 연통하도록 구획 형성된다.
제2 커버격실(520)의 양측에는 제2 유입구(521)를 통해 제2 커버격실(520)과 연통하는 제3 커버격실(530)이 구획 형성되며, 제3 커버격실(530)의 바닥면에는 전술한 탱크(300)의 제1 유입구(330)와 연통하도록 제3 유입구(531)가 관통 형성된다.
즉, 오일 회수부(600)를 통해 제2 커버격실(520)로 유입된 오일과 해수는, 제2 유입구(521)를 통해 제3 커버격실(530)로 유입된 후, 제3 커버격실(530) 바닥면의 제3 유입구(531)와 탱크(300)의 제1 유입구(330)를 차례로 통과하여 탱크(300) 내부로 흘러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3 커버격실(530)의 외측에는 제1 관통홀(541)을 통해 제1 커버격실(510)과 연통하는 제4 커버격실(540)이 구획 형성된다.
상술한 제1 내지 제4 커버격실(510~540)은 커버(500)의 전단부에 구획 형성되며, 커버(500)의 후단부에는 제2 관통홀(542)을 통해 제4 커버격실(540)과 연통하는 제5 커버격실(550)이 구획 형성된다. 제5 커버격실(550)의 내측면에는 폭 방향과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보강리브(55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5 커버격실(550)은 제5 커버격실(550)의 격벽에 관통 형성되는 제3 관통홀(552)과 제1 커버격실(510)의 격벽에 관통 형성되는 제4 관통홀(511)을 통해 제1 커버격실(510)과 연통한다.
도 7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과 도 9는 도 7의 탱크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300)의 전단부 즉, 유로(210)의 입구 양측에 제1-1 밸러스트탱크(410)가 구획 형성된다. 이때, 제1-1 밸러스트탱크(410)는 전술한 커버(500)의 제1 커버격실(510)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1 밸러스트탱크(410)에는 커버(500)의 공간부와 연통하는 흡기구(411)를 가진 공기튜브(412)가 설치된다.
제1-1 밸러스트탱크(410)의 후방에는 제1 유입구(330)와 연통하여 유수분리실(430)이 구획 형성된다. 유수분리실(430)은 전술한 커버(500)의 제3 커버격실(530)과 상하방향으로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유수분리실(430)은 오일과 해수의 분리를 위한 것으로, 유수분리실(430)의 바닥면에는 제2 유수분리막(431)이 설치되며, 제2 유수분리막(431)을 통과하여 분리된 해수는 유수분리실(430)의 하부에 구획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1 오일탱크(44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제1 탱크격실(450)로 유입된다.
유수분리실(430)의 후방에는 제5 관통홀(432)을 통해 유수분리실(430)과 연통하는 제1 오일탱크(440)가 구획 형성되며, 제1 오일탱크(440)의 후방에는 제6 관통홀(441)에 결합되는 오버플로우관(442, 도 13 참조)을 통해 제1 오일탱크(440)와 연통하는 제2 오일탱크(460)가 구획 형성된다.
도 10과 도 11은 유수분리실과 제1, 제2 오일탱크의 외측에 격벽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수분리실(430)의 외측에 제1-2 밸러스트탱크(420)가 구획 형성된다. 제1-2 밸러스트탱크(420)은 제7 관통홀(421)을 통해 제1-1 밸러스트탱크(410)와 연통하며, 제1-1 밸러스트탱크(410)와 함께 제1 밸러스트탱크(400)를 이루게 된다.
제1-2 밸러스트탱크(420)의 일측에는 씨체스트(340)와 연통하는 제2 탱크격실(470)이 구획 형성된다.
또한, 제1 오일탱크(440)의 외측에는 제8 관통홀(481, 도 11 참조)을 통해 내측의 제1 탱크격실(450)과 연통하도록, 제1-2 밸러스트탱크(420)의 후방에 압축실(480)이 구획 형성되며, 압축실(480)의 후방에는 제2 밸러스트탱크(490)가 구획 형성된다.
이때, 제2 탱크격실(470)과 제2 밸러스트탱크(490) 사이에 해수흡입관(471)이 설치되며, 제1-2 밸러스트탱크(420)와 제2 탱크격실(470) 사이에 해수배출관(472)이 설치된다. 또한, 제2 밸러스트탱크(490)와 제1-2 밸러스트탱크(420) 사이에 배수관(491)이 설치되며, 압축실(480)과 제2 탱크격실(470) 사이에도 연결관(473)이 설치된다. 제2 오일탱크(460)에는 정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일배출관(461)이 설치된다.
한편, 제1 오일탱크(440)와 압축실(480)을 구획하는 격벽의 상단에 압축실(480)과 오버플로우관(442)을 연통하도록 튜브 연결관(482)이 설치되며, 튜브 연결관(482)에는 압축실(480)의 공기압에 따라 팽창하는 신축튜브(483, 도 13 참조)가 설치된다.
이 신축튜브(483)는 해수가 오버플로우관(442)을 통해 제1 오일탱크(440)에서 제2 오일탱크(4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신축튜브(483)의 팽창시 오버플로우관(442)을 폐쇄하여 제1 오일탱크(440)로부터 제2 오일탱크(460)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평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12의 "B-B"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2의 "C-C"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수분리실(430)로 유입된 오일과 해수는 제2 유수분리막(431)에 의해 분리되며, 이때 해수는 유수분리실(430) 하부의 제1 탱크격실(450)로 내려가고, 오일은 제5 관통홀(432)을 통해 제1 오일탱크(440)로 유입된다.
제1 오일탱크(440)와 제2 오일탱크(460)는 오버플로우관(442)에 의해 연통하며, 이에 따라 제1 오일탱크(440)에 저장되는 오일이 일정 수위(이하, '오버플로우 라인')를 넘어서면 오버플로우관(442)을 통해 제1 오일탱크(440)의 오일이 제2 오일탱크(460)로 유입된다.
그런데, 돌발 상황에서 유수분리실(430)로 다량의 해수가 과다 유입되는 경우, 제1 오일탱크(440)로 유입된 해수가 오버플로우관(442)을 통해 제2 오일탱크(460)로 넘어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축실(480)과 오버플로우관(442)을 연통하도록 튜브 연결관(482)이 설치되며, 튜브 연결관(482)에는 압축실(480)의 공기압에 따라 팽창하는 신축튜브(483)가 설치된다.
여기서, 유수분리실(430) 하부의 제1 탱크격실(450)이 제8 관통홀(481)을 통해 압축실(480)과 연통함에 따라, 해수의 과다 유입시 제1 오일탱크(440)에 채워지는 해수의 압력만큼 압축실(480)의 공기압이 높아진다. 이때, 압축실(480)의 공기압이 튜브 연결관(482)을 통해 신축튜브(483)로 전달되어 신축튜브(483)가 팽창하며, 팽창된 신축튜브(483)가 오버플로우관(442)을 막아서 폐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100)에 의하면, 돌발 상황에서 유수분리실(430)로 다량의 해수가 과다 유입되는 경우에도, 정제탱크인 제2 오일탱크(460)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100)에 의하면, 제1, 제2 밸러스트탱크(400,490)에 채워지는 해수량을 조절함으로써 본체(200)의 전후 무게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200)의 전후 무게 밸런스가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제1 오일탱크(440)에 오일 저장시, 제1 오일탱크(440)에 채워지는 오일의 무게만큼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쏠려 본체(200)가 앞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해수배출 펌프(미도시)를 작동시켜, 제1 오일탱크(440)에 채워지는 오일량만큼 해수배출관(472)을 통해 제1 밸러스트탱크(400)의 해수를 씨체스트(34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본체(200)의 전후 무게 밸런스를 조절하여 평형을 유지하게끔 할 수 있다.
제1 밸러스트탱크(400)에서 외부로 해수를 배출함에 따라 제1 밸러스트탱크(4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질 수 있는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411)를 통해 제1 밸러스트탱크(400)의 공기튜브(412)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제1 밸러스트탱크(400)의 내부 압력이 유지된다.
여기서 공기튜브(412)의 용적은 제1 오일탱크(440)의 최대 용적, 즉 제1 오일탱크(440)의 오버플로우 라인까지 오일이 채워졌을 때의 용적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제1 오일탱크(440)의 오일이 오버플로우 라인을 넘어 오버플로우관(442)을 통해 제2 오일탱크(460)로 넘어가면 공기튜브(412)에는 더이상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며, 제1 밸러스트탱크(400)에서 해수가 계속 배출됨에 따라 제1 밸러스트탱크(400)의 내부 압력이 내려가게 된다.
이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밸러스트탱크(400)와 제2 밸러스트탱크(490)를 연통하도록 배수관(491)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제1 밸러스트탱크(400)의 내부 압력 저하시 제2 밸러스트탱크(490)의 해수가 제1 밸러스트탱크(400)로 유입된다. 배수관(491)을 통해 제1 밸러스트탱크(400)로 유입된 해수는 제1 밸러스트탱크(400)의 내부 압력을 높이게 되며, 제1 밸러스트탱크(400)의 내부 압력이 제2 밸러스트탱크(490)와 평형을 이룰 때까지 배수관(491)을 통한 해수의 유입이 계속된다.
즉, 오버플로우관(442)을 통해 제1 오일탱크(440)에서 제2 오일탱크(460)로 넘어가는 오일의 양만큼, 배수관(491)을 통해 제2 밸러스트탱크(490)로부터 제1 밸러스트탱크(400)로 해수가 넘어와서, 본체(200)의 전후 무게 밸런스가 평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100)에 의하면, 유로(2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오일탱크(460)가 분배관(462, 도 16 참조)에 의해 연통됨에 따라, 본체(200)의 좌우 무게 밸런스가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도 12의 "D-D"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오일탱크(460)와 제2 밸러스트탱크(490) 사이의 격벽 상부에 제2 오일탱크(460)와 제2 밸러스트탱크(490)를 연통하는 공기연통관(463)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제2 오일탱크(460)와 제2 밸러스트탱크(490)의 내부 압력은 평형을 이룬다.
그런데, 본체(200)의 롤링(rolling)시 유로(210) 양측의 제2 오일탱크(460)에 각각 유입되는 오일량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유로(210) 양측의 제2 밸러스트탱크(490)에서는 상호 동일한 해수량을 배출함에 따라, 양쪽의 제2 오일탱크(460)는 내부 압력이 불균형을 이루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로(2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오일탱크(460)는, 유로(210)를 가로질러 양쪽 제2 오일탱크(46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분배관(462)에 의해 상호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210) 양측의 제2 오일탱크(460)의 내부 압력이 불균형을 이루는 경우, 분배관(462)을 따라 한쪽의 제2 오일탱크(460)에서 다른 쪽의 제2 오일탱크(460)로 오일이 이동하여 내부 압력의 평형을 이루게 되며, 이에 따라 본체(200)의 좌우 무게 밸런스가 평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커버(500)의 장착홈(501)에 복수 개의 날개(611)를 갖는 수차(6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수차(610)의 전방에 이격하여 부체(62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차(610)는 회전에 의해 오일을 제2 커버격실(52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수차(610)의 날개(611)는 유수분리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부체(620)는 제1 밸러스트탱크(400)의 해수 배출을 위한 펌프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수차(610)의 회전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부체(62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미도시)에 의해, 해수배출 펌프(미도시)와 수차(610)의 회전모터(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미도시)가 ON/OFF될 수 있다.
예컨대, 유로(210) 입구의 제1 유수분리막(220)에 모인 오일의 저항에 의해 본체(200)가 앞으로 기울면, 해수면에 떠 있는 부체(620)가 상대적으로 상승하면서 지지대가 스위치를 ON시키고, 해수배출 펌프가 작동하여 제1 밸러스트탱크(400)의 해수를 배출함으로써 본체(200)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100)에 의하면, 오일이 유수분리실(430)로 유입되기 전, 부체(620)의 상승시 미리 해수배출 펌프가 작동을 시작함으로써, 오일의 유입을 미리 예측하고 반응케 하여 신속하게 자세 제어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오일의 유입 없이 파도에 의해 부체(620)가 상승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제2 오일탱크(440,460)에 오일이 저장되지 않는데도 제1,제2 밸러스트탱크(400,490)에서 해수가 배출되어 본체(200)의 전후 무게 밸런스가 무너질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100)에 의하면, 제1 오일탱크(440) 또는 제2 오일탱크(460)의 수위를 감지하여 해수배출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위측정센서(800, 도 13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부체(620)의 상승이 있더라도, 수위측정센서(800)에서 감지되는 오일의 수위(제1 오일탱크(440)의 수위, 제1 오일탱크(440)의 수위가 오버플로우 라인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2 오일탱크(460)의 수위)에 변화가 없으면, 오일의 유입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수배출 펌프의 작동을 OFF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2 오일탱크(460)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대치에 도달하는 경우, 수위측정센서(800)는 이를 감지하여 더 이상의 오일 회수 작업을 중단하도록 스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유회수기 200 : 본체
210 : 유로 220 : 제1 유수분리막
300 : 탱크 340 : 씨체스트
400 : 제1 밸러스트탱크 430 : 유수분리실
440 : 제1 오일탱크 442 : 오버플로우관
450 : 제1 탱크격실 460 : 제2 오일탱크
470 : 제2 탱크격실 480 : 압축실
482 : 튜브 연결관 483 : 신축튜브
490 : 제2 밸러스트탱크 491 : 배수관
500 : 커버 510 : 제1 커버격실
520 : 제2 커버격실 530 : 제3 커버격실
540 : 제4 커버격실 550 : 제5 커버격실
600 : 오일 회수부 610 : 수차
611 : 날개 620 : 부체
700 : 오일 붐 800 : 수위측정센서

Claims (12)

  1.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대향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격실을 갖는 한 쌍의 탱크;
    상기 한 쌍의 탱크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공간부로 오일을 안내하는 오일 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는, 상기 커버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구획 형성되며 오일과 해수가 분리되는 유수분리실과, 상기 유수분리실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며 해수가 저장되는 제1 밸러스트탱크와, 상기 유수분리실에서 분리된 오일이 유입되도록 구획 형성되는 제1 오일탱크와, 상기 제1 오일탱크와 오버플로우관에 의해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오일탱크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는 제2 오일탱크와, 상기 제1 밸러스트탱크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며 공기압에 의해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개폐하는 압축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탱크 사이에 해수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입구에 유수분리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압축실과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튜브 연결관과, 상기 압축실의 공기압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개폐하는 신축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7.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대향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격실을 갖는 한 쌍의 탱크;
    상기 한 쌍의 탱크의 상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공간부로 오일을 안내하는 오일 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는, 상기 커버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구획 형성되며 오일과 해수가 분리되는 유수분리실과, 상기 유수분리실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며 해수가 저장되는 제1 밸러스트탱크와, 상기 제1 밸러스트탱크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는 제2 밸러스트탱크와, 상기 제1 밸러스트탱크의 내부에 상기 커버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공기튜브와, 상기 제1 밸러스트탱크와 상기 제2 밸러스트탱크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유수분리실에서 분리된 오일이 유입되도록 구획 형성되는 제1 오일탱크와, 상기 제1 오일탱크와 오버플로우관에 의해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오일탱크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는 제2 오일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튜브의 용적은 상기 제1 오일탱크의 최대 용적과 동일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상기 제2 오일탱크로 유입되는 오일량과, 상기 배수관을 통해 상기 제2 밸러스트탱크에서 배출되는 해수량이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유수분리실에서 분리된 오일이 유입되도록 구획 형성되는 제1 오일탱크와, 상기 제1 오일탱크와 오버플로우관에 의해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오일탱크의 일측에 구획 형성되는 제2 오일탱크와, 상기 제2 오일탱크와 상기 제2 밸러스트탱크를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공기연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로를 가로질러 상기 한 쌍의 탱크의 오일탱크를 연통하는 분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회수부는, 상기 커버의 전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밸러스트탱크의 해수 배출을 위한 펌프 작동을 제어하는 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제1 오일탱크 또는 상기 제2 오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밸러스트탱크의 해수 배출을 위한 펌프 작동을 제어하는 수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KR1020200177230A 2020-12-17 2020-12-17 유회수기 KR102261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30A KR102261121B1 (ko) 2020-12-17 2020-12-17 유회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230A KR102261121B1 (ko) 2020-12-17 2020-12-17 유회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121B1 true KR102261121B1 (ko) 2021-06-07

Family

ID=7637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230A KR102261121B1 (ko) 2020-12-17 2020-12-17 유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1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037B1 (ko) * 2012-02-01 2013-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도크
KR20150110085A (ko) * 2014-03-24 2015-10-02 대남환경 주식회사 해상 오일 방제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037B1 (ko) * 2012-02-01 2013-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도크
KR20150110085A (ko) * 2014-03-24 2015-10-02 대남환경 주식회사 해상 오일 방제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3348T3 (es) Separador de aceite-agua
KR0172451B1 (ko) 자동 스윙 어도장치
KR100830540B1 (ko) 하수관거 시스템의 저류조 세척장치
KR101390821B1 (ko)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KR101202889B1 (ko) 오일스키머
US20130118998A1 (en) Collector Apparatus
KR102328587B1 (ko) 유동적 유출 오일 회수 장치
KR102261121B1 (ko) 유회수기
KR200427026Y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KR20010019491A (ko) 수면에 유출된 기름 수거장치
KR100719496B1 (ko)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US4649579A (en) Swimming pool skimming weir
AU2013202087B2 (en) Skimmer Device
JP2640493B2 (ja) 自動起伏堰
KR102261123B1 (ko) 유출오일 회수장비
JP3101559U (ja) 油水分離装置
EP0024187A2 (en) System for collecting products dumped on the surface of a mass of water
JP2001327964A (ja) 油水分離装置
JP2740115B2 (ja) 浮遊油の回収装置
SE408072B (sv) Anordning for avskiljande av olja fran oljeskadat vatten
KR102338441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된 설비를 이용한 구난 방법
JPH0785762B2 (ja) 給油所用排水処理装置
KR20050028088A (ko) 부체(浮體)를 이용한 수위조절방법
JP6894609B2 (ja) 浮沈式フェンスおよび浮沈式フェンスシステム
SU60853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делени нефти из нефте-воздухо-вод ной смес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