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347B1 - 선단 보강 말뚝 - Google Patents

선단 보강 말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347B1
KR101515347B1 KR1020120105922A KR20120105922A KR101515347B1 KR 101515347 B1 KR101515347 B1 KR 101515347B1 KR 1020120105922 A KR1020120105922 A KR 1020120105922A KR 20120105922 A KR20120105922 A KR 20120105922A KR 101515347 B1 KR101515347 B1 KR 101515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reinforcing member
end reinforcing
tip
pi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589A (ko
Inventor
최성희
Original Assignee
최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희 filed Critical 최성희
Priority to KR102012010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3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2Pile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2Placing by screw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단 보강 말둑에 관한 것으로, 말뚝본체의 선단에 말뚝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단면의 형태가 상광하협 형태의 선단보강판을 부착하여 말뚝의 타설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말뚝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 선단보강판에 의해 말뚝이 회전되면서 타설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말뚝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선단 보강 말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말뚝본체; 상기 말뚝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말뚝본체의 선단에 설치되되, 지중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면의 형태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말뚝본체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켜주는 선단보강부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선단 보강 말뚝{Pile with reinforced tip}
본 발명은 선단 보강 말뚝에 관한 것으로, 말뚝의 선단지지력을 보강해주면서 말뚝 타설시 토사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공이 용이한 선단 보강 말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뚝부재는 지반에 설치되어 말뚝의 선단지지력과 지반토사와의 주변마찰력으로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깊은 기초부재로서, 상부 지층이 연약층이거나 압축성이 커서 지지층으로 부적합한 경우에 하부지지층까지 매입하는 기초이다. 말뚝기초를 지반에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파일을 수직으로 세운 후에 위에서 말뚝의 상단을 타격하여 지반에 설치하는 타입공법과 지반을 미리 천공하여 굴착공을 형성한 후에 파일을 굴착공에 삽입하는 매입공법이 있으며,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설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말뚝부재는 통상 말뚝의 자체내력 중 50% ~ 60% 정도만 설계지지력으로 사용됨으로써 말뚝의 사용 효율이 떨어진다.
즉 구조물의 하중은 구조물의 하부에 근입된 다수의 말뚝의 시공 내력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근입된 말뚝의 시공 내력은 파일 선단의 선단지지력과 파일 측면의 주변마찰력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대부분 파일 자체의 내력은 높지만 시공성 등으로 파일의 시공 내력이 낮아진다.
예를 들어, Φ400의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PHC, 이하 PHC라 함)의 경우, 파일 자체 내력은 112 tf 이지만 시공 내력은 60∼80 tf 정도이어서, 결과적으로 파일 내력 중 32∼52 tf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매입 공법의 경우, 지반을 파일의 직경보다 크게 천공한 후, 제작된 파일을 천공에 근입설치하고, 파일과 지반 사이에 충전재(cement paste)를 주입하여 주변 마찰력을 높여 주기는 하지만, 시공 후의 테스트는 주변마찰력이 아주 미미하고 대부분의 시공 내력이 선단지지력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매입 공법에서, 시공 내력이 파일 자체 내력에 가깝게 하여, 파일의 사용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 10-0995849호 공개특허 10-2010-006914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말뚝본체의 선단에 말뚝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단면의 형태가 상광하협 형태의 선단보강판을 부착하여 말뚝의 타설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말뚝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 선단보강판에 의해 말뚝이 회전되면서 타설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말뚝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선단 보강 말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말뚝본체; 상기 말뚝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말뚝본체의 선단에 설치되되, 지중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면의 형태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말뚝본체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켜주는 선단보강부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단보강부재의 외주면에는 선단보강부재의 높이방향으로 다수의 배출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홈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말뚝 시공시 말뚝이 회전되면서 타설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단보강부재에는 선단보강부재의 높이방향으로 관통되고 선단보강부재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관통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말뚝 시공시 말뚝이 회전되면서 타설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단보강부재의 외주면에는 경사진 형태의 날개가 다수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단보강부재는 2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면이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는 선단보강부재에 의해 지중 설치시 마찰력을 줄여 작은 힘으로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단보강부재에 배출홈, 관통홀, 형성하여 토사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말뚝본체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빠른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선단보강부재에 형성되는 배출홈과 관통홀을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경사진 형태의 날개를 형성함으로써 말뚝본체의 지중 설치시 말뚝본체가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작은 에너지로도 항타 및 매입 효과를 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즉 이는 선단지지력 확장에 결정적 요소인 선단의 넓이를 상대적으로 더 넓힐 수 있어, 서두에서 언급한 말뚝의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이 발명이다.
동시에 수개 조각으로 분할하여 선단보강 부재를 부착 시,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동시에 안전사고 예방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을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제3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제3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을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선단보강말뚝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선단보강말뚝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선단보강말뚝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선단보강말뚝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 은 말뚝연결구가 설치되어 있는 이음용 PHC말뚝에 선단보강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선단보강부재를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말뚝본체(100)와, 상기 말뚝본체(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링형태로 형성되어 말뚝본체(100)의 선단에 설치되되, 지중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면의 형태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말뚝본체(100)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켜주는 선단보강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말뚝본체(100)는, 통상의 PHC말뚝로서, 콘크리트몸체(110)와, 상기 콘크리트몸체(100)의 양단에 다수개가 설치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강선 고정용 너트(120)와, 양단이 상기 강선 고정용 너트(120)에 고정되는 다수의 강선(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단보강부재(200)는 볼트(300)를 통해 상기 강선 고정용 너트(120)에 체결되어 말뚝본체(100)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볼트(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홀(20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은, 선단보강부재(200)가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되는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지중 매입시 마찰력을 줄여주어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말뚝본체(100)와, 상기 말뚝본체(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링형태로 형성되어 말뚝본체(100)의 선단에 설치되되, 지중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면의 형태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배출홈(210)이 형성되어 있는 선단보강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홈(210)은 선단보강부재(20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말뚝본체(100)의 지중에 매입할 경우 지중의 토사가 배출홈(210)을 통해 선단보강부재(200)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말뚝본체(100)가 지중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선단보강부재(200)를 통해 말뚝 선단부의 선단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출홈(210)을 통해 토사가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보다 작은 힘으로도 말뚝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말뚝 설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선단보강부재(200)에는 말뚝본체(100)에 볼트(300)를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홀(20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선단보강부재(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배출홈(210)을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배출홈(210)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말뚝본체(100)의 지중 설치시 선단보강부재(200)의 배출홈(210)을 통해 토사가 배출되면서 말뚝본체(100)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말뚝본체(100)의 타설 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선단보강부재(200)에는 강선 고정용 너트(120)에 볼트(300)를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홀(201)이 형성된다.
한편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에 의한 선단 보강 말뚝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에 의한 단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제3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말뚝본체(100)와, 상기 말뚝본체(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링형태로 형성되어 말뚝본체(100)의 선단에 설치되되, 지중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면의 형태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높이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220)이 형성되어 있는 선단보강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홀(220)은 링형태의 선단보강부재(20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말뚝본체(100)의 타설시, 선단보강부재(200)의 선단의 토사가 관통홀(220)을 통해 선단보강부재(200)의 하부에서 상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말뚝본체(100)가 지중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도 9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선단보강말뚝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선단보강말뚝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선단보강부재(200)에 형성되는 관통홀(220)을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관통홀(220)을 경사지게 형성할 경우 말뚝본체(100)의 타설시 관통홀(220)을 통해 선단보강부재(200)의 하부에서 상부로 배출되는 토사가 경사지게 배출되면서 말뚝본체(100)가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보다 작은 힘으로도 말뚝본체(100)의 설치가 가능하여 말뚝본체(100)의 시공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11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선단보강말뚝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선단보강말뚝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말뚝본체(100)와, 상기 말뚝본체(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링형태로 형성되어 말뚝본체(100)의 선단에 설치되되, 지중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면의 형태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경사진 형태의 다수의 날개(230)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보강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날개(230)는 선단보강부재(200)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서 말뚝본체(100)의 시공시 날개(230) 사이로 토사가 유출되면서 말뚝본체(100)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보다 작은 힘으로도 말뚝본체(100)의 설치가 가능하여 말뚝본체(100)의 시공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단보강부재(200)에는 강선 고정용 너트(120)에 볼트(300)를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홀(20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각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말뚝본체(100)의 선단에 선단보강부재(200)를 설치함으로써 향상된 선단지지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선단보강부재(200) 하부의 토사가 선단보강부재(200) 상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고, 말뚝본체(100)가 회전하면서 설치되어 말뚝본체(100)를 보다 작은 힘으로도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다.
한편 상기 말뚝본체(100)는 도 13 에서와 같이 이음이 가능하도록 선단과 두부에 말뚝연결구(140)가 설치되어 있는 이음용 PHC말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말뚝연결구(140)에 형성되는 강선 고정용 너트(120)에 볼트(300) 체결되도록 선단보강부재(200)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도 14 에서와 같이 선단보강부재(200)는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리함으로써 각 조각의 무게가 저감되어 설치 및 핸들링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현장에서 조립하는 과정이 매우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선단보강부재는 도14 에서는 4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2개, 3개 등의 다양한 개수의 조각으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단 보강 말뚝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말뚝본체(100)의 선단에 선단보강부재(200)를 볼트로 결합한다.
이때 선단보강부재(200)에 형성되는 볼트홀(201)을 통해 볼트(300)를 삽입하여 말뚝본체(100)에 형성된 강선 고정용 너트(120)에 체결함으로써 선단보강부재(2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렇게 선단보강부재(200)를 볼트(300)를 통해 간편하게 조립함으로써 별도의 용접 없이 선단보강부재(200)를 설치할 수 있어 용접에 의한 선단보강부재(20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고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이후 선단보강부재(200)가 설치된 말뚝본체(100)의 두부를 해머를 통해 지중으로 타입하거나, 또는 오우거를 통해 케이싱을 설치하면서 케이싱 내부를 굴착한 후 케이싱 내부로 말뚝본체(100)를 매입하면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지중으로 설치되는 말뚝본체(100)는 링형태로 형성되고 단면이 상광하협 형태의 선단보강부재(200)에 의해 지중에 작은 힘으로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3,4실시예 에서와 같이 선단보강부재(200)에 배출홈(210), 관통홀(220)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선단보강부재(200) 하부의 토사가 배출홈(210)과 관통홀(220)을 통해 선단보강부재(200)의 상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마찰력이 저감되어 말뚝본체(100)의 시공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배출홈(210)과 관통홀(220)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형태의 날개(230)가 설치될 경우에는, 말뚝본체(100)가 회전되면서 지중에 설치되어 적은 에너지로도 항타 및 매입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말뚝본체
(110) : 콘크리트몸체
(120) : 고정용 너트
(130) : 강선
(200) : 선단보강부재
(210) : 배출홈
(220) : 관통홀
(230) : 날개
(300) : 볼트

Claims (7)

  1. 지중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말뚝본체;
    상기 말뚝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말뚝본체의 선단에 설치되되, 지중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단면의 형태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말뚝본체의 선단지지력을 향상시켜주는 선단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선단보강부재의 외주면에는 선단보강부재의 높이방향으로 다수의 배출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배출홈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말뚝 시공시 말뚝이 회전되면서 타설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선단보강부재의 외주면에 경사진 형태의 날개가 다수개 더 형성되고,
    상기 선단보강부재는 2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보강 말뚝.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보강부재에는 선단보강부재의 높이방향으로 관통되고 선단보강부재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관통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보강 말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말뚝 시공시 말뚝이 회전되면서 타설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보강 말뚝.
  6. 삭제
  7. 삭제
KR1020120105922A 2012-09-24 2012-09-24 선단 보강 말뚝 KR101515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922A KR101515347B1 (ko) 2012-09-24 2012-09-24 선단 보강 말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922A KR101515347B1 (ko) 2012-09-24 2012-09-24 선단 보강 말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589A KR20140039589A (ko) 2014-04-02
KR101515347B1 true KR101515347B1 (ko) 2015-05-04

Family

ID=5065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922A KR101515347B1 (ko) 2012-09-24 2012-09-24 선단 보강 말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3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298B1 (ko) * 2015-09-11 2016-04-05 (주)삼일이엔씨 관입 콘크리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25192B1 (ko) * 2015-09-30 2016-05-27 (주)삼일이엔씨 하부 개방형 관입 콘크리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693B1 (ko) * 2016-11-30 2017-11-03 (주)삼일이엔씨 하부 개방형 관입 콘크리트 말뚝용 선단슈 및 선단슈가 구비된 하부 개방형 관입 콘크리트 말뚝
KR102015282B1 (ko) * 2017-02-07 2019-08-28 유진지오 주식회사 선단지지력이 향상된 매입말뚝
EP3647497A3 (en) * 2018-11-01 2020-06-10 Verhoef Funderingstechnieken BV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a foundation pile in the ground
CN112324322A (zh) * 2020-09-17 2021-02-05 广州市市政工程试验检测有限公司 一种岩土钻进装置、随钻跟管桩、岩土钻进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966Y2 (ja) * 1990-03-19 1994-12-07 株式会社ホクコン プレボーリング併用回転埋設工法用の杭
JP2002235324A (ja) * 2001-02-07 2002-08-23 Norio Moriya 基礎杭
KR20080093387A (ko) * 2007-04-16 2008-10-21 이수호 선단확장철판을 용접으로 설치한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KR101049577B1 (ko) * 2010-04-12 2011-07-19 주식회사 에스디콘 매입말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966Y2 (ja) * 1990-03-19 1994-12-07 株式会社ホクコン プレボーリング併用回転埋設工法用の杭
JP2002235324A (ja) * 2001-02-07 2002-08-23 Norio Moriya 基礎杭
KR20080093387A (ko) * 2007-04-16 2008-10-21 이수호 선단확장철판을 용접으로 설치한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KR101049577B1 (ko) * 2010-04-12 2011-07-19 주식회사 에스디콘 매입말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298B1 (ko) * 2015-09-11 2016-04-05 (주)삼일이엔씨 관입 콘크리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7043709A1 (ko) * 2015-09-11 2017-03-16 (주)삼일이엔씨 관입 콘크리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25192B1 (ko) * 2015-09-30 2016-05-27 (주)삼일이엔씨 하부 개방형 관입 콘크리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7057804A1 (ko) * 2015-09-30 2017-04-06 (주)삼일이엔씨 하부 개방형 관입 콘크리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589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347B1 (ko) 선단 보강 말뚝
KR101646493B1 (ko)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자켓형 하부구조물의 설치 방법
KR101697630B1 (ko) 합성 및 강재 단면을 갖는 하이브리드 풍력터빈 타워
JP2018021322A (ja) 杭基礎および鉄塔建替工法
EP3103924A1 (en) Monopile foundation for an offshore tower structure
KR20080083575A (ko) 탑형상 구조물의 기초 구조
JP5919675B2 (ja) 複合基礎杭及び複合基礎杭の構築方法
KR101786471B1 (ko) 파일장착용 선단슈
JP2019100070A (ja) 洋上風力発電施設の基礎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448145B1 (ko) 기둥 일체형 기초
KR101341176B1 (ko) 해상 지지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23377B1 (ko) 파일용 두부 보강체
KR101575789B1 (ko)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JP6542036B2 (ja) 杭基礎構造
KR20150107226A (ko) Phc 파일의 선단 확장 기구
KR101869705B1 (ko) 지지력이 개선된 2단 선단확장형 헬리칼 파일
KR20170139186A (ko) 강관기둥과 기초구조체의 연결구조
JP2008196280A (ja) 塔状構造物基礎の補強構造および塔状構造物基礎の補強方法
KR101561592B1 (ko)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및 두부 보강 방법
KR100779582B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및 두부보강방법
KR101291705B1 (ko) 파일의 선단지지력 보강장치
KR101585539B1 (ko) 선단지지력이 보강된 지반보강용 파일
CN206457827U (zh) 一种可拆卸回收的型钢连梁结构
KR100593182B1 (ko) 건축용 기초말뚝의 보강구조
JP5426795B1 (ja) ケーソンおよ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