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467A - 각도조절이 가능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가능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467A
KR20160127467A KR1020150058914A KR20150058914A KR20160127467A KR 20160127467 A KR20160127467 A KR 20160127467A KR 1020150058914 A KR1020150058914 A KR 1020150058914A KR 20150058914 A KR20150058914 A KR 20150058914A KR 20160127467 A KR20160127467 A KR 2016012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tunnel
steel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설영
이한얼
Original Assignee
민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설영 filed Critical 민설영
Priority to KR102015005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7467A/ko
Publication of KR2016012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8Arch members ; Network made of arch members ; Ring elements; Polygon elements; Polygon elements inside arches
    • E21D11/24Knuckle joints or links between arch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5/00Props; Chocks, e.g. made of flexible containers filled with backfilling material
    • E21D15/5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p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내에서 인접 설치된 강지보재를 서로 연결하는 각부보강 연결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는, 상하로 형성된 관통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 강지보재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부보강 연결보의 양단에 구비된 연결브라켓이 다자유도 관절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터널 내에 인접 설치된 강지보재가 일렬로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연결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 비해 각부보강 공사 중에 연결보를 절단하거나, 보조부재를 결합하는 등의 추가작업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강지보재를 연결하는 각부보강 연결보에 레그파일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강지보재에 가해지는 지반응력을 레그파일을 통해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어 터널 굴착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가능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Tunnel elephant foot reinforcement coupling beam having angle adjustable function}
본 발명은 터널시공시 설치되는 강지보재의 간격을 유지하고 각부를 보강하는 각부보강 연결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강지보재의 사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반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각부보강 연결보에 관한 것이다.
터널공사에서는 굴착 후 굴착지반을 조기에 안정시키기 위하여 굴착면과 최대한 접하도록 지보재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지보재는 터널주변의 지반거동에 대응하여 터널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보재에는 솟크리트, 록볼트, 강지보재, 라이닝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터널공법에 따라 여러 종류의 지보재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강지보재는 아크(arc) 형상으로서 터널의 종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터널의 종축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한편 인접한 강지보재의 사이에는 연결보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연결보는 강지보재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굴착면에 고정되기 전까지 강지보재의 전도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나아가 강지보재에 가해지는 지반응력을 분산시키는 LD빔(Load Distribution Beam)의 역할도 한다.
도 1의 수직단면도 및 도 2의 수평단면도는 강지보재(10)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터널시공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널의 내부에는 상반 강지보재(10)가 터널의 굴착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반 강지보재(10)의 사이에 연결보(20)가 결합된다.
강지보재(10)는 H형, U형, 격자형 등의 여러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수 개가 분할 제작된 후 현장에서 용접 또는 조립된다. 강지보재(10)의 하단에는 목재, 강판, 콘크리트블록 등의 지지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강지보재(10)에 가해지는 하중이 큰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바닥보강 콘크리트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터널 상반에는 굴착면 안정과 천단지반의 강화를 위하여 수평면에 대해 대략 15도 이내의 상향 경사각으로 보강용 강관(50)이 관입 설치되며, 이와 같이 보강용 강관(50)을 설치한 상태에서 일정 구간 굴착한 후에 강지보재(10)를 설치하여 굴착면을 보강하고, 다시 보강용 강관(50)을 설치한 후 굴착 및 강지보재(10) 설치 등의 공정을 반복하면서 터널굴착이 진행된다.
도 3은 강지보재(10)의 사이에 종래의 연결보(20)가 설치된 모습을 예시한 것으로서, H형 강지보재(10)의 플랜지 사이에 연결보(20)의 단부를 삽입하고 강지보재(10)의 웨브에 연결보(20)를 볼트로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강지보재(10)가 터널종축을 따라 일렬로 정확히 배열된 경우에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보(2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강지보재(10)가 터널종축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도 3과 같은 이상적인 방식으로 연결보(20)를 설치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일반적으로 터널의 상반 천정에는 보강용 강관(50)이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관입되므로 굴착면도 각 강관(50)의 경사방향에 맞게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강관(50)의 하부에서 굴착면을 지지하는 강지보재(10)도 굴진방향을 따라 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터널내부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강지보재(10)는 터널의 종축방향과 나란히 배치되지 않으며, 따라서 인접한 강지보재(10)를 연결하는 연결보(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연결보(20)를 비스듬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연결보(20)와 강지보재(10) 사이의 틈새를 메울 수 있는 보조부재(22)를 연결보(20) 또는 강지보재(10)에 추가로 결합하거나, 연결보(20)의 단부를 소정 형상으로 절단해야만 한다.
게다가 작업공차로 인해 인접한 강지보재(10)간의 틀어진 각도가 항상 일정하지도 않기 때문에 딱 맞는 완성품을 구매해서 사용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터널 공사 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이 강지보재(10)의 간격이나 각도에 맞게 연결보(20)를 절단하거나, 보조부재(22)를 접합하거나, 아예 다시 제작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크게 늘어나는 것은 물론이고 작업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강지보재(10)에 가해지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트러스 구조의 연결보를 소개하고 있으나, 이러한 연결보도 전술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널 하반에는 터널 하부굴착시 지지력을 높이고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터널종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락볼트(40)가 관입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함께 강지보재(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키고 상반 지보재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각부보강공법이 적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각부보강공법은 상반 강지보재(10)의 직하단에 천공을 한 후 레그파일을 지반에 관입시키고 강관 등의 레그파일을 강지보재에 용접하여 강지보재(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직접 레그파일을 통해 분산시키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강지보재 직하단부를 천공함으로써 지반교란으로 인해 강지보재 하단부의 지지력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59387호(2004.08.21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인접한 강지보재 사이의 간격이나 각도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각부보강 연결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강지보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레그파일을 통해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는 각부부강 연결보와 이를 이용한 각부보강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터널내에서 인접 설치된 강지보재를 서로 연결하는 각부보강 연결보에 있어서, 상하로 형성된 관통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 강지보재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는,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에 제1회전축에 의해 한 쌍의 회전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1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회전축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회전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는, 상기 제1회전축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는 레그파일의 상단과 결합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부는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 중에서 2개의 고정부재와 상기 한 쌍의 측판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관통부를 둘러싸는 상기 한 쌍의 측판에는 각각 길이방향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단과 타단은 각 측판의 상기 슬릿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부보강 연결보의 양단에 구비된 연결브라켓이 다자유도 관절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터널 내에 인접 설치된 강지보재가 일렬로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연결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 비해 각부보강 공사 중에 연결보를 절단하거나, 보조부재를 결합하는 등의 추가작업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작업자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강지보재를 연결하는 각부보강 연결보에 레그파일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강지보재에 가해지는 지반응력을 레그파일을 통해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어 터널 굴착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터널시공상태를 나타낸 수직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터널시공상태를 나타낸 수평단면도
도 3은 종래 연결보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강지보재가 서로 틀어진 경우의 연결보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에서 양측 연결브라켓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다양한 변위에 대응하여 연결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에 연결된 레그파일이 지중을 관입한 상태를 나타내 수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에 레그파일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따른 각부부강 연결보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100)의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100)는 중앙에 상하방향의 관통부(118)를 구비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120)와, 각 엔드플레이트(1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연결부(130)와, 각 회전연결부(13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연결브라켓(140a)과 제2연결브라켓(140b)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판(111)과 양 측판(111)의 사이에 설치되어 양 측판(111)을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양 측판(111)은 대략 직사각형의 금속판재이고, 각각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114)이 형성된다.
고정부재(112)는 양 측판(111)의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된 금속판재로서, 일측단과 타측단이 각각 측판(111)에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고정부재(112)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L형강, C형강, 파이프 등의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재(112)는 양 측판(111)의 사이에 반드시 수직으로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112)를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관통부(118)는 각부보강 공법을 적용할 경우에 레그파일(도 10의 200참조)이 하부로부터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10)의 중앙에서 2개의 고정부재(112)와 양 측판(111)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관통부(118)로 제공된다.
양 측판(111)에서 관통부(118)를 둘러싸는 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114)이 각각 형성되며, 각 슬릿(114)은 지지플레이트(16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삽입되는 부분이다. 각부보강 공법을 적용할 경우에 관통부(118)의 하부로부터 삽입된 레그파일(도 10의 200참조)의 상단이 지지플레이트(160)의 저면에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측판(111)과 그 사이에 설치된 고정부재(112)를 이용하여 프레임(110)을 형성하였으나, 프레임(110)의 형상이나 구조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지반 응력을 견딜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판(111)을 대신하여 길이방향의 강관을 다수 개 결합하여 프레임(110)을 구성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방식으로 프레임(11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지지플레이트(160)는 각부보강 연결보(100)에 최종적으로 결합되는 부품이며, 따라서 지지플레이트(160)는 처음에는 프레임(110)에서 분리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슬릿(114)에 삽입 결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플레이트(160)를 대략 직사각형으로 제작하되, 단변의 길이는 양 측판(111)의 간격보다 작고 장변의 길이는 양 측판(111)의 간격보다 크도록 제작하였다.
이렇게 하면, 지지플레이트(160)의 장변을 측판(111)과 나란하게 하면 관통부(118)의 내부로 지지플레이트(160)를 삽입할 수 있고, 관통부(118)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160)를 회전시키면 지지플레이트(160)의 양 단부를 슬릿(114)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하면 지지플레이트(160)를 측판(111)으로부터 빼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슬릿(114)은 대략 관통부(118)의 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따라서 작업자는 슬릿(114)에 결합된 지지플레이트(160)를 각부보강 연결보(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그파일(200)의 위치에 맞게 지지플레이트(160)를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60)의 상면에는 돌출부(16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162)는 지지플레이트(160)가 슬릿(162)을 통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는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각 엔드플레이트(120)에는 각부보강 연결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회전축(133)에 의해 제1회전연결부(130a)와 제2회전연결부(130b)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및 제2 회전연결부(130a, 130b)는 각각, 제1회전축(133)에 의해 엔드플레이트(120)에 결합된 회전플레이트(131)와, 회전플레이트(13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브라켓연결부재(132)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회전플레이트(131)가 원형으로 나타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브라켓연결부재(132)는 제1회전축(133)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회전연결부(130a)에는 제1연결브라켓(140a)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회전연결부(130b)에는 제2연결브라켓(140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및 제2 연결브라켓(140a,140b)은 각각 용접이나 볼트 등으로 강지보재(도 9의 10)에 고정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제1연결브라켓(140a)은, 제1회전축(13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회전축(147)에 의해 제1회전연결부(130a)의 각 브라켓연결부재(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결합부재(141)와, 한 쌍의 결합부재(141)의 외측단을 연결하며 제2회전축(147)과 나란하게 배치된 연결부재(142)와, 연결부재(142)의 바깥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143)와, 하단은 연결부재(142)에 결합되고 측단은 돌출부재(143)에 결합된 보강리브(144)를 포함한다.
제2연결브라켓(140b)은, 제1회전축(13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회전축(147)에 의해 제2회전연결부(130b)의 각 브라켓연결부재(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결합부재(141)와, 한 쌍의 결합부재(141)의 외측단을 연결하며 제2회전축(147)과 나란하게 배치된 연결부재(142)와, 연결부재(142)의 바깥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재(143)와, 하단은 연결부재(142)에 결합되고 측단은 돌출부재(143)에 결합된 보강리브(14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40a,140b)는 돌출부재(143)의 단부가 강지보재(1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다만,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40a,140b)의 구체적인 형상은 반드시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100)는 각 엔드플레이트(120)에 대해 제1회전축(13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1 및 제2회전연결부(130a,130b)와, 각 회전연결부(130a,130b)에 대해 제2회전축(14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40a,140b)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100)의 양단에 구비된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40a,140b)은 2개의 회전축(133,147)을 중심으로 2자유도 관절운동이 가능해진다.
도 8은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40a,140b)을 각각 제1회전축(133)만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이와 달리 제2회전축(147)만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회전축(133)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과 제2회전축(133,147)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향의 관절운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100)는 인접한 강지보재(10)의 위치나 각도에 크게 구애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연결브라켓(140a,140b)을 적절하게 회전시키면 다양한 형태로 이격된 강지보재(10)들 사이에 각부보강 연결보(10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서는 각 연결브라켓(140a,140b)을 제2회전축(147)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H형 강지보재(10)의 플랜지 사이에 각 연결브라켓(140a,140b)을 정확히 삽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만일 강지보재(10)가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회전축(133)과 제2회전축(147)을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H형 강지보재(10)의 플랜지 사이에 각 연결브라켓(140a,140b)을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100)를 활용한 터널 각부보강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터널 굴진방향을 따라 다수의 상반 강지보재(10)가 설치되면, 인접한 상반 강지보재(10)의 위치와 각도를 확인하고, 각부보강 연결보(100)의 각 연결브라켓(140a,140b)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한다. 길이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돌출부재(143)의 단부를 일부 절단할 수도 있다.
이때 측판(111)의 슬릿(114)에는 아직 지지플레이트(160)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이어야 한다.
이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강지보재(10)의 플랜지의 사이에 제1연결브라켓(140a)과 제2연결브라켓(140b)을 삽입하고, 돌출부재(143)의 단부를 강지보재(10)의 웨브 및/또는 플랜지에 용접 등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각부보강 연결보(100)가 설치된 이후에는, 관통부(118)를 통해 천공기를 삽입하여 터널 하반에 터널종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천공홀을 형성하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그파일(200)을 관입 설치한다. 이때 천공홀의 깊이는 레그파일(200)의 길이와 지지플레이트(160)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레그파일(200)을 설치한 후에는 각부보강 연결보(111)의 슬릿(114)에 지지플레이트(160)를 결합하고, 레그파일(200)의 위치에 맞게 지지플레이트(160)를 이동시킨 후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60)의 저면에 레그파일(200)의 상단을 용접 등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지지플레이트(160)도 측판(111)이나 프레임(110)에 용접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터널 벽면에 작용하는 주응력은 상반 강지보재(10)와 각부보강 연결보(100)를 거쳐 레그파일(200)을 통해 터널 하반으로 전달되며, 따라서 굴착 후 숏크리트, 락볼트 등의 지보력이 발휘되기까지 터널 굴착면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각부보강 연결보(100)는 제1 및 제2 연결브라켓(140a,140b)이 연결부재(142)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재(143)를 포함하지만, 돌출부재(143)는 강지보재(10)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일정 길이를 절단할 수도 있는 부분이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각부보강 연결보(100a)의 제1 및 제2 연결브라켓(140a,140b)은, 각각 제1 및 제2회전연결부(130a,13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결합부재(141)와, 한 쌍의 결합부재(141)의 외측단을 연결하며 제2회전축(147)과 나란하게 배치된 연결부재(142)를 포함하며, 연결부재(142)의 외측에는 돌출부재를 생략되었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재(142)의 외측면을 H형강 강지보재(10)의 웨브와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연결부재(142)를 용접뿐만 아니라 볼트 등으로 강지보재(10)의 웨브에 결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다양한 결합방법을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도 있고, 용접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제1회전축(133)과 제2회전축(147)이 서로 직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회전축(133)과 제2회전축(147)이 서로 나란하지 않고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에도 일정 범위에서는 용이한 각도조절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 강지보재 100: 각부보강 연결보
110: 프레임 111: 측판
112: 고정부재 114: 슬릿
118: 상하관통부 120: 엔드플레이트
130: 회전연결부 131: 회전플레이트
132: 브라켓연결부 133: 제1회전축
140a, 140b: 제1, 제2 연결브라켓 141: 결합부재
142: 연결부재 143: 돌출부재
144: 보강리브 147: 제2회전축
160: 지지플레이트 162: 돌출부
200: 레그파일

Claims (5)

  1. 터널 내에 인접 설치된 강지보재를 서로 연결하는 각부보강 연결보에 있어서,
    상하로 형성된 관통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 강지보재에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
    을 포함하는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에는 제1회전축에 의해 한 쌍의 회전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브라켓은 상기 제1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회전축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회전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부보강 연결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부보강 연결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내부에는 레그파일의 상단과 결합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부보강 연결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부는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 중에서 2개의 고정부재와 상기 한 쌍의 측판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관통부를 둘러싸는 상기 한 쌍의 측판에는 각각 길이방향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단과 타단은 각 측판의 상기 슬릿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부보강 연결보
KR1020150058914A 2015-04-27 2015-04-27 각도조절이 가능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 KR20160127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914A KR20160127467A (ko) 2015-04-27 2015-04-27 각도조절이 가능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914A KR20160127467A (ko) 2015-04-27 2015-04-27 각도조절이 가능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467A true KR20160127467A (ko) 2016-11-04

Family

ID=5753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914A KR20160127467A (ko) 2015-04-27 2015-04-27 각도조절이 가능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746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8747A (zh) * 2018-05-23 2018-10-26 黄建国 一种用于松散砂卵石地质隧道施工的主动应力消除装置
CN110578539A (zh) * 2019-09-03 2019-12-17 曲建光 一种大倾角工作面综放开采稳定性的控制方法
CN112049033A (zh) * 2020-07-27 2020-12-08 成龙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建筑公路门洞的加固方法
KR102324890B1 (ko) * 2021-03-05 2021-11-09 주식회사 가우리안 띠장 본체 및 그를 구비하는 고성능 띠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387Y1 (ko) 2004-04-27 2004-08-21 삼성물산 주식회사 터널 지보재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387Y1 (ko) 2004-04-27 2004-08-21 삼성물산 주식회사 터널 지보재 보강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8747A (zh) * 2018-05-23 2018-10-26 黄建国 一种用于松散砂卵石地质隧道施工的主动应力消除装置
CN110578539A (zh) * 2019-09-03 2019-12-17 曲建光 一种大倾角工作面综放开采稳定性的控制方法
CN112049033A (zh) * 2020-07-27 2020-12-08 成龙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建筑公路门洞的加固方法
KR102324890B1 (ko) * 2021-03-05 2021-11-09 주식회사 가우리안 띠장 본체 및 그를 구비하는 고성능 띠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7108B2 (ja) 鉄骨構造物を製作する方法
KR20160127467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
KR101595702B1 (ko) 보강브릿지가 구비된 강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005991A (ko)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JP2013256793A (ja) 地下構造の施工方法及び地下構造
JP4450240B2 (ja) 山留めh形鋼杭の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工法
JP2016528406A (ja) 土留め仮施設工事の切梁連結構造
JP7029901B2 (ja) 解体方法
JP6993293B2 (ja) 地盤中の既設構造物の補強方法
JP3175586B2 (ja) 柱と杭の接合方法
JP7055978B2 (ja) 柱梁接合構造
JP3491116B2 (ja) 柱と杭の接合部材
KR101653890B1 (ko) 터널 안정화를 위한 터널 각부보강 연결보의 시공 방법
JP6336773B2 (ja) 山留めh形鋼杭の接合構造および建込み方法
JP2002242302A (ja) 建築鉄骨骨組の柱梁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方法
JP6892290B2 (ja) 小梁付き床ユニット及び床構造
JP2019143302A (ja) 形成方法
JP3246321B2 (ja) 柱と杭の接合構造
JP2015048573A (ja) ライナープレートによる環状壁の位置決め方法
US3068656A (en) Underground sheeting methods
JP6258638B2 (ja) 山留め材継手金物および山留め支保工
JP2013249700A (ja) 梁接合部構造および耐力パネル構造
JP7441700B2 (ja) 鋼矢板壁および鋼矢板壁の施工方法
JP2018162607A (ja) 床パネル、床構造、床構造施工方法および床構造再利用方法
JP2018009393A (ja) 土留め壁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