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953B1 - 파일 절단기 - Google Patents

파일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953B1
KR101505953B1 KR1020140100488A KR20140100488A KR101505953B1 KR 101505953 B1 KR101505953 B1 KR 101505953B1 KR 1020140100488 A KR1020140100488 A KR 1020140100488A KR 20140100488 A KR20140100488 A KR 20140100488A KR 101505953 B1 KR101505953 B1 KR 101505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guide member
rotation guide
unit
cla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영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일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일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일엔텍
Priority to KR1020140100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05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removing the top of placed piles of sheet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용 파일에 결합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어 회전 이동하는 회전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절단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건축용 파일(1)을 반원형으로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의 외측을 둘러싸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길다란 플레이트 형상의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기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파일 절단기{Pile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파일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가 간소화되어 경량화를 실현함으로써, 건축용 파일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도 용이한 파일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빌딩, 교량 등 각종 건축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기초공사로서 연약지반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콘크리트 또는 강관 파일을 지반에 매설하는 파일 지정이 있다.
이는 지반에 파일들을 매설하고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부 구조물을 파일들 위에 구축하여 그 하중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공을 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파일은 두부 정리 시 돌출 부분이 절단되어야 한다. 통상의 파일 절단 작업은 핸드그라인더 같은 절단기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처럼 수작업으로 파일 절단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절단 작업 시 발생되는 진동이 작업자에게 그대로 전해져 피로를 누적시킬 뿐만 아니라 쭈그리고 앉는 작업 자세의 불안정으로 인해 작업 효율이 떨어지며, 특히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파일의 절단면이 고르지 못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므로 파일 절단을 위한 구조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 제10-2011-0095544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3-0009438호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파일 절단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문헌에 제시된 파일 절단기는 그 구성 부품수가 다수개라 설치 및 취급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드러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 제10-2011-0095544호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3-0009438호
본 발명은 부품수가 간소화되어 경량화를 실현함으로써, 건축용 파일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도 용이한 파일 절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용 파일에 결합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어 회전 이동하는 회전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절단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건축용 파일을 반원형으로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의 외측을 둘러싸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길다란 플레이트 형상의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는 내측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다수의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ㄷ자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롤러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각 단위 클램프에는 톱니형상으로 건축용 파일에 밀착되는 톱니부; 및 상기 톱니부 내에 삽입되는 압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단위 클램프의 일측 단부에는 토글 조인트 후크와 후크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 클램프들은 상호 토글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에는 절단휠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절단휠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및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에는 각각 수평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수가 간소화되어 경량화를 실현함으로써, 건축용 파일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도 용이한 파일 절단기를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파일과 절단휠 유닛을 제거한 상태의 분해 조립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회전 가이드 부재가 클램프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b는 회전 가이드 부재의 배면과 이에 결합되는 절단휠 유닛 및 스틱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클램프와 회전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어 사용될 때의 토글 조인트가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토글 조인트가 체결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기가 파일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파일과 절단휠 유닛을 제거한 상태의 분해 조립도,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회전 가이드 부재가 클램프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b는 회전 가이드 부재의 배면과 이에 결합되는 절단휠 유닛 및 스틱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클램프와 회전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어 사용될 때의 토글 조인트가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토글 조인트가 체결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절단기가 파일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파일 절단기는 건축용 파일에 결합되는 클램프(10), 클램프(10)에 결합되어 회전 이동하는 회전 가이드 부재(20), 및 회전 가이드 부재(20)에 결합되는 절단휠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10)는 건축용 파일(1)의 절단 포인트(C) 상방으로 설치되어 건축용 파일(1)을 클램핑할 수 있다. 대략 링(ring) 형상을 갖는 클램프(10)는, 건축용 파일(1)을 반원형으로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11, 12)와,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11, 12)의 외측을 둘러싸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11, 12)를 연결하면서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11, 12)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길다란 플레이트 형상의 레일(13) 및 각 단위 클램프에 형성되는 톱니부(10a)에 삽입되는 압박부재(14)를 포함할 수 있다.
반원형의 단위 클램프들의 일측 단부에는 토글 조인트 후크(10b)와 후크 걸림부(10c)가 형성되어 토글식으로 간단히 단위 클램프들을 결합시킬 수 있어, 건축용 파일(1)에 클램프(10)를 설치하기가 용이해진다.
각 단위 클램프에는 톱니부(10a)가 형성되어 건축용 파일(1)의 외면에 걸림 결합되기가 용이하며, 톱니부(10a)에는 압박부재(14)가 더 구비됨으로써, 건축용 파일(1)의 외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도 압박부재(14)가 표면의 불균일성을 일부 흡수함으로써, 클램핑되기에 유리할 수 있다. 압박부재(14)는 고무 등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볼트를 이용하여 각 단위 클램프의 톱니부(10a)에 결합될 수 있다
각 단위 클램프의 외측을 둘러싸 각 단위 클램프를 연결하는 레일(13)은 길다란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볼트를 이용하여 각 단위 클램프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 클램프의 토글 조인트 후크(10b) 및 후크 걸림부(10c)가 형성되지 않은 타단부는 레일(13)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토글 조인트가 개방된 상태일 때, 각 단위 클램프들이 상호 이격되어 최대한 벌어질 수 있도록, 레일(13)이 일종의 판 스프링처럼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용 파일(1)에 클램프(10)를 장착할 때, 토글 조인트 후크(10b)와 후크 걸림부(10c) 사이가 넓게 벌어져 클램프(10) 장착이 상당히 용이해진다. 뿐만 아니라 레일(13)은 후술할 회전 가이드 부재(20)와 결합되어 회전 가이드 부재(20)가 클램프(10) 위에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각 단위 클램프(11, 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평계(L)가 구비될 수 있다. 수평계가 구비됨으로써, 육안으로 장치의 수평 위치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유리하다.
회전 가이드 부재(20)는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는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롤러(21)를 구비함으로써, 클램프(10)에 구비되는 레일(13)을 타고 롤러(21)가 이동하게 되어 클램프(10) 위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된다. 롤러(21)는 샤프트(21a)에 의하여 회전 가이드 부재(20)의 상부 및 하부에 ㄷ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롤러수용공간(21b)에 결합된다.
또한 회전 가이드 부재(20)의 상하부 롤러 수용 위치에 대응하는 회전 가이드 부재(20)의 외면에는 다수의 주유구(21c)가 형성되어 롤러(21)의 원활한 동작을 도모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 부재(20) 상부 일측에는 제2 수평계(L2)가 더 구비되어, 상술한 클램프(10)에 구비되는 제1 수평계(L1)와 합력하여 수평위치 설정에 이용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 부재(20)의 외측에는 절단휠 유닛 장착용 플레이트(22)가 구비되어 절단휠 유닛(30)이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스틱결합구(23)가 형성되어 스틱(S)이 결합될 수 있어, 회전 가이드 부재(20)를 수월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자의 선등록발명 및 고안에서는 파일 절단기를 건축용 파일에 설치함에 있어서, 다수의 클램프와 회전 가이드 부재를 순차적으로 장착해야 함으로써, 파일 절단기 장착 작업에 시간이나 노력이 많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회전 가이드 부재(20)가 롤러(21)에 의해 클램프(10)의 레일(13)에 결합되어 클램프(10)와 일체로 사용됨으로써, 클램프(10)와 절단휠 유닛(30)의 장착 작업만으로 설치가 완료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파일 절단기의 설치가 간단하고 용이해지게 된다.
회전 가이드 부재(20)는 각 단위 클램프의 단부에 형성되는 토글 조인트 후크(10b)와 후크 걸림부(10c)로 인하여 개방되는 레일(13) 단부에 삽입함으로써, 클램프(10)에 간단히 결합될 수 있다.
절단휠 유닛(30)은 실질적으로 파일(1)을 절단하는 툴(tool)이다. 이러한 절단 휠 유닛(30)은, 파일(1)에 접촉 가압되면서 파일(1)을 절단시키는 원반형 절단 날(31)과, 원반형 절단 날(31)과 결합되어 원반형 절단 날(31)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2), 원반형 절단 날(31) 및 구동모터(32)를 지지하는 프레임(33)과, 프레임(33)에 결합되는 회동암(34), 그리고 상기한 회전 가이드 부재(20)에 형성되는 절단휠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2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3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가이드 부재(20)에 절단휠 유닛(3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어, 파일 절단기의 건축용 파일(1)에의 장착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파일 절단기를 이용하여 파일(1)을 절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회전 가이드 부재(20)가 장착된 클램프(10)를 단위 클램프들을 최대한 이격시킨 상태로 벌린 다음 파일(1)의 절단 위치(C) 상방에 배치한 후 제1 및 제2 수평계를 보면서 수평을 맞춘 후, 토글 조인트 후크(10b)와 후크 걸림부(10c)를 결합시켜 클램프(10)를 건축용 파일(1)에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에, 절단휠 유닛(30)을 회전 가이드 부재(20)의 외면에 형성된 절단휠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22)에 브래킷(35)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면, 파일 절단기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후 스틱(S)을 이용하여 회전 가이드 부재(20)를 회전시키면서, 절단휠 유닛(30)을 가동시키면, 건축용 파일(1)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의 파일 절단기에 따르면, 부품수가 간소화되어 경량화를 실현함으로써, 건축용 파일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도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클램프 11,12 :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
13 : 레일 14 : 압박부재
20 : 회전 가이드 부재 21 : 롤러
22 : 절단휠 유닛 장착용 플레이트 23 : 스틱 결합구
30 : 절단 휠 유닛 31 : 원반형 절단 날
35 : 브래킷

Claims (6)

  1. 건축용 파일에 결합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일부에 걸림 결합되어 회전 이동하는 회전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절단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건축용 파일을 반원형으로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 및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의 외측을 둘러싸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의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길다란 플레이트 형상의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ㄷ자로 절곡된 롤러수용공간에 다수의 롤러를 수용하여 플레이트 형상의 상기 레일의 상부 및 하부에 끼워져 걸림 결합된 상태로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클램프와 일체로 사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의 일측 단부는 각각 토글 조인트 후크와 후크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호 토글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의 타측 단부는 상기 레일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레일에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이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클램프의 타측 단부 영역에서 판 스프링으로 기능함으로써,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가 상기 클램프에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토글 조인트 후크와 상기 후크 걸림부 사이가 넓게 이격될 수 있어 상기 클램프가 상기 건축용 파일에 용이하게 장착되며,
    상기 클램프 및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에는 각각 수평계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는 수평계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다수의 지점에서 수평위치 설정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에는 절단휠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절단휠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절단기.


  6. 삭제
KR1020140100488A 2014-08-05 2014-08-05 파일 절단기 KR101505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488A KR101505953B1 (ko) 2014-08-05 2014-08-05 파일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488A KR101505953B1 (ko) 2014-08-05 2014-08-05 파일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953B1 true KR101505953B1 (ko) 2015-03-26

Family

ID=5302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488A KR101505953B1 (ko) 2014-08-05 2014-08-05 파일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9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216U (ko) * 2017-01-11 2018-07-19 김민규 건축용 파일의 인양와이어 해체 장치
KR20180124246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신성티엔 파일 절단기
KR20190131944A (ko) * 2018-05-18 2019-11-27 최건옥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장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462B1 (ko) * 2013-01-04 2013-07-12 서승종 분할 해체 및 조립이 용이한 파일 자동 용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접합 방법
KR200472947Y1 (ko) * 2013-11-16 2014-05-30 김정현 파일 절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462B1 (ko) * 2013-01-04 2013-07-12 서승종 분할 해체 및 조립이 용이한 파일 자동 용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접합 방법
KR200472947Y1 (ko) * 2013-11-16 2014-05-30 김정현 파일 절단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216U (ko) * 2017-01-11 2018-07-19 김민규 건축용 파일의 인양와이어 해체 장치
KR200489730Y1 (ko) * 2017-01-11 2019-07-29 김민규 건축용 파일의 인양와이어 해체 장치
KR20180124246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신성티엔 파일 절단기
KR101972736B1 (ko) 2017-05-11 2019-05-07 주식회사 신성티엔 파일 절단기
KR20190131944A (ko) * 2018-05-18 2019-11-27 최건옥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장비
KR102108032B1 (ko) * 2018-05-18 2020-05-07 최건옥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0744B1 (ja) 電柱切断工具及び電柱切断工法
US10414068B2 (en) Tile or masonry saw assembly with double movement
KR101505953B1 (ko) 파일 절단기
US9457490B2 (en) Wire saw
KR101550372B1 (ko) 러그 용접장치
KR20130031959A (ko) 파일 절단기
KR100711708B1 (ko)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 절단 장치
KR200472947Y1 (ko) 파일 절단기
JP6270881B2 (ja) コンクリート壁面切断装置
US2807921A (en) Pile cut-off machine
CA2942415C (en) Retaining pin installation/removal tool and method
JP2021042529A (ja) 切断装置
KR20160100638A (ko) 파일 절단기
JP7004311B2 (ja) 溶接ビード切削装置
JP6045038B2 (ja) ステップ取付孔の削孔装置
JP4611043B2 (ja) 切断機
KR102108032B1 (ko)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장비
KR200455885Y1 (ko) 건축용 파일 절단기
KR101972736B1 (ko) 파일 절단기
JP6694774B2 (ja) 足場用幅木装置
CN214538964U (zh) 一种建筑施工用夹具
JP2013023940A (ja) 解体用カッター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解体装置
JPH08168992A (ja) グラスウールダクト切断機
JP3002055U (ja) コンクリート壁面の目荒し装置
JPH09287381A (ja) 法面穿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