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292A - 토목용 앵커핀 - Google Patents

토목용 앵커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292A
KR20090114292A KR1020080043825A KR20080043825A KR20090114292A KR 20090114292 A KR20090114292 A KR 20090114292A KR 1020080043825 A KR1020080043825 A KR 1020080043825A KR 20080043825 A KR20080043825 A KR 20080043825A KR 20090114292 A KR20090114292 A KR 20090114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pin
main body
civil engineering
pin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8509B1 (ko
Inventor
김달환
배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배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55554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11429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배정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Publication of KR2009011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8Shapes trian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나 철망을 사면 상의 소정위치에 고정 지지하는 것을 확실하고, 간단하게 하며, 운반이 용이한 토목용 앵커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앵커핀은 앞부분이 상광하협의 뾰족한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단턱이 형성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단턱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부분 들어간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부 표면이 만곡진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앵커핀, 생분해성 소재

Description

토목용 앵커핀{Anchor pin for engineering works}
본 발명은 토목용 앵커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면 상에 포설되는 매트나 철망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토목용 앵커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핀(A)은 사면 또는 하천변의 지반을 보호 또는 매트나 철망 등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강봉으로 이루어지되, 그 앞부분이 뾰족한 선단부(1)와; 상기 선단부(1)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환상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2)와; 상기 본체부(2)의 단부로부터 일정방향으로 직각으로 꺾임과 동시에 외측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굴곡부(3)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앵커핀(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반이나 지반변동이 없는 경우에 사용할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그 사용지반이 연약지반이나 동결융해가 심한 지반인 경우에는 매트나 철망을 포설하고, 이를 앵커핀(A)을 고정하여 설치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앵커핀(A)이 지중으로부터 지상으로 떠올라 매트나 철망으로부터 앵커핀(A)이 분리되어, 제 기능을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앵커핀(A)은 통상 금속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공 후 지중에 그대로 방치되므로 금속의 부식으로 인하여 토양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매트나 철망을 사면상의 소정위치에 고정 지지하는 것을 확실하고, 간단하게 하며, 운반이 용이한 토목용 앵커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앵커핀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앵커핀은 전체적으로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지되, 앞부분이 상광하협의 뾰족한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단턱이 형성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단턱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부분 들어간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부 표면이 만곡진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앵커핀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생분해성 소재로 제작 및 시공됨으로써, 시공 후 일정시간 이 지나면 완전히 분해되어 토양의 거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에 토사와의 부착력을 증진시킴으로써, 내외부적인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기존의 금속재 앵커핀에 비하여 무게가 가벼워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앵커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앵커핀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앵커핀은 전체적으로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지되, 앞부분이 상광하협의 뾰족한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단턱(12)이 형성된 선단부(10)와; 상기 선단부(10의 단턱(12)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부분 들어간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부 표면이 만곡진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두부(3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앵커핀(P)은 선단부(10)와 본체부(20) 및 두부(30)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선단부(10)는 지중에 삽입되기 쉽도록 단면형상이 상광하협을 이루면서 뾰족하게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선단부(10)에는 그 상부에 단턱(12)이 형성됨으로써 이 단턱(12)과 토사와의 부착력이 증진되어 지반의 동결융해로 인하여 토목용 앵커핀(P)이 상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면에는 요홈(22)이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22)에는 다단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돌기(24)가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요홈(22)과 돌기(24)는 지중의 토사와의 사이에서 점착력 외에 기계적인 정착력까지 발휘하여 토사와의 부착력을 증진시키는 기능이 있다.
또한, 상기 두부(30)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상부면이 다소 완만하게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압지핀(32)이 형성되며, 상기 두부(30)와 본체부(20)가 맞닿는 부분에 헌치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지핀(32)과 본체부(20)와의 사이에 보강부(3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압지핀(32)은 매트나 철망과의 결합 및 지반과의 부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헌치부(34)와 보강부(36)를 형성한 이유는 앵커핀(P)의 일정한 강도가 유지됨으로써, 두부(30)가 항타시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생분해성 소재는 PLA(Poly Lactic Acid) 수지 또는 옥수수 전분 등을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앵커핀(P)은 선단부(10)에는 단턱(12)을 본체부(20)에는 요홈(22)과 돌기(24)를 두부(30)에는 압 지핀(32)이 형성됨으로써, 각 구성요소별로 지반과의 부착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토목용 앵커핀(P)은 완전 생분해성 소재로 제작되어 사용됨으로써, 시공 후 지중에 존치하더라도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썩어서 거름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앵커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앵커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앵커핀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선단부 12: 단턱
20: 본체부 22: 요홈
24: 돌기 30: 두부
32: 압지핀 34: 헌치부
36: 보강부 P: 토목용 앵커핀

Claims (5)

  1. 전체적으로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지되, 앞부분이 상광하협의 뾰족한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단턱(12)이 형성된 선단부(10)와; 상기 선단부(10의 단턱(12)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부분 들어간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부 표면이 만곡진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두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토목용 앵커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면 가운데에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일정한 깊이를 갖는 요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2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두께로 외측으로 다단으로 돌출되는 돌기(2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용 앵커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30)에는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압지핀(32)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용 앵커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30)와 본체부(20)가 맞닿는 부분에 헌치부(3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용 앵커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핀(32)과 본체부(20)와의 사이에 보강부(3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용 앵커핀.
KR1020080043825A 2008-04-29 2008-05-13 토목용 앵커핀 KR100998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9743 2008-04-29
KR1020080039743 2008-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292A true KR20090114292A (ko) 2009-11-03
KR100998509B1 KR100998509B1 (ko) 2010-12-07

Family

ID=4155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825A KR100998509B1 (ko) 2008-04-29 2008-05-13 토목용 앵커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5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655B1 (ko) * 2010-09-01 2013-03-25 정명용 식생매트용 생분해성 고정핀
KR20160028656A (ko) * 2014-09-04 2016-03-14 주식회사 웰코 생분해성 멀칭필름 고정핀 및 그 제조방법
KR102479855B1 (ko) * 2022-07-21 2022-12-21 임규옥 지압판기능을 갖는 비탈면 보호망 고정용 앙카핀
US20230035252A1 (en) * 2021-08-02 2023-02-02 Silt-Saver, Inc. Prefabricated vertical geotexile ditch check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751B1 (ko) 2011-03-16 2011-08-24 하용수 친환경 앵커
KR102159178B1 (ko) * 2018-05-21 2020-09-23 문광호 유이엠에이 측구 시공방법
KR101995201B1 (ko) * 2018-10-11 2019-07-02 문광호 유이엠에이 친환경 사면침식방지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353Y1 (ko) * 2005-06-20 2005-09-21 손창섭 매트 결합구
KR100824938B1 (ko) * 2007-09-10 2008-04-28 대한이.이엔.씨(주)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655B1 (ko) * 2010-09-01 2013-03-25 정명용 식생매트용 생분해성 고정핀
KR20160028656A (ko) * 2014-09-04 2016-03-14 주식회사 웰코 생분해성 멀칭필름 고정핀 및 그 제조방법
US20230035252A1 (en) * 2021-08-02 2023-02-02 Silt-Saver, Inc. Prefabricated vertical geotexile ditch check system
KR102479855B1 (ko) * 2022-07-21 2022-12-21 임규옥 지압판기능을 갖는 비탈면 보호망 고정용 앙카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509B1 (ko)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509B1 (ko) 토목용 앵커핀
US9080587B1 (en) Spike for securing a flexible member to earth strata
KR101771926B1 (ko) 데크 로드 시스템
JP6681681B2 (ja) 受圧板
KR101515347B1 (ko) 선단 보강 말뚝
JP2019007154A (ja) 既設法枠を有する斜面の保護方法及び斜面の保護システム
KR100654964B1 (ko) 헤드 확장형 파일의 보강부재
CN213358603U (zh) 一种设置在高压旋喷桩内的抗浮锚杆
CN201635080U (zh) 一种锚杆
KR101047395B1 (ko) 강관 파일의 선단부 보강 부재
CN106968258B (zh) 基坑侧壁有隧道的基坑支护结构
KR101624897B1 (ko) 기초파일
JPH0213629A (ja) アンカーの埋込構造
JP5003448B2 (ja) 既設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せん断補強構造
JP3977647B2 (ja) 土留め壁構造
JPS60132113A (ja) 取り付け固定用ほぞ釘
CN211714010U (zh) 一种挡土墙的加固组件
JP2020165098A (ja) 駅ホームの補強構造
JP3702335B2 (ja) 自然斜面安定化工法および支圧板
US7351007B2 (en) Waterfall spillway
JP6296963B2 (ja) 地山補強方法及び構造
JP6631189B2 (ja) 地盤安定構造
KR20180037402A (ko) 선단지지력 향상을 위한 콘크리트 파일용 체결구
JP2014058781A (ja) アンカーピン
CN110093900B (zh) 一种嵌入式混凝土防滑凸榫浆砌石挡土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000325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226

Effective date: 2013052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226

Effective date: 2013052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