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439A -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439A
KR20090117439A KR1020080043484A KR20080043484A KR20090117439A KR 20090117439 A KR20090117439 A KR 20090117439A KR 1020080043484 A KR1020080043484 A KR 1020080043484A KR 20080043484 A KR20080043484 A KR 20080043484A KR 20090117439 A KR20090117439 A KR 20090117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coupled
fixing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8178B1 (ko
Inventor
김사현
Original Assignee
신한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한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17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the saw blade being movable on slid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공사용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에 매설되어 지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콘크리트파일의 상부를 절단할 때 절단할 콘크리트파일의 외주면에 반원형으로 분리되는 지지부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고, 지지부의 상부에 수평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레일부와 레일부의 상부에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의 설치되며, 이송부 상부에 절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부의 상부에 레일부의 수평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콘크리트 파일의 상부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절단부가 레일을 이송하며 절단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노동력이 감소되어 절단작업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지지부, 레일부, 체인부, 이송부, 절단부, 수준기, 로울러, 깊이조절부.

Description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CUTTING DEVICE FOR CONCRETE PILE}
본 발명은 기초공사용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에 매설되어 지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콘크리트파일의 상부를 절단할 때 절단할 콘크리트파일의 외주면에 반원형으로 분리되는 지지부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고, 지지부의 상부에 수평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레일부와 레일부의 상부에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의 설치되며, 이송부 상부에 절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부의 상부에 레일부의 수평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콘크리트 파일의 상부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절단부가 레일을 이송하며 절단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노동력이 감소되어 절단작업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또는 토목시공현장에서 구조물 또는 건축물, 예를 들면 아파트나 교량 등을 지반이 견딜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콘크리트파일을 매설하는 기초공사를 하고 있으며, 특히 연약지반의 경우 지하층에 있는 암반에 파일을 박아 고정시키는 기초공사를 반드시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파일을 지반에 매설하는 방법으로는 보통 콘크리트파일의 상단부를 히며 등으로 가격하여 지반에 매설하는 항타공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상기 항타공법으로 콘크리트파일이 매설이 완료되면 항타공법으로 상단부가 손상되어 지면의 상부로 돌출된 콘크리트파일의 상부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파일의 상부를 절단할 때에는 포크레인에 장착된 파쇄기를 이용하여 절단하거나, 작업자가 절단기로 직접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절단방법은 , 포크레인에 장착된 파쇄기를 이용하여 절단할 경우에는 그 절단면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작업자가 직접 절단기로 절단할 경우 콘크리트파일의 파편이 작업자에게 튀어 상해를 입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절단방법은 콘크리트파일의 상부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절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절단작업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에 매설되어 지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콘크리트파일의 상부를 절단할 때 절단할 콘크리트파일의 외주면에 반원형으로 분리되는 지지부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고, 지지부의 상부에 수평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레일부와 레일부의 상부에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의 설치되며, 이송부 상부에 절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부의 상부에 레일부의 수평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콘크리트 파일의 상부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절단할 수 있는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절단부가 레일을 이송하며 절단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노동력이 감소되어 절단작업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콘크리트파일을 절단하는 절단부의 절단기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콘크리트파일을 절단하는 두께를 조절하여 콘크리트파일을 한번에 절단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에 있어서,
하부는 지면에 삽입되고 상부는 지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콘크리트파일의 외주면에 상하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부가 지지부(100)에 지지되는 레일부(200)와;
상기 레일부(200)의 외주면에 레일부(200)를 따라 결합되는 체인부(300)와;
상기 체인부(300)에 결합되어 레일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400)와;
상기 이송부(4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레일부(200)를 따라 이송되면서 콘크리트파일을 절단하는 절단부(5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00)는 도 3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굴곡된 제 1상부지지대(111)가 구비되고, 호형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상부지지대(111)와 일측에 제 2상부지지대(112)가 구비되며, 호형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상부지지대(111)와 제 2상부지지대(112) 사이에 제 3상부지지대(113)가 구비된 상부지지대(110)와;
반원형으로 굴곡된 제 1하부지지대(121)가 구비되고, 호형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하부지지대(121)와 일측에 제 2하부지지대(122)가 구비되며, 호형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2하부지지대(122) 사이에 제 3하부지지대(123)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대(110)의 제 1상부지지대(111)와 제 2상부지지대(112), 제 3상부지지대(113)의 하부에 상기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2하부지지대(122), 제 3하부지지대(123)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제 1하부지지대(121)의 양측 상부와 제 2하부지지대(122) 양측 상부, 제 3하부지지대(123)의 양측 상부 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지지대(110)의 제 1상부지지대(111)의 양측 하부와 제 2상부지지대(112) 양측 하부, 제 3상부지지대(113)의 양측 하부에 상부가 각각 고정되는 이격바(124)가 구비된 하부지지대(120)와;
상기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의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 일측단과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의 일측단, 상기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의 타측단과 제 3상·하부지지대(113, 123)의 일측단에 중앙이 관통되고 상하로 이격되어 양측면이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링(13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링(131)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힌지핀(132)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링(131)과 고정링(131) 사이의 힌지핀(132) 중앙에 이격바(124)의 외측으로 양측단이 지지되는 스프링(133)이 구비된 회전부(130)와;
사각기둥 형상으로 내부가 관통되어 일측에 고정볼트(141a)가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2하부지지대(122), 제 3하부지지대(123) 상부 방사상의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측 하부가 고정되는 고정몸체(141)가 구비되고, 양측에 상기 고정볼트(141a)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142a)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141)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지지대(120)를 중심으로 좌우로 이송되는 이송바(142)가 구비되며, 사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2하부지지대(122), 제 3하부지지대(123)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이송바(142)의 일측단에 고정되고, 하부에 구비된 나사공(143a)에 지지볼트(143b)가 결합되어 이송바(142)에 의해 이송되면서 내측면이 콘크리트파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바(143)가 구비된 콘크리트파일 지지부(140)와;
사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의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 일측 외주면에 상부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부 끝단부에 볼베어링 케이스(151)가 구비된 레일 지지바(150)와;
상기 하부지지대(120)의 제 3하부지지대(123) 일측 외면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대 고정구(161)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지지대 고정구(161)에 선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 1손잡이(16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손잡이(162) 선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회동구(163)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구(163)의 끝단부에는 걸림링(164)이 구비되며,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 일측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걸림링(164)이 결합되는 지지대 고정고리(165)가 구비되어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3하부지지대(123)를 고정하는 지지대 고정클램프(160)와;
상기 레일 지지바(150)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 양측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돌출바(171)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바(171)의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제 1하부지지대(121)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바(172)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바(172)의 타측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제 1이송볼트(173)가 구비되고, 상기 제 1이송볼트(173)에 하부가 결합되는 회전바(174)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바(174)의 상부에는 제 2이송볼트(175)가 구비되고, 상기 제 2이송볼트(175)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송지지볼트(176)가 구비된 지지대 회전지지 클램프(170)와;
상기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의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 사이에 상부와 하부가 고정되는 고정바(181)가 구비되고, 일측단에 링(182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181)에 링(182a)이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봉(182)이 구비되며,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부링(183a)과 하부링(183b) 사이에 상기 고정봉(182)의 링(182a)이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판고정구(183)가 구비되고, 상기 판고정구(183)의 상부링(183a)과 고정봉(182)의 링(182a), 하부링(183b)에 상부에서 삽입되어 고정봉(182)의 링(182a)과 판고정구(183)의 상부링(183a)과 하부링(183b)이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삽입핀(184)이 구비되며, 상기 판고정구(183)의 상부링(183a) 일측 외주면에 내부까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볼트(185a) 외측단에 고정볼트(185a)를 회동시켜 삽입핀(184)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제 2손잡이(185)가 구비된 지지대 균형조절 클램프(18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200)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파일의 반지름보다 크게 반원형으로 굴곡된 제 1반원레일(211)과 제 2반원레일(212)이 각각 구비된 제 1레일(210)과;
상기 제 1레일(210)의 반지름보다 크게 반원형으로 굴곡되어 제 1레일(2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3반원레일(221)과 제 4반원레일(222)이 각각 구비된 제 2레일(220)과;
판형으로 일측은 상향으로 굴곡되고, 타측은 하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 사이 방사상의 위치에 일측 상부는 제 1레일(210)의 제 1 반원레일(211)과 제 2반원레일(212)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 하부는 제 2레일(220)의 제 3반원레일(221)과 제 4반원레일(222)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부에 다수의 제 1나사공(231)이 구비되어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하는 다수의 레일고정구(230)와;
상기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의 수평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레일고정구(230)의 상부에 다수 구비되는 수준기(240)와;
상기 제 1레일(210)의 제 2반원레일(212)과 제 2레일(220)의 제 4반원레일(222) 사이의 중앙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의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지지구핀(250)과;
상기 제 1레일(210)의 일측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와 제 2레일의 타측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 하부에 각각 구비된 결합핀(260)과;
상기 제 1레일(210)의 결합핀(260)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 2레일(220) 일측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와 제 2레일(220)의 결합핀(260)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 1레일(210) 타측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 하부에 상기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의 양측단이 일치되도록 결합핀(260)과 결합되는 결합봉(270)과;
상기 결합핀(260)의 외측면에 고정판(28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281)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 3손잡이(282)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 3손잡이(28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회동고리(283)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결합봉(270)의 외측면에 회동고리(283)가 걸리는 걸림돌기(284)가 구비되어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이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레일연결클램프(280) 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체인부(300)는 도 11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형상으로 반원형으로 굴곡되어 레일부(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1체인가이드바(310)와;
ㄴ형상으로 반원형으로 굴곡되어 레일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2체인가이드바(320)와;
상기 제 1체인가이드바(310)와 제 2체인가이드바(32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체인(330)과;
상기 제 1체인가이드바(310)와 제 2체인가이드바(320)의 상부 방사상의 위치에 볼트가 삽입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통공(3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400)는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판형의 판몸체(411)가 구비되고, 상기 판몸체(411)의 중앙 하부에 양측단이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제 1지지구(41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지지구(412)의 일측단에는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 1로울러(413)가 구비되고, 상기 제 1지지구(412)의 타측단에는 대각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 2로울러(414)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지지구(412)의 양측 판몸체(411)의 하부에는 양측단이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제 2지지구(415)가 구비되고, 상기 제 2지지구(415)의 일측단에는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 3로울러(416)가 구비되며, 상기 제 2지지구(415)의 타측단에는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 4로울러(417)가 구비되고, 상기 판몸체(411)의 상부 일측에는 고정판(418)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418)의 중앙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고정클램프(419)가 구비된 레일이송판(410)과;
판형상으로 상부 일측에 상기 레일이송판(410)의 고정클램프(419)와 결합되는 클램프 결합판(421)이 구비되어 레일이송판(410)의 판몸체(411) 상부에 결합되는 모터고정판(420)과;
상기 체인부(300)에 결합되는 체인기어(431)가 모터고정판(42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모터고정판(420)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기어모터(430)와;
상기 모터고정판(42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을 조절하는 콘트롤박스(4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500)는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상부 일측에 결합된 회동볼트(511)로 이송부(400)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동하고, 상부 중앙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결합된 유동방지바(512)가 구비된 회동판(510)과;
상기 회동판(510)과 이송부(400)에 양측이 링크결합되어 이송부(400)에서 회동판(510)이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레버(520)와;
상기 회동판(510)의 상부에 회동볼트(511)로 결합되고, 회동판(510)의 상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유동방지바(512)에 결합되는 절단기 본체(531)가 구비되고, 상기 절단기 본체(531)의 선단부에 콘크리트파일을 절단하는 절단날(532)이 구비되며, 상기 절단기 본체(531)의 상부에 절단기 본체(531)를 이송할 때 파지하는 이송손잡이(533)가 구비된 절단기(530)와;
상기 절단기(530)의 절단날(532)이 콘크리트파일을 절단하는 깊이를 조절하는 절단깊이 조절부(5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절단깊이 조절부(54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판(5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결합된 제 1회동링크(54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회동링크(541)의 타측단에는 회동가능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끝단부에 제 5로울러(542a)와 제 6로울러(542b)가 각각 구비된 제 2회동링크(542)가 구비되며, 내부가 관통되어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회동링크(541)의 일측이 힌지결합된 회동판(5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동고정구(543)가 구비되고, 선단부가 상기 제 1회동링크(541)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고정구(543)에 결합되는 이송스크류(544)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스크류(544)를 회동시키는 회전핸들(545)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지반에 매설되어 지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콘크리트파일의 상부를 절단할 때 절단할 콘크리트파일의 외주면에 반원형으로 분리되는 지지부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고, 지지부의 상부에 수평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레일부와 레일부의 상부에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의 설치되며, 이송부 상부에 절단부가 결합되어 지지부의 상부에 레일부의 수평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콘크리트 파일의 상부를 정확하게 수평으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절단부가 레일을 이송하며 절단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노동력이 감소되어 절단작업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파일을 절단하는 절단부의 절단기 깊이를 조절함으 로써 콘크리트파일을 절단하는 두께를 조절하여 콘크리트파일을 한번에 절단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도 3의 V-V'선 지지부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지지부의 회전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지지부의 콘크리트파일 지지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지지부의 지지대 회전지지클램프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지지부의 지지대 균형조절 클램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는 지면에 삽입되고 상부는 지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콘크리트파일의 외주면에 상하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부가 지지부(100)에 지지되는 레일부(200), 상기 레일부(200)의 외주면에 레일부(200)를 따라 결합되는 체인부(300), 상기 체인부(300)에 결합되어 레일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400)와, 상기 이송부(4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레일부(200)를 따라 이송되면 서 콘크리트파일을 절단하는 절단부(5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00)의 상부지지대(11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굴곡된 제 1상부지지대(111)의 일측에 호형으로 굴곡된 제 2상부지지대(112)가 구비되고, 상기 제 1상부지지대(111)와 제 2상부지지대(112) 사이에 호형으로 굴곡된 제 3상부지지대(1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00)의 하부지지대(120)는 반원형으로 굴곡된 제 1하부지지대(121)의 일측에 호형으로 굴곡된 제 2하부지지대(12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2하부지지대(122) 사이에 호형으로 굴곡된 제 3하부지지대(12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대(110)의 제 1상부지지대(111)와 제 2상부지지대(112), 제 3상부지지대(113)의 하부에 상기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2하부지지대(122), 제 3하부지지대(123)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이격바(124)가 제 1하부지지대(121)의 양측 상부와 제 2하부지지대(122) 양측 상부, 제 3하부지지대(123)의 양측 상부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지지대(110)의 제 1상부지지대(111)의 양측 하부와 제 2상부지지대(112) 양측 하부, 제 3상부지지대(113)의 양측 하부에 상부가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는 그 단면이 하중에 강하고 변형이 적은 사각형상의 봉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의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 일측단과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의 일측단, 상기 제 2상·하부지지 대(112, 122)의 타측단과 제 3상·하부지지대(113, 123)의 일측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관통되고 상하로 이격되어 양측면이 각각 고정되는 회전부(130)의 고정링(131)이 다수 구비된다.
상기 고정링(131)은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에서 양측면이 분리되지 않도록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링(131)은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의 일측단에 고정링(131)을 상하로 다수 개를 맞대어 견고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131)의 내부에는 삽입되어 힌지핀(132)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의 일측단에 각각 고정링(131)과 고정링(131) 사이의 힌지핀(132) 중앙에는 이격바(124)의 외측으로 양측단이 지지되는 스프링(133)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2하부지지대(122), 제 3하부지지대(123) 상부 방사상의 위치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콘크리트파일 지지부(140)의 고정몸체(141) 일측 하부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몸체(141)는 내부가 관통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일측에 고정볼트(141a)가 관통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141)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지지대(120)를 중심으로 좌우로 이송되는 이송바(142)가 구비되는 데, 상기 이송바(142)는 양측에 고정볼트(141a)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142a)이 구비되어 고정볼트(141a)에 의해 고정몸체(141) 내부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사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2하부지지대(122), 제 3하부지지대(123)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이송바(142)의 일측단에 지지바(143)가 고정되는 데, 상기 지지바(143)는 하부에 구비된 나사공(143a)에 지지볼트(143b)가 결합되어 이송바(142)에 의해 이송되면서 내측면이 콘크리트파일(6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의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 일측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부 끝단부에 볼베어링 케이스(151)가 구비된 레일 지지바(150)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레일 지지바(150)는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 일측 외주면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견고히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대(120)의 제 3하부지지대(123) 일측 외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대 고정구(161)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지지대 고정구(161)에는 제 1손잡이(162)의 선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손잡이(162) 선부에는 끝단부에 걸림링(164)이 구비된 회동구(163)의 선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대(120)의 제 3하부지지대(123) 일측 외면에는 하부지지대 고정구(161)가 고정되고, 상기 하부지지대 고정구(161)에는 선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제 1손잡이(162)가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손잡이(162) 선부에는 끝단부에 걸림링(164)이 구비된 회동구(163)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 일 측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링(164)이 결합되는 지지대 고정고리(165)가 고정되어 상기 제 1손잡이(162)의 작동에 따라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3하부지지대(123)의 일측단을 결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레일 지지바(150)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 양측 하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돌출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돌출바(171)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제 1하부지지대(121) 외측으로 고정바(172)가 돌출되고, 고정바(172)의 타측에는 상부에 회전바(174)가 결합된 제 1이송볼트(173)가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대 회전지지 클램프(17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바(174)의 상부에는 상부에 이송지지볼트(176)가 결합된 제 2이송볼트(175)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이송볼트(173)와 제 2이송볼트(175)는 회전바(174)를 회전시키면 제 2이송볼트(175)의 상부에 결합된 이송지지볼트(176)가 상부로 상승되도록 서로 반대의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대의 균형을 조절하는 지지대 균형조절 클램프(1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의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 사이에 고정바(181)의 상부와 하부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바(181)에 링(182a)이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봉(182)이 결합되며,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부링(183a)과 하부링(183b) 사이에는 상기 고정봉(182)의 링(182a)이 위치되도록 판고정구(183)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판고정구(183)의 상부링(183a)과 고정봉(182)의 링(182a), 하부링(183b)에 상부에서 삽입되어 고정봉(182)의 링(182a)과 판고정구(183)의 상부링(183a)과 하부링(183b)이 분리되지 않도록 삽입핀(184)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판고정구(183)의 상부링(183a) 일측 외주면에는 내부까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볼트(185a) 외측단에 고정볼트(185a)를 회동시켜 삽입핀(184)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제 2손잡이(185)가 결합된다.
한편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파일의 반지름보다 크게 반원형으로 굴곡된 제 1반원레일(211)과 제 2반원레일(212)이 각각 구비되고, 제 2레일(220)은 상기 제 1레일(210)의 반지름보다 크게 반원형으로 굴곡되어 제 1레일(2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3반원레일(221)과 제 4반원레일(222)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은 단면이 원형인 봉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 사이 방사상의 위치에는 판형으로 일측은 상향으로 굴곡되고, 타측은 하향으로 굴곡된 레일고정구(230)가 일측 상부는 제 1레일(210)의 제 1반원레일(211)과 제 2반원레일(212)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 하부는 제 2레일(220)의 제 3반원레일(221)과 제 4반원레일(222)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어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사이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일고정구(230)의 상부에는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의 수 평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수준기(水準器, level, 24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레일(210)의 제 2반원레일(212)과 제 2레일(220)의 제 4반원레일(222) 사이의 중앙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구핀(250)이 고정되고, 상기 제 1레일(210)의 일측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와 제 2레일의 타측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 하부에 각각 결합핀(260)이 고정되며, 상기 제 1레일(210)의 결합핀(260)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 2레일(220) 일측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와 제 2레일(220)의 결합핀(260)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 1레일(210) 타측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 하부에 상기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의 양측단이 일치되도록 결합핀(260)과 결합되는 결합봉(270)이 고정된다.
한편 레일연결클램프(280)는상기 결합핀(260)의 외측면에 고정된 고정판(281)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제 3손잡이(282)가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3손잡이(282)에는 회동고리(283)가 회동가능하게 각각 힌지결합되며, 상기 결합봉(270)의 외측면에는 회동고리(283)가 걸리는 걸림돌기(284)가 구비되어 제 3손잡이(282)를 회동시키면 회동고리(283)가 걸림돌기(284)에 걸리면서 결합되어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이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레일연결클램프(280)는 제 2레일(220)에 의해 제 3손잡이(282)의 회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외측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준기(240)는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 제 2레일(220)과 동일한 수평이 유지되면서 레일연결 클램프(280)를 중심으로 양측 제 1·3반원레일(211, 221)과 제 2·4반원레일(212, 222) 사이에 설치된 양측 레일고정구(230)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인부(300)의 제 1체인가이드바(31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단면 형상의 반원형으로 굴곡되어 상부 방사상의 위치에 다수 구비된 통공(340)에 볼트를 삽입하여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 제 1반원레일(211)과 제 2레일(220) 제 3반원레일(221)을 고정하는 레일고정구(230) 상부에 구비된 제 1나사공(231)에 고정되고, 제 2체인가이드바(320)도 ㄴ단면 형상의 반원형으로 굴곡되어 상부 방사상의 위치에 다수 구비된 통공(340)에 볼트를 삽입하여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 제 2반원레일(212)과 제 2레일(220) 제 4반원레일(222)을 고정하는 레일고정구(230) 상부에 구비된 제 1나사공(231)에 고정된다.
한편 이송부(400)의 레일이송판(410)은 도 14 와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판형의 판몸체(411)의 중앙 하부에 양측단이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제 1지지구(412)의 일측단에는 수평으로 제 1로울러(413)가 결합되고, 상기 제 1지지구(412)의 타측단에는 대각 방향으로 제 2로울러(414)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지지구(412)의 양측 판몸체(411)의 하부에는 양측단이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제 2지지구(415)의 일측단에는 수직으로 제 3로울러(416)가 결합되고, 상기 제 2지지구(415)의 타측단에는 수직으로 제 4로울러(417)가 결합되며, 상기 판몸체(411)의 상부 일측에는 고정된 고정판(418)의 중앙 상부에는 고정클램프(419)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또한 레일이송판(410)의 판몸체(411) 상부에는 상부 일측에 상기 레일이송판(410)의 고정클램프(419)와 결합되는 클램프 결합판(421)이 구비된 판형상의 모 터고정판(42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고정판(420) 상부 일측에는 체인부(300)의 체인(330)에 결합되는 체인기어(431)가 모터고정판(42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기어모터(430)와 전원을 조절하는 콘트롤박스(440)가 각각 고정된다.
한편 절단부(500)의 회동판(510)은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상부 일측에 결합된 회동볼트(511)로 이송부(400)의 모터고정판(420) 상부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상부 중앙에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유동방지바(512)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판(510)과 이송부(400)의 모터고정판(420)에 양측이 링크로 결합되어 이송부(400)의 모터고정판에서 필요에 따라 회동판(510)이 회동되지 않도록 잠금레버(520)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절단부(500)의 절단기(530)는 회동판(510)의 상부에 회동볼트(511)로 결합면서 회동판(510)의 상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유동방지바(512)에 절단기 본체(531)가 결합되고, 상기 절단기 본체(531)의 선단부에는 콘크리트파일을 절단하는 절단날(532)이 결합되며, 상기 절단기 본체(531)의 상부에는 절단기 본체(531)를 손으로 파지하여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이송손잡이(53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기(530)의 절단날(532)이 콘크리트파일을 절단하는 깊이를 조절하는 절단깊이 조절부(54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판(5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결합된 제 1회동링크(541)의 타측단에 회동가능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끝단부에 제 5로울러(542a)와 제 6로울러(542b)가 각각 구비된 제 2회동링크(542)가 결합되고, 내부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회동링크(541)의 일측이 힌지결합된 회동판(5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회동고정구(543)가 결합된다.
그리고 선단부가 상기 제 1회동링크(541)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고정구(543)에 결합되는 이송스크류(544)를 회동시키는 회전핸들(545)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2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가 콘크리트파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절단부가 콘크리트파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4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절단부가 콘크리트파일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00은 콘크리트 파일이다.
먼저 지지부(100)의 지지대 고정클램프(160) 제 1손잡이(162)를 손으로 잡고 하부지지대 고정구(161)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 일측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된 지지대 고정고리(165)에서 회동구(163)의 선단부에 구비된 걸림링(164)이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 고정고리(165)에서 걸림링(164)이 분리되면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는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 일측단과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의 일측단에 양측면이 각각 고정되는 고정링(131)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부(130)의 힌지핀(132)을 중심으로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와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가 양측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는 고정링(131)과 고정링(131) 사이의 힌지핀(132) 중앙에 이격바(124)의 외측으로 양측단이 지지되는 스프링(133)에 의해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회동시켜야 벌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와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가 회동됨과 동시에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의 타측단과 제 3상·하부지지대(113, 123)의 일측단에 양측면이 각각 고정되는 고정링(131)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부(130)의 힌지핀(132)을 중심으로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와 제 3상·하부지지대(113, 123) 또한 양측으로 회동되며 벌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부(100)의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를 절단하고자하는 콘크리트파일(600)의 외주면에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에 방사상의 위치로 고정된 다수의 콘크리트파일 지지부(140)의 지지바(143) 내측면이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100) 콘크리트파일 지지부(140)의 지지바(143) 내측면이 콘크리트파일(600) 외주면에 밀착되면 회전부(130)의 스프링(133)에 의해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와 제 3상·하부지지대(113, 123)가 회전부(130)의 힌지핀(132)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와 제 3상·하부지지대(113, 123)에 고정된 콘크리트파일 지지부(140)의 지지바(143) 내측면이 콘크리트파일(600) 외주면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지지대 고정 클램프(160)의 제 1손잡이(162)를 하부지지대 고정구(161)를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동시켜 회동구(163)의 끝단부에 구비된 걸림링(164)을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에 고정된 지지대 고정고리(165)에 걸리도록 결합시킨 후 제 1손잡이(162)를 다시 좌측으로 회동시켜 지지대(100)의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를 콘크리트파일(60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파일(600) 외주면에 설치된 지지대(100)의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가 콘크리트파일(600)의 외주면에서 미끄러져 하부로 이송되지 않도록 콘크리트파일 지지부(140)의 지지바(143) 하부에 구비된 나사공(143a)에 결합된 지지볼트(143b)를 콘크리트파일(600) 내측으로 회전시켜 지지바(100)를 콘크리트파일(600) 외주면에 더욱 견고히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파일(60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지지대(100)의 콘크리트파일 지지부(140) 이송바(142)는 콘크리트파일(600)의 지름에 따라 콘크리트파일(600)의 지름이 작을 경우 고정몸체(141)의 고정볼트(141a)를 고정몸체(141)로부터 분리하고, 이송바(142)를 콘크리트파일(600)의 중심으로 이송시켜 일측에 구비된 다른 볼트삽입공(142a)에 고정볼트(141a)를 결합함으로써 지지부(100)의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 보다 작은 지름의 콘크리트파일(600) 외주면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사상의 위치에 다수 구비된 통공(340)에 볼트를 삽입하여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 제 1반원레일(211)과 제 2레일(220) 제 3반원레일(221)을 고정하는 레일고정구(230) 상부에 구비된 제 1나사공(231)에 체인부(300)의 제 1체인가이드바(310)를 고정하고, 제 2체인가이드바(320)를 상부 방사상의 위치에 다수 구비된 통공(340)에 볼트를 삽입하여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 제 2반원레일(212)과 제 2레일(220) 제 4반원레일(222)을 고정하는 레일고정구(230) 상부에 구비된 제 1나사공(231)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 사이 다수의 레일고정구(230) 상부에 고정된 제 1체인가이드바(310)와 제 2체인가이드바(320)의 상부에 체인(330)을 각각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체인부(300)의 제 1체인가이드바(310)와 제 2체인가이드바(320) 상부에 체인(330)이 결합된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을 콘크리트파일(600)의 양측에서 이송시켜 콘크리트파일(600) 외주면에 고정된 지지부(100)의 상부지지대(110) 상부에 각각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 1레일(210)의 제 2반원레일(212)과 제 2레일(220)의 제 4반원레일(222) 사이의 중앙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의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지지구핀(250)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의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 일측 외주면에 상부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레일 지지바(150) 상부 끝단부에 구비된 볼베어링 케이스(151) 내부에 삽입되도록 결합시 키고, 상기 레일 지지바(150)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 양측에 구비된 지지대 회전지지 클램프(170)의 이송지지볼트(176) 상부에 레일부(200) 제 1레일(210)의 제 1반원레일(211)과 제 2레일(220)의 제 3반원레일(221) 사이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 하부가 지지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의 양측 레일고정구(230) 하부에 각각 구비된 결합핀(260)과 결합봉(27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의 양측단이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지부(100)의 상부지지대(110) 상부에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을 결합한 후 결합핀(260)의 외주면에 고정된 고정판(281)에 힌지결합된 레일연결클램프(280)의 제 3손잡이(282)를 회동시켜 회동고리(283)를 결합봉(270)의 외주면에 고정된 걸림돌기(284)에 결합하여 제 1레일(210)의 제 1반원레일(211)과 제 2반원레일(212), 제 2레일(220)의 제 3반원레일(221)과 제 4반원레일(222)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100)의 상부지지대(110) 상부에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을 결합한 후 작업자는 레일고정구(230)의 상부에 구비된 수준기(240)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지지대 회전지지 클램프(170)의 회전바(174)를 회전시켜 제 1이송볼트(173)와 제 2이송볼트(175)의 간격으로 조절하여 이송지지볼트(176)를 상부로 이송시켜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의 수평을 정확하게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 균형조절 클램프(180)의 판고정구(183)의 상부링(183a) 일측 외주면에는 내부까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볼트(185a) 외측단에 결합된 제 2손잡이(185)를 회전시켜 삽입핀(184)의 상단부 높이를 조절하여 상단부가 일측 레일고정구(230) 하부에 지지됨으로써 지지대(100)의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의 균형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삽입핀(184)은 레일고정구(230)의 하부에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상단부를 고정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지지구(412)의 양측 판몸체(411)의 하부에 양측단이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제 2지지구(415)의 일측단에 수직으로 결합된 제 3로울러(416)는 제 1레일(210)의 제 1반원레일(211)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 2지지구(415)의 타측단에 수직으로 결합된 제 4로울러(417)는 제 2레일(220) 제 3반원레일(221)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결합한다.
또한 상기 레일이송판(410) 상부에는 일측 상부에 기어모터(430)와 콘트롤박스(440)가 설치된 모터고정판(420)을 상기 모터고정판(410)의 하부로 돌출된 기어모터(430)의 체인기어(431)가 체인부(300)의 체인(330)과 결합되도록 레일이송판(410)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레일이송판(410)의 판몸체(411) 상부 일측에 고정된 고정판(418)의 중앙 상부에 결합된 고정클램프(419)를 회동시켜 모터고정판(420)에 결합된 클램프 결합판(421)에 결합하여 레일이송판(410)과 모터고정판(420)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에 결합된 이송부(400)의 레일이송판(410) 상부에 모터고정판(420)을 고정한 후 도 23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500)의 절단기(530)를 모터고정판(420) 상부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파일(600)의 절단부위 외주면에 설치된 절단장치는 도 25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고정판(42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 콘트롤박스(440)를 이용하여 절단부(500)의 절단기(530)에 전원을 공급하면 절단기(530)의 절단날(532)이 작동되고, 절단날(532)이 작동되면 작업자는 깊이조절부(540)의 회전핸들(545)을 돌린다.
상기와 같이 깊이조절부(540)의 회전핸들(545)을 돌리면 회전핸들(545)에 의해 이송스크류(544)가 회동고정구(543)에서 후방으로 이송되고, 이송스크류(544) 선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회동판(5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결합된 제 1회동링크(541)가 후방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후방으로 회동되는 제 1회동링크(541)의 타측단에 ㄷ자 형상으로 끝단부에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 상부에 밀착된 제 5로울러(542a)와 제 2레일(220)의 하부에 밀착된 제 6로울러(542b)가 각각 구비된 제 2회동링크(542)에 의해 절단기(530)의 절단기 몸체(531)가 고정된 회동판(510)은 회동볼트(511)를 중심으로 콘크리트파일(600)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깊이조절부(540)의 회전핸들(545)을 계속 돌리면 절단기(530)의 절단날(532)이 콘크리트파일(600)의 일측을 절단하며 콘크리트파일(600) 내부로 계속 삽입되고, 콘크리트파일(600)의 일측이 절단되면 작업자는 상기 회동판(510)과 이송부(400)의 모터고정판(420)에 양측이 링크로 결합된 잠금레 버(520)를 회동시켜 이송부(400)의 모터고정판(420)에서 회동판(51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 후 콘트롤박스(440)를 이용하여 기어모터(4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체인기어(431)를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체인부(300)의 체인(330)에 결합된 기어모터(430)의 체인기어(431)가 작동되면 이송부(400)의 레일이송판(410)이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을 따라 이송되며 절단부(500)의 절단기(530) 또한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을 따라 이송되면서 콘크리트파일(600)의 원주방향으로 360°이송되면 콘크리트파일(600)의 절단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절단부(500)의 절단깊이 조절부(540)는 이송부(400)의 레일이송판(410) 상부에 설치되는 절단부(500)의 절단기(530) 하중을 레일부(200)에 분산시키는 기능을 함으로써 절단부(500)의 절단기(530) 하중으로 이송부(400)의 레일이송판(410)이 레일부(200)의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에 용이하게 이송되게 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파일(600)을 절단하는 절단부(500)의 절단기(530)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콘크리트파일(600)을 절단하는 두께를 조절하여 콘크리트파일(600)을 한번에 절단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콘크리트파일(600)을 절단하려면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절단장치를 콘크리트파일(600)에 설치하여 절단하면 되고, 또는 다른 콘크리트파일(600)에 지지부(100)와 레일부(200), 체인부(300), 이송부(400)를 미리 설치하고, 절단이 끝나면 이송부(400)의 레일이송판(410)에서 절단부(500)를 분 리하여 절단기(530)의 절단기 본체(531) 상부에 구비된 회동손잡이(533)를 이용하여 이동시켜 미리 설치된 다른 콘크리트파일(600)의 이송부(400)에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절단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되는 콘크리트파일을 그 절단면이 매끄럽고 정학하게 수평으로 절단되며, 절단기가 레일을 따라 이송되며 절단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도 3의 V-V'선 지지부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지지부의 회전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지지부의 콘크리트파일 지지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지지부의 지지대 회전지지클램프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지지부의 지지대 균형조절 클램프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레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도 9의 A-A'선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체인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레일부와 체인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레일부와 체인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이송부 레일이송판과 모터고정판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이송부 레일이송판과 절단부 회동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절단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7 은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이송부와 절단부의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절단부의 절단깊이 조절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지지부와 레일부, 체인부, 이송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0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이송부가 레일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지지부와 레일부, 체인부, 이송부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22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가 콘크리트파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절단부가 콘크리트파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4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절단부가 콘크리트파일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25, 26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지부
110 : 상부지지대 111 : 제 1 상부지지대
112 : 제 2 상부지지대 113 : 제 3 상부지지대
120 : 하부지지대 121 : 제 1 하부지지대
122 : 제 2 하부지지대 123 : 제 3 하부지지대
130 : 회전부 131 : 고정링
132 : 힌지핀 133 : 스프링
140 : 콘크리트 파일 지지부 141 : 고정몸체
141a : 고정볼트 142 : 이송바
142a : 볼트삽입공 143 : 지지바
143a : 나사공 143b : 지지볼트
150 : 레일 지지바 151 : 볼베어링케이스
160 : 지지대 고정클램프 161 : 하부지지대 고정구
162 : 제 1손잡이 163 : 회동구
164 : 걸림링 165 : 지지대 고정고리
170 : 지지대 회전지지클램프 171 : 돌출바
172 : 고정바 173 : 제 1이송볼트
174 : 회전바 175 : 제 1이송볼트
176 : 이송지지볼트 180 : 지지대 균형조절 클램프
181 : 고정바 182 : 고정봉
182a : 링 183 : 판고정구
183a : 상부링 183b : 하부링
184 : 삽입핀 185 : 제 2손잡이
185a : 고정볼트
200 : 레일부
210 : 제 1레일 211 : 제 1반원레일
212 : 제 2반원레일 220 : 제 2레일
221 : 제 3반원레일 222 : 제 4반원레일
230 : 레일고정구 231 : 제 1나사공
240 : 수준기 250 : 지지구 핀
260 : 결합핀 270 : 결합봉
280 : 레일연결클램프 281 : 고정판
282 : 제3손잡이 283 : 회동고리
284 : 걸림돌기
300 : 체인부
310 : 제 1체인가이드바 320 : 제 2체인바이드바
330 : 체인 340 : 통공
400 : 이송부
410 : 레일이송판 411 : 판몸체
412 : 제 1지지구 413 : 제 1로울러
414 : 제 2로울러 415 : 제 2지지구
416 : 제 3로울러 417 : 제 4로울러
418 : 고정판 419 : 고정클램프
420 : 모터고정판 421 : 클램프 결합판
430 : 기어모터 431 : 체인기어
440 : 콘트롤박스
500 : 절단부
510 : 회동판 511 : 회동볼트
512 : 유동방지바 520 : 잠금레버
530 : 절단기 531 : 절단기 본체
532 : 절단날 533 : 이송손잡이
540 : 절단깊이 조절부 541 : 제 1회동링크
542 : 제 2회동링크 542a : 제 5로울러
542b : 제 6로울러 543 : 회동고정구
544 : 이송스크류 545 : 회전핸들

Claims (7)

  1.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에 있어서,
    하부는 지면에 삽입되고 상부는 지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콘크리트파일의 외주면에 상하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부가 지지부(100)에 지지되는 레일부(200)와;
    상기 레일부(200)의 외주면에 레일부(200)를 따라 결합되는 체인부(300)와;
    상기 체인부(300)에 결합되어 레일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400)와;
    상기 이송부(4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레일부(200)를 따라 이송되면서 콘크리트파일을 절단하는 절단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는 반원형으로 굴곡된 제 1상부지지대(111)가 구비되고, 호형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상부지지대(111)와 일측에 제 2상부지지대(112)가 구비되며, 호형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상부지지대(111)와 제 2상부지지대(112) 사이에 제 3상부지지대(113)가 구비된 상부지지대(110)와;
    반원형으로 굴곡된 제 1하부지지대(121)가 구비되고, 호형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하부지지대(121)와 일측에 제 2하부지지대(122)가 구비되며, 호형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2하부지지대(122) 사이에 제 3하부지지 대(123)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대(110)의 제 1상부지지대(111)와 제 2상부지지대(112), 제 3상부지지대(113)의 하부에 상기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2하부지지대(122), 제 3하부지지대(123)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제 1하부지지대(121)의 양측 상부와 제 2하부지지대(122) 양측 상부, 제 3하부지지대(123)의 양측 상부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지지대(110)의 제 1상부지지대(111)의 양측 하부와 제 2상부지지대(112) 양측 하부, 제 3상부지지대(113)의 양측 하부에 상부가 각각 고정되는 이격바(124)가 구비된 하부지지대(120)와;
    상기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의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 일측단과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의 일측단, 상기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의 타측단과 제 3상·하부지지대(113, 123)의 일측단에 중앙이 관통되고 상하로 이격되어 양측면이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링(13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링(131)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힌지핀(132)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링(131)과 고정링(131) 사이의 힌지핀(132) 중앙에 이격바(124)의 외측으로 양측단이 지지되는 스프링(133)이 구비된 회전부(130)와;
    사각기둥 형상으로 내부가 관통되어 일측에 고정볼트(141a)가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2하부지지대(122), 제 3하부지지대(123) 상부 방사상의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측 하부가 고정되는 고정몸체(141)가 구비되고, 양측에 상기 고정볼트(141a)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142a)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141)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지지대(120)를 중심으로 좌우로 이송되는 이송바(142)가 구비되며, 사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하부 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2하부지지대(122), 제 3하부지지대(123)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이송바(142)의 일측단에 고정되고, 하부에 구비된 나사공(143a)에 지지볼트(143b)가 결합되어 이송바(142)에 의해 이송되면서 내측면이 콘크리트파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바(143)가 구비된 콘크리트파일 지지부(140)와;
    사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의 제 2상·하부지지대(112, 122) 일측 외주면에 상부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부 끝단부에 볼베어링 케이스(151)가 구비된 레일 지지바(150)와;
    상기 하부지지대(120)의 제 3하부지지대(123) 일측 외면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대 고정구(161)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지지대 고정구(161)에 선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제 1손잡이(16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손잡이(162) 선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회동구(163)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구(163)의 끝단부에는 걸림링(164)이 구비되며,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 일측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걸림링(164)이 결합되는 지지대 고정고리(165)가 구비되어 제 1하부지지대(121)와 제 3하부지지대(123)를 고정하는 지지대 고정클램프(160)와;
    상기 레일 지지바(150)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하부지지대(120)의 제 1하부지지대(121) 양측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돌출바(171)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바(171)의 하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제 1하부지지대(121)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바(172)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바(172)의 타측에 상향으로 돌출되 도록 제 1이송볼트(173)가 구비되고, 상기 제 1이송볼트(173)에 하부가 결합되는 회전바(174)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바(174)의 상부에는 제 2이송볼트(175)가 구비되고, 상기 제 2이송볼트(175)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송지지볼트(176)가 구비된 지지대 회전지지 클램프(170)와;
    상기 상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20)의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 사이에 상부와 하부가 고정되는 고정바(181)가 구비되고, 일측단에 링(182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181)에 링(182a)이 제 1상·하부지지대(111, 121)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봉(182)이 구비되며,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부링(183a)과 하부링(183b) 사이에 상기 고정봉(182)의 링(182a)이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판고정구(183)가 구비되고, 상기 판고정구(183)의 상부링(183a)과 고정봉(182)의 링(182a), 하부링(183b)에 상부에서 삽입되어 고정봉(182)의 링(182a)과 판고정구(183)의 상부링(183a)과 하부링(183b)이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삽입핀(184)이 구비되며, 상기 판고정구(183)의 상부링(183a) 일측 외주면에 내부까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볼트(185a) 외측단에 고정볼트(185a)를 회동시켜 삽입핀(184)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제 2손잡이(185)가 구비된 지지대 균형조절 클램프(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200)는 콘크리트파일의 반지름보다 크게 반원형으로 굴곡된 제 1반원레일(211)과 제 2반원레일(212)이 각각 구비된 제 1레일(210)과;
    상기 제 1레일(210)의 반지름보다 크게 반원형으로 굴곡되어 제 1레일(2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3반원레일(221)과 제 4반원레일(222)이 각각 구비된 제 2레일(220)과;
    판형으로 일측은 상향으로 굴곡되고, 타측은 하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 사이 방사상의 위치에 일측 상부는 제 1레일(210)의 제 1반원레일(211)과 제 2반원레일(212)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 하부는 제 2레일(220)의 제 3반원레일(221)과 제 4반원레일(222)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부에 다수의 제 1나사공(231)이 구비되어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하는 다수의 레일고정구(230)와;
    상기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의 수평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레일고정구(230)의 상부에 다수 구비되는 수준기(240)와;
    상기 제 1레일(210)의 제 2반원레일(212)과 제 2레일(220)의 제 4반원레일(222) 사이의 중앙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의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지지구핀(250)과;
    상기 제 1레일(210)의 일측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와 제 2레일의 타측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 하부에 각각 구비된 결합핀(260)과;
    상기 제 1레일(210)의 결합핀(260)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 2레일(220) 일측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와 제 2레일(220)의 결합핀(260)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 1레일(210) 타측에 구비된 레일고정구(230) 하부에 상기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의 양측단이 일치되도록 결합핀(260)과 결합되는 결합봉(270)과;
    상기 결합핀(260)의 외측면에 고정판(28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281)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 3손잡이(282)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 3손잡이(28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회동고리(283)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결합봉(270)의 외측면에 회동고리(283)가 걸리는 걸림돌기(284)가 구비되어 제 1레일(210)과 제 2레일(220)이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레일연결클램프(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인부(300)는 ㄴ형상으로 반원형으로 굴곡되어 레일부(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1체인가이드바(310)와;
    ㄴ형상으로 반원형으로 굴곡되어 레일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2체인가이드바(320)와;
    상기 제 1체인가이드바(310)와 제 2체인가이드바(32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체인(330)과;
    상기 제 1체인가이드바(310)와 제 2체인가이드바(320)의 상부 방사상의 위치에 볼트가 삽입되도록 구비된 다수의 통공(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400)는 직사각판형의 판몸체(411)가 구비되고, 상기 판몸체(411)의 중앙 하부에 양측단이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제 1지지구(41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지지구(412)의 일측단에는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 1로울러(413)가 구비되고, 상기 제 1지지구(412)의 타측단에는 대각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 2로울러(414)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지지구(412)의 양측 판몸체(411)의 하부에는 양측단이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제 2지지구(415)가 구비되고, 상기 제 2지지구(415)의 일측단에는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 3로울러(416)가 구비되며, 상기 제 2지지구(415)의 타측단에는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 4로울러(417)가 구비되고, 상기 판몸체(411)의 상부 일측에는 고정판(418)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418)의 중앙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고정클램프(419)가 구비된 레일이송판(410)과;
    판형상으로 상부 일측에 상기 레일이송판(410)의 고정클램프(419)와 결합되는 클램프 결합판(421)이 구비되어 레일이송판(410)의 판몸체(411) 상부에 결합되는 모터고정판(420)과;
    상기 체인부(300)에 결합되는 체인기어(431)가 모터고정판(42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모터고정판(420) 상부 일측에 결합되는 기어모터(430)와;
    상기 모터고정판(42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을 조절하는 콘트롤박스(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500)는 판형으로 상부 일측에 결합된 회동볼트(511)로 이송부(400)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동하고, 상부 중앙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결합된 유동방지바(512)가 구비된 회동판(510)과;
    상기 회동판(510)과 이송부(400)에 양측이 링크결합되어 이송부(400)에서 회 동판(510)이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잠금레버(520)와;
    상기 회동판(510)의 상부에 회동볼트(511)로 결합되고, 회동판(510)의 상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유동방지바(512)에 결합되는 절단기 본체(531)가 구비되고, 상기 절단기 본체(531)의 선단부에 콘크리트파일을 절단하는 절단날(532)이 구비되며, 상기 절단기 본체(531)의 상부에 절단기 본체(531)를 이송할 때 파지하는 이송손잡이(533)가 구비된 절단기(530)와;
    상기 절단기(530)의 절단날(532)이 콘크리트파일을 절단하는 깊이를 조절하는 절단깊이 조절부(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절단깊이 조절부(540)는 회동판(5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결합된 제 1회동링크(54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회동링크(541)의 타측단에는 회동가능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끝단부에 제 5로울러(542a)와 제 6로울러(542b)가 각각 구비된 제 2회동링크(542)가 구비되며, 내부가 관통되어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 1회동링크(541)의 일측이 힌지결합된 회동판(5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동고정구(543)가 구비되고, 선단부가 상기 제 1회동링크(541)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고정구(543)에 결합되는 이송스크류(544)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스크류(544)를 회동시키는 회전핸들(5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KR1020080043484A 2008-05-09 2008-05-09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KR100998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484A KR100998178B1 (ko) 2008-05-09 2008-05-09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484A KR100998178B1 (ko) 2008-05-09 2008-05-09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439A true KR20090117439A (ko) 2009-11-12
KR100998178B1 KR100998178B1 (ko) 2010-12-07

Family

ID=4160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484A KR100998178B1 (ko) 2008-05-09 2008-05-09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17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251B1 (ko) * 2012-05-24 2012-06-26 김영락 지반 공사용 파일 용접 장치
KR101280012B1 (ko) * 2012-06-26 2013-06-28 주식회사 유일기연 흄관 내부 균일화 장치
CN108890902A (zh) * 2018-08-31 2018-11-27 江苏英锐半导体有限公司 一种单晶硅棒切割装置
CN111823416A (zh) * 2020-07-03 2020-10-27 中铁五局集团电务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预应力管桩切割设备
CN112589915A (zh) * 2020-12-30 2021-04-02 中铁工程装备集团(天津)有限公司 一种降低大直径盾构机盾体切割改造成本的设备
WO2021190393A1 (zh) * 2020-03-23 2021-09-30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桩头环切装置
KR102410383B1 (ko) * 2021-11-08 2022-06-22 주식회사 이건 원전 구조물 곡면벽 절단장치
KR102499964B1 (ko) * 2022-09-02 2023-02-16 김상현 관체 절단장치
CN117086760A (zh) * 2023-10-20 2023-11-21 山西六建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钢结构的表面除锈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249B1 (ko) 2017-05-17 2019-09-11 주식회사 서림기업 파일 절단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08B1 (ko) * 2005-12-13 2007-04-25 연재현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절단 장치
KR100815205B1 (ko) 2007-08-10 2008-03-19 노연식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251B1 (ko) * 2012-05-24 2012-06-26 김영락 지반 공사용 파일 용접 장치
KR101280012B1 (ko) * 2012-06-26 2013-06-28 주식회사 유일기연 흄관 내부 균일화 장치
CN108890902A (zh) * 2018-08-31 2018-11-27 江苏英锐半导体有限公司 一种单晶硅棒切割装置
WO2021190393A1 (zh) * 2020-03-23 2021-09-30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桩头环切装置
US20220316169A1 (en) * 2020-03-23 2022-10-06 China Mcc5 Group Corp. Ltd Pile Head Girdling Device
CN111823416B (zh) * 2020-07-03 2021-11-12 中铁五局集团电务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预应力管桩切割设备
CN111823416A (zh) * 2020-07-03 2020-10-27 中铁五局集团电务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预应力管桩切割设备
CN112589915A (zh) * 2020-12-30 2021-04-02 中铁工程装备集团(天津)有限公司 一种降低大直径盾构机盾体切割改造成本的设备
CN112589915B (zh) * 2020-12-30 2024-02-13 中铁工程装备集团(天津)有限公司 一种降低大直径盾构机盾体切割改造成本的设备
KR102410383B1 (ko) * 2021-11-08 2022-06-22 주식회사 이건 원전 구조물 곡면벽 절단장치
WO2023080744A1 (ko) * 2021-11-08 2023-05-11 주식회사 이건 원전 구조물 곡면벽 절단장치
KR102499964B1 (ko) * 2022-09-02 2023-02-16 김상현 관체 절단장치
WO2024048840A1 (ko) * 2022-09-02 2024-03-07 김상현 관체 절단장치
CN117086760A (zh) * 2023-10-20 2023-11-21 山西六建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钢结构的表面除锈装置
CN117086760B (zh) * 2023-10-20 2024-02-09 山西六建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钢结构的表面除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178B1 (ko)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178B1 (ko)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US9157209B2 (en) Helical drill bit for an auger of a ground excavation assembly, in particular for building excavated piles, and drilling method that uses such a bit
KR101516529B1 (ko) 콘크리트 파일두부 컷팅장치
US7703856B1 (en) Manhole cover frame removal saw
KR20160084821A (ko) 절단 장치 가이드용 가이드 프레임
CA2828354C (en) System and apparatus for ensuring a level cut of a pipe
CN205314589U (zh) 一种悬挑式卸料平台
US8011851B1 (en) Manhole cutting and removing device
KR20150112636A (ko) 파일 절단장치
KR20150034341A (ko)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절단장치
KR20160127467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
AU2011291436B2 (en) Centraliser
KR101003010B1 (ko) 도로경계석의 종방향 수평유지 고정용 지그
KR1015012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
JP7075821B2 (ja) シールドマシン移動用架台
KR101546415B1 (ko) 기초공사용 강관 파일 절단장치
KR102336476B1 (ko) 파이프 용접장치
KR100760869B1 (ko) 콘크리트파일용 두부절단장치
JP2005105528A (ja) 法枠移動式施工設備及び法枠移動式削孔設備、並びに法枠移動式削孔設備を用いた法枠交差部の削孔方法
CN220550581U (zh) 一种加固建筑地基基础
JP6465531B1 (ja) 落下防止柵およびそれを用いた開削工事方法
KR200455885Y1 (ko) 건축용 파일 절단기
KR20150145940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
AU2010200388A1 (en) A cable feeder
KR20190131944A (ko)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