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342B1 -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342B1
KR101823342B1 KR1020160040491A KR20160040491A KR101823342B1 KR 101823342 B1 KR101823342 B1 KR 101823342B1 KR 1020160040491 A KR1020160040491 A KR 1020160040491A KR 20160040491 A KR20160040491 A KR 20160040491A KR 101823342 B1 KR101823342 B1 KR 101823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vertical
bar
support fram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824A (ko
Inventor
이세원
Original Assignee
이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원 filed Critical 이세원
Priority to KR102016004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34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3Arrangements for stabilising the forms or for moving the forms from one place to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에서 중량체인 동바리을 인상시켜 정확한 위치에 세운 다음, 한 사람의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동바리의 높이를 조정하여 간단하게 동바리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후방에는 모터와 연결되는 인취풀리가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전방의 양측에 세워지는 수직바와; 양측의 수직바의 상부에 구비되는 도르레 고정수단과;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르레와; 상기 인취풀리에 권취되어 상기 도르레의 풀리에 감겨지게 인출되고, 인출 단부에는 동바리를 들어 올리는 인상줄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후크가 구비되는 인취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CONSTRUCTION APPARATUS OF SUPPORTING POST}
본 발명은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에 의지하여 현장에서 중량체인 동바리를 운반 및 인상시켜 정확한 위치에 세운 다음, 한 사람의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동바리의 높이를 조정하여 간단하게 동바리를 설치 및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공사나 토목의 구조물 공사 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축조시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이 필요하고, 슬래브, 보 등의 상부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의 받침용 지지대인 동바리가 필요하다.
그런데 상기의 동바리는 중량이 무거워 현장에서 운반하여 수직으로 시공할 경우에는 두 명이 한 조를 이루어 동바리를 시공하고 있으나, 동바리를 운반하여 시공하는데 많은 시간과 많은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동바리를 운반하여 시공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그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49879호의 "거푸집 지지대 운반장치"(이하, "종래의 거푸집 지지대 운반장치"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거푸집 지지대 운반장치는 상부로는 거푸집 지지대를 쌓아 올릴 수 있으며 하부에는 이동수단이 설치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측면에 선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거푸집 지지대를 안치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U"자 형상의 안착부가 마련되되 그 후방은 거푸집 지지대가 추락되지 않도록 막음된 리프트, 및 상기 적재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리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길이 가변 작동에 의해 상기 리프트를 회동시켜 직립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거푸집 지지대 운반장치는 다수의 거푸집 지지대를 적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거푸집 지지대 운반 장치는 거푸집 지지대를 현장으로 운반시켜 수직으로 세우는 역할만 한다.
따라서 종래의 거푸집 지지대 운반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현장에서 두 명의 작업자가 중량체인 각각의 거푸집을 들고 거푸집 지지대가 세워지는 자리로 이동한 다음, 두 명의 작업자 중 한명이 거푸집 지지대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사람이 거푸집 지지대를 높이를 조정하면서 거푸집 지지대를 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거푸집 지지지 운반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도, 필수적으로 두 명의 작업자가 중량물인 거푸집 지지대를 직접 세워 시공함으로써, 현장에서 거푸집 지지대를 시공하는데 많은 시간과 많은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49879호 "거푸집 지지대 운반장치"(2010.05.13.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 중량체인 동바리를 인상시켜 정확한 위치에 세운 다음, 한 사람의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동바리의 높이를 조정하여 간단하게 동바리를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동바리의 시공 시간을 단축시키고 동바리의 시공 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르레 고정수단을 지지 프레임에서 전방으로 돌출시켜 동바리의 인상시 동바리가 수직바나 지지 프레임의 전방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높이 조정관의 풀음과 조임만을 통해 높이 조정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바를 경사보강대로 보강함으로써 동바리의 시공중 수직바가 휘어지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을 통해 장치의 운반시 수직바를 분리하여 부피를 줄이면서 장치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게차를 이용하여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동바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거리의 이동시에는 작업자가 장치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는 상부 후방에는 모터와 연결되는 인취풀리가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전방의 양측에 세워지는 수직바와; 양측의 수직바의 상부에 구비되는 도르레 고정수단과;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르레와; 상기 인취풀리에 권취되어 상기 도르레의 풀리에 감겨지게 인출되고, 인출 단부에는 동바리를 들어 올리는 인상줄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후크가 구비되는 인취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각 상기 수직바는 지지 프레임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에 승강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수직관의 상부에 구비되는 높이 조정수단을 통해 높이가 조정되며 상부가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에 연결되는 높이 조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상기 높이 조정수단은 상기 수직관의 상부의 외측에 삽입되고, 내측의 둘레에는 상기 수직관의 상단에 안착되는 단부가 형성되며, 내부의 상부 둘레에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콘 형상의 쐐기면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상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고정 연결관과; 둘레가 다수의 수직 절개부로 절개되어 다수의 분할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정관의 외주연에 삽입되고, 외주연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형성되어 상기 쐐기면에 삽입되는 삽입 쐐기면이 형성되며, 외주연의 상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쐐기부재와; 상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상판이 형성되고, 상판의 하부 둘레에는 내측에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탭부가 형성되며 외측의 둘레에 다수의 회전돌기가 형성되는 회전 높이조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각 상기 수직관과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는 수직관을 지지하는 경사 보강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경사 보강대의 하부는 힌지부를 통해 경사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경사 보강대의 상부는 상기 수직관에 분리가 가능하게 분리식 클램프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은 양측의 상기 높이 조정관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분리식 클램프로 고정되고 상기 도르레가 걸려 고정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은 양측의 상기 높이 조정관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수평바와, 양측의 돌출 수평바의 전방에 분리가 가능하게 분리식 클램프로 고정되고 상기 후크가 걸려 고정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상기 양측의 높이 조정관의 사이에는 수평 보강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각 상기 수직관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수직관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분리식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분리식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수직관에 삽입되는 고정관과; 상기 수직관의 하부의 외측에 삽입되고, 내측의 둘레에는 상기 수직관의 하단에 밀착되는 단부가 형성되며, 내부의 하부 둘레에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원뿔 형상의 쐐기면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고정 연결관과; 둘레가 다수의 수직 절개부로 절개되어 다수의 분할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 조정관의 외주연에 삽입되고, 외주연에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형성되어 상기 쐐기면에 삽입되는 삽입 쐐기면이 형성되며, 외주연의 하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쐐기부재와; 하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하판이 형성되고, 하판의 상부 둘레에는 내측에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탭부가 형성되며 외측의 둘레에 다수의 회전돌기가 형성되는 회전 높이조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 전,후방의 양측에는 지게차의 인상바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인상바 관통 브래킷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전,후방 양측의 상기 인상바 관통 브래킷의 관통홀의 상부에는 상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임볼트의 조임을 통해 회전되어 상기 인상바의 상부를 눌러주는 회전 누름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각각의 상기 인상바 관통 브래킷의 하부에는 케스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상기 인취풀리의 후방에는 탄성력을 통해 권취된 인취 와이어를 인취풀리쪽으로 눌러주는 탄성 누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상기 탄성 누름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대와, 상기 수직대의 상부에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권취된 인취 와이어를 눌러주는 누름롤러가 구비되는 누름대와, 상기 수직대의 전방과 누름대의 전방의 사이에 구비되어 누름대를 항상 잡아당기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상기 인상줄은 양측에 고리가 재봉을 통해 형성되는 천으로 제조되는 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중량체인 동바리를 인상시켜 정확한 위치에 세운 다음, 한 사람의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동바리의 높이를 조정하여 간단하게 동바리를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동바리의 시공 시간을 단축시키고 동바리의 시공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르레 고정수단을 지지 프레임에서 전방으로 돌출시켜 동바리의 인상시 동바리가 수직바나 지지 프레임의 전방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충돌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높이 조정관의 풀음과 조임만을 통해 높이 조정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동바리의 높이와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한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바를 경사보강대로 보강함에 따라 동바리의 시공중 수직바가 휘어지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작업 안전성이 확보된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을 통해 장치의 운반시 수직바를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차량의 적재부피를 줄임에 따라 운반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게차를 이용하여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동바리를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동바리를 좀 더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의 이동시에는 작업자가 장치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근거리를 이동할 경우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도르레 고정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a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a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C부 확대고이며,
도 5c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인상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a의 D-D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 누름부재 및 조임볼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르레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요부 확대사시도이며,
도 8c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도르레 고정수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a의 B-B선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C부 확대고이며, 도 5c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인상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a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 누름부재 및 조임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는 현장에서 중량체인 동바리(30)을 인상시켜 정확한 위치에 세운 다음, 작업자가 동바리(30)의 높이를 조정하여 간단하게 동바리(30)를 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는 상부 후방에 모터(111)와 연결되는 인취풀리(11)가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1)과, 상기 지지 프레임(1)의 상부 전방의 양측에 세워지는 수직바(2)와, 양측의 수직바(2)의 상부에 구비되는 도르레 고정수단(4)과,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4)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르레(5)와, 상기 인취풀리(11)에 권취되어 상기 도르레(5)의 풀리에 감겨지게 인출되고 인출단부에는 후크(61)가 구비되는 인취 와이어(6)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지지 프레임(1)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는 인취풀리(11)의 후방에는 탄성력을 통해 권취된 인취 와이어(6)를 인취풀리(11)쪽으로 눌러주어 인취 와이어(6)의 풀림과 꼬임을 방지하는 탄성 누름부(14)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 누름부(14)는 인취 와이어(6)를 인취풀리(11)쪽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1)의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대(141)와, 수직대(141)의 상부에 힌지부(31)를 통해 연결되어 힌지부(31)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권취된 인취 와이어(6)를 눌러주는 누름롤러(143a)가 구비되는 누름대(143)와, 상기 수직대(141)의 전방과 누름대(143)의 전방의 사이에 구비되어 누름대(143)를 항상 잡아당기는 인장스프링(144)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프레임(1)의 하부 전,후방의 양측에는 지게차(10)를 이용하여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동바리(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게차(10)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인상바(20)가 삽입되는 다수의 인상바 관통 브래킷(12)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상바 관통 브래킷(12)은 내부에 지게차 인상바(20)가 삽입되는 전,후방이 개방된 관통홀(121)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121)은 인상바(2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각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프레임(1)의 하부에 형성된 인상바 관통 브래킷(12)에 지게차(10)의 인상바(20)를 삽입한 상태에서, 지게차(10)를 이용하여 장치를 들어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동바리(30)를 설치함으로써, 동바리(30)를 좀 더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전,후방 양측의 상기 인상바 관통 브래킷(12)의 관통홀(121)의 상부에는 지게차 인상바(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게차 인상바(20)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임볼트(123)의 조임을 통해 회전되어 상기 인상바(20)의 상부를 눌러주는 회전 누름부재(12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상기 인상바 관통 브래킷(12)의 하부에는 근거리의 이동시에는 작업가 장치를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케스터(1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크(61)에는 동바리(30)의 둘레를 감아 동바리(30)를 인상시킬 수 있도록 인상줄(7)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인상줄(7)은 동바리(30)의 둘레를 감아 인상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고리(71)가 재봉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천으로 제조되는 띠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수직바(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1)의 상부의 양측에 세워져 동바리(30)를 세우는 과정에서 동바리(30)의 세움 상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각각의 상기 수직바(2)는 지지 프레임(1)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관(21)과, 상기 수직관(21)에 승강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수직관(21)의 상부에 구비되는 높이 조정수단(23)을 통해 높이가 조정되며 상부가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4)에 연결되는 높이 조정관(22)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 조정수단(23)은 간단한 풀음과 조임의 조작만으로 높이 조정관(22)의 높이를 조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관(21)의 상부의 외측에 삽입되고 내측의 둘레에는 상기 수직관(21)의 상단에 안착되는 단부(231a)가 형성되며 내부의 상부 둘레에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콘 형상의 쐐기면(231b)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상부에는 나사부(231c)가 형성되는 고정 연결관(231)과, 둘레가 다수의 수직 절개부(232b)로 절개되어 다수의 분할편(232a)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 높이조정관(233)의 외주연에 삽입되고 외주연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형성되어 상기 쐐기면(231b)에 삽입되는 삽입 쐐기면(232c)이 형성되며 외주연의 상부에는 걸림홈(232d)이 형성되는 쐐기부재(232)와, 상부에는 상기 걸림홈(232d)에 삽입되는 상판(233a)이 형성되고 상판(233a)의 하부 둘레에는 내측에 상기 나사부(231c)에 체결되는 탭부(233b)가 형성되며 외측의 둘레에는 다수의 회전돌기(233c)가 형성되는 회전 높이조정관(233)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높이 조정수단(23)을 통해 높이 조정관(22)의 높이를 조정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회전 높이 조정관(22)을 풀어 회전 높이조정관(233)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상승되는 상기 회전 높이조정관(233)에 연결되는 쐐기부재(232)가 고정관의 쐐기면(231b)에서 상승되면서 둘레가 확장됨으로써 쐐기부재(232)의 내경이 확장된다. 그런 다음, 수직관(21)에 삽입되어 있는 높이 조정관(22)의 높이를 조정한다. 다음, 상기 회전 높이 조정관(22)을 조여 회전 높이조정관(233)을 하강시킨다. 그러면, 하강되는 상기 회전 높이조정관(233)에 연결되는 쐐기부재(232)가 고정관의 쐐기면(231b)에서 하강되면서 내경이 축소되어 높이 조정관(22)의 둘레를 쐐기부재(232)가 눌러줌에 따라, 높이 조정관(22)의 높이가 변경된 높이를 유지됨으로써 높이 조정관(22)의 높이 조정을 완료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회전 높이조정관(233)의 풀음과 조임만을 통해 높이 조정관(22)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동바리(30)의 높이와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한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상기 수직관(21)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에서 수직관(21)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분리식 고정수단(24)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식 고정수단(24)은 상기 지지 프레임(1)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수직관(21)에 삽입되는 고정관(241)과, 상기 수직관(21)의 하부의 외측에 삽입되고 내측의 둘레에는 상기 수직관(21)의 하단에 밀착되는 단부(242a)가 형성되며 내부의 하부 둘레에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원뿔 형상의 쐐기면(242b)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부에는 나사부(242c)가 형성되는 고정 연결관(242)과, 둘레가 다수의 수직 절개부(243b)로 절개되어 다수의 분할편(243a)으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 조정관(22)의 외주연에 삽입되고 외주연에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형성되어 상기 쐐기면(242b)에 삽입되는 삽입 쐐기면(243c)이 형성되며 외주연의 하부에는 걸림홈(243d)이 형성되는 쐐기부재(243)와, 하부에는 상기 걸림홈(243d)에 삽입되는 하판(244a)이 형성되고 하판(244a)의 상부 둘레에는 내측에 상기 나사부(242c)에 체결되는 탭부(244b)가 형성되며 외측의 둘레에 다수의 회전돌기(244c)가 형성되는 회전 높이조정관(24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분리식 고정수단(24)을 통해 수직관(21)을 지지 프레임(1)에서 분리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회전 높이 조정관(22)을 풀어 회전 높이조정관(244)을 하강시킨다. 그러면, 하강되는 상기 회전 높이조정관(244)에 연결되는 쐐기부재(243)가 고정관의 쐐기면(242b)에서 하강되면서 둘레가 확장됨으로써 쐐기부재(243)의 내경이 확장된다. 다음, 수직관(21)을 고정관(241)에서 바로 분리함으로써, 수직관(21)을 지지 프레임(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차량을 통해 장치의 운반시 수직바(2)를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차량의 적재부피를 줄임에 따라 운반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반대로 현장에서 수직관(21)을 다시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수직관(21)을 상기 고정관(241)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높이 조정관(22)을 조여 회전 높이조정관(244)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상승되는 상기 회전 높이조정관(244)에 연결되는 쐐기부재(243)가 고정관(241)의 쐐기면(242b)에서 상승되면서 둘레가 축소됨으로써, 쐐기부재(243)의 내경이 축소되어 고정관의 둘레를 쐐기부재(243)가 눌러줌에 따라, 수직관(21)을 고정관(241)의 외측에 삽입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 상기 수직관(21)과 지지 프레임(1)의 사이에는 수직관(21)을 보강하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 보강대(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 보강대(3)의 하부는 운반시 눕히고 설치시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힌지부(31)를 통해 경사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 보강대(3)의 상부는 상기 수직관(21)에 분리가 가능하게 분리식 클램프(C)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식 클램프(C)는 상기 경사 보강대(3)의 전방을 수직대(141)에서 분리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관(21)에 고정되어 상기 경사 보강대(3)의 둘레의 절반을 감싸며 후방에는 힌지부를 통해 회전되는 볼트축(B)이 구비되는 제1 브래킷(B1)과, 상기 제1 브래킷(B1)의 전방에 힌지부(H)로 결합되어 상기 경사 보강대(3)의 둘레의 절반을 감싸며 후방에는 상기 볼트축(B)이 관통되는 후방이 개방된 조립홈(G)이 형성되는 제2 브래킷(B2)과, 상기 볼트축(B)에 체결되는 너트(4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상기 수직바(2)를 경사 보강대(3)로 보강함에 따라 동바리(30)의 시공중 수직바(2)가 휘어지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동바리(30)의 시공 중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게 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도르레 고정수단(4)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수직바(2)의 상부에 구비되어 도르레(5)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4)은 도르레(5)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위치되는 상기 높이 조정관(22)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분리식 클램프(C)로 고정되고 상기 도르레(5)가 걸려 고정되는 수평바(4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식 클램프(C)는 수평바(42)를 분리 시킬 수 있도록, 상기 높이 조정관(22)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평바(42)의 둘레의 절반을 감싸며 전방에는 힌지부를 통해 회전되는 볼트축(B)이 구비되는 제1 브래킷(B1)과, 상기 제1 브래킷(B1)의 후방에 힌지부(H)로 결합되어 상기 수평바(42)의 둘레의 절반을 감싸며 전방에는 상기 볼트축(B)이 관통되는 전방이 개방된 조립홈(G)이 형성되는 제2 브래킷(B2)과, 상기 볼트축(B)에 체결되는 너트(4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르레(5)는 상기 수평바(42)에 고리를 통해 걸려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바(42)에 삽입되어 걸려 고정되는 고리와, 고리의 양측에 구비되는 양 측판과, 양 측판의 사이에 회전되게 구비되어 상기 인취 와이어(6)가 감기는 풀리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인취풀리(11)와 연결된 모터(111)를 구동시켜, 인취 와이어(6)의 단부를 바닥까지 푼다. 그런 다음, 바닥에 눕혀 있는 동바리(30)에 인상줄(7)을 감은 상태에서 인상줄(7)의 일 단부에 형성된 고리(71)에 타단부에 형성된 고리(71)를 관통시켜 잡아당기는 과정을 통해 동바리(30)를 묶는다. 그리고, 상기 인취 와이어(6)의 단부에 설치된 후크(61)를 와이어의 타단부에 구비된 고리(71)에 연결시킨다.
다음 상기 인취풀리(11)와 연결된 모터(111)를 구동시켜 인취 와이어(6)를 상승시켜 동바리(3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인상시키면서 세운다.
다음 상기 인취풀리(11)와 연결된 모터(111)를 구동시켜 인취 와이어(6)를 풀음에 따라, 동바리(30)를 지면에 수직으로 세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인취 와이어(6)를 풀어 동바리(30)를 수직으로 세우는 과정에서는 동바리(30)의 중량으로 인하여 동바리(30)가 인상줄(7)에서 하부로 미끄러짐으로써, 인상줄(7)의 일측 고리(71)에 삽입되어 있는 인상줄(7)이 하부로 이동되면서 풀리게 된다.
다음 한 사람의 작업자가 수직으로 세워진 동바리(30)의 높이를 조정하여 동바리(30)의 상,하부를 바닥과 천정 거푸집의 하면에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인상줄(7)의 타측 고리(71)를 상기 후크(61)에서 분리시켜 인상줄(7)을 해체하는 과정을 통해, 동바리(30)의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중량체인 동바리(30)을 인상시켜 정확한 위치에 세운 다음, 한 사람의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동바리(30)의 높이를 조정하여 간단하게 동바리(30)를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동바리(30)의 시공 시간을 단축시키고 동바리(30)의 시공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프레임(1)의 하부에 형성된 인상바 관통 브래킷(12)에 지게차(10)의 인상바(20)를 삽입하여 지지 프레임(1)을 인상한 상태에서,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동바리(30)를 설치함으로써 동바리(30)를 좀 더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르레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요부 확대사시도이며, 도 8c는 사용 상태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도르레 고정수단(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바리(30)가 수직바(2)나 지지 프레임(1)의 전방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의 상기 높이 조정관(22)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수평바(45)와, 양측의 돌출 수평바(45)의 전방에 분리가 가능하게 분리식 클램프(C)로 고정되고 상기 후크(61)가 걸려 고정되는 수평바(4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식 클램프(C)는 수평바(46)를 분리시켜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 수평바(45)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평바(46)의 둘레 절반을 감싸며 전방에는 힌지부를 통해 회전되는 볼트축(B)이 구비되는 제1 브래킷(B1)과, 상기 제1 브래킷(B1)의 후방에서 힌지부(H)로 결합되고 상기 수평바(46)의 둘레 절반을 감싸며 전방에는 상기 볼트축(B)이 관통되는 전방이 개방된 조립홈(G)이 형성되는 제2 브래킷(B2)과, 상기 볼트축(B)에 체결되는 너트(4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양측의 높이 조정관(22)의 사이에는 양측의 수직바(2)를 보강할 수 있도록 수평 보강바(22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르레 고정수단(4)을 구성하는 수평바(46)를 지지 프레임(1)에서 전방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동바리(30)의 인상시 동바리(30)가 수직바(2)나 지지 프레임(1)의 전방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충돌로 인한 장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지지 프레임
11 : 인취풀리
111 : 모터
12 : 인상바 관통 브래킷
121 : 관통홀, 122 : 회전 누름부재, 123 : 조임볼트
13 : 케스터
14 : 탄성 누름부
141 : 수직대, 142 : 힌지부, 143 : 누름대, 143a : 누름롤러,
144 : 인장스프링
2 : 수직바
21 : 수직관
22 : 높이 조정관
221 : 수평 보강바
23 : 높이 조정수단
231 : 고정 연결관, 231a : 단부, 231b : 쐐기면, 231c : 나사부,
232 : 쐐기부재, 232a : 분할편, 232b : 수직 절개부, 232c : 삽입 쐐기면, 232d : 걸림홈,
233 : 회전 높이조정관, 233a : 상판, 233b : 탭부, 233c : 회전돌기
24 : 분리식 고정수단
241 : 고정관, 242 : 고정 연결관, 242a : 단부, 242b : 쐐기면, 242c : 나사부,
243 : 쐐기부재, 243a : 분할편, 243b : 수직 절개부, 243c : 삽입 쐐기면, 243d : 걸림홈,
244 : 회전 높이조정관, 244a : 하판, 244b : 탭부, 244c : 회전돌기
3 : 경사 보강대
31 : 힌지부
4 : 도르레 고정수단
42 : 수평바
45 : 돌출 수평바
46 : 수평바
5 : 도르레
6 : 인취 와이어
61 : 후크
7 : 인상줄
71 : 고리
C : 분리식 클램프
B1 : 제1 브레킷, B : 볼트축, H : 힌지부, B2 : 제2 브래킷, G: 조립홀, N : 너트,
10 : 지게차
20 : 인상바
30 : 동바리

Claims (14)

  1. 상부 후방에는 모터(111)와 연결되는 인취풀리(11)가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1)과;
    상기 지지 프레임(1)의 상부 전방의 양측에 세워지는 수직바(2)와;
    양측의 수직바(2)의 상부에 구비되는 도르레 고정수단(4)과;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4)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르레(5)와;
    상기 인취풀리(11)에 권취되어 상기 도르레(5)의 풀리에 감겨지게 인출되고, 인출 단부에는 동바리(30)를 들어 올리는 인상줄(7)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후크(61)가 구비되는 인취 와이어(6);를 포함하며,
    각 상기 수직바(2)는
    지지 프레임(1)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관(21)과,
    상기 수직관(21)에 승강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수직관(21)의 상부에 구비되는 높이 조정수단(23)을 통해 높이가 조정되며 상부가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4)에 연결되는 높이 조정관(22)을 포함하며,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4)은
    양측의 상기 높이 조정관(22)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분리식 클램프(C)로 고정되고 상기 도르레(5)가 걸려 고정되는 수평바(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수단(23)은
    상기 수직관(21)의 상부의 외측에 삽입되고, 내측의 둘레에는 상기 수직관(21)의 상단에 안착되는 단부(231a)가 형성되며, 내부의 상부 둘레에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콘 형상의 쐐기면(231b)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상부에는 나사부(231c)가 형성되는 고정 연결관(231)과;
    둘레가 다수의 수직 절개부(232b)로 절개되어 다수의 분할편(232a)으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정관(22)의 외주연에 삽입되고, 외주연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게 형성되어 상기 쐐기면(231b)에 삽입되는 삽입 쐐기면(232c)이 형성되며, 외주연의 상부에는 걸림홈(232d)이 형성되는 쐐기부재(232)와;
    상부에는 상기 걸림홈(232d)에 삽입되는 상판(233a)이 형성되고, 상판(233a)의 하부 둘레에는 내측에 상기 나사부(231c)에 체결되는 탭부(233b)가 형성되며 외측의 둘레에 다수의 회전돌기(233c)가 형성되는 회전 높이조정관(23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수직관(21)과 지지 프레임(1)의 사이에는 수직관(21)을 지지하는 경사 보강대(3)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경사 보강대(3)의 하부는 힌지부(31)를 통해 경사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경사 보강대(3)의 상부는 상기 수직관(21)에 분리가 가능하게 분리식 클램프(C)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5. 삭제
  6. 상부 후방에는 모터(111)와 연결되는 인취풀리(11)가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1)과;
    상기 지지 프레임(1)의 상부 전방의 양측에 세워지는 수직바(2)와;
    양측의 수직바(2)의 상부에 구비되는 도르레 고정수단(4)과;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4)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르레(5)와;
    상기 인취풀리(11)에 권취되어 상기 도르레(5)의 풀리에 감겨지게 인출되고, 인출 단부에는 동바리(30)를 들어 올리는 인상줄(7)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후크(61)가 구비되는 인취 와이어(6);를 포함하며,
    각 상기 수직바(2)는
    지지 프레임(1)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관(21)과,
    상기 수직관(21)에 승강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수직관(21)의 상부에 구비되는 높이 조정수단(23)을 통해 높이가 조정되며 상부가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4)에 연결되는 높이 조정관(22)을 포함하며,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4)은
    양측의 상기 높이 조정관(22)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수평바(45)와,
    양측의 돌출 수평바(45)의 전방에 분리가 가능하게 분리식 클램프(C)로 고정되고 상기 후크(61)가 걸려 고정되는 수평바(4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높이 조정관(22)의 사이에는 수평 보강바(22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각 상기 수직관(21)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에서 수직관(21)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분리식 고정수단(24)이 더 구비되고,
    상기 분리식 고정수단(24)은
    상기 지지 프레임(1)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수직관(21)에 삽입되는 고정관(241)과,
    상기 수직관(21)의 하부의 외측에 삽입되고, 내측의 둘레에는 상기 수직관(21)의 하단에 밀착되는 단부(242a)가 형성되며, 내부의 하부 둘레에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원뿔 형상의 쐐기면(242b)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부에는 나사부(242c)가 형성되는 고정 연결관(242)과;
    둘레가 다수의 수직 절개부(243b)로 절개되어 다수의 분할편(243a)으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 조정관(22)의 외주연에 삽입되고, 외주연에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형성되어 상기 쐐기면(242b)에 삽입되는 삽입 쐐기면(243c)이 형성되며, 외주연의 하부에는 걸림홈(243d)이 형성되는 쐐기부재(243)와;
    하부에는 상기 걸림홈(243d)에 삽입되는 하판(244a)이 형성되고, 하판의 상부 둘레에는 내측에 상기 나사부(242c)에 체결되는 탭부(244b)가 형성되며 외측의 둘레에 다수의 회전돌기(244c)가 형성되는 회전 높이조정관(2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9. 상부 후방에는 모터(111)와 연결되는 인취풀리(11)가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1)과;
    상기 지지 프레임(1)의 상부 전방의 양측에 세워지는 수직바(2)와;
    양측의 수직바(2)의 상부에 구비되는 도르레 고정수단(4)과;
    상기 도르레 고정수단(4)의 하부에 설치되는 도르레(5)와;
    상기 인취풀리(11)에 권취되어 상기 도르레(5)의 풀리에 감겨지게 인출되고, 인출 단부에는 동바리(30)를 들어 올리는 인상줄(7)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후크(61)가 구비되는 인취 와이어(6);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1)의 하부 전,후방의 양측에는 지게차(10)의 인상바(20)가 삽입되는 관통홀(121)이 형성되는 다수의 인상바 관통 브래킷(1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전,후방 양측의 상기 인상바 관통 브래킷(12)의 관통홀(121)의 상부에는 상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임볼트(123)의 조임을 통해 회전되어 상기 인상바(20)의 상부를 눌러주는 회전 누름부재(12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인상바 관통 브래킷(12)의 하부에는 케스터(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12.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취풀리(11)의 후방에는 탄성력을 통해 권취된 인취 와이어(6)를 인취풀리(11)쪽으로 눌러주는 탄성 누름부(1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누름부(14)는
    상기 지지 프레임(1)의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대(141)와,
    상기 수직대(141)의 상부에 힌지부(31)를 통해 연결되어 힌지부(31)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권취된 인취 와이어(6)를 눌러주는 누름롤러(143a)가 구비되는 누름대(143)와,
    상기 수직대(141)의 전방과 누름대(143)의 전방의 사이에 구비되어 누름대(143)를 항상 잡아당기는 인장스프링(14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14.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줄(7)은
    양측에 고리(71)가 재봉을 통해 형성되는 천으로 제조되는 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KR1020160040491A 2016-04-01 2016-04-01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KR10182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491A KR101823342B1 (ko) 2016-04-01 2016-04-01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491A KR101823342B1 (ko) 2016-04-01 2016-04-01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824A KR20170112824A (ko) 2017-10-12
KR101823342B1 true KR101823342B1 (ko) 2018-01-30

Family

ID=6014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491A KR101823342B1 (ko) 2016-04-01 2016-04-01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062B1 (ko) * 2017-11-29 2019-10-30 서보산업 주식회사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CN108104469B (zh) * 2017-12-01 2019-11-08 胡彦彬 一种构架式支撑的拆运控制机构
KR101938519B1 (ko) * 2018-05-15 2019-04-11 방윤성 트러스 기둥 기립용 대차를 이용한 트러스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83512B1 (ko) * 2019-01-16 2020-03-02 박영태 매설 배관 인출 및 교체장치
KR200492638Y1 (ko) * 2019-04-17 2020-11-16 이수영 광 케이블 권취장치
KR102334835B1 (ko) * 2019-05-31 2021-1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벌브 플레이트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벌브 플레이트 시공 방법
CN112799435B (zh) * 2020-12-31 2022-08-05 海门市帕源路桥建设有限公司 底板矮墙模安装、脱卸智能机器控制方法
CN115045438B (zh) * 2022-06-29 2024-02-06 山东宝冶建设有限公司 一种钢结构房屋拼装连接用的装配式结构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414Y1 (ko) * 2003-06-26 2003-10-17 서영자 건축용 갱폼 인양기
KR200428506Y1 (ko) * 2006-07-24 2006-10-13 서정돈 높이가변형 지지대
KR100872198B1 (ko) * 2008-05-01 2008-12-09 곽노근 건축물의 외벽용 폼 인양 권양기
JP2011080340A (ja) * 2009-10-12 2011-04-21 Shinken:Kk 支柱立て起し機具
KR101568290B1 (ko) * 2015-07-15 2015-11-11 김남수 안전 서포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414Y1 (ko) * 2003-06-26 2003-10-17 서영자 건축용 갱폼 인양기
KR200428506Y1 (ko) * 2006-07-24 2006-10-13 서정돈 높이가변형 지지대
KR100872198B1 (ko) * 2008-05-01 2008-12-09 곽노근 건축물의 외벽용 폼 인양 권양기
JP2011080340A (ja) * 2009-10-12 2011-04-21 Shinken:Kk 支柱立て起し機具
KR101568290B1 (ko) * 2015-07-15 2015-11-11 김남수 안전 서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824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342B1 (ko) 동바리 설치 시공장치
CA2800886C (en) Base for supporting an upstanding mast
JP665584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の施工現場で使用するクレーン装置
KR101941885B1 (ko) 철골 구조물
JP3285840B2 (ja) 安全帯取付け装置
CN211056577U (zh) 管廊管材起吊装置
KR102144434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US3409334A (en) Tubular column for conveying concrete or the like
KR102111100B1 (ko) 서포트 승강형 거푸집 운반 장치를 이용한 거푸집 운반 방법
KR102198890B1 (ko)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JP2562071B2 (ja) クレーンのワイヤロープ取替方法
KR20190063320A (ko)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KR101922047B1 (ko) 크레인 브레싱 해체 장치
KR200314588Y1 (ko) 건축자재 운반용 리프트
JP2018044318A (ja) サイロ屋根部の構築方法およびサイロ屋根構造
CN216787815U (zh) 一种适用于变截面竖向结构的滑模系统
US2221133A (en) Scaffold
CN210416591U (zh) 一种用于近距离装运路缘石的调整设备
JP4001332B2 (ja) 煙突解体用足場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煙突解体方法
KR102102440B1 (ko)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US8480060B2 (en) Crane cable roller assembly
CN218522267U (zh) 一种井道模板及混凝土布料机多功能支架装置
KR200159796Y1 (ko) 역타설 무지보 지하구조물 구축공사용 거푸집 승강장치
CN209799418U (zh) 一种便捷可调式支撑卸料平台
CN113863578B (zh) 地下室外墙竖向钢筋固定装置及利用装置安装钢筋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