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085A - 해상 오일 방제선 - Google Patents

해상 오일 방제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085A
KR20150110085A KR1020140033938A KR20140033938A KR20150110085A KR 20150110085 A KR20150110085 A KR 20150110085A KR 1020140033938 A KR1020140033938 A KR 1020140033938A KR 20140033938 A KR20140033938 A KR 20140033938A KR 20150110085 A KR20150110085 A KR 20150110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llection tank
tank
hull
gat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3285B1 (ko
Inventor
김장우
Original Assignee
대남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남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남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3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28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1Devices for distributing materials, e.g. absorbed or magnetic particles over a surface of open water to remove the oil, with or without means for picking up the treated 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E02B15/047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provided with an oil collecting boom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u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8Ej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서, 선체; 해상에 유출되어 부유되어 있는 오일과 해수의 오일혼합액을 유입시키는 메인 게이트 도어(main gate door)와, 상기 오일혼합액으로부터 해수와 오일로 분리시키는 파인 필터(fine filter)를 구비하며, 상기 선체의 선수부 측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는 제1 오일 수거탱크(oil collect tank); 상기 선체의 선미부 쪽을 향해 상기 제1 오일 수거탱크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오일 전달 파이프(oil transfer pipe)에 의해 상기 제1 오일 수거탱크 내의 오일이 수거되면서 저장되는 추가의 오일 수거탱크; 상기 제1 오일 수거탱크와 상기 추가의 오일 수거탱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선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상기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들 사이에 배치되는 오버 플로 탱크(over flow tank); 상기 메인 게이트 도어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램프(ramp); 상기 램프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오일혼합액을 상기 메인 게이트 도어로 유입시키는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 및 상기 선체의 양 사이드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고압의 워터를 분사하여 상기 해상에 부유되는 오일을 상기 선체의 선수부 측으로 모으는 다수의 워터 스프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상 오일 방제선{A SHIP FOR CLEANING OIL OF THE SEA}
본 발명은, 해상 오일 방제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으로 유출된 오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해상 오일 방제선에 관한 것이다.
각종 선박의 해난사고로 바다에 유출되어 해수 표면에 부유하는 유류, 즉 오일은 펜스와 유수 분리기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 보통이다.
즉 펜스를 설치하여 부유 오일이 더 이상 주변으로 번지지 못하게 한 다음 펜스 내의 부유 오일을 펌프로 흡입하여 유수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 제거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 방법의 경우, 펜스를 이용하여 유출된 오일을 일정 영역에서 가두었다 하더라도 파도 등에 의해 펜스 내의 오일이 펜스 바깥쪽으로 넘쳐 사방으로 번지게 됨으로써 능률적으로 오일을 제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근자에 들어서는 부유된 오일에 화학제를 살포한 후, 화학반응에 의해 오일을 응집 또는 융착시켜 해수 아래로 가라앉게 하는 방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의 경우, 유출된 오일의 량이 많을 때는 화학반응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깨끗이 제거되지 못하며, 오일 제거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화학제를 살포하는 방법의 경우, 이는 본질적으로 유출된 오일을 해상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수면 밑으로 가라앉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종국적으로는 해수의 오염을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해수의 오염이 야기되면 해상에서 양식업 등을 생업으로 하는 어민들에게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해상 자연환경을 보호하면서도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시급하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08422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7630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2756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5-003032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으로 유출된 오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해상 오일 방제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선체; 해상에 유출되어 부유되어 있는 오일과 해수의 오일혼합액을 유입시키는 메인 게이트 도어(main gate door)와, 상기 오일혼합액으로부터 해수와 오일로 분리시키는 파인 필터(fine filter)를 구비하며, 상기 선체의 선수부 측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는 제1 오일 수거탱크(oil collect tank); 상기 선체의 선미부 쪽을 향해 상기 제1 오일 수거탱크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오일 전달 파이프(oil transfer pipe)에 의해 상기 제1 오일 수거탱크 내의 오일이 수거되면서 저장되는 추가의 오일 수거탱크; 상기 제1 오일 수거탱크와 상기 추가의 오일 수거탱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선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상기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들 사이에 배치되는 오버 플로 탱크(over flow tank); 상기 메인 게이트 도어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램프(ramp); 상기 램프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오일혼합액을 상기 메인 게이트 도어로 유입시키는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 및 상기 선체의 양 사이드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고압의 워터를 분사하여 상기 해상에 부유되는 오일을 상기 선체의 선수부 측으로 모으는 다수의 워터 스프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오일 방제선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파인 필터는 상기 오일이 상기 제1 오일 수거탱크 내로 유입되는 방향에 교차되게 이격 간격을 두고 다층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오일 수거탱크에는 상기 파인 필터와 교차되게 배치되어 비중차에 의해 상기 오일을 분리하는 다수의 오일 분리판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오일 분리판은 상기 추가의 오일 수거탱크 쪽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인 필터와 상기 오일 분리판 사이의 제1 구역에는 미리 결정된 양만큼의 해수가 미리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유닛 지지대; 상기 유닛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보스 브래킷; 및 상기 보스 브래킷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해상의 오일을 상기 메인 게이트 도어 쪽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회전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오일 수거탱크는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이며, 상기 오일 전달 파이프에는 상기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에 대응되게 다수의 오일 전달 노즐이 마련되며, 상기 오일 전달 노즐들에는 각각 자동 개폐가 가능한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게이트 도어의 양 사이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다수의 사이드 게이트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사이드 게이트 도어들은 높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으로 유출된 오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의 화학반응에 의한 오일 제거 방식처럼 오일을 해상에 투기하지 않고서도 오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해양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양식업 등을 생업으로 하는 어민들에게 재산상의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오일 방제선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램프가 동작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해상 오일 방제선의 탱크 배치도이다.
도 4는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 워터 스프레이 유닛 및 오일 펜스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6은 워터 스프레이 유닛의 부분 구조도이다.
도 7은 제1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메인 게이트 도어와 사이드 게이트 도어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메인 게이트 도어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사이드 게이트 도어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해상 오일 방제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 오일 방제선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오일 방제선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 도 2는 도 1에서 램프가 동작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해상 오일 방제선의 탱크 배치도, 도 4는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 워터 스프레이 유닛 및 오일 펜스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의 평면 구조도, 도 6은 워터 스프레이 유닛의 부분 구조도, 도 7은 제1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의 구조도, 도 8은 메인 게이트 도어와 사이드 게이트 도어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메인 게이트 도어의 구조도, 도 10은 사이드 게이트 도어의 구조도, 그리고 도 11은 해상 오일 방제선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 오일 방제선은 해상에서 화물선이나 기타 다양한 해양 구조물로부터 벙커시유를 포함한 중질유를 비롯하여 경질유, 윤활유 등의 오일(이하, 오일이라 함) 유출에 대하여 적기에 현장에 파견되어 안전하고 신속하게 오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선체(110), 제1 오일 수거탱크(121, oil collect tank), 추가의 오일 수거탱크(122~125)로서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122~125), 제1 내지 제4 밸러스트 탱크(131~134, ballast tank), 오버 플로 탱크(140, over flow tank), 램프(160, ramp),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170), 다수의 워터 스프레이 유닛(180), 그리고 오일 펜스(191, oil fence)를 포함한다.
선체(110)는 통상의 선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선체(110)의 형상은 상선을 비롯하여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특수 작업선 등 어떠한 형상이 되어도 좋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 오일 방제선은 고정 구조물이 아니라 적기에 현장에 파견되어 안전하고 신속하게 오일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추진체로서의 프로펠러(112)와, 방향타로서 러더(1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펠러(112)와 러더(113)는 선체(110)의 선미부(110b)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선체(110)의 상부에는 데크(114)가 마련되고, 데크(114)의 상부에는 거주구(115)가 배치될 수 있다. 엔진룸은 거주구(115)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도 3을 참조하면, 선체(110)의 중앙 영역에는 선수부(110a)와 선미부(110b)를 잇는 방향에 대하여 중앙 영역에 제1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121~125, oil collect tank)가 마련된다.
선체(110)의 선수부(110a)에 배치되는 제1 오일 수거탱크(121)는 해상에 유출되어 부유되어 있는 오일과 해수의 오일혼합액이 유입되어 해수와 오일로 분리시키는 장소를 이루며, 그 뒤로 배치되는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122~125)는 제1 오일 수거탱크(121) 내에서 분리된 오일을 저장시킨다.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122~125)에 오일이 꽉 차면 선체(110) 내의 트랜스퍼 펌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타선이나 육상으로 이송시킨다.
제1 오일 수거탱크(121)에서 오일이 분리된 해수는 선체(110)의 선미부(110b) 쪽에 위치되는 슬러리 탱크(138, slurry tank)로 보내진다.
한편, 제1 오일 수거탱크(121)에는 해상에 유출되어 부유되어 있는 오일과 해수의 오일혼합액을 유입시키는 메인 게이트 도어(151, main gate door)가 마련된다.
메인 게이트 도어(151)는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제1 오일 수거탱크(12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비교적 많은 오일을 선체(110) 내로 유입시켜야 할 때, 오일의 유입 통로로 활용된다.
이러한 메인 게이트 도어(151)는 도 9의 (a)에 도시된 메인 스틸 도어(151a, main steel door)와, 도 9의 (b)에 도시된 서스 바아 스트레이너(151b, sus bar strainer)의 2중 도어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메인 게이트 도어(151)가 도 9처럼 메인 스틸 도어(151a) 및 서스 바아 스트레이너(151b)의 2중 도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의 형상에 제한될 수 없다.
메인 게이트 도어(151)를 열어 오일을 유입시킬 때, 오일과 함께 유입될 수 있는 해양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서스 바아 스트레이너(151b)에서 걸러질 수 있다. 그리고 해수와 오일은 제1 오일 수거탱크(121) 내의 파인 필터(152)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파인 필터(152, fine filter)의 구조는 다시 후술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오일의 유입량이 많을 때는 메인 게이트 도어(151)를 열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오일의 유입량이 적을 때는 메인 게이트 도어(151)를 닫고, 양 사이드에 설치된 다수의 제1 내지 제3 사이드 게이트 도어(158a~158c)를 이용하여 오일과 해수의 오일혼합액을 유입시킨 후, 해수와 오일을 분리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사이드 게이트 도어(158a~158c)는 메인 게이트 도어(151)와 달리, 도 10의 (a)에 도시된 사이드 스틸 도어(159a, side steel door)와, 도 10의 (b)에 도시된 홀 스트레이너(159b, hole strainer)와, 도 10의 (c)에 도시된 사이드 게이트 도어용 파인 필터(159c, fine filter)의 3중 도어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제1 내지 제3 사이드 게이트 도어(158a~158c)가 도 10처럼 사이드 스틸 도어(159a), 홀 스트레이너(159b) 및 사이드 게이트 도어용 파인 필터(159c)의 3중 도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의 형상에 제한될 수 없다.
한편, 1개 마련되는 메인 게이트 도어(151)와 달리 제1 내지 제3 사이드 게이트 도어(158a~158c)는 메인 게이트 도어(151)의 양측에서 배치되는데, 제1 내지 제3 사이드 게이트 도어(158a~158c)는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됨으로써 비중차에 의해 오일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사이드 게이트 도어(158a~158c)의 높이가 서로 약간씩 차이가 나도록 마련되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 사이드 게이트 도어(158a)에서 걸러내지 못한 오일은 제2 사이드 게이트 도어(158b)에서 걸러지도록 하고, 제2 사이드 게이트 도어(158b)에서 걸러내지 못한 오일은 제3 사이드 게이트 도어(158c)에서 걸러내어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내지 제3 사이드 게이트 도어(158a~158c)에서 분리된 오일은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122~125)로 이송되어 수거 및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로부터 분리된 해수는 오버 플로 탱크(14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제1 오일 수거탱크(121)의 구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제1 오일 수거탱크(121) 내에는 오일을 수거할 때, 해수와 혼합된 오일, 즉 오일혼합액으로부터 해수와 오일로 분리시키는 파인 필터(152, fine filter)가 마련된다.
파인 필터(152)는 오일혼합액이 제1 오일 수거탱크(121) 내로 유입되는 방향에 교차되게 이격 간격을 두고 다층으로 배치된다. 그래야 2중으로 오일을 걸려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파인 필터(152) 주변에는 파인 필터(152)와 교차되게 배치되어 비중차에 의해 오일을 다시 분리하는 제1 및 제2 오일 분리판(153,154)이 마련된다.
이때, 제1 및 제2 오일 분리판(153,154)은 제2 오일 수거탱크(122) 쪽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마련된다. 그리고 파인 필터(152)와 제1 오일 분리판(153) 사이의 제1 구역(155a)에는 미리 결정된 양만큼의 해수가 미리 충전된다.
이에 대해 부연한다. 제1 오일 수거탱크(121)의 제1 구역(155a)에 상시 해수를 1/3 정도 채워두는 것이 오일 분리에 좋다.
최초, 제1 구역(155a)으로 유입되면서 쏟아지는 오일혼합액은 파인 필터(152)를 거치면서 그 비중차에 의해 파인 필터(152)를 통과한 해수는 아래쪽으로 향하고, 오일은 부상되어 제1 오일 분리판(153)의 상부를 지나 제2 구역(155b)으로 넘어간다.
제2 구역(155b)에서도 일정량의 해수는 아래쪽으로 향하고, 오일은 부상되어 제2 오일 분리판(153)의 상부를 지나 제3 구역(155c)으로 넘어간다.
제3 구역(155c)에 오일이 차면 상부에 설치된 오일 전달 파이프(145)를 통해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122~125)로 오일이 이송되어 저장된다.
이때, 오일 전달 파이프(145)에는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122~125)에 대응되게 다수의 오일 전달 노즐(145a~145d)이 마련된다. 즉 오일 전달 노즐(145a~145d)들은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122~125)에 대응되게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오일 전달 노즐(145a~145d)들에는 각각 자동 개폐가 가능한 밸브(146a~146d)가 마련된다.
실제,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122~125)에 순차적으로 오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밸브(146a~146d)들의 자동 컨트롤이 요구되며, 밸브(146a~146d)들의 자동 컨트롤을 위해서는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122~125) 내에 수위센서(147a~147d)를 배치하여 수위센서(147a~147d)의 정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48)가 밸브(146a~146d)들이 개별적으로 온/오프(on/off)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예컨대, 우선은 제2 오일 수거탱크(122) 내에 오일이 차도록 하고, 제2 오일 수거탱크(122) 내에 오일이 다 차면 제2 오일 수거탱크(123) 내에 오일이 차도록 하는 등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122~125)에 순차적으로 오일이 저장되도록 하려면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122~125) 내에 수위센서(147a~147d)를 배치하고, 컨트롤러(148)가 수위센서(147a~147d)의 정보에 기초하여 밸브(146a~146d)들이 개별적으로 온/오프(on/off)되도록 컨트롤해야 한다.
이때의 컨트롤러(148)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48a, CPU), 메모리(148b, MEMORY), 서포트 회로(148c,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48a)는 본 실시예에서 수위센서(147a~147d)의 정보에 기초하여 밸브(146a~146d)들이 개별적으로 온/오프(on/off)되도록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48b,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48a)와 연결된다. 메모리(148b)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48c,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48a)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48c)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48)는 수위센서(147a~147d)의 정보에 기초하여 밸브(146a~146d)들이 개별적으로 온/오프(on/off)되도록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48)가 수위센서(147a~147d)의 정보에 기초하여 밸브(146a~146d)들이 개별적으로 온/오프(on/off)되도록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48b)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48b)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해상 오일 방제선의 선체(110)에는 제1 내지 제4 밸러스트 탱크(131~134, ballast tank)와, 이들 사이에 오버 플로 탱크(140, over flow tank)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내지 제4 밸러스트 탱크(131~134)의 도움으로 오일의 유입 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램프(160, ramp)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 게이트 도어(151)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물이다. 도 2처럼 램프(160)가 열릴 때, 비로소 오일 수거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램프(160)가 닫히면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170) 등이 은닉되기 때문에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170)의 소손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170)으로 인해 운항에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한편,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170)은 램프(16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오일혼합액을 메인 게이트 도어(151)를 통해 제1 오일 수거탱크(121)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17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유닛 지지대(171)와, 유닛 지지대(17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172)와, 회전 샤프트(172)의 둘레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보스 브래킷(173)과, 보스 브래킷(173)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해상의 오일을 상기 메인 게이트 도어(151) 쪽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회전익(174)을 포함한다. 이때, 회전익(174)들의 회전속도는 저속일 수 있다.
워터 스프레이 유닛(180)은 선체(110)의 양 사이드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고압의 워터를 분사하여 해상에 부유되는 오일을 선체(110)의 선수부(110a) 측으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
즉 워터 스프레이 유닛(180)을 통해 고압의 워터가 분사되어 해상에 부유되는 오일을 선체(110)의 선수부(110a) 측으로 모으고,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170)이 동작되어 저속 회전되는 회전익(174)이 오일을 선체(110) 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해상의 오일은 제1 오일 수거탱크(121)로 용이하게 수거될 수 있다.
워터 스프레이 유닛(180)은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즉 다수의 워터 노즐(182)이 형성되는 스프레이 바아(181)와, 고압의 워터를 제공하는 고압호스(183)와, 고압호스(183) 및 스프레이 바아(181)를 연결하는 커넥터(184)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 스프레이 유닛(180)에 고압호스(183), 예컨대 고무재질의 고압호스(183)가 적용됨에 따라 워터 스프레이 유닛(180)의 위치 변경이 자유로워지고, 또한 다양한 각도에서 스프레이 바아(181)로 고압의 워터를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프레이 바아(181)의 선단부 영역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B처럼 당기면 고무재질의 고압호스(183)의 굴곡지면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도 6의 실선에서 점선처럼 스프레이 바아(181)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일을 선수부(110a) 쪽으로 모으는 데에 유리해진다.
워터 스프레이 유닛(180)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85)는 선체(110) 측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워터 스프레이 유닛(180)의 플랜지(185)가 선체(11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선체(110)의 측벽에서 선체(110)의 선수부(110a)와 선미부(110b)를 잇는 수평 방향과, 그에 교차되는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대차(미도시)에 워터 스프레이 유닛(180)의 플랜지(185)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해상 오일 방제선에는 선체(110)의 선미부(110b) 영역에 마련되는 오일 펜스(191, oil fence)와, 선체(110)의 양 사이드 영역에 마련되어 오일 펜스(191)를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다수의 오일 펜스 리드 바아(192, oil fence lead bar)를 더 포함한다.
오일 펜스(191)와 오일 펜스 리드 바아(192)는 선체(110)의 선미부(110b)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선수부(110a) 쪽에서 워터 스프레이 유닛(180)과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170)을 통해 오일을 선체(110) 내로 유입시키는 것과 별개로 선미부(110b)에서는 오일 펜스 리드 바아(192)의 동작을 통해 오일 펜스(191)로 하여금 넓게 퍼져 있는 오일을 가둬둘 수 있다. 오일 펜스(191)에 가둬진 오일의 양이 많을 때는 흡입 펌프(미도시)를 아용하여 흡입시켜 이송하거나 유흡착제를 이용하여 분리수거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2처럼 선수부(110a)의 램프(160)를 열고, 워터 스프레이 유닛(180)과 램프(160)의 후미에 마련되는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170)의 작용으로 해상에 유출되어 부유되어 있는 오일을 선체(110) 내로 유입 유도한다.
특히, 선체(110)의 양 사이드에 마련되는 워터 스프레이 유닛(180)의 적절한 스프레이 각도와 분사압으로 주변에 넓게 펴져 있는 오일을 선체(110)의 선수부(110a) 쪽으로 모아 선체(110) 내로 유입시킨다. 이때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오일과 해수가 함께 섞인 오일혼합액이 선체(11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오일혼합액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밸러스트 탱크(131~134)를 이용하여 선체(110)의 드래프트(draft)를 낮추어 유지할 수 있다.
선체(110) 내로 유입된 오일은 제1 오일 수거탱크(121)에 설치되는 파인 필터(152), 그리고 제1 및 제2 오일 분리판(152,153)을 통해 해수와 오일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일은 제3 구역(155c)에 저장되며, 제3 구역(155c)에 많은 양의 오일이 차게 되면 오일 전달 파이프(145)를 통해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122~125)로 수거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작용은 오일의 유입양이 많을 때인데, 만약 선체(110) 내로 유입되는 오일이 해수의 양보다 현저히 적을 때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제1 내지 제3 사이드 게이트 도어(158a~158c)를 이용하여 오일을 수거 및 분리 저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으로 유출된 오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의 화학반응에 의한 오일 제거 방식처럼 오일을 해상에 투기하지 않고서도 오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해양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양식업 등을 생업으로 하는 어민들에게 재산상의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 오일 방제선의 개략적인 측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 오일 방제선 역시, 해상에서 화물선이나 기타 다양한 해양 구조물로부터 오일의 유출에 대하여 적기에 현장에 파견되어 안전하고 신속하게 오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램프(160)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유입되는 오일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유입 혹은 흡입의 효율이 높아지도록 하는 접이식 커튼(261)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접이식 커튼(261)은 평상 시 접혀져 있다가 램프(160)가 열릴 때 펼쳐지면서 유입되는 오일의 확산을 방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선체 110a : 선수부
110b : 선미부 121 : 제1 오일 수거탱크
122~125 :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 131~134 : 밸러스트 탱크
140 : 오버 플로 탱크 145 : 오일 전달 파이프
145a~145d : 오일 전달 노즐 146a~146d : 밸브
151 : 메인 게이트 도어 152 : 파인 필터
153 : 제1 오일 분리판 154 : 제2 오일 분리판
155a,155b,155c : 제1 내지 제3 구역 158a~158c : 사이드 게이트 도어
160 : 램프 170 :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
171 : 유닛 지지대 172 : 회전 샤프트
173 : 보스 브래킷 174 : 회전익
180 : 워터 스프레이 유닛 191 : 오일 펜스
192 : 오일 펜스 리드 바아

Claims (7)

  1. 선체;
    해상에 유출되어 부유되어 있는 오일과 해수의 오일혼합액을 유입시키는 메인 게이트 도어(main gate door)와, 상기 오일혼합액으로부터 해수와 오일로 분리시키는 파인 필터(fine filter)를 구비하며, 상기 선체의 선수부 측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는 제1 오일 수거탱크(oil collect tank);
    상기 선체의 선미부 쪽을 향해 상기 제1 오일 수거탱크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오일 전달 파이프(oil transfer pipe)에 의해 상기 제1 오일 수거탱크 내의 오일이 수거되면서 저장되는 추가의 오일 수거탱크;
    상기 제1 오일 수거탱크와 상기 추가의 오일 수거탱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선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상기 다수의 밸러스트 탱크들 사이에 배치되는 오버 플로 탱크(over flow tank);
    상기 메인 게이트 도어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램프(ramp);
    상기 램프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오일혼합액을 상기 메인 게이트 도어로 유입시키는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 및
    상기 선체의 양 사이드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고압의 워터를 분사하여 상기 해상에 부유되는 오일을 상기 선체의 선수부 측으로 모으는 다수의 워터 스프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오일 방제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 필터는 상기 오일이 상기 제1 오일 수거탱크 내로 유입되는 방향에 교차되게 이격 간격을 두고 다층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오일 수거탱크에는 상기 파인 필터와 교차되게 배치되어 비중차에 의해 상기 오일을 분리하는 다수의 오일 분리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오일 방제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일 분리판은 상기 추가의 오일 수거탱크 쪽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오일 방제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인 필터와 상기 오일 분리판 사이의 제1 구역에는 미리 결정된 양만큼의 해수가 미리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오일 방제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오일 유입유닛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유닛 지지대;
    상기 유닛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의 둘레를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보스 브래킷; 및
    상기 보스 브래킷들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해상의 오일을 상기 메인 게이트 도어 쪽으로 유도하는 다수의 회전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오일 방제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오일 수거탱크는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이며,
    상기 오일 전달 파이프에는 상기 제2 내지 제5 오일 수거탱크에 대응되게 다수의 오일 전달 노즐이 마련되며,
    상기 오일 전달 노즐들에는 각각 자동 개폐가 가능한 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오일 방제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게이트 도어의 양 사이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다수의 사이드 게이트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사이드 게이트 도어들은 높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오일 방제선.
KR1020140033938A 2014-03-24 2014-03-24 해상 오일 방제선 KR101603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938A KR101603285B1 (ko) 2014-03-24 2014-03-24 해상 오일 방제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938A KR101603285B1 (ko) 2014-03-24 2014-03-24 해상 오일 방제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085A true KR20150110085A (ko) 2015-10-02
KR101603285B1 KR101603285B1 (ko) 2016-03-14

Family

ID=5434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938A KR101603285B1 (ko) 2014-03-24 2014-03-24 해상 오일 방제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28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190B1 (ko) * 2018-12-24 2019-11-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유출기름 회수용 부력체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유출기름 회수시스템
KR102147441B1 (ko) * 2020-03-03 2020-08-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대규모 해안유입 및 해안부착기름 회수시스템
KR102261123B1 (ko) * 2020-12-17 2021-06-07 우현선박기술 주식회사 유출오일 회수장비
KR102261121B1 (ko) * 2020-12-17 2021-06-07 우현선박기술 주식회사 유회수기
CN113877294A (zh) * 2021-09-14 2022-01-04 安徽理工大学 一种水藻收集装置
KR20220021685A (ko) * 2020-08-14 2022-02-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안유입 및 해안부착 고점도 기름 다기능 회수시스템
RU2768089C1 (ru) * 2021-05-06 2022-03-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плекс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в техногенном водоем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090B1 (ko) 2017-03-09 2018-08-13 송원대학교산학협력단 기름 유출 방제선용 배기 가스 냉각 구조
KR102476975B1 (ko) * 2021-01-19 2022-12-13 김원태 담수호 수중에 발생하는 수초나 부유물의 제거장치 및 그 이용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9971A (en) * 1976-03-04 1976-11-11 Shosen Mitsui Kaiji Kk Collecting device for fluid sludge at water surface
JPS51151983A (en) * 1975-06-18 1976-12-27 Takeshi Inoue Sea-surface-floating trash recovering ship
KR950030321A (ko) 1994-04-28 1995-11-24 세끼자와 다다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및 기판
KR100279939B1 (ko) * 1998-05-25 2001-03-02 김복중 기름 수거용 선박 및 수거 방법
KR20070084227A (ko) 2004-11-12 2007-08-24 카네카 코포레이션 단차 파일 포백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027564A (ko) 2009-09-09 2011-03-16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이동 재치 장치와 이동 재치 방법
KR20110076304A (ko) 2009-12-29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015793A (ja) * 2012-07-10 2014-01-30 Masa Tagome 浮遊物回収用ポンプ装置および回収船の吸込流路形状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1983A (en) * 1975-06-18 1976-12-27 Takeshi Inoue Sea-surface-floating trash recovering ship
JPS51129971A (en) * 1976-03-04 1976-11-11 Shosen Mitsui Kaiji Kk Collecting device for fluid sludge at water surface
KR950030321A (ko) 1994-04-28 1995-11-24 세끼자와 다다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및 기판
KR100279939B1 (ko) * 1998-05-25 2001-03-02 김복중 기름 수거용 선박 및 수거 방법
KR20070084227A (ko) 2004-11-12 2007-08-24 카네카 코포레이션 단차 파일 포백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027564A (ko) 2009-09-09 2011-03-16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이동 재치 장치와 이동 재치 방법
KR20110076304A (ko) 2009-12-29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015793A (ja) * 2012-07-10 2014-01-30 Masa Tagome 浮遊物回収用ポンプ装置および回収船の吸込流路形状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190B1 (ko) * 2018-12-24 2019-11-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유출기름 회수용 부력체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유출기름 회수시스템
KR102147441B1 (ko) * 2020-03-03 2020-08-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대규모 해안유입 및 해안부착기름 회수시스템
US10927519B1 (en) 2020-03-03 2021-02-23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Recovery system for large-scale spilled oil flowing onto and adhered to shore
KR20220021685A (ko) * 2020-08-14 2022-02-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안유입 및 해안부착 고점도 기름 다기능 회수시스템
KR102261123B1 (ko) * 2020-12-17 2021-06-07 우현선박기술 주식회사 유출오일 회수장비
KR102261121B1 (ko) * 2020-12-17 2021-06-07 우현선박기술 주식회사 유회수기
RU2768089C1 (ru) * 2021-05-06 2022-03-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плекс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в техногенном водоеме
CN113877294A (zh) * 2021-09-14 2022-01-04 安徽理工大学 一种水藻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285B1 (ko) 201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285B1 (ko) 해상 오일 방제선
KR101024970B1 (ko) 유수분리장치
EP1984236B1 (en) Loop ballast exchange system for marine vessels
JP2009508028A (ja) ダム用スラッジ処理システム
RU24606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нефти с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ы
KR101461719B1 (ko) 자동 역세척 필터 장치
KR101732896B1 (ko) 해상 유출기름 회수장치
US10240412B2 (en) Drilling fluid processing tank and system
KR101670161B1 (ko) 유체 분리 장치
DE2130967A1 (de) Oberflaechenspannungsverfahren zur Trennung unmischbarer Fluessigkeit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FI123745B (fi) Laitteisto ja menetelmä materiaalin keräämiseksi vesistöstä
IL25626A (en) Water distribution system for swimming pools
EP2419568B1 (de) Vorrichtung zum aufnehmen von partikeln von einer gewässeroberfläche
CN107438689A (zh) 用于对液体介质底部上的沉积物进行取样的系统
US20240034442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Debris From a Body of Water
KR101026182B1 (ko) 선박 발라스트 탱크의 침전물 제거장치
US6811354B2 (en) Saltwater intrusion prevention system
JP6084897B2 (ja) 浮体式懸濁物質回収装置及び方法
CN103754986A (zh) 一种油污混合物分离系统
CN206654165U (zh) 大水域蓝藻及漂浮物自动清理船
KR101728209B1 (ko) 기름 방재 및 기름 회수용 선박
KR20230066778A (ko) 해양 오염원 회수용 선박
CH617864A5 (en) Apparatus for recovering oil
DE10235917B3 (de) Kombinierte Klarwasser-Schwimmschlammabzugsvorrichtung
CN208248448U (zh) 垃圾收集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