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062B1 -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062B1
KR102038062B1 KR1020170162309A KR20170162309A KR102038062B1 KR 102038062 B1 KR102038062 B1 KR 102038062B1 KR 1020170162309 A KR1020170162309 A KR 1020170162309A KR 20170162309 A KR20170162309 A KR 20170162309A KR 102038062 B1 KR102038062 B1 KR 102038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fting jig
jig
clamp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320A (ko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0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5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 situ prefabricated building elements to be tilted up in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프트 장치(포터 카, 지게차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대형의 서포트를 세워 설치하고 또한 세워진 서포트를 해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는, 자체 동력으로 구동하는 리프트 장치의 리프트에 연결되는 지그 본체(10)와; 상기 지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포트를 각각 클램핑하는 클램프(20)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클램프를 통해 상기 서포트를 기울어진 상태로 클램핑한 후 상기 리프트 장치를 통해 상승하면서 상기 서포트를 세우고, 반대로 상기 리프트 장치를 통해 하강하면서 세워진 서포트를 기울어지게 해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은,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자체 동력으로 구동하는 리프트 장치에 조립하여 서포트의 설치 장소에 이동하고, 상기 서포트의 일측을 상기 서포트 리프팅 지그에 구성된 클램프에 삽입하며, 상기 리프트 장치를 통해 상기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상승시켜 상기 서포트를 세워 저부가 지면에 안착되도록 설치하는 서포트의 설치 단계와; 상기 서포트의 설치 단계를 통해 설치된 서포트를 상기 서포트 리프팅 지그의 클램프에 삽입 및 클램핑한 후 상기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하강시켜 해체하는 서포트의 해체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A SUPPORT LIFTING JIG AND METHOD FOR INSTALLATION AND TEARDOWN USING THIS SAME}
본 발명은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 장치(포터 카, 지게차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대형의 서포트(잭 서포트)를 세워 설치하고 반대로 눕힐 수 있는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은 거푸집으로 틀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거푸집의 설치를 위하여 서포트가 사용된다.
상기 서포트는 건축물마다 슬래브의 높이가 다르고, 다양한 높이의 슬래브를 시공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특허문헌(국내공개특허 제10-2005-0115214호)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외관, 상기 외관의 내부에 인출(신축)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관, 상기 내관이 신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외관에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외관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어 높이 조절되며 상기 내관에 고정된 고정핀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함으로써 내관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한편, 최근 들어 건축물의 층고가 높아지면서 통상의 서포트를 사용하지 못하고 대형 서포트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건축물의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대형 서포트는 작업자가 설치 및 해체하는 것이 매우 힘들고 어려워 크레인 등의 장비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크레인의 사용을 위한 비용을 낭비하고 특히 다수의 서포트를 사용하여 많은 비용을 낭비하고 오랜 공사기간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등록실용신안 제20-0285361호)은 사각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는 4개의 바퀴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상부에 돌설되는 안착부와, 상기 몸체부와 회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부를 수직 상승시키는 2개의 제1실린더로 이루어진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힌지부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사각형상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고정부와, 상기 베이스고정부와 수직상승부의 실린더고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상승부를 수직 상승시키는 제2실린더와, 상기 수평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2개의 측면손잡이로 이루어진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수평부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실린더의 일측이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고정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상부걸이대 및 하부걸이대와, 상기 상하부걸이대의 중앙에 지지봉이 결착되도록 형성된 홈부와, 상기 실린더고정부의 타면에 설치되어 지지봉을 수직상승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실린더로 이루어진 수직상승부;로 구성된 지지봉 리프트장치로서, 기울어진 지지봉을 세우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의해 세워진 지지봉을 상승시키는 수직상승부가 자체적으로 구성되어 구성이 복잡하고 복잡한 구성을 갖는 전용 장비이기 때문에 비용도 매우 고가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20-028536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사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프트 장치(포터 카, 지게차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대형의 서포트를 세워 설치하고 또한 세워진 서포트를 해체할 수 있는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는, 자체 동력으로 구동하는 리프트 장치의 리프트에 연결되는 지그 본체와; 상기 지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포트를 각각 클램핑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클램프를 통해 상기 서포트를 기울어진 상태로 클램핑한 후 상기 리프트 장치를 통해 상승하면서 상기 서포트를 세우고, 반대로 상기 리프트 장치를 통해 하강하면서 세워진 서포트를 기울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은,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자체 동력으로 구동하는 리프트 장치에 조립하여 서포트의 설치 장소에 이동하고, 상기 서포트의 일측을 상기 서포트 리프팅 지그에 구성된 클램프에 삽입하며, 상기 리프트 장치를 통해 상기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상승시켜 상기 서포트를 세워 저부가 지면에 안착되도록 설치하는 서포트의 설치 단계와; 상기 서포트의 설치 단계를 통해 설치된 서포트를 상기 서포트 리프팅 지그의 클램프에 삽입 및 클램핑한 후 상기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하강시켜 해체하는 서포트의 해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에 의하면, 자체 구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건축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대형 서포트를 설치 및 해체하므로 저비용으로 공사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의 정면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가 적용되는 리프트 장치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이용한 서포트의 설치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이용한 서포트의 해체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에 적용된 안전 고리의 높이 조정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에 적용된 안전 고리의 위치 조정을 보인 평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100)는, 리프트 장치에 연결되는 지그 본체(10), 지그 본체(10)에 형성되며 서포트(1)(대형 서포트로서 저부에 높이조정잭이 구비된 잭 서포트)를 지지하는 클램프(20)로 구성되며, 리프트 장치(200)에 의해 승강하며 상승 시 서포트(1)를 세우고 하강시 서포트(1)를 눕히는 동작을 한다. 또한, 서포트(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즉, 서포트(1)를 세우거나 눕힐 때 서포트(1)가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안전 고리(30)가 부가될 수 있다. 안전 고리(30)는 클램프(20)와 함께 서포트(1)를 2점에서 지지함으로써 서포트(1)의 안정성을 높이고 서포트(1)의 수직도를 정렬하는 기능도 한다.
지그 본체(10)는 리프트 장치(200)에 연결(지지, 고정 등 모든 것을 말함)되는 리프트 연결부(11), 리프트 연결부(11)에 세워지는 하나 이상의 수직대(12), 수직대(12)를 지지하는 경사대(13)로 구성된다.
리프트 연결부(11)는 리프트 장치(200)의 종류에 맞춰 형성되고,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리프트 장치가 포터 카(200-1)인 경우 포터 카(200-1)에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리프트(210) 위에 고정수단(볼트와 너트, 클램프 등)을 통해 고정되는 브래킷(앵글, 각형/원형의 관형), 도 5에서처럼, 리프트 장치가 지게차(200-2)인 경우 지게차(200-2)의 포크(220)가 삽입되는 관형으로 구성된다.
수직대(12)는 클램프(20)를 여유 있는 높이에 배치하고 클램프(20)와 안전 고리(30)를 서포트(1)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거리에 설치하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앵글이나 각관이나 빔 또는 이들의 조합형으로 구성되고, 저부가 리프트 연결부(11)에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경사대(13)는 수직대(12) 옆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저부가 리프트 연결부(11)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상부가 수직대(12)의 측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지그 본체(10)의 강도를 증대한다. 경사대(13)는 서포트(1)를 세우거나 눕힐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경사대(13)는 앵글, 관(각관, 원형)이 가능하다.
지그 본체(10)는 전술한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클램프(20)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서포트(1)를 안정적으로 설치와 해체할 수 있는 모든 구조가 가능하다.
클램프(20)는 지그 본체(10)의 상승과 하강을 통해 서포트(1)를 세우거나 눕힐 때 서포트(1)가 이탈되지 않고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고정하는 것이며, 서포트(1)의 클램핑과 언클램핑을 위하여 각각 반원형인 2개의 클램프 편(21,22)이 일측에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바람직하게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록킹구(23)로 잠기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즉, 서포트(1)를 세울 때 제1클램프 편(21)을 제2클램프 편(22)으로부터 분리하여 제2클램프 편(22)에 서포트(1)를 삽입 지지하고, 제1클램프 편(21)으로 서포트(1)을 덮은 후 록킹구(23)를 체결하는 것으로 서포트(1)를 클램핑한다.
록킹구(23)는 도면에서 제1클램프 편(21)에 힌지 연결되는 볼트, 제2클램프 편(22)쪽에서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제1,2클램프 편(21,22)을 고정하는 너트로 도시되어 있으며,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램프(20)는 지그 본체(10)와 함께 상승하면서 기울어진 서포트(1)를 세우며, 이 때, 서포트(1)의 각도가 지면과 직각으로 변하게 될 것이므로 서포트(1)에 의해 각도가 바뀌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지그 본체(10)에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14)을 통해 회동안내관(15)이 구성되고, 클램프(20)는 회동안내관(15)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축(24)이 구성되어, 클램프(20)가 서포트(1)와 함께 각도 조정된다.
회동축(24)은 제1,2클램프 편(21,22) 중 일측에 고정되고 회동안내관(15)을 관통한 후 베어링과 너트를 통해 회동안내관(1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상의 구조를 통해 클램프(20)의 교체도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서포트(1)의 외경에 맞는 크기의 클램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이점이 있다.
안전 고리(30)는 고리 몸체(31) 및 록킹핀(32)으로 구성된다.
서포트(1)는 클램프(20)에 클램핑되어 세워질 때 자연스럽게 즉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 안전 고리(30) 안에 삽입되어 지지됨과 아울러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리 몸체(31)는 서포트(1)의 삽입과 분리를 위하여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링의 형태이고, 록킹핀(32)은 고리 몸체(31)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록킹핀(32)은 일측이 고리 몸체(31)의 개방부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고리 몸체(31)의 반대쪽에 걸려 록킹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고리 몸체(31)의 개방부쪽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록킹핀(32)은 자유단부에 곡선형의 벤딩부가 구성된다.
안전 고리(30)는 다양한 외경의 서포트(1)에 맞춰 사용되도록 지그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이용한 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서포트 설치(도 7 참고).
가. 서포트 리프팅 지그의 조립.
서포트 리프팅 지그(100)를 리프트 장치(200)에 조립하여 서포트(1)의 설치 장소에 거치한다.
이 때, 후속 공정인 서포트(1)의 거치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포트 리프팅 지그(100)를 지면에 최대한 근접시킨다.
클램프(20)와 안전 고리(30)는 각각 서포트(1)의 클램핑을 위하여 미리 준비된 상태(개방된 상태)이다.
나. 서포트 거치.
작업자(장비도 가능)가 서포트(1)의 일측을 들어 올려 클램프(20) 안에 삽입하고 클램핑한다.
즉, 서포트(1)는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어 있고 하단부로부터 이격된 곳이 클램프(20)만을 통해 지지된 상태이다.
다. 서포트 리프팅 지그 상승.
리프트 장치(200)를 통해 서포트 리프팅 지그(100)를 상승시킨다. 서포트 리프팅 지그(100)는 자체 동력없이 리프트 장치(200)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승된다.
서포트 리프트 지그(100)가 상승할 때 클램프(20)에 의해 서포트(1)가 지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세워지게 된다. 서포트(1)는 각도가 지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변하게 되고 클램프(20)는 회동축(24)의 안내를 통해 회동하여 서포트(1)가 세워지는 것을 구속하지 않고 서포트(1)를 안전하게 클램핑한다.
안전 고리(30)가 적용된 경우 서포트(1)가 세워지다가 안전 고리(30)의 고리 몸체(31) 안에 삽입되고, 안전 고리(30)의 록킹핀(32)을 고리 몸체(31)에 걸어 서포트(1)를 고정한다. 이 과정을 통해 서포트(1)는 설계 각도로 세워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서포트(1)는 하단부가 지면에 끌리게 될 것이며, 서포트(1)가 지면을 따라 가면서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작업자가 서포트(1)의 하단부를 들 수 있고 또는 바퀴가 달린 대차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서포트(1)를 세운 후 하부의 잭을 이용하여 서포트(1)의 높이를 맞춘다.
2. 서포트 해체(도 8 참고).
도 7의 최종 단계처럼 서포트(1)를 세운 후 거푸집을 지지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한다.
슬래브의 양생 후 서포트(1)를 다음과 같이 해체한다.
리프트 장치(200)를 통해 본 발명의 서포트 리프팅 지그(100)를 서포트(1) 옆으로 이동시키고, 클램프(20)와 안전 고리(30) 안에 서포트(1)를 삽입한다. 이 때, 서포트 리프팅 지그(100)는 서포트(1)를 안정적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최적의 높이로 배치된다. 클램프(20)는 서포트(1)가 빠지지 않도록 클램핑하지만, 안전 고리(30)는 서포트(1)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록킹핀(32)을 걸지 않은 프리(free) 상태를 유지한다.
서포트(1)의 잭을 이용하여 서포트(1)를 높이를 낮춰 서포트(1)의 해체를 준비하고, 리프트 장치(200)를 통해 서포트 리프팅 지그(100)를 하강시키며, 이 때, 서포트(1)가 서포트 리프팅 지그(100)의 직각 방향의 하강에 의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서포트(1)를 직각이 아닌 각도로 기울인다.
작업자가 서포트(1)를 내릴 수 있는 높이까지 서포트 리프팅 지그(100)를 계속해서 하강시키고, 작업자는 클램프(20)를 풀어 서포트(1)를 언클램핑한 후 서포트 리프팅 지그(100)에서 서포트(1)를 빼낸다.
이로써 서포트(1)의 해체 작업을 완료한다.
이하,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한다.
클램프(20)와 안전 고리(30)는 서포트(1)를 2점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서포트(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정렬할 수 있지만, 서포트(1)의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서포트(1)의 크기에 맞춰 클램프(20)와 안전 고리(30)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그 본체(10)에 종방향의 레일(16)을 형성하고, 안전 고리(30)를 레일(16)에 높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한다. 즉, 안전 고리(30)의 높이 조정을 통해 클램프(20)와 안전 고리(3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안전 고리(30)의 높이 조정은 레일(16)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안내홈을 형성하고 안전 고리(30)에 상기 안내홈을 따라 승강하는 안내돌기를 구성하여 안전 고리(30)를 조립하고, 안전 고리(30)를 볼트형의 조임구를 통해 레일(16)에 고정하는 방법, 레일(16)에 다단의 높이조정공을 형성하고 안전 고리(30)를 다단의 높이조정공에 선택적으로 고정(볼트와 너트, 핀 등)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도 10은 안전 고리(30)의 위치를 조정하는 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지그 본체(10)에 좌우 폭방향을 따라 횡방향 레일(17)을 형성하고, 안전 고리(30)를 레일(17)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안전 고리(30)를 클램프(20)와 어긋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서포트(1)가 지면과 직각으로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안전 고리(30)의 위치 조정은 도 10과 직교하는 방향인 전후방향의 위치 조정도 가능하고, 이 구성은 도 1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10 : 지그 본체, 11 : 리프트 연결부
12 : 수직대, 13 : 경사대
14 : 고정브래킷, 15 : 회동안내관
16,17 : 레일, 20 : 클램프
21,22 : 제1,2클램프 편, 23 : 록킹구
24 : 회동축, 30 : 안전 고리

Claims (8)

  1. 자체 동력으로 구동하는 리프트 장치의 리프트에 연결되는 지그 본체와;
    상기 지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서포트를 각각 클램핑하는 클램프와;
    상기 지그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된 서포트를 지지하는 안전 고리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클램프를 통해 상기 서포트를 기울어진 상태로 클램핑한 후 상기 리프트 장치를 통해 상승시키면서 상기 서포트를 세우고, 반대로 상기 리프트 장치를 통해 하강시키면서 세워진 서포트를 기울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리프팅 지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 고리는 상기 지그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리프팅 지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 고리는 상기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되어 세워지는 서포트가 삽입되는 개방부를 갖는 고리 몸체, 상기 고리 몸체 안에 삽입된 서포트를 외부에서 지지하는 록킹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리프팅 지그.
  5. 청구항 1과 청구항 3과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본체는 상기 리프트 장치에 연결되는 리프트 연결부, 상기 리프트 연결부에 세워지는 수직대, 상기 수직대를 지지하는 경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리프팅 지그.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와 안전 고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지그 본체에 높이 조정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리프팅 지그.
  8. 청구항 1에 의한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으로서,
    상기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자체 동력으로 구동하는 리프트 장치에 조립하여 서포트의 설치 장소에 이동하고, 상기 서포트의 일측을 상기 서포트 리프팅 지그에 구성된 클램프에 삽입하며, 상기 리프트 장치를 통해 상기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상승시켜 상기 서포트를 세워 저부가 지면에 안착되도록 설치하는 서포트의 설치 단계와;
    상기 서포트의 설치 단계를 통해 설치된 서포트를 상기 서포트 리프팅 지그의 클램프에 삽입 및 클램핑한 후 상기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하강시켜 해체하는 서포트의 해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리프팅 지그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KR1020170162309A 2017-11-29 2017-11-29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KR102038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309A KR102038062B1 (ko) 2017-11-29 2017-11-29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309A KR102038062B1 (ko) 2017-11-29 2017-11-29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320A KR20190063320A (ko) 2019-06-07
KR102038062B1 true KR102038062B1 (ko) 2019-10-30

Family

ID=6685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309A KR102038062B1 (ko) 2017-11-29 2017-11-29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146A (ko) * 2021-11-01 2023-05-09 김영곤 잭 서포트 설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2333A (zh) * 2020-05-26 2020-08-07 正如(广东)机器人科技有限公司 牛腿支撑机器人
CN112922352B (zh) * 2021-02-01 2022-07-15 青岛穗禾集成房屋有限公司 一种轻钢结构活动板房建造拼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796Y2 (ja) * 1989-11-24 1995-09-27 株式会社大林組 壁パネル取付け装置
KR200285361Y1 (ko) 2002-05-24 2002-08-13 감로건설(주) 지지봉 리프트장치
KR101823342B1 (ko) * 2016-04-01 2018-01-30 이세원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146A (ko) * 2021-11-01 2023-05-09 김영곤 잭 서포트 설치 장치
KR102577469B1 (ko) * 2021-11-01 2023-09-11 김영곤 잭 서포트 설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320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4387A (en) Device and method to lift and manipulate poles which are mounted onto a base
US4083156A (en) Apparatus for bracing a tilt-up wall panel
KR102038062B1 (ko)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US3082843A (en) Demountable scaffolding for side mounting on columns
JP4966977B2 (ja) 改良された建設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KR100969992B1 (ko) 교각용 거푸집 시스템
JP665584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の施工現場で使用するクレーン装置
KR102144434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CN113503037A (zh) 一种钢梁连接板安装装置及钢梁连接板安装方法
US4081227A (en) Slip form
KR200459685Y1 (ko) 시스템 서포트용 이동장치
KR101922047B1 (ko) 크레인 브레싱 해체 장치
US1136555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utility poles
JP6220141B2 (ja) 炉内足場の支柱支持ベース構築用装置
KR102102440B1 (ko)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JP3732721B2 (ja) 塔状構造物の脚材据付け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装置
KR102361789B1 (ko)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가설 지지구
JP3383636B2 (ja) 簡易組立て式吊上げ移動装置
RU2322558C2 (ru) Поворотное основание для подъемного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JP2021055501A (ja) 仮設足場用階段
EP3045417B1 (en) Stabilizing group for a tower crane and tower crane comprising such a group
CN217734758U (zh) 一种稳定性强的防倾覆脚手架
AU2019203972B2 (en) Lifting apparatus
JP2014201883A (ja) 炉内足場の構築方法及び炉内足場の基礎デッキ構築用装置
WO20200418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ng a po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