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940A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940A
KR20150145940A KR1020140075490A KR20140075490A KR20150145940A KR 20150145940 A KR20150145940 A KR 20150145940A KR 1020140075490 A KR1020140075490 A KR 1020140075490A KR 20140075490 A KR20140075490 A KR 20140075490A KR 20150145940 A KR20150145940 A KR 20150145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plate
plate
safety
support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호
Original Assignee
(주)한국에어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에어로테크 filed Critical (주)한국에어로테크
Priority to KR102014007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5940A/ko
Publication of KR20150145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세워 설치되는 안전판과, 상기 안전판과 결합하여 상기 안전판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안전판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와 안전판을 연결하는 뒷받침을 포함하는 철제 안전 시설판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은 철제판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대와 안전판의 하부가 접하는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판이 회전하며 절첩 가능하도록 하는 제1힌지와, 상기 지지대와 뒷받침의 하부가 접하는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뒷받침이 회전하며 절첩 가능하도록 하는 제2힌지 및 상기 뒷받침의 상부와 안전판의 후면이 접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뒷받침과 안전판을 연결하며 고정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체화된 안전판과 지지대 및 뒷받침이 결합된 상태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단순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제작의 편리성과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하여 제작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the safety steel plate that has the variable angle by control}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 현장 시공에 대한 번거로움을 개선하여,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작되었으며,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제 안전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공사의 확장 및 포장 공사중 산악 비탈면의 암발파 시공시 비산하는 암파편을 통행차량 및 보행자로부터 방호하는 시설로서, 기존도로변으로 유입되는 돌, 흙 등을 막고 보행자 및 통행차량의 공사장 출입을 통제하려는 목적으로 안전시설판을 설치하게 되며, 종래에는 목재 안전시설목으로 설치하였다.
종래의 안전시설목은, 안전시설목을 지탱하는 각재를 바닥에 설치한 후, 수직으로 사각 목재판을 세우고, 상기 사각 목재판과 바닥의 각재를 연결하는 사선의 지지대를 구성하여 안전시설목을 구성한 후, 상하부에 목재판을 못질하고 철선으로 고정하여 설치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매우 복잡하며, 특히 현장의 조건에 맞게끔 각재와 판재의 길이 및 크기를 절단하고 가공한 후, 현장에서 조립, 설치해야 하여 작업시간 및 인력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상기 안전시설목은 목재를 재료로 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 후 해체시에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목재의 보관에도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일회성으로 사용한 후 폐기 처분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공사비 증가 및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립식 철제 안전시설판'(한국실용신안등록 제0342696호, 등록일:2004년2월10일)을 발명한바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은 아래와 같다.
도 1은 종래 철제 안전 시설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철제 안전 시설판의 측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소정 위치에 L자형 브라켓(6)이 용접 부착된 ㄷ자형 찬넬(3)을 일정 간격으로 바닥에 눕히고, 볼트(7)를 이용하여 상기 L자형 브라켓(6)에 고정되도록 H빔(1)을 세워 설치하되, 상기 H빔(1)과 ㄷ자형 찬넬(3) 사이는 볼트(7)를 사용하여 지지간(5)으로 고정하며, H빔(1)과 H빔 간은 볼트(7)를 사용하여 횡부재(4)로 고정하되, 상기 H빔(1)과 H빔 사이에는 철제판(2)을 끼워 넣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제 안전 시설판이다.
상기의 조립식 철제 안전 시설판은, 목제에서 철제로 바꾸어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해체 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목재일 때와 유사한 작업과정이 진행되어 작업자가 많이 필요하게 되고, 현장에서 일일이 조립하며 설치하게 되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은, 현장에서 인력만으로도 단순하게 설치 및 시공 할 수 제품으로서, 제작의 편리성과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하여 제작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은, 지면과 접하는 수평부분과 안전판 역할을 하는 수직부분이 절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적재나 보관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보관의 용이성과 운반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은, 연속 반복적으로 결합하는 철제 안전 시설판이 설치환경 및 조건 등에 따라 그 결합력을 유지하며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설치환경 및 조건에 부합하며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은, 바람이나 기타의 충격에 의해 전방으로 쉽게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자나 통행 차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은, 사각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세워 설치되는 안전판과, 상기 안전판과 결합하여 상기 안전판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안전판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와 안전판을 연결하는 뒷받침을 포함하는 철제 안전 시설판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은 철제판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대와 안전판의 하부가 접하는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판이 회전하며 절첩 가능하도록 하는 제1힌지와, 상기 지지대와 뒷받침의 하부가 접하는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뒷받침이 회전하며 절첩 가능하도록 하는 제2힌지 및 상기 뒷받침의 상부와 안전판의 후면이 접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뒷받침과 안전판을 연결하며 고정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안전판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핀 및 상기 뒷받침의 상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핀을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이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판들을 측 방향으로 연속 반복하여 연결하며 결합하되, 상기 안전판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안전판이 일정각도를 형성하며 회전하여 설치되도록, 상기 안전판과 인접한 안전판의 접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안전판의 일측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고중량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가로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은, 일체화된 안전판과 지지대 및 뒷받침이 결합된 상태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단순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제작의 편리성과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하여 제작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은, 지지대와 안전판 및 지지대와 뒷받침이 각각 힌지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적재나 보관시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보관의 용이성과 운반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은, 안전판과 인접한 안전판이 회전부재에 의해 요구하는 각도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설치환경 및 조건 등에 따라 안전판들의 결합력을 유지하며 일정각도 회전하여 설치함에 따라 다양한 설치환경 및 조건에 부합하며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은, 인접한 지지대의 후방측을 연결하며 가로바를 설치하여 상기 가로바의 상부에 고중량의 물건을 올려놓음으로써, 바람이나 기타의 충격에 의해 철제 안전 시설판이 전방으로 쉽게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보행자나 통행 차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은, 철거 후에도 100% 재활용하여 산업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환경을 보호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고, 재활용에 의해 안전 시설판의 제작비용을 확실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철제 안전 시설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철제 안전 시설판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에 있어서 안전판과 시설판의 구성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의 동작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의 회전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는 도 7에 따른 회전동작을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을 고정하는 앵커볼트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을 운반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은, 세워 설치되는 안전판(100)과, 상기 안전판(100)의 하부와 전방측 상면이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대(200)와, 상기 안전판(100)의 후방과 지지대(200)의 후방측을 연결하며 안전판(100)을 받치는 뒷받침(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판(100)과 지지대(200) 및 뒷받침(300)은 철제로 이루어져 견고성이 높고 철거 후에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을 측면상으로 연속 반복하여 연결하며 결합하면, 도 3과 같은 안전을 도모하는 철제 안전 시설물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에 있어서 안전판과 시설판의 구성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안전판(100)은 사각프레임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철제판(101)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제작된다.
상기 지지대(200)는,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안전판(100)의 일측 하부와 상기 지지대(200)의 전방측이 제1힌지(210)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힌지(210)에 의해 안전판(100)과 지지대(200)는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뒷받침(300)은, "ㄱ" 형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뒷받침(300)의 상부와 안전판(100)의 후면이 접하고 상기 뒷받침(300)의 하부와 지지대(200)의 후방이 연결하여 구비된다.
즉, 상기 뒷받침(300)의 하부는 지지대(200)의 후방과 제2힌지(220)로 결합되고, 상부측은 안전판(100)의 후방측과 접하며 상기 안전판(100)이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2힌지(220)에 의해 뒷받침(300)과 지지대(200)는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뒷받침(300)의 상부측과 안전판(100)의 후방측은 걸이부재에 의해 걸어 고정하게 되는바, 상기 걸이부재는 안전판(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핀(102)과 상기 뒷받침(300)의 상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핀(102)을 걸어 고정하는 걸이구(31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뒷받침(300)의 상부측을 안전판(100)의 후방측과 접하게 한 후, 상기 걸이구(310)를 회전하여 핀(102)을 걸어 고정하면 상기 뒷받침(300)과 안전판(100)이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며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뒷받침(300)에 핀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판(100)에 걸이구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기 걸이구(310)와 핀(102) 외에도 상기 뒷받침(300)을 안전판(100)의 후방측과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걸이부재를 구성할 수 있는바,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안전판(100)의 일측에만 지지대(200)와 뒷받침(300)이 구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는, 상기 안전판(100)의 타측에도 지지대(200)와 뒷받침(300)이 구비되면 인접하는 양 안전판(100)의 지지대(200)가 간섭하게 되어 추후 기술하는 회전부재에 의해 안전판(100)을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안전판(100)의 일측에만 지지대(200)와 뒷받침(30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최초로 설치되는 안전판(100)에는, 일측과 타측 모두에 지지대(200)와 뒷받침(300)을 구비해야 한다.
상기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판(100)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안전판(100)을 일정각도 회전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는바,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안전판(100)의 일측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수직으로 관통된 회전공(121)이 형성된 암부재(120)와, 상기 안전판(100)의 타측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회전공(121)과 대응하는 회전축(111)이 형성된 수부재(110)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수부재(110)의 회전축(111)을 암부재(120)의 회전공(121)에 삽입하며 안전판(100)들을 각각 연결하며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안전판(100)을 회전시키며 요구하는 회전각도에 따라 안전판(100)을 연속 반복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즉, 도 7은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8는 도 9의 상태에서 걸이구(310)를 핀(102)에서 분리한 후 제1힌지(210)와 제2힌지(220)를 이용하여 안전판(100)과 뒷받침(300)을 절첩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6c는 안전판(100)과 뒷받침(300)을 절첩 완료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걸이구(310)를 회전하여 핀(102)과 분리하면 상기 뒷받침(300)과 안전판(100)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안전판(100)은 제1힌지(210)에 의해 후방으로 절첩되고, 상기 뒷받침(300)은 제2힌지(220)에 의해 후방으로 절첩되어 최종적으로 지지대(200)와 뒷받침(300) 및 안전판(100)이 일자 형상으로 절첩된다.
따라서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은 공장에서 제작하여 도 6c와 같은 상태로 보관 또는 운반하게 되어, 많은 개수의 철제 안전 시설판을 좁은 장소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운반차량에 용이하게 많은 개수의 철제 안전 시설판을 실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보관의 용이성과 운반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설치장소에 도착한 후에는,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도 8과 같은 상태를 지나 도 7과 같은 상태로 설치하게 되어, 단순한 시공에 의해 제작의 편리성과 시공의 용이성이 확보되어 제작 및 시공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의 회전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는 도 10에 따른 회전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안전판(100)들을 측 방향으로 연속 반복하여 연결하며 결합하되, 상기 안전판(100)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안전판(100)이 일정각도를 형성하며 회전하여 설치되도록, 상기 안전판(100)과 인접한 안전판(100)의 접하는 부위에는 회전부재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안전판(100)의 일측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수직으로 관통된 회전공(121)이 형성된 암부재(120)와, 상기 안전판(100)의 타측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회전공(121)과 대응하는 회전축(111)이 형성된 수부재(11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안전판(100)과 안전판(100)을 연결하며 결합할 때, 세워 설치된 안전판(100)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공(121)으로 세워 설치하고자 하는 안전판(100)의 타측에 구비된 회전축(111)을 삽입하면, 회전공(121)과 회전축(111)의 결합으로 양 안전판(100)이 연결하며 결합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수부재(110)와 암부재(120)를 상하측에 각각 하나씩 두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부재(110)와 암부재(120)를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고 3개 이상으로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판(100)의 일측에 수부재(110)를 구비하고 안전판(100)의 타측에 암부재(120)를 구비할 수도 있는바, 이와 같은 단순 설계변형 및 다른 형상으로 회전부재를 구성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안전판(100)과 안전판(100)을 결합하게 되면,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설치환경 및 조건 등에 따라 다수의 안전판(100)들이 결합력을 유지하며 일정각도 회전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다양한 설치환경 및 조건에 부합하며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지지대(200)와 인접한 지지대(200)의 후방측을 연결하며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안전판(100)이 후방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중량 물건(240)을 올려놓을 수 있는 가로바(23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가로바(230)는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고 도면과 같이 두 개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도면과 같이 두 개로 구비함이 좋으며, 상기 가로바(230)의 상부에 고중량 물건(240) 즉, 물을 가득 채운 물통이나 모래주머니 등을 올려놓으면 해당 물건의 무게에 의해 안전판(100)이 전방으로 넘어가는 것이 방지되어 보행자나 통행 차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안전판(100)은 뒷받침(300)에 의해 후방으로 넘어가는 것이 방지되지만, 전방으로는 바람이나 기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넘어갈 수 있으므로 고중량 물건(240)을 가로바(230) 상부에 올려놓음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로바(230)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지지대(200)의 비어있는 후방측에 고중량 물건(240)을 올려놓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나, 지지대(200)의 비어있는 공간의 협소 또는 고중량 물건(240)의 크기에 따라 올려놓지 못할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가로바(230)을 구비하여 고중량 물건(240)을 올려놓음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을 고정하는 앵커볼트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지지대(200)는 후방에 나사식 앵커볼트(400)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하게 됨은 물론이며, 상기 나사식 앵커볼트(400)는 외주연에 나사 형상의 편이 구비된 것이다.
이에 상기 나사식 앵커볼트(400)에 의해 안전판(100)이 전방으로 넘어가는 것이 우선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나사식 앵커볼트(400) 만으로는 안전판(100)이 전방으로 넘어가는 것이 완벽하게 방지되지 않으므로,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양 지지대를 연결하는 가로바(230)를 설치하고, 상기 가로바(230)의 상부에 고중량 물건(240)을 올려놓아 안전판(100)이 전방으로 넘어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을 운반하는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안전판(10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고리(103)를 구비하고, 상기 고리(103)를 이용하여 기중기(500)로 안전판(100)을 들어올려 운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전판(100)은 철제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무게가 무거우므로, 기중기(500)를 이용하여 들어올려 운반함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에 따라 기중기(500)에 안전판(100)을 걸 수 있는 고리(103)를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은, 우선 철제판(101)이 내부에 삽입된 안전판(100)을 제작하고, 지지대(200)와 뒷받침(300)을 각각 제작한 후 제1힌지(210)와 제2힌지(220)를 이용하여 안전판(100)과 뒷받침(300)을 지지대(200)와 연결하며 결합한다.
그리고 도 9와 같은 상태로 안전판(100)과 뒷받침(300) 및 지지대(200)를 절첩하여 보관하고, 이를 운반 차량에 실어 설치장소까지 운반한다.
상기 설치장소에 도착하면 최초 설치될 안전판(100)을 꺼내 제1힌지(210)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안전판(100)을 수직으로 세우고, 뒷받침(300)을 제2힌지(220)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뒷받침(300)의 상부와 안전판(100)의 후방이 접하게 한 뒤 뒷받침(300)에 구비된 걸이구(310)를 회전하여 핀(102)을 걸어 고정시킨다.
상기 최초 안전판(100)이 설치되면, 다음 안전판(100)을 꺼내 제1힌지(210)와 제2힌지(220)를 이용하여 안전판(100)을 세우고 뒷받침(300)을 걸어 고정한 후, 수부재(110)의 회전축(111)을 미리 설치한 최초 안전판(100)의 암부재(120) 회전공(121)에 삽입하여 양 안전판(100)을 연결하며 결합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다음 안전판(100)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도 7과 같은 상태를 만들고 기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공(121)에 회전축(111)을 삽입하며 안전판(100)을 연결하며 결합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연속 반복하며 요구하는 위치에 안전판(100)들을 결합하여 안전 시설판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11) 및 회전공(121)을 이용하여 요구하는 회전각도에 대응하며 안전판(100)을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전판(100)과 지지대(200) 및 뒷받침(300)은 철제로 이루어져 철거 후에도 100%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철거 시 산업폐기물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을 보호할 수 있고, 재활용에 따라 새로운 안전판(100)을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비용을 확실하게 절감할 수 있다.

100 - 안전판 101 - 철제판
102 - 핀 103 - 고리
110 - 수부재 111 - 회전축
120 - 암부재 121 - 회전공
200 - 지지대 210 - 제1힌지
220 - 제2힌지 230 - 가로바
240 - 고중량 물건
300 - 뒷받침 310 - 걸이구
400 - 나사식 앵커볼트 500 - 기중기

Claims (5)

  1. 5개의 철재토류판으로 구성된 철재판(101)과 하나로 일체화된 사각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세워 설치되는 안전판(100)과, 상기 안전판(100)과 결합하여 상기 안전판(100)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200)와, 상기 안전판(100)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대(200)와 안전판(100)을 연결하는 뒷받침(300)을 포함하는 철제 안전 시설판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100)은 철제판(101)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대(200)와 안전판(100)의 하부가 접하는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안전판(100)이 회전하며 절첩 가능하도록 하는 제1힌지(210)와,
    상기 지지대(200)와 뒷받침(300)의 하부가 접하는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뒷받침(300)이 회전하며 절첩 가능하도록 하는 제2힌지(220) 및
    상기 뒷받침(300)의 상부와 안전판(100)의 후면이 접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뒷받침(300)과 안전판(100)을 연결하며 고정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안전 시설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안전판(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핀(102) 및
    상기 뒷받침(300)의 상부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핀(102)을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이구(3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안전 시설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판(100)들을 측 방향으로 연속 반복하여 연결하며 결합하되, 상기 안전판(100)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안전판(100)이 일정각도를 형성하며 회전하여 설치되도록,
    상기 안전판(100)과 인접한 안전판(100)의 접하는 부위에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안전판(100)의 일측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수직으로 관통된 회전공(121)이 형성된 암부재(120) 및
    상기 안전판(100)의 타측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회전공(121)과 대응하는 회전축(111)이 형성된 수부재(1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제 안전 시설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0)와 인접한 지지대(200)의 후방측을 연결하며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안전판(100)이 후방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중량 물건(240)을 올려놓을 수 있는 가로바(2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

KR1020140075490A 2014-06-20 2014-06-20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 KR20150145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490A KR20150145940A (ko) 2014-06-20 2014-06-20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490A KR20150145940A (ko) 2014-06-20 2014-06-20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940A true KR20150145940A (ko) 2015-12-31

Family

ID=5512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490A KR20150145940A (ko) 2014-06-20 2014-06-20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59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286A (ko) * 2019-09-18 2021-03-26 한국중부발전(주)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CN115182608A (zh) * 2022-08-08 2022-10-14 中道华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用基坑安全防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3286A (ko) * 2019-09-18 2021-03-26 한국중부발전(주) 크레인 안전 관리 장치
CN115182608A (zh) * 2022-08-08 2022-10-14 中道华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用基坑安全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07215A1 (en) Retractable brace
US20070175174A1 (en) Retractable brace
EP1230462A1 (en) Hoardings
US7624843B2 (en) Multiple task working platform
KR1015012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
US6406003B1 (en) Barbed wire fence brace and gate hanger and method therefor
CN111764621A (zh) 悬挑脚手架及施工方法
KR101812230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KR20150145940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철제 안전 시설판
JP5901873B2 (ja) 法面用仮設足場の設置方法
CN204850511U (zh) 一种模块化临边防护栏杆
KR102038062B1 (ko)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JP5888796B2 (ja) 構台
JP6713599B1 (ja) くさび緊結式足場用朝顔装置およびくさび緊結式足場用朝顔装置システム
JP2019094713A (ja) 仮設足場用朝顔装置
CN204876515U (zh) 外挂施工操作架
JP2005299280A (ja) 移動足場システム
JP2016010187A (ja) 太陽光パネル架台用基礎杭
KR100925709B1 (ko) 접이식 안전통로
JP2010261282A (ja) 足場板
KR20080110373A (ko) 잭 베이스
KR200410637Y1 (ko) 텐트의 고정장치
JP4542996B2 (ja) 筋かい連結ボルト及び木造家屋の耐震補強工法
JP2020023871A (ja) 足場の支持装置並びに支持装置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