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885Y1 - 건축용 파일 절단기 - Google Patents

건축용 파일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885Y1
KR200455885Y1 KR2020100010611U KR20100010611U KR200455885Y1 KR 200455885 Y1 KR200455885 Y1 KR 200455885Y1 KR 2020100010611 U KR2020100010611 U KR 2020100010611U KR 20100010611 U KR20100010611 U KR 20100010611U KR 200455885 Y1 KR200455885 Y1 KR 200455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cutting
clamp
pai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영
Original Assignee
이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영 filed Critical 이한영
Priority to KR2020100010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8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8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4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cutting-off under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05Sound absorbing accessories in p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파일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파일의 절단 위치에 클램핑되는 제1 클램프; 및 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클램프의 상부에서 파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파일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절단 위치를 절단시키는 절단휠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에게 미치는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 절단 작업 시의 자세가 개선되도록 유도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고른 절단면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파일 절단기{Pile cut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파일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에게 미치는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 절단 작업 시의 자세가 개선되도록 유도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고른 절단면을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 파일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빌딩, 교량 등 각종 건축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기초공사로서 연약지반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콘크리트 또는 강관 파일을 지반에 매설하는 파일 지정이 있다.
이는 지반에 파일들을 매설하고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부 구조물을 파일들 위에 구축하여 그 하중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공을 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파일은 두부 정리 시 돌출 부분이 절단되어야 한다. 통상의 파일 절단 작업은 핸드그라인더 같은 절단기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처럼 수작업으로 파일 절단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절단 작업 시 발생되는 진동이 작업자에게 그대로 전해져 피로를 누적시킬 뿐만 아니라 쭈그리고 앉는 작업 자세의 불안정으로 인해 작업 효율이 떨어지며, 특히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파일의 절단면이 고르지 못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므로 파일 절단을 위한 구조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에게 미치는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 절단 작업 시의 자세가 개선되도록 유도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고른 절단면을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 파일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파일의 절단 위치에 클램핑되는 제1 클램프; 및 상기 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클램프의 상부에서 상기 파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파일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상기 절단 위치를 절단시키는 절단휠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파일 절단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가이드부재는, 제1 힌지축에 의해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며, 자유단부 영역에 볼트 결합을 위한 제1 볼트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단위 몸체; 상기 한 쌍의 단위 몸체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파일의 외벽에 대하여 상기 한 쌍의 단위 몸체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베어링; 및 상기 한 쌍의 단위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절단휠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휠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휠은, 실질적으로 상기 파일을 절단시키는 원반형 절단날; 상기 원반형 절단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휠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단위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외벽에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상기 절단휠의 케이싱을 지지시키는 지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단위 몸체의 외벽에는 환봉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봉 삽입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클램프의 반대편 위치에서 상기 파일에 클램핑되어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는 제2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일은 콘크리트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자에게 미치는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 절단 작업 시의 자세가 개선되도록 유도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고른 절단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일 절단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건축용 파일 절단기에 의해 파일이 절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파일 절단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건축용 파일 절단기에 의해 파일이 절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축용 파일 절단기는, 제1 클램프(10), 절단휠(30)이 결합되는 회전가이드부재(40), 그리고 제2 클램프(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건축용 파일 절단기는 콘크리트 파일이나 강관 파일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클램프(10)는 파일(1)의 절단 위치(C)에 배치되어 클램핑된다. 대략 링(ring) 형상을 갖는 제1 클램프(10)는 파일(1)을 둘러 끼운 후 파일(1)의 절단 위치(C) 영역에서 파일(1)에 클램핑된다.
제1 클램프(10)의 세부 클램핑 구조는 제2 클램프(20)의 설명 시 함께 하도록 한다.
절단휠(30)은 실질적으로 파일(1)을 절단하는 툴(tool)이다. 이러한 절단휠(30)은, 파일(1)을 절단시키는 원반형 절단날(31)과, 원반형 절단날(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싱(32)과, 케이싱(32)의 일측에 마련되는 손잡이(33)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일(1)은 콘크리트 또는 강관 파일(1)이기 때문에 원반형 절단날(31)은 강도가 강해야 한다. 때문에 원반형 절단날(31)의 단부는 표면처리되거나 다이아몬드 컷팅휠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2인치, 14인치, 16인치의 다이아몬드 컷팅휠이 사용될 수 있다.
원반형 절단날(31)은 케이싱(32)의 아래쪽, 즉 제1 클램프(10)의 바로 아랫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클램프(10)는 그 하단이 파일(1)의 절단 위치(C)에 놓이도록 파일(1)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싱(32)에는 핀홀(3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단휠(30)에는 원반형 절단날(31)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가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모터는 케이싱(32) 내에 은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절단휠(30)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어떠한 것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하다.
회전가이드부재(40)는 파일(1)의 길이 방향, 즉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클램프(10)의 상부에서 파일(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서 절단휠(30)을 지지한다.
이처럼 회전가이드부재(40)에 절단휠(30)이 결합되고, 회전가이드부재(40)가 파일(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되기 때문에, 절단휠(30)의 절단날(31)이 파일(1)을 초기 절단된 상태에서 회전가이드부재(40)를 파일(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파일(1)이 절단될 수 있게 된다.
회전가이드부재(4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회전가이드부재(40)는, 제1 힌지축(41)에 의해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며 자유단부 영역에 볼트 결합을 위한 제1 볼트 결합부(42)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단위 몸체(40a)와, 한 쌍의 단위 몸체(40a)의 내벽에 마련되며, 파일(1)의 외벽에 대하여 한 쌍의 단위 몸체(40a)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베어링(43)과, 한 쌍의 단위 몸체(40a) 중 어느 하나의 외벽에 마련되어 절단휠(3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휠 결합부(44)를 구비한다.
한 쌍의 단위 몸체(40a)가 제1 힌지축(41)에 의해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단위 몸체(40a)를 벌린 후에 파일(1)에 끼우고, 한 쌍의 단위 몸체(40a)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제1 볼트 결합부(42)로 볼트(B1,N1)를 배치하여 체결시킴으로써 회전가이드부재(4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가이드부재(40)는 파일(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회전의 용이성을 위해 베어링(43)이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베어링(43)은 한 쌍의 단위 몸체(40a)의 내벽에 등각도 간격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롤러베어링으로 마련된다. 물론, 롤러베어링 대신에 볼베어링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회전가이드부재(40)의 외벽에는 환봉(50)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환봉 삽입홈(45)이 형성된다.
환봉 삽입홈(45)을 다수 개 형성한 것은 작업자가 파일(1)을 따라 회전하지 않고 일부 절단이 진행되었으면 환봉(50)을 빼내어 다른 환봉 삽입홈(45)에 환봉(50)을 끼워 회전가이드부재(40)를 끌어당기면 다른 부분의 절단이 이어서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회전하지 않고도 절단 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휠 결합부(44)는 절단휠(30)이 결합되는 장소이다. 이러한 휠 결합부(44)는 회전가이드부재(40)의 외벽에 결합되는 브래킷(44a)과, 브래킷(44a)에 절단휠(30)의 케이싱(32)을 지지시키는 지지핀(44b)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절단휠(30)의 케이싱(32)을 브래킷(44a) 사이에 배치시키고, 지지핀(44b)을 이용하여 브래킷(44a)의 핀홀(44c)과 케이싱(32)의 핀홀(32a)로 삽입시킴으로써 절단휠(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핀(44b)은 단순한 핀 구조일 수도 있고, 도면처럼 볼트일 수도 있다. 볼트인 경우, 반대편에는 너트(N)가 채워진다.
제2 클램프(20)는 회전가이드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제1 클램프(10)의 반대편 위치에서 파일(1)에 클램핑된다.
이러한 제2 클램프(20)는 회전가이드부재(40)가 상측으로 자리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제1 클램프(10)와 더불어 제2 클램프(20)는 회전가이드부재(40)와 대략 유사한 형태로 파일(1)에 클램핑된다.
즉 제1 및 제2 클램프(10,20) 모두는 제2 힌지축(11,21)에 의해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는 한 쌍의 단위 클램프(10a,20a)로 마련되며, 한 쌍의 단위 클램프(10a,20a)의 각 자유단부에는 볼트(B2) 및 너트(N2)의 결합을 위한 제2 볼트 결합부(12,22)가 형성된다.
전술한 제1 볼트 결합부(42)가 부분 절취된 절취홈의 형상을 가진 반면, 제2 볼트 결합부(12,22)는 구멍의 형태를 가지나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며, 제2 볼트 결합부(12,22) 역시 절취홈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건축용 파일 절단기를 이용하여 파일(1)을 절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클램프(10)를 파일(1)의 절단 위치(C)에 배치하여 클램핑시킨다. 이때는 제1 클램프(10)의 하단부가 파일(1)의 절단 위치(C)에 대응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 회전가이드부재(40)와 제2 클램프(20)를 제1 클램프(10)의 상측에 차례로 결합시킨다. 그리고는 회전가이드부재(40)의 휠 결합부(44)에 절단휠(30)을 결합시킨다.
준비가 완료되면, 절단휠(30)을 구동시키고, 절단휠(30)의 손잡이(33)를 도 4의 A 방향으로 가압시켜 원반형 절단날(31)의 단부가 파일(1)의 초기 위치의 일부를 절단하도록 한다.
파일(1)의 초기 절단이 완료되면, 회전가이드부재(40)의 외벽에 마련된 환봉 삽입홈(45) 중 어느 하나에 환봉(50)을 끼우고, 환봉(50)을 통해 회전가이드부재(40)를 서서히 회전시킨다(도 4의 화살표 B 참조).
그러면 일부의 절단을 진행하고 있던 절단휠(30)의 원반형 절단날(31)이 회전가이드부재(4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되면서 파일(1)에 대한 절단이 진행된다. 이렇게 작업을 진행하면 제1 클램프(10)의 약간 밑에 배치된 원반형 절단날(31)에 의해 파일(1)의 절단 위치(C)가 절단될 수 있어 용이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의 건축용 파일 절단기에 따르면, 작업자에게 미치는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1) 절단 작업 시의 자세가 개선되도록 유도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의 숙련도에 무관하게 고른 절단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제1 클램프 20 : 제2 클램프
30 : 절단휠 31 : 원반형 절단날
32 : 케이싱 33 : 손잡이
40 : 회전가이드부재 40a : 단위 몸체
41 : 제1 힌지축 42 : 제1 볼트 결합부
43 : 베어링 44 : 휠 결합부
44a : 브래킷 44b : 지지핀
45 : 환봉 삽입홈 50 : 환봉

Claims (6)

  1. 파일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파일의 절단 위치를 클램핑하는 링 형상의 제1 클램프;
    상기 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클램프의 상부에서 상기 파일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파일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상기 절단 위치를 절단시키는 절단휠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가이드부재;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클램프의 반대편 위치에서 상기 파일의 둘레에 클램핑되어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의 자리 이탈을 저지시키는 링 형상의 제2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가이드부재는,
    제1 힌지축에 의해 상호간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하며, 자유단부 영역에 볼트 결합을 위한 제1 볼트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단위 몸체;
    상기 한 쌍의 단위 몸체의 내벽에 마련되며, 상기 파일의 외벽에 대하여 상기 한 쌍의 단위 몸체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베어링; 및
    상기 한 쌍의 단위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절단휠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휠 결합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파일 절단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휠은,
    상기 파일을 절단시키는 원반형 절단날;
    상기 원반형 절단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휠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단위 몸체 중 어느 하나의 외벽에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에 상기 절단휠의 케이싱을 지지시키는 지지핀을 포함하는 건축용 파일 절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위 몸체의 외벽에는 환봉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환봉 삽입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일 절단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콘크리트 파일 또는 강관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파일 절단기.
KR2020100010611U 2010-10-15 2010-10-15 건축용 파일 절단기 KR200455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611U KR200455885Y1 (ko) 2010-10-15 2010-10-15 건축용 파일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611U KR200455885Y1 (ko) 2010-10-15 2010-10-15 건축용 파일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885Y1 true KR200455885Y1 (ko) 2011-10-06

Family

ID=7312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611U KR200455885Y1 (ko) 2010-10-15 2010-10-15 건축용 파일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8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947Y1 (ko) * 2013-11-16 2014-05-30 김정현 파일 절단기
KR102535701B1 (ko) 2022-06-21 2023-05-30 주식회사 홍익하이테크 Phc파일 프리스트레스 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phc파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08B1 (ko) * 2005-12-13 2007-04-25 연재현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08B1 (ko) * 2005-12-13 2007-04-25 연재현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절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947Y1 (ko) * 2013-11-16 2014-05-30 김정현 파일 절단기
KR102535701B1 (ko) 2022-06-21 2023-05-30 주식회사 홍익하이테크 Phc파일 프리스트레스 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phc파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1959A (ko) 파일 절단기
EP2427308B1 (en) A wire saw
KR101516529B1 (ko) 콘크리트 파일두부 컷팅장치
KR100998178B1 (ko)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JP2001295216A (ja) 路面用カッター
KR200455885Y1 (ko) 건축용 파일 절단기
KR100813595B1 (ko) 콘크리트파일용 두부절단장치
JPH02233215A (ja) マンホールカッターとその使用方法
JP2013079515A (ja)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の切断・解体工法及び鋼管切断装置
KR101974783B1 (ko) 맨홀보수장치 및 공법
US7574807B1 (en) Internal pipe cutter
KR200472947Y1 (ko) 파일 절단기
KR20150112636A (ko) 파일 절단장치
US2807921A (en) Pile cut-off machine
KR20080036024A (ko) 콘크리트파일 절단장치
KR101505953B1 (ko) 파일 절단기
JP6868503B2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内壁面の耐震スリット切断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耐震スリット切断システム
KR20050057836A (ko) 면삭기
KR100760869B1 (ko) 콘크리트파일용 두부절단장치
KR101172407B1 (ko) 파이프 절단 장치
KR20150034341A (ko)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절단장치
JP2006200656A (ja) スラブ貫通配管の取り換え工法と装置
DE202006008246U1 (de) Maschine mit in zwei Richtungen drehbaren Sägeblättern zum Schneiden von Nuten
JP3099716B2 (ja) 壁面ハツリ機
KR101367756B1 (ko) 파이프용 면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