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992A - 조출 용기 - Google Patents

조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992A
KR20090118992A KR1020097020453A KR20097020453A KR20090118992A KR 20090118992 A KR20090118992 A KR 20090118992A KR 1020097020453 A KR1020097020453 A KR 1020097020453A KR 20097020453 A KR20097020453 A KR 20097020453A KR 20090118992 A KR20090118992 A KR 20090118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screw rod
wall
rotating bod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9384B1 (ko
Inventor
미에코 나스
히로시 미즈시마
다카유키 고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554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1434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305353A external-priority patent/JP512891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9011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2Casings with provision for preventing undesired movement of the stic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저부에 스크루 로드(2)를 갖고, 내용물의 충전 공간(M)을 측벽으로 구성하는 내통(1)과, 이 내통에 장착되고 토출 홀을 갖는 주출 헤드(4)와, 스크루 로드(2)에 결합하고 내통(1)의 측벽에 탄성 접촉하는 슬라이딩 밴드(5b)를 갖는 내측 트레이(5)와, 이 내측 트레이(5)의 내측에 배치되고 스크루 로드(2)와의 사이를 기밀로 하는 밀봉 부재(14)와, 연결 로드(7)를 통하여 상기 스크루 로드(2)를 회전시켜, 내용물을 밀어 올려서 토출 홀로부터 배출하는 회전체(6)와, 내통(1)에 착탈 가능한 덮개체(21)를 구비한 조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6)를, 연결 로드(7)의 하단에 접속하는 저벽 부분(6a)과, 이 저벽 부분(6a)의 가장자리부에서부터 내통(1)의 외주면을 따라 신장하고 또한 내통의 주위를 둘러싸서 상기 내통(1)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주벽 부분(6b)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6)의 상기 저벽 부분(6a) 또는 주벽 부분(6b)에, 회전체(6)의 회전에 따라 내통(1)에 설치된 볼록부에 접촉, 이반하여 클릭감을 유발시키는 탄성체(10)를 설치하고, 상기 스크루 로드(2)의 기부(3)에, 내측 트레이(5)가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그 하부에 연계하여 회전체(6)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16)를 배치한다.
내통, 내측 트레이, 스크루 로드, 토출 홀, 회전체, 스토퍼

Description

조출 용기{PROPELLING CONTAINER}
본 발명은 내측 트레이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용기 내의 내용물을 가압(밀어 올림)하여 주출(注出) 헤드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내용물을 주출하는 조출(繰出)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의 본체 부분에 부착된 다이얼(회전체)을 회동시켜 내용물을 적절히 조출(繰出)하는 조출 용기로서는 종래, 립스틱이나 립크림 혹은 스틱 형태의 풀 등을 충전한 용기를 대표예로서 들 수 있다.
최근, 이 종류의 용기에서는, 내용물로서 점성 화장료(化粧料)를 수납하고 이를 용기 내에 배치한 내측 트레이에 의해 밀어 올려서 주출 헤드의 토출 홀(hole)로부터 배출하는 용기도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8-22946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5-168745호 공보 참조). 또한, 이 종류의 용기는 점도가 비교적 낮은 크림 형상의 화장료나 정발료(整髮料) 또는 제한제(制汗劑) 등을 넣는 용기로서도 다용(多用)되고 있고, 내용물도 바로 그것을 조출할 뿐만 아니라, 주출 헤드의 토출 홀로부터 내용물을 적량 밀어내고, 그 밀려난 내용물을 도포하는 사용 형태를 채용한 상품도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403727호 공보 참조).
그런데, 이들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조출 용기는 다이얼(작용 링, 회동체 등)이 용기 본체의 주위에서 스무스하게 회전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조출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동시에, 내측 트레이가 용기 본체의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다이얼의 잘못된 조작에 의해 상기 내측 트레이를 더욱 아래로 향하게 슬라이드시키는 힘을 부가하게 되어, 조출 기구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 등을 파손시키는 것도 걱정되었다.
또한, 캡(cap)을 장착한 상태라도 조출 기구부의 잘못된 회전이나 용기 본체 내의 잔여압에서도 내용물이 밀려나와 캡과 헤드의 갭으로 누출되게 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내용물의 점도에 따라서는 용기가 전도(轉倒) 자세에 놓였을 때 개방 홀로부터 내용물이 흘러 나오게 되는 경우도 걱정되어, 그 부위에서의 밀봉성의 한층 더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과제는 내용물의 조출 상황을 파악하기 쉽고, 또한, 다이얼의 잘못된 조작에 의한 구성 부재의 파손을 확실히 방지하는 동시에, 내용물의 성상(性狀)에 관계없이 확실히 충전, 유지할 수 있는 기밀성이 높은 신규한 조출 용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와 같은 내용물의 누출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는 신규한 조출 용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저부(底部)에서 회전 가능하게 기립하는 스크루 로드(screw rod)를 갖고, 측벽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공간을 내용물의 충전 공간으로 하는 내통(內 筒)과, 이 내통의 구부(口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충전 공간에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 토출 홀(hole)을 갖는 주출(注出) 헤드와, 스크루 로드에 나사 결합하고 내통의 측벽 내면에 탄성 접촉하는 고리 형상의 슬라이딩 밴드를 갖는 내측 트레이와, 이 내측 트레이의 내측에 배치되고 스크루 로드와의 상호간을 기밀 상태로 유지하는 고리 형상의 밀봉 부재와, 연결 로드를 통하여 상기 스크루 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내측 트레이를 기밀 상태로 유지한 채 스크루 로드의 축심을 따라 슬라이드시켜서 충전 공간 내의 내용물을 밀어 올려서 주출 헤드의 주출구로부터 배출하는 회전체와, 내통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주출 헤드를 그 내측에 수납하는 덮개체를 구비한 조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연결 로드의 하단에 접속하는 저벽(底壁) 부분과, 이 저벽 부분의 가장자리부에서부터 내통의 외주면(外周面)을 따라 신장하고 또한 내통의 주위를 둘러싸서 상기 내통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주벽(周壁)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체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내통에 설치된 볼록부에 반복해서 접촉, 이반(離反)하여 클릭감을 유발시키는 탄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스크루 로드의 기부(基部)에, 내측 트레이가 충전 공간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그 하부에 연계(連係)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stopper)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 용기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출 용기에서는, 상기 내통의 상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 유지되고 회전체의 주벽 부분의 선단(先端)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을 둘 러싸는 외통(外筒)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외통을 투명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출 헤드의 토출 홀은 충전 공간에 연결되는 개구와, 이 개구의 중앙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밀어내기 시작하는 내용물을 눌러 덮는 장벽과, 일단(一端)을 장벽에 연계하고 타단(他端)을 개구의 내연부(內緣部)에 연계하여 상기 장벽을 고정 유지하는 동시에 장벽의 주위에서 상기 개구를 복수로 구분하는 브리지(bridge)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브리지의 상단과 개구의 상단 사이에 단차(段差)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 주출 헤드의 하단면을 노출시켜서 상기 덮개체의 내통으로부터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오목부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로서는, 세로 리브(rib) 형상의 탄성 설편(舌片)을 적용하지만, 스크루 로드의 기부를 수용하는 기부받침 링의 외주면에 대하여 변위 부분을 남겨서 2방향으로부터 끼우는 한 쌍의 탄성 암(arm)과, 이 탄성 암의 각 단부에서 양쪽에 걸쳐 각각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내통의 볼록부에 접촉 가능하게 가압된 홈 형상의 돌출편(突出片)을 조합시킨 링 형상의 스프링 부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링 형상의 스프링 부재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상기 홈 형상의 돌출편의 적어도 한쪽 선단부에 상기 돌출부를 접촉, 이반하는 돌기를 설치해 둔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출 용기에서는, 회전체의 저벽 부분 혹은 주벽 부분에 탄성체를 설치하고,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이 탄성체를, 내통에 설치된 볼록부에 일정 간격으로 두고 접촉, 이반시킴으로써 클릭감이 유발되게 되고, 내용물 의 조출 상황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또한, 내측 트레이가 충전 공간의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내측 트레이가 스크루 로드의 기부에 설치된 스토퍼에 연계하여 회전체의 회전이 저지되게 되므로, 내측 트레이에는 구성 부재를 파손시키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스크루 로드와 내측 트레이의 상호간에 고리 형상의 밀봉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용기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주출 헤드의 토출 홀은 단일의 개구를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내용물이 토출할 때에 고봉(高捧) 형상으로 되기 쉽지만, 개구의 중앙부에 상기 개구와 동등한 윤곽을 갖는 장벽을 배치하고, 개구의 상단과의 사이에서 단차를 형성하는 브리지를 이용하여 고정 유지함으로써 상기 개구가 복수로 구분되고, 단차에 의한 효과와 서로 어울려서 고봉 형상이 완화된 상태로 내용물의 토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차가 형성된 영역에서는, 브리지에 의해 분단된 내용물이 개구의 상단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합류하여 토출 홀의 형상과 일치된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해서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납하는 내통과, 이 내통의 구부에 장착되고, 상면의 중앙부에 측벽에 의해 둘어싸인 내측 공간에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 토출 홀을 갖는 돔(dome) 형상 단면을 이루는 주출 헤드와, 내통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주출 헤드를 그 내측에 수용하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내통 내의 내용물을 적절히 가압하여 상기 주출 헤드의 토출 홀을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하는 조출 용기로서,
상기 주출 헤드의 상면에, 상기 토출 홀을 포함하는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덮개체의 이면(裏面)에, 주출 헤드의 오목부에 들어맞는 융기벽(隆起璧)을 갖고, 덮개체의 장착시에 상기 융기벽을 주출 헤드의 오목부에 부딪치게 하여 상기 토출 홀을 폐쇄하는 밀봉 덮개를 설치하고,
상기 밀봉 덮개와 덮개체의 상호간에, 덮개체를 닫았을 때에 그 반발력에 의해 상기 융기벽을 오목부에 대하여 강하게 눌러 덮어서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탄성 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 용기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출 용기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가 토출 홀 전부를 둘러싸는 내경(內徑)을 갖는 O 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형태의 조출 용기에서는, 덮개체의 이면에, 주출 헤드의 오목부에 접촉, 적합(일치)하게 하는 융기벽을 설치하였으므로, 덮개체와 주출 헤드의 상호간에 갭이 없어져서, 내용물이 누출되지는 않는다.
또한, 밀봉 덮개와 덮개체의 상호간에 탄성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덮개체를 닫았을 때에 상기 탄성 부재의 반발력으로 융기벽이 주출 헤드의 오목부에 강하게 눌러 덮으므로, 보다 확실한 밀봉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출 용기의 실시예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출 용기에서 오목부의 평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조출 용기에서 덮개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조출 용기에서 밀봉 덮개의 접촉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출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출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도 2의 B-B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에 대응함).
도 7은 도 6의 D-D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탄성체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출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조출 용기에서 오목부의 평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조출 용기에서 덮개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9에 나타낸 조출 용기에서 밀봉 덮개의 접촉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출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부호의 설명
1 내통
1a 저부
1b 측벽
1c 구부
1d 리브
2 스크루 로드
2a 평면
2b 평면
3 기부
3a 디스크
3b 통체
3b1 스플라인 홈
3b2 고정 클로
4 주출 헤드
4a 오목부
4b 내주벽
4c 외주벽
4d 토출 홀
4d1 개구
4d2 장벽
4d3 브리지
4e 상면
5 내측 트레이
5a 내측 트레이 본체
5b 슬라이딩 밴드
5c 결합 부분
6 회전체
6a 저벽 부분
6b 주벽 부분
7 연결 로드
7a 세로 리브
8 기부받침 링
8a 고정 클로
9 벽부
9a 절결부
9b 절결부
9c 세로 리브
9d 세로 리브
9e 세로 리브
9f 세로 리브
10 탄성체
11 벽부
12 볼록부
13 저장 오목부
14 밀봉 부재
15 가압 부재
15a 면
15b 면
15c 클로
16 스토퍼
17 볼록부
18 주벽
18a 고리 형상 홈
18b 나사부
19 외통
19a 차입 재료
20 오목부
21 덮개체
21a 덮개 본체
21b 밀봉 덮개
21c 탄성 부재
21d 융기벽
22 탄성체
22a 탄성 암
22b 탄성 암
22c 돌출편
22d 돌출편
22e 돌기
22f 돌기
23 마개체
24 리브(세로 리브)
h 관통 홀
d 통체
e 고리 형상 홈
K 간격
P 단차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출(繰出) 용기의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도 2의 B-B 단면)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C-C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또한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용기의 외관을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의 1은 용기의 본체 부분을 형성하는 내통(內筒)이다. 이 내통(1)은 중앙부에 관통 홀(h)을 갖는 저부(底部; 1a)와, 이 저부(1a)의 가장자리부에서 일어선 측벽(1b)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측에 구획 형성된 공간이 내용물의 충전 공간(M)으로서, 평면의 윤곽이 타원 형상을 이룬다(도 2 참조).
또한, 2는 내통(1)의 저부(1a)에서 회전 가능하게 기립하는 스크루 로드(screw rod)이다. 이 스크루 로드(2)는 그 대향 위치에 나사부를 갖지 않는 한 쌍의 평면(2a, 2b)이 설치된 레이스트랙(racetrack) 형상의 이형(異形) 단면의 중공체(中空體)로 이루어진다(도 2 참조).
3은 스크루 로드(2)의 하단에서 일체 연결하고 내통(1)의 저부(1a)에서 상기 스크루 로드(2)를 기립시키는 기부(基部)이다. 이 기부(3)는 내통(1)의 저부(1a)에 배치되는 디스크(3a)와, 이 디스크(3a)의 하면에 연결되고 저부(1a)의 관통 홀(h)을 통하여 내통(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통체(筒體; 3b)로 구성된다. 통체(3b)의 내측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 형상의 스플라인 홈(spline 溝; 3b1)이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고정 클로(locking claw; 3b2)(도 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의 4는 내통(1)의 구부(口部; 1c)에 언더컷(undercut) 결합 등의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출(注出) 헤드이다. 주출 헤드(4)는 이 예에서는 돔(dome) 형상의 단면 형상을 이루는 것을 예로 하여 나타내고 있고, 그 중앙 영역에는 평면 형상이 원 혹은 타원으로 되는 오목부(4a)가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부에는 내주벽(內周壁; 4b), 외주벽(外周壁; 4c)에 의해 내통(1)의 구부(1c)를 결합시키는 고리 형상 홈(e)이 형성되어 있다.
토출 홀(4d)은 그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 5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4d1)와, 이 개구(4d1)의 중앙부에 간격(K)을 두고 배치되는 장벽(디스크 형상의 부재를 적용)(4d2)과, 일단(一端)을 장벽(4d2)에 연계하고 타단(他端)을 단차 (段差; P)를 두고 개구(4d1)의 내연부(內緣部)에 연계하여 상기 장벽(4d2)을 고정 유지하는 리브(rib) 형상의 브리지(bridge; 4d3)로 이루어져 있고, 이 브리지(4d3)를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개구(4d1)를 장벽(4d2)의 주위에서 복수로 구분하고 있다.
5는 내통(1)의 충전 공간(M)과 동일한 평면 형상(타원)을 갖는 내측 트레이이다. 내측 트레이(5)는 스크루 로드(2)를 통과시켜 상기 스크루 로드(2)의 나사부에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는 관통 홀(i)을 갖고 그 상부에서 충전 공간(M) 내의 내용물을 밀어 올리는 내측 트레이 본체(5a)와, 내측 트레이 본체(5a)의 측벽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내통(1)의 측벽 내면에 상하 2점에서 탄성 접촉하는 고리 형상의 슬라이딩 밴드(5b)로 이루어진다.
6은 내통(1)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체(다이얼)이다. 회전체(6)는 내통(1)의 저부(1a)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저벽(底壁) 부분(6a)과, 저벽 부분(6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내통(1)의 외주면(外周面)을 따라 일어서고(신장) 또한 내통(1)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벽(周壁) 부분(6b)으로 이루어지고, 저벽 부분(6a)과 주벽 부분(6b)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개방된 컵 형상의 단면을 형성한다.
7은 회전체(6)의 저벽 부분(6a)의 중앙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연결 로드이다. 연결 로드(7)의 주위에는 간격을 두고 십자 형상의 세로 리브(7a)가 배열되어 있고, 이에 의해 통체(3b)의 스플라인 홈(3b1)에 들어맞는 스플라인 축을 형성한다(도 3 참조).
8은 회전체(6)의 저벽 부분(6a)에서 연결 로드(7)를 둘러싸는 상측 방향으로 개방된 기부받침 링이다. 이 기부받침 링(8)에는 스크루 로드(2)에서의 기부(3)의 통체(3b)가 그 내측에 인입(人入)되어 있고, 내벽면에 형성된 고정 클로(8a)와 통체(3b)의 고정 클로(3b2)가 결합하고, 이에 의해 회전체(6)를 내통(1)의 하부에 분리 불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내통(1)의 관통 홀(h)에는 복수개의 리브(1d)(볼록부이어도 됨)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그 선단(先端)을 기부받침 링(8)의 외벽 상부에 접근시켜서 상기 기부받침 링(8)과의 상호간에 생기는 갭에 기인한 요동을 방지한다.
9는 회전체(6)의 저벽 부분(6)에서 기부받침 링(8)을 둘러싸서 배치된 벽부, 10은 벽부(9)의 외면에 설치된 탄성체이다. 이 탄성체(10)는 이 예에서는 세로 리브 형상의 탄성 설편(舌片)으로서 표시하고 있다(이하, 탄성체(10)를 탄성 설편(10)으로 기재함). 11은 내통(1)의 저부(1a)의 하면에 설치된 벽부, 12는 벽부(11)의 내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소정 간격을 벌려 배열된 볼록부이다. 볼록부(12)는 벽부(9)에 설치된 탄성 설편(10)의 일부분에 접촉하는 돌출 부분을 갖고, 회전체(6)를 회전시켜서 탄성 설편(10)을 볼록부(12)에 반복 접촉, 이반(離反)시킴으로써 클릭감을 유발시킨다.
또한, 도 1에서의 13은 내측 트레이 본체(5a)의 관통 홀(i)의 바로 아래 내측에 설치되고, 그 하단에 개방을 갖는 저장 오목부, 14는 스크루 로드(2)에 장착(탄성 감합(嵌合))된 고리 형상의 밀봉 부재이다. 이 고리 형상의 밀봉 부재(14)는 저장 오목부(13)에 위치하여 스크루 로드(2)와의 상호간을 기밀 상태로 유지하는 O 링, 패킹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15는 저장 오목부(13)에서 고리 형상의 밀봉 부재(14)를 내측면의 적어도 2면(15a, 15b)에서 유지하는 가압 부재이다. 이 가압 부재(15)의 외벽에는 저장 오목부(13)의 내벽에 설치된 클로부(13a)에 연계하여 상기 저장 오목부(13)로부터의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클로부(15c)와, 상기 저장 오목부(13)의 내벽에 탄성 접촉하여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밀봉 립(lip)(15d)이 설치되고, 이에 의해 가압 부재(15)와 내측 트레이 본체(5a)의 상호간을 밀봉 상태로 유지한다.
16은 기부(3)를 구성하는 디스크(3a)의 상면에 설치된 스토퍼(stopper)(리브 등), 17은 내측 트레이 본체(5a)의 하단에 설치되고 스토퍼(16)에 연계하는 돌출 부분을 갖는 볼록부이다. 내측 트레이 본체(5a)의 볼록부(17)는 내측 트레이(5)가 충전 공간(M)의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스토퍼(16)에 연계하게 되어, 회전체(6)의 회전이 저지되고 내측 트레이(5)가 하측을 향하여 슬라이드하게 된다.
18은 내통(1)의 구부(1c)의 바로 아래(주출 헤드(4)의 외주벽(4c)의 바로 아래)에서 내통(1)의 외벽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주벽(周壁)이다. 이 주벽(18)은 내통(1)의 외벽과 협동하여 그 상호간에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고리 형상 홈(18a)을 형성한다.
19는 내통(1)의 외측에 갭을 두고 배치되고 회전체(6)의 주벽 부분(6b)의 선단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을 둘러싸는 외통(外筒)이다. 외통(19)은 그 상단에 차입 부재(19a)가 설치되어 있고, 언더컷과 같은 결합 수단과 세로 리브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리 형상 홈(18a) 내에서 외통(19)을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빠져나가기 불가능하게 고정한다.
20은 주벽(18)의 상부 위치에서 내통(1)의 외벽에 국소적으로 설치된 오목부 이다. 이 오목부(20)는 주출 헤드(4)의 외주벽(4c)의 하단면을 노출시키므로, 그 부위에 개방 부재(예를 들면 코인 등의 편평 부재)를 인입하고 주출 헤드(4)를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주출 헤드(4)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1의 21은 주벽(18)의 나사부(18b)에 결합하여 용기를 밀봉 상태로 유지하는 덮개체이다. 덮개체(21)는 덮개 본체(21a)와, 이 덮개 본체(21a)의 이면에 고정 유지되고 그 중앙부가 주출 헤드(4)의 오목부(4a)에 들어맞는 볼록부(t)를 갖는 밀봉 덮개(21b)와, 밀봉 덮개(21b)의 배면(背面)에서 상기 밀봉 덮개(21b)를 탄성 유지하는 O 링(21c)으로 이루어진다. 덮개체(21)를 닫으면, 밀봉 덮개(21b)의 볼록부(t)가 주출 헤드(4)의 오목부(4a)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주출 헤드(4)의 주출구는 기밀(氣密)(혹은 액밀(液密))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한 조출 용기는 내측 트레이(5)와 스크루 로드(2)의 상호간에 고리 형상의 밀봉 부재(14)가 배치되어 있고, 덮개체(21)를 닫음으로써 충전 공간(M)이 기밀(혹은 액밀) 상태로 유지되고, 점성이 비교적 낮은 액상물을 내용물로서 충전하여도 누출되지는 않고, 또한, 휘발(휘산) 성분을 포함한 내용물이어도 성분의 휘산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내측 트레이(5)가 내통(1)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도 1에 나타낸 상태에서, 예를 들면 잘못하여 회전체(6)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 디스크(3a)에 설치된 스토퍼(16)가 내측 트레이(5)(내측 트레이 본체(5a))의 하단에 설치된 볼록부(17)에 연계하게 되어 상기 회전체(6)는 회전하지 않고, 구성 부재의 파손을 일으키지 않는다.
내측 트레이(5)를 주출 헤드(4)를 향하여 슬라이드시켜서 충전 공간(M) 내의 내용물을 토출 홀(4d)로부터 밀어내도록 회전체(6)를 돌리면, 벽부(9)에 설치된 탄성 설편(10)은 벽부(11)의 볼록부(12)에 접촉, 이반을 반복하고, 이 때, 클릭감이 유발되어 내용물의 조출 상황을 파악하기 쉬워지고, 토출 홀(4d)로부터는 고봉 형상이 완화된 내용물이 토출된다.
외통(19)을 투명체로 구성함으로써, 내용물의 잔존량의 시각(視覺)에 의한 확인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용기에 미감(美感)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내통(1)을 반투명체로 구성(착색하는 경우를 포함함)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탄성 설편(10)을 벽부(9)에 설치하고, 볼록부(12)를 벽부(11)에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었지만, 탄성 설편(10)과 볼록부(12)를 바꿔 넣어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점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내측 트레이(5) 및 내통(1)에 대해서는 스크루 로드(2)의 회전에 있어서 공동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평면의 윤곽을 타원 형상으로 하였지만, 공동 회전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면, 특별히 타원 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고, 그 형상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출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상기 도 1과 동등한 단면(도 2의 B-B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D-D 단면도, 도 8은 외관 사시도이다.
도면 중의 부호 22는 회전체(6)의 회전에 따라서 클릭감을 유발시키는 탄성체이다. 이 탄성체(22)는 벽부(9)의 대향 위치에 형성된 절결부(切缺部; 9a, 9b) 에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넣어 세로 리브(9c 내지 9f) 위에 배치, 위치 결정되는 링 형상의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부받침 링(8)의 외주면에 대하여 변위 부분(δ)(도 7 참조)을 남겨서 2방향으로부터 끼워넣는 한 쌍의 탄성 암(arm)(만곡 암)(22a, 22b)과, 이 탄성 암(22a, 22b)의 각 단부에서 양쪽에 걸쳐 각기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볼록부(12)에 접촉 가능하게 가압된 홈 형상의 돌출편(22c, 22d)으로 구성되고, 이 홈 형상의 돌출편(22c, 22d)의 각 선단부에는 돌기(22e, 22f)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체(링 형상의 스프링 부재)(22)는 탄성 암(22a, 22b)의 양단부에 설치된 홈 형상의 돌출편(22c, 22d)이 상기 볼록부(12)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게 가압되어 있고, 회전체(6)의 회전에 의해 돌기(22e, 22f)가 볼록부(12)에 접촉하고 있는 동안, 상기 돌기(22e, 22f)에는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볼록부(12)의 겉표면을 따라 스무스하게 슬라이딩하게 되고, 이에 의해 고급감을 자아내는 클릭감을 유발시킨다.
상기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탄성체(링 형상의 스프링 부재)(22)는 돌기(22c, 22f)를 돌출편(22c, 22d)의 선단에 각각 설치한 것으로서 나타내었지만, 상기 돌기(22e, 22f)는 돌출편(22c, 22d)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고, 2개소에 설치하는 경우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절결부(9a, 9b)의 폭(W), 깊이(g)(도 8 참조)는 돌출편(22c, 22d)의 폭, 두께에 들어맞는 수치로 설정하는 것이 좋고, 이에 의해 부재 상호간에서 갭이 생기지 않으므로 「요동」이나 그에 따른 소리의 발생이 회피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1은 내통이다. 이 내통(1)은 그 하부에, 내통(1)의 저부(1a)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저벽 부분(6a) 및 상기 저벽 부분(6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내통(1)의 외주면을 따라 일어서고(신장) 또한 내통(1)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벽 부분(6b)으로 이루어지고, 내통(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회전체(6)와, 이 회전체(6)의 저벽 부분(6a)의 중앙에 기립,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6)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스크루 로드(2)와, 상기 스크루 로드(2)에 결합하고 회전체(6)의 회전에 의해 내통(1) 내에서 상하로 승강 이동 가능한 내측 트레이(5)와, 내측 트레이(5)의 가장자리부에 일체 연결하여 내통(1)의 내벽에 설치된 홈 또는 리브(J)에 결합하는 리브 또는 홈(J')을 갖고, 상기 내측 트레이(5)의 직선적인 승강 이동을 유도하는 슬라이딩 밴드(5b)로 이루어진 조출 기구가 조립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스크루 로드(2)는 도 9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을, 대향 부위에서 평행한 평면을 형성한 것을 예로 하고 있지만, 스크루 로드(2)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조출 용기 형상의 원형 단면(완전한 원)으로 되는 스크루 로드를 채용할 수도 있다.
4는 주출 헤드이다. 이 주출 헤드(4)는 상면(4e) 및 이 상면(4e)의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이루어진 외주면(4c)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통(1)의 구부(1c)에 장착(언더컷 결합이나 나사에 의한 결합이 가능)되고, 상면(4e)의 중앙부에 내통(1) 내에 연결되는 복수의 토출 홀(4d)이 설치되어 있고, 돔 형상의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토출 홀(4d)은 반드시 복수 설치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1개 있으면 되 고, 내용물의 점도나 사용 형태에 맞춰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4a는 주출 헤드(4)의 상면(4e)에 설치된 오목부이다. 이 오목부(4a)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부위에 손 끝을 접촉시켜 그 면을 따라 손 끝을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내용물의 떠내기를 행한다.
18은 내통(1)의 구부(1c)의 바로 아래(주출 헤드(4)의 외주벽(4c)의 바로 아래)에서 내통(1)의 외벽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주벽이다. 이 주벽(18)은 내통(1)의 외벽과 협동하여 그 상호간에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고리 형상 홈(18a)을 형성한다.
19는 내통(1)의 외측에 갭을 두고 배치되고 회전체(6)의 주벽 부분(6b)의 선단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을 둘러싸는 외통이다. 외통(19)은 그 상단에 차입 부재(19a)가 설치되어 있고, 언더컷과 같은 결합 수단과 세로 리브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리 형상 홈(18a) 내에서 외통(19)을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빠져나가기 불가능하게 고정한다. 또한, 외통(19)은 내통(1)과 함께 용기 본체를 형성한다.
또한, 내통(1)과 외통(19)을 일체로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21은 내통(1)의 주벽(1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나사 결합)하는 덮개체, 21b는 덮개체(21)의 표면에 배치된 밀봉 덮개이다. 이 밀봉 덮개(21b)는 그 중앙 부분에 주출 헤드(4)의 오목부(4a)에 들어맞는 원형의 융기벽(21d)을 갖고 있고, 밀봉 덮개(21b)의 외주 측면에 고리 형상 돌조(突條) 혹은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덮개체(21)의 내면 상부에 고정 유지된다.
또한, 21c는 덮개체(21)와 밀봉 덮개(21b)의 상호간에 배치된 O 링을 예로 하여 나타낸 탄성 부재이다. 이 탄성 부재(21c)는 토출 홀(4d) 전부를 둘러싸는 내경(R)(도 10 참조)을 갖고 있고, 덮개체(21)를 닫았을 때에 그 반발력에 의해 융기벽(21d)을 오목부(4a)에 대하여 강하게 눌러 덮어서 면접촉 영역(밀봉부)(P)(도 11 참조)을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출 용기는 내통(1)의 내벽, 내측 트레이(5), 주출 헤드(4)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 내용물의 수납 공간(M)이 구획 형성되고 있고, 회전체(6)를 회전시켜, 스크루 로드(2)에 의해 내측 트레이(5)를 상방을 향하여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수납 공간(M)에 존재하는 내용물(도시되지 않음)을 주출 헤드(4)의 토출 홀(4d)로부터 밀어낸다.
덮개체(21)를 조이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21)에 배치한 밀봉 덮개(21b)의 융기벽(21d)이 주출 헤드(4)의 오목부(4a)에 들어맞는다. 이 상태에서 더욱 조이면(O 링의 조임 부분),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21c)의 반발력으로 융기벽(21d)이 오목부(4a)에 강하게 밀어붙여져(면접촉), 확실히 밀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융기벽(21d)과 오목부(4a)에 대해서는 융기벽(21d)의 곡률을 오목부(4a)의 곡률보다 크게 하는 것이 적합하고, 이 경우, 덮개체(21)를 조이는 과정에서, 우선 오목부(4a)에 대하여 융기벽(21d)이 토출 홀(4d)을 둘러싸는 범위에서 선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더욱 덮개체(21)를 조이면, 덮개체(21)와 밀봉 덮개(21b)의 상호간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21c)가 밀봉 덮개(21b)의 융기벽(21d)을 밀어넣고, 덮개체(21)를 닫은 상태에서는, 탄성 부재(21c)의 반발력으로 융기벽(21d)이 오목 부(4a)에 강하게 밀어붙여져(면접촉), 확실히 밀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주출 헤드(4)의 상면(4e)에 타원의 평면 형상을 갖는 오목부(4a)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었지만, 상기 오목부(4a)의 형상은 타원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자인이나 사용 형편의 면에서 적절히 변경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완전한 원 이외의 이형의 오목부(4a)를 갖는 주출 헤드(4)의 밀봉 기구로서 적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21c)로서 O 링을 예로 하여 나타내었지만, O 링 이외에도 덮개체(21)의 조임 완료 상태에서 밀봉 덮개(21b)의 융기벽(21d)을 오목부(4a)에 강하게 밀어붙이는 형상의 것이라면, 각종 형상의 선택이 가능하다.
도 13은 스크루 로드(2)로서 원형 단면(완전한 원)을 갖는 것을 채용하고, 내측 트레이(5)의 상면에 상기 스크루 로드(2)에 결합하는 나사부를 갖는 밀봉 부재(4)를 배치한 조출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예는 내측 트레이(5)를, 스크루 로드(2)의 전체 둘레에 걸쳐 결합하는 결합 부분(5c)과, 이 결합 부분(5c)을 둘러싸는 동시에,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개의 리브(24)에 의해 상기 결합 부분(5c)과 일체적으로 연결한 내측 트레이 본체(5a)로 구성하고, 이 내측 트레이(5)에 밀봉 부재(14)를 배치한 것이다. 이 구조의 조출 용기는 밀봉 부재(14)와, 결합 부분(5c) 및 내측 트레이 본체(5a)의 상호간에 형성되는 갭의 하측에 마개체(23)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내측 트레이(5)의 승강 이동에 있어서 밀봉 부재(14)가 변형하여 밀봉성이 저하되는 사태가 생긴 경우에서 보완적으로 기밀성을 확보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14)와의 협동에 의해 스 크루 로드(2)와의 결합부에서의 밀봉을 확실히 한다.
상기 도 13에 나타낸 조출 용기는 탄성 부재(21c)와 밀봉 덮개(21b)에서의 토출 홀(4d)의 밀봉이 확실하고, 내측 트레이(5)에 밀봉 부재(14)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납 공간(M)의 밀폐성에 대해서도 극히 높은 구성으로 되는 것이며 휘발성이 높은 내용물 등을 수납해 두기에 적합하다.
밀봉 부재(14)를 내측 트레이(5)에 세트함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한 내측 트레이(5)에 별도로 형성한 밀봉 부재(14)를 감합, 세트하거나, 또는 미리 형성해 둔 밀봉 부재(14) 또는 내측 트레이(5) 중 어느 한쪽을 삽입재로서 금형에 세트하고, 다른쪽 부재를 사출 성형하여 일체화하는 삽입 성형 등을 채용하면 된다.
내측 트레이(5)의 결합 부분(5c) 및 내측 트레이 본체(5a)의 상호간에 형성되는 갭에 대해서는 그 부분을 매립하여 중실(中實)로 하고, 삽입 성형 등에 의해 밀봉 부재(14)를 내측 트레이(5)에 융착(融着)시키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서는 마개체(23)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21c) 및 밀봉 부재(14)의 재질로서는 부드러운 재질의 재료를 채용하는 것이 좋고, 특히 고무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가 적합하다.
밀봉성이 높고, 클릭감에 의해 내용물의 배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조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덮개체를 조일 때에 상기 덮개체와, 주출 헤드의 상호간의 밀봉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 조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저부(底部)에서 회전 가능하게 기립하는 스크루 로드(screw rod)를 갖고, 측벽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공간을 내용물의 충전 공간으로 하는 내통(內筒)과, 이 내통의 구부(口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충전 공간에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 토출 홀(hole)을 갖는 주출(注出) 헤드와, 스크루 로드에 나사 결합하고 내통의 측벽 내면에 탄성 접촉하는 고리 형상의 슬라이딩 밴드를 갖는 내측 트레이와, 이 내측 트레이의 내측에 배치되고 스크루 로드와의 상호간을 기밀 상태로 유지하는 고리 형상의 밀봉 부재와, 연결 로드를 통하여 상기 스크루 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내측 트레이를 기밀 상태로 유지한 채 스크루 로드의 축심을 따라 슬라이드시켜서 충전 공간 내의 내용물을 밀어 올려서 주출 헤드의 주출구로부터 배출하는 회전체와, 내통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주출 헤드를 그 내측에 수납하는 덮개체를 구비한 조출(繰出) 용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연결 로드의 하단에 접속하는 저벽(底壁) 부분과, 이 저벽 부분의 가장자리부에서부터 내통의 외주면(外周面)을 따라 신장하고 또한 내통의 주위를 둘러싸서 상기 내통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주벽(周壁)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체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내통에 설치된 볼록부에 반복해서 접촉, 이반(離反)하여 클릭감을 유발시키는 탄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스크루 로드의 기부(基部)에, 내측 트레이가 충전 공간의 최하단에 위 치하는 상태에서 그 하부에 연계(連係)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stopper)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부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빠져나가기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체의 주벽 부분의 선단(先端)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을 둘러싸는 외통(外筒)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이 투명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헤드의 토출 홀은, 충전 공간에 연결되는 개구와, 이 개구의 중앙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밀어내기 시작하는 내용물을 눌러 덮는 장벽과, 일단(一端)을 장벽에 연계하고 타단(他端)을 개구의 내연부(內緣部)에 연계하여 상기 장벽을 고정 유지하는 동시에 장벽의 주위에서 상기 개구를 복수로 구분하는 브리지(bridge)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리지의 상단과 개구의 상단 사이에 단차(段差)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 주출 헤드의 하단면을 노출시켜서 상기 덮개체의 내통으로부터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오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세로 리브(rib) 형상의 탄성 설편(舌片)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스크루 로드의 기부를 수용하는 기부받침 링의 외주면에 대하여 변위 부분을 남겨서 2방향으로부터 끼우는 한 쌍의 탄성 암(arm)과, 이 탄성 암의 각 단부에서 양쪽에 걸쳐 각각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볼록부에 접촉 가능하게 가압된 홈 형상의 돌출편(突出片)을 조합시킨 링 형상의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 형상의 돌출편의 적어도 한쪽 선단부에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 용기.
  8. 내용물을 수납하는 내통과, 이 내통의 구부에 장착되고, 상면의 중앙부에 측벽에 의해 둘어싸인 내측 공간에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 토출 홀을 갖는 돔(dome) 형상 단면을 이루는 주출 헤드와, 내통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주출 헤드를 그 내측에 수용하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내통 내의 내용물을 적절히 가압하여 상기 주출 헤드의 토출 홀을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하는 조출 용기로서,
    상기 주출 헤드의 상면에, 상기 토출 홀을 포함하는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덮개체의 이면(裏面)에, 주출 헤드의 오목부에 들어맞는 융기벽(隆起璧)을 갖고, 덮개체의 장착시에 상기 융기벽을 주출 헤드의 오목부에 부딪치게 하여 상기 토출 홀을 폐쇄하는 밀봉 덮개를 설치하고,
    상기 밀봉 덮개와 덮개체의 상호간에, 덮개체를 닫았을 때에 그 반발력에 의해 상기 융기벽을 오목부에 대하여 강하게 눌러 덮어서 접촉 영역을 형성하는 탄성 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토출 홀 전부를 둘러싸는 내경(內徑)을 갖는 O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출 용기.
KR1020097020453A 2007-03-15 2007-12-17 조출 용기 KR101149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67185 2007-03-15
JPJP-P-2007-067185 2007-03-15
JPJP-P-2007-119781 2007-04-27
JP2007119781 2007-04-27
JP2007155415A JP5143478B2 (ja) 2007-03-15 2007-06-12 繰り出し容器
JPJP-P-2007-155415 2007-06-12
JPJP-P-2007-305353 2007-11-27
JP2007305353A JP5128915B2 (ja) 2007-04-27 2007-11-27 繰り出し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992A true KR20090118992A (ko) 2009-11-18
KR101149384B1 KR101149384B1 (ko) 2012-06-01

Family

ID=4121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453A KR101149384B1 (ko) 2007-03-15 2007-12-17 조출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92532B2 (ko)
EP (1) EP2123188B8 (ko)
KR (1) KR101149384B1 (ko)
CN (1) CN101674749B (ko)
AT (1) ATE548937T1 (ko)
WO (1) WO20081112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492A (ko) * 2015-07-21 2018-04-04 샤넬 파르퓜 보트 화장품용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7388B2 (ja) * 2006-08-11 2012-03-14 株式会社 資生堂 粘性化粧料用容器
JP5177402B2 (ja) * 2008-02-04 2013-04-03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繰出し容器
WO2010081205A2 (en) * 2009-01-15 2010-07-22 Victor Esteve Packaging element with a hermetically sealed dosing mechanism for semi-solid products
JP5545632B2 (ja) * 2009-03-03 2014-07-09 三菱鉛筆株式会社 液状物繰出容器
JP5604273B2 (ja) * 2010-11-30 2014-10-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US10471242B2 (en) 2011-02-15 2019-11-12 Biosrx, Inc. Applicator and system for administering and dispensing flowable pharmaceutical preparations
US8544684B2 (en) * 2011-02-15 2013-10-01 Ramiro M. Perez Visual, bi-audible, and bi-tactile metered-dose transdermal medicament applicator
GB2493979A (en) * 2011-08-26 2013-02-27 Peter John Moar Dispenser tube comprising piston on threaded shaft
US8545121B2 (en) * 2011-11-02 2013-10-01 Avon Products, Inc. Dispensing mechanism assembly
WO2013086673A1 (en) * 2011-12-12 2013-06-20 Guangzhou Complacent Industrial Co., Ltd Advance feed dispenser
CN103211378B (zh) * 2012-01-19 2016-01-13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口红管中束的改良结构
CA2907612C (en) * 2013-03-20 2021-03-09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Also Trading As Pilot Corporation) Writing instrument and ink cartridge
JP6281103B2 (ja) * 2013-07-29 2018-02-21 株式会社トキワ 塗布材押出容器
US9375033B2 (en) 2014-02-14 2016-06-2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containing gel composition
JP6567858B2 (ja) * 2015-04-16 2019-08-28 三菱鉛筆株式会社 固形物繰り出し容器
US11141213B2 (en) 2015-06-30 2021-10-12 Cilag Gmbh International Surgical instrument with user adaptable techniques
MX2018003021A (es) * 2015-09-16 2018-05-02 Colgate Palmolive Co Empaque de productos consumibles.
CA3041638A1 (en) * 2015-11-02 2017-05-11 Intel Plastics Inc. Material dispenser/applicator
EP3565627A4 (en) 2017-01-04 2021-01-13 Reflex Medical Corporation TOPICAL APPLICATOR DOSING
KR102344584B1 (ko) 2017-06-27 2021-12-31 게르하르트 브뤼거 분배 용기
USD881714S1 (en) * 2017-07-20 2020-04-21 Lumson S.P.A. Container
USD848611S1 (en) 2018-01-24 2019-05-14 Reflex Medical Corp. Metered dose topical applicator
US11382400B2 (en) 2018-08-10 2022-07-12 Go Products Co. Material applicator
USD920805S1 (en) 2019-05-30 2021-06-01 Berlin Packaging, Llc Container with pump actuator
US10752412B1 (en) 2019-11-06 2020-08-25 Berlin Packaging, Llc Child resistant container with pump actuator
CN110817436A (zh) * 2019-11-21 2020-02-21 太原理工大学 一种基于管道水力输送技术的物料输送优化装备
GB2586671B (en) 2020-02-18 2021-10-27 Mr And Mrs Oliver Ltd A substance dispenser and a method of providing a substance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6394A (en) * 1934-08-20 1935-01-01 Gulizia Pietro Pen
JPS5831801Y2 (ja) * 1979-03-05 1983-07-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壜体とネジキヤツプとに係る構造
US4521127A (en) * 1982-11-30 1985-06-04 Gibson Associates, Inc. Sealed propulsion mechanism for a stick-deodorant or the like container
JP2534943Y2 (ja) * 1990-10-31 1997-05-07 大和製罐株式会社 くり出し容器
EP0604489B1 (en) 1991-09-16 1998-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ll/invert package with specialized sealing, non-flow-through elevator system
FR2727608B1 (fr) 1994-12-06 1997-01-10 Oreal Distributeur pour un produit de consistance liquide a pateuse
EP0715821B1 (fr) * 1994-12-06 2004-05-19 L'oreal Distributeur pour un produit de consistance liquide à pâteuse équipé d'un embout d'application
ITUD950060A1 (it) * 1995-04-06 1996-10-07 Microstamp Srl Tappo per bottiglia
JP3072588B2 (ja) * 1995-09-04 2000-07-31 株式会社トキワ 揮発性化粧料密閉容器
US6039483A (en) 1996-11-05 2000-03-21 The Plastek Group Rotary dispenser
JP3555918B2 (ja) 1997-01-17 2004-08-18 株式会社資生堂 蓋体の係合構造
US5947621A (en) * 1997-02-26 1999-09-07 The Plastek Group Cosmetic dispenser for gels and cremes including method of assembling and loading the dispenser
US5970439A (en) 1997-03-13 1999-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formance monitoring in a data processing system
JP3710590B2 (ja) * 1997-03-25 2005-10-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内容物吐出容器のスリットバルブ
JP2000103481A (ja) * 1998-09-29 2000-04-11 Iningu:Kk 定量取出容器
KR100444387B1 (ko) * 2001-08-16 2004-08-16 안석두 액형 립 펜슬의 용기
JP2005168745A (ja) 2003-12-10 2005-06-30 Shiseido Co Ltd 粘性化粧料用容器
JP2006219174A (ja) 2005-02-14 2006-08-24 Kaishin:Kk 内容物押出し容器
JP3113830U (ja) * 2005-06-17 2005-09-22 株式会社資生堂 粘性化粧料用容器
JP3113855U (ja) * 2005-06-20 2005-09-22 株式会社資生堂 粘性化粧料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492A (ko) * 2015-07-21 2018-04-04 샤넬 파르퓜 보트 화장품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3188A4 (en) 2011-01-12
EP2123188A1 (en) 2009-11-25
US20100104345A1 (en) 2010-04-29
US8292532B2 (en) 2012-10-23
ATE548937T1 (de) 2012-03-15
EP2123188B8 (en) 2013-03-06
WO2008111276A1 (ja) 2008-09-18
EP2123188B1 (en) 2012-03-14
KR101149384B1 (ko) 2012-06-01
CN101674749A (zh) 2010-03-17
CN101674749B (zh)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384B1 (ko) 조출 용기
US6089774A (en) Refillable container for applying a spreadable product, more particularly an adhesive compound
US20050199655A1 (en) Dispenser-applicator typically with massage head
JP6728371B2 (ja) 2つの内容物用の包装吐出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充填組立体
JP5128915B2 (ja) 繰り出し容器
JP4986192B2 (ja) 投薬容器
US7255510B2 (en) Rotating dispenser for liquid cosmetics
US20190281953A1 (en) Material dispenser/applicator
KR101049783B1 (ko) 누액방지기능을 갖는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2107180B1 (ko) 푸시 타입 화장품 용기
KR20200109003A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0455996Y1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US20220169432A1 (en) Mixing container having syringe
ITRM930490A1 (it) Contenitore dispensatore di prodotto fluido viscoso con spinta manuale dal basso, particolarmente per uso cosmetico, farmaceutico.
CN111348323A (zh) 用于将分配泵安装在瓶上的附接系统及相关的流体产品瓶
JP2006102076A (ja) 粘性化粧料用容器及び粘性化粧料用容器への粘性化粧料の充填方法
KR200485326Y1 (ko) 회전식 토출형 화장료 용기
JP5143478B2 (ja) 繰り出し容器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JP3113855U (ja) 粘性化粧料用容器
KR20160133081A (ko) 밀폐용기
KR100814317B1 (ko) 토출유닛 출몰식 디스펜서
CN110267565B (zh) 容器
KR102080707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CN113212984A (zh) 一种预分离式双腔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