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387A - 선단확장철판을 용접으로 설치한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 Google Patents

선단확장철판을 용접으로 설치한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387A
KR20080093387A KR1020080034995A KR20080034995A KR20080093387A KR 20080093387 A KR20080093387 A KR 20080093387A KR 1020080034995 A KR1020080034995 A KR 1020080034995A KR 20080034995 A KR20080034995 A KR 20080034995A KR 20080093387 A KR20080093387 A KR 20080093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elding
pile
steel plat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호
Original Assignee
이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호 filed Critical 이수호
Publication of KR20080093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23K5/02Seam 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선굴착타입 콘크리트파일에서 선단부보강판에 선단확장철판을 부착한 선단확장파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일에서는 선단부보강판에 선단확장철판을 파일의 몸체측에서 용접하였다. 따라서 용접열에 의해 파일의 피씨강봉 및 강선, 보강밴드가 변형되어 파일의 내구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선단확장철판을 선단부보강판에 용접하기 위해서 파일을 회전시키고 용접하여 작업성이 아주 불량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선단부보강판에 선단확장철판을 파일선단측에서 용접하여 용접열이 파일에 직접 닿지 않게 하고, 용접 시 파일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 용접과 검사의 작업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효과가 있다.
파일, 콘크리트파일, 말뚝, 콘크리트말뚝, 선단확장파일, 선단확장말뚝.

Description

선단확장철판을 용접으로 설치한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Concrete Pile Which Be Established Extended Steel Plate At Bearing Part By Welding}
본 발명은 선굴착타입 콘크리트파일(이하 '콘크리트파일' 은 '파일' 이라한다)에서 선단지지면적을 확장시킬 목적으로 선단부보강판에 보강판외경보다 외경이 큰 선단확장철판(이하 '선단확장철판' 은 '확장철판' 이라한다)을 용접 부착한 선단확장파일에 관한 것이다.
1. 파일의 허용지지력은 파일의 주변마찰력과 선단지지력의 합계로 결정된다. 파일의 주변마찰력은 파일의 길이, 외경 등으로 결정되고, 선단지지력은 파일선단부의 지지면적과 지지지반에 근입깊이로 결정된다. 최근에는 선굴착 타입파일에 선단지지력을 증가시키고자 선단부보강판에 보강판의 외경보다 외경이 큰 확장철판을 설치한 선단확장파일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파일들은 공장에서 파일선단부에 보강판(종래파일에서 선단부에 설치된 마밀라타입, 플래트타입, 밴드타입 등 여타 형식의 선단부보강판을 총칭하여 이하 '보강판' 이라한다)만 설치되어 현장반입 후 보강판에 추가로 보강판외경보다 외경이 큰 확장철판을 용접하거나 혹은 탭볼트(Tap bolt)방식으로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접방식으로 확장철판을 설치 한 종래의 선단확장파일에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2. 도1a는 보강판(11)형상이 마밀라(Mamilla)타입, 도1b는 보강판형상이 플래트(Flat)타입, 도1c는 보강판형상이 밴드(Band)타입인 종래파일의 정면도 및 단면도가 그려져 있다. 도2에는 도1의 종래파일에 확장철판(12)을 용접부착한 종래의 선단확장 파일들이 그려져 있다.
도2a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61123호, '보강판을 이용한 헤드확장 콘크리트파일' 에 등록된 발명(이하 '인용발명1' 이라한다)이고, 도2b는 인용발명1이 변형 실시되고 있는 예(이하 '인용발명2' 이라한다)이며, 도2c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4-0048710호, '선굴착 관말뚝의 유효단면확대용 선단슈장치' 에 공개된 발명(이하 '인용발명3' 이라한다)이다.
도2의 인용발명들에서, 보강판(11)과 확장철판(12)의 용접은 보강판 외경측면과 확장철판상면 혹은 선단슈상면이 서로 만나는 구석을 따라서 전주용접한다. 따라서 인용발명들에서는 보강판에 확장철판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파일몸체측에서 용접을 하여야 하며, 파일선단측에서는 용접을 할 수가 없다. 이러한 용접과정을 자세히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인용발명들의 문제점.
(1). 확장철판을 보강판과 용접함에 있어, 구조상 파일몸체측에서 용접을 해야 함으로 철판두께 2mm내외의 보강밴드(14)로 감싸여진 파일로 용접열이 쉽게 전달된다. 용접열은 산소아세틸렌용접일 경우 최고 3000℃의 고열이, 전기아크용접일 경우 최고 5000℃의 고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용접열은 보강밴드를 변형시키기에 충분하며, 변형된 보강밴드는 파일과 분리되어 파일표면과 보강밴드 사이에 공용 중 지하수가 유입되고 보강밴드는 쉽게 부식되어 파일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2). 파일에 배근된 종방향 피씨강봉(15)과 나선형태로 보강된 강선은 콘크리트와 서로 열팽창계수(철의 열팽창계수 1.2x10-5, 콘크리트의 열팽창계수 1.0x10-5)가 달라 용접열에 의해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파일은 보강밴드가 감싸고 있어 육안관찰이 곤란하나 내부에서 발생된 균열은 파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3). 보강밴드는 보강판 일부를 덮는 형태(도3d 상세도 참조)로 용접됨으로 보강판과 확장철판을 용접할 경우 보강밴드가 보강판을 덮는 길이만큼 보강판과 확장철판의 용접치수를 감소시키게 되며, 확장철판과 접하는 보강판의 외경모서리는 곡면으로 가공되어 있어 이곳에 용접용입이 불확실하다. 또한 용접용입이 확실히 된다하여도 이는 용접치수의 증가에 아무런 기여 없이 용접량을 증가시킨다.
(4). 보강판에 확장철판을 용접하려면 파일을 옆으로 눕혀놓고 해야 하고, 확장 철판과 보강판의 외경원주를 전주용접하기위해서는 눕혀진 파일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는 할 수 없다. 즉, 파일을 회전시키면서 보강판 외경원주를 최소한 3∼4등분으로 나누어 용접하여야한다. 여기서 보강판 외경원주를 3등분하여 전주용접하는 경우에 용접작업과정을 추적해 보면 다음과정을 걸쳐 용접작업이 완료된다.
보강판에 확장철판의 용접작업과정 : ① 1차 구간(0~1/3 원주구간)용접 → ② 파일 120˚ 회전 → ③ 2차 구간(1/3~2/3 원주구간)용접 → ④ 파일 120˚ 회전 → ⑤ 3차 구간(2/3~1 원주구간)용접
확장철판을 용접부착하기위해서 중량이 무거운 파일을 중기 및 장비로 1본씩 용접·회전을 반복하면서 작업한다는 것은 지극히 시공성이 불량하며, 용접검사 또한 용접하는 방법과 같이 파일을 1본씩 검사·회전을 반복하면서 검사하여야한다.
더욱이 현장에서 파일은 도2d처럼 여러 단으로 적층되는데, 이런 상태에서는 인용발명들의 용접방법으로는 확장철판의 용접이 불가능하고, 파일을 1단으로 1본씩 좌우작업공간을 띠워 야적하고 1본씩 중기로 1/3∼1/4원주씩 회전시켜가며 용접하여야한다. 이러한 용접작업은 작업능률 저하는 물론이고 용접자세도 불량하여 용접도 조잡하게 될 수 있으며, 작업장부지도 많이 차지할뿐더러 중기사용과 공기지연, 인건비낭비로 공사비도 비경제적이다.
(5). 용접은 용접중단 후 후속용접을 실시하면 전후용접 연결부에서 용접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아주 높은데 인용발명들에서 확장철판의 용접은 파일을 회전시키면서 용접하여야함으로 중단과 후속용접이 숙명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인용발명들에서는 용접결함이 발견되면 전술한 (1)내지 (3)의 문제점과 같은 이유로 결함부에 추가 덧씌우기 용접이 불가하여 보수방법이 제한되어있다.
(6). 현장에서 확장철판을 보강판에 용접함에 있어 용접은 기능공의 숙련도와 기상조건에 따라 용접부의 품질차이가 심하며, 강우강풍 영하5도 이하의 기상조건에서는 용접할 수 없어 가설천막으로 용접작업장을 건설하여야한다. 인용발명들의 확장철판 용접방법은 중기까지 수용 가능한 대형가설천막을 건설하여야함으로, 작업장부지도 많이 차지하고 작업장 건설비도 증가한다.
(7). 인용발명1, 2는 선굴착공에 파일을 건입하고 경타할 경우 확장된 선단지지부 때문에 리바운드가 증가하고 항타에너지가 소실되어 지지지반에 관입이 어렵고, 지지지반관입을 위한 과다한 항타로 파일의 두부손상이 우려되는 구조다. 또한 항타시 확장철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장철판의 두께를 과도하게 키워야하는 구조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인용발명들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고, 후술한 본 발명의 효과를 얻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파일을 회전시키지 않고, 파일의 선단측에서 보강판(11)외경보다 외경이 큰 확장철판(12)을 용접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시공성과 경제성을 개선하고, 파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증진시키고자한다. 또한, 확장철판에 리브(13)를 설치하여 경타 시 지지지반에 관입성을 양호하게하고 동시에 항타로 인한 파일두부손상을 예방하고 확장철판의 두께감소를 유도하고자한다. 아울러 확장철판의 내경을 키워 철판사용량을 절감하면서 확장철판무게도 가볍게 해 작업성을 개선 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과제해결수단으로서 파일의 선단측에서 보강판에 확장철판을 용접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며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1. 보강밴드(14)와 피씨강봉(15)을 용접열로부터 차단시켜 파일의 안전성과 내구성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2. 파일을 회전시키지 않고 보강판(11)에 확장철판(12)을 용접함으로 파일 회전 용도의 중기가 필요 없고, 파일이 여러 층으로 적층된 상태에서도 중기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일거에 용접할 수 있다. 물론 용접검사도 아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3. 용접을 중단 없이 완료하여 용접결함을 방지할 수 있고, 설령 용접결함이 발생한다 해도 보강 및 보수가 용이하다.
4. 확장철판의 용접시공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공기를 단축하고, 경제성을 도모하며, 현장에서 용접작업장의 규모와 부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5. 확장철판의 내경을 크게 하여 철판자재를 절감하고, 동시에 확장철판이 가벼워져 작업성이 개선된다.
6. 확장철판과 보강판의 용접량을 감소시켜 시켜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7. 확장철판에 리브(13)를 설치하여 확장철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경타 시 지지지반에 파일관입이 용이하게 하며, 리바운드를 감소시켜 과다한 항타로 인한 파일 두부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자세히 설명한다.
1. 도3a에는 마밀라타입 보강판(11)에 확장철판(12)을 선단측에서 용접한 선단 확장파일의 사시도가, 도3b에는 도3a의 횡방향 및 종방향단면도가 그려져 있다. 도3c에는 플래트타입 보강판에 리브(13)가 구비된 확장철판을 선단측에서 용접한 선단확장 파일의 사시도가, 도3d에는 도3c의 종방향단면도 및 용접부상세도가 그려져 있다.
2. 도3a, 도3b를 보면 확장철판의 외경은 보강판외경보다 크고 내경은 보강판외경보다 작다. 확장철판은 외반경과 내반경의 차이를 폭원으로 하는 원형 테 형상이다. 확장철판과 보강판의 용접은 두 판의 중심이 일치되게 정렬하여 밀착시키고 확장철판 내경측면과 보강판하면이 이룬 구석을 따라 선단측에서 용접한다. 확장철판을 파일의 선단측에서 용접하니 인용발명들에서 제기된 문제점 중 (1)항부터 (6)항까지가 저절로 해결되었다. 즉, 파일의 선단측에서 용접하니 용접열은 보강판으로 차단되어 용접열이 보강밴드(14)나 피씨강봉(15)에 직접 닿지 않고, 확장철판의 내경측면은 직각으로 가공되어 용접용입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보강판과 확장철판을 용접하기 위하여 파일을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양호한 용접자세로 도2d처럼 파일이 여러 단으로 적층된 경우라도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다. 물론 용접도 중단 없이 일거에 할 수 있고, 용접검사도 아주 용이하다.
3. 도3c, 도3d에는 리브(13)가 설치된 확장철판(12)을 보강판(11)에 용접한 모습이 그려져 있다. 리브는 공장에서 확장철판 제작 시에 확장철판과 일체로 제작되나 현장에서도 설치될 수 있다. 리브가 설치된 확장철판을 보강판에 용접하는 것은 도3a, 도3b와 동일하다. 리브는 파일을 경타 시 지지지반에 관입을 용이하게 해주며, 확장철판의 변형을 방지하고, 확장철판의 두께를 감소시켜주며, 리바운드를 감소시켜 해머의 효율성증진과 파일두부손상을 예방한다. 즉, 확장철판에 리브를 설치하여 인용발명들에서 제기된 문제점 중 (7)항을 해결할 수 있다.
리브는 경타 시 지반에 파일관입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확장철판의 하면 즉 지반에 관입되게 설치한다. 확장철판의 상면에 리브를 설치하면 전술한 것처럼 파일을 회전시키면서 용접하여야하고, 두께가 얇은 보강밴드(14)와도 용접을 하여야하고, 확장철판상면과 보강판 외경측면이 이루는 구석부분은 용접작업성이 불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확장철판상면과 보강판 외경측면이 이루는 구석부분은 경타 시 확장철판에 가장 큰 압축력이 작용하는 곳으로 이곳을 완전용입시키지 못하고 리브를 설치하는 것은 리브의 역할과 기능을 축소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리브를 확장철판하면에 설치하는 것이 여러 면에서 타당하다.
지반에 관입성증진과 확장철판의 변형방지을 위하여 도3d의 상세도에서처럼 리브의 단변(상세도에서 'Z')이 지반에 관입되게, 장변(상세도에서 'Z+2X')이 확장철판에 용접되게 한다. 또한 파일단면에서 내외경측으로 돌출되는 길이(상세도에서'X')가 대칭되게 설치하는 것이 경타 시 파일벽체로부터 전달되는 관입력을 편심 없이 지반에 전달할 수 있다. 리브는 높이방향으로 강성이 크고 횡좌굴에 대한 우려도 없음으로 두께는 확장철판의 두께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는 확장철판의 외경끝단에서 확장철판의 중심쪽으로 약간(상세도에서 'Y') 들어와서 설치된다. 그 이유는 확장철판 외경 끝부분은 작용하는 힘이 작아 확장철판의 두께를 줄이는 리브의 역할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4. 도4에는 본 발명의 리브(13)와 확장철판(12)의 분해사시도(왼쪽) 및 결합사시도(오른쪽)가 그려져 있다. 확장철판에 설치되는 리브의 개수와 형상은 임의로 조정 할 수 있다. 도4의 확장철판을 파일선단측에서 보강판(11)에 용접하면 도3 및 도5와 같은 선단확장파일이 된다.
도5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예시에는 없더라도 도1의 종래파일에 도4의 확장철판(12) 및 리브(13)가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5a부터 도5h까지 각 도면에서 정면도부분은 리브가 설치된 모습이, 단면도부분에는 리브가 설치되지 않은 모습이 그려져 있으나 이는 도면상 표현방법이고 실시에서는 리브를 임의로 설치할 수 있다.
1. 도5a에는 도4a의 확장철판(12)과 리브(13)가 설치된 선단확장파일이 그려져있다. 확장철판은 외반경과 내반경의 차이를 폭으로 하는 원형 테 형상이다. 확장철판의 외경은 보강판(11)외경보다 크고 내경은 보강판외경과 동일하여 보강판외경에 확장철판의 내경을 맞춰 끼워 넣고 보강판외경측면과 확장철판내경측면 틈새를 따라서 용접한다. 즉, 확장철판이 보강판하면에 용접되는 구조가 아니라 확장철판과 보강판이 같은 평면에 놓이게 된다. 양호한 용접을 위하여 확장철판내경은 개선(Groove)할 수 있으며, 용접은 파일선단측에서 한다. 이러한 확장철판은 가벼워 작업성이 양호하며 철판자재량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2d와 같이 파일을 적층한 상태에서도 확장철판을 보강판에 끼워 넣고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철판은 보강판에 확장철판을 용접하기위한 임시 고정장치가 필요 없고 용접공 1인만으로도 일거에 용접을 할 수 있다.
2. 도5b에는 도5a의 확장철판(12)을 파일보강판(11)하면보다 약간 파일몸체 측으로 더 깊게 밀어 넣고 용접한 선단확장파일이 그려져 있다. 확장철판을 보강판하면보다 약간 파일몸체측으로 더 깊게 밀어 넣어 보강판의 외경측면과 확장철판하면과 단차가 형성되게 한 후 확장철판하면과 보강판 외경측면이 이룬 구석을 따라서 용접한다. 확장철판을 파일몸체측으로 밀어 넣는 깊이는 보강판두께 이내로 제한한다. 그 이유는 확장철판을 보강판두께 이상으로 깊이 밀어 넣고 용접할 경우에는 전술한 인용발명들의 문제점 (1), (2)항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확장철판은 도5a에 비하여 확장철판내경측면을 개선할 필요가 없고, 용접치수만큼 확장철판을 파일몸체측으로 밀어 넣고 그 단차를 용접하면 용접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고 용접치수를 균등하게 할 수 있다. 즉 용접치수S로 모살용접을 하려면 확장철판을 파일몸체측으로
Figure 112008501970486-PAT00025
S 만큼 밀어넣고 그 단차를 용접하면 원하는 균등한 용접치수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용접치수확인 등 용접검사가 용이하고 용접부 품질향상을 기할 수 있다.
또한 도5c에서 보여준 것처럼 확장철판을 파일보강판외경에 약간 걸치는 형태 혹은 확장철판을 보강판하면에서 파일몸체측으로 약간만 밀어 넣고 보강판하면과 확장철판내경측면과 단차가 형성되게 한 후 확장철판내경측면과 보강판하면이 이룬 구석을 따라서 용접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보강판의 두께보다 확장철판의 두께가 더 두꺼울 경우에 적용이 유리하다.
3. 도5d에는 도4b의 확장철판(12)과 리브(13)가 설치된 선단확장파일이 그려져있다. 도4b의 확장철판은 외경이 보강판(11)외경보다 크고 내경은 보강판외경보다 작다. 확장철판의 용접은 보강판하면에 확장철판을 밀착시킨 후 확장철판내경측 면과 보강판하면이 이룬 구석을 따라서 용접한다.
4. 도5e에는 고정핀을 사용하여 확장철판(12)과 보강판(11)을 임시고정하고 확장철판과 보강판을 용접한 선단확장파일이 그려져 있다. 파일은 옆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확장철판이 용접됨으로 확장철판을 보강판하면에 임시고정하고 용접하면 편리하다. 여기서 고정핀은 확장철판을 보강판에 임시 고정하여 용접작업성을 개선하기위한 것이다. 보강판하면에 확장철판내경과 같은 직경의 가상원을 그리고 가상원에 내접하게 도5d의 고정핀1처럼 고정핀을 설치한다. 고정핀에 확장철판을 걸어 보강판의 중심과 확장철판의 중심이 일치하게 임시 고정시킨 후 용접하면 확장철판을 정확한 위치에 용접할 수 있고,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할 수 있다. 또한 도2d처럼 여러 층으로 적층된 다수의 파일에 확장철판을 용접하는 경우, 고정핀을 전체 보강판하면에 먼저 모두 설치하고 전체 확장철판을 고정핀에 전부 걸어 보강판에 임시 고정시킨 후 일거에 용접하면 작업능률도 향상되고 용접공 1인만으로도 모든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도5d의 고정핀2처럼 확장철판에 보강판외경과 같은 직경의 가상원을 그리고 가상원에 외접하게 고정핀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핀이 설치된 확장철판을 보강판 외경원둘레에 걸어 확장철판과 보강판을 임시 고정시키고 용접한다.
5. 도5f에는 도4c의 확장철판(12)과 리브(13)가 설치된 선단확장파일이 그려져 있다. 확장철판은 4등분으로 분할되어 부채꼴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분할된 확장철판은 가벼워 작업성이 양호하며, 확장철판이 폐합된 원형 테 형상이 아닌 개방된 형태임으로 용접시 확장철판 내에 구속되는 잔류응력의 해방이 용이하다. 또 한 경타 시 분할된 틈새로 구속된 지반압이 해방되고 지하수가 배출되어 리바운드가 감소하고 관입성이 양호하다. 보강판(11)과 용접은 분할된 확장철판의 가장자리와 보강판이 만나 이룬 구석을 따라서 용접한다. 확장철판은 4등분으로 국한하지 않고 2등분 이상 임의로 분할할 수 있다. 분할된 확장철판들을 보강판에 용접할 때는 분할된 확장철판들을 가조립한 후 철사 등을 대고 가용접하여 서로 붙여 용접하면 편리하다.
6. 도5g에는 도4d의 확장철판(12)과 리브(13)가 설치된 선단확장파일이 그려져있다. 확장철판에는 보강판(11)과 겹쳐지는 부분에서 일부구간이 원주방향으로 일정폭원으로 길게 파여진 부분 즉, 슬롯(Slot)이 형성되어있다. 확장철판과 보강판의 용접은 슬롯내측면과 보강판이 만나 이룬 구석 혹은 확장철판내경측면과 보강판하면이 만나 이룬 구석 중 한곳 이상을 용접한다. 이러한 확장철판은 용접길이는 길게하고 상대적으로 용접치수는 작게 하여 전체 용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1c와 같이 선단부에 밴드타입 보강판이 설치된 경우라도 용이하게 확장철판을 용접할 수 있다. 도5d와 같은 고정핀1이 보강판하면에서 슬롯내측면과 내접하게 설치되어, 이곳에 확장철판의 걸어 임시 고정시키고 용접할 수도 있다.
7. 도5h에는 도4e의 확장철판(12)과 리브(13)가 설치된 선단확장파일이 그려져 있다. 확장철판의 외경에는 노치(Notch)가 형성되어 경타 시 지반압과 간극수압이 해방되어 리바운드가 감소하고 관입성을 증진시킨다. 또한 노치의 설치위치는 확장철판의 외경에 국한하지 않고 확장철판의 내경에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5c와 같은 확장철판의 내경에 노치를 설치한다면 당초보다 용접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용접길이가 길어지면 상대적으로 용접치수는 작게 할 수 있고, 용접길이는 짧고 용접치수를 크게 한 경우보다 전체 용접량은 줄이면서 용접부에서 인장과 압축강도는 같은 강도를, 휨에 대해서는 더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노치의 형상은 삼각형뿐만 아니라 반원형, 사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내경에 설치되는 노치는 그 크기를 제한하지 않는다.
보강판(11)하면에는 확장철판내경과 거의 같은 직경으로 원형 테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턱은 보강판하면을 보강판 공장에서부터 단차지게 가공하여 만들어진다. 보강판하면의 걸림 턱에 확장철판내경을 맞춰 끼워 넣고 보강판의 걸림턱과 확장철판의 내경측면 틈새를 용접한다. 물론 양호한 용접을 위하여 보강판의 걸림 턱 혹은 확장철판의 내경측면은 개선할 수도 있다. 보강판하면의 걸림 턱은 도5d의 고정핀1과 같은 용도이며, 이곳에 확장철판을 끼워 넣고 임시 고정할 수 있어 용접작업성을 양호하게 해준다.
도면부호 - 보강판 (11), 확장철판 (12), 리브 (13), 보강밴드 (14),
피씨강봉 (15)
▶ 도1a는 선단부형상이 마밀라타입, 도1b는 선단부형상이 플래트타입, 도1c는 선단부형상이 밴드타입인 종래콘크리트파일의 정면도 및 단면도.
▶ 도2a, 도2b, 도2c는 각각 인용발명1, 2, 3의 정면도 및 단면도.
▶ 도2d는 콘크리트파일이 공장이나 현장에서 야적된 형상의 사시도.
▶ 도3a는 확장철판을 선단측에서 용접한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의 사시도.
▶ 도3b는 도3a의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의 횡방향 및 종방향단면도.
▶ 도3c는 리브가 설치된 확장철판을 선단측에서 용접한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의 사시도.
▶ 도3d는 도3c의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의 종방향 단면도 및 용접부상세도.
▶ 도4는 확장철판과 리브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 도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Claims (6)

  1. 선단부보강판에 외경은 보강판외경보다 크고 내경은 보강판외경과 같거나 작은 확장철판을 보강판에 끼우거나 밀착시키고 확장철판내경과 보강판을 콘크리트파일 선단측에서 용접하여 확장철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2. 선단부보강판에 외경은 보강판외경보다 크고 내경은 보강판외경보다 작으면서 원주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된 확장철판을 보강판하면에 밀착시키고 확장철판내경과 보강판 혹은 슬롯내측면과 보강판 중 한곳 이상을 콘크리트파일 선단측에서 용접하여 확장철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3. 선단부보강판에 외경은 보강판외경보다 크고 내경은 보강판외경보다 작은 확장철판을 부채꼴 모양으로 2장 이상으로 분할하여 보강판하면에 밀착시키고 부채꼴 가장자리와 보강판을 콘크리트파일 선단측에서 용접하여 확장철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4. 청구항 1내지 3중 하나에, 확장철판의 외경 혹은 내경 중 어느 한곳 이상에 노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5. 청구항 1내지 3중 하나에, 보강판 혹은 확장철판에 고정핀 또는 보강판하면에 원형 테 형상의 걸림 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6. 청구항 1내지 3중 하나에, 확장철판하면에 리브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KR1020080034995A 2007-04-16 2008-04-16 선단확장철판을 용접으로 설치한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KR200800933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36773 2007-04-16
KR1020070036773 2007-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387A true KR20080093387A (ko) 2008-10-21

Family

ID=4015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995A KR20080093387A (ko) 2007-04-16 2008-04-16 선단확장철판을 용접으로 설치한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33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347B1 (ko) * 2012-09-24 2015-05-04 최성희 선단 보강 말뚝
KR101714408B1 (ko) 2016-09-28 2017-03-13 주식회사 포유엔지니어링 Phc 파일의 선단 확장 기구와 그 제조 방법
WO2017043709A1 (ko) * 2015-09-11 2017-03-16 (주)삼일이엔씨 관입 콘크리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347B1 (ko) * 2012-09-24 2015-05-04 최성희 선단 보강 말뚝
WO2017043709A1 (ko) * 2015-09-11 2017-03-16 (주)삼일이엔씨 관입 콘크리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14408B1 (ko) 2016-09-28 2017-03-13 주식회사 포유엔지니어링 Phc 파일의 선단 확장 기구와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032B1 (ko) 숏크리트 타설과 텍스타일 그리드 고정을 위한 앵커핀, 및 이를 이용한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 숏크리트 시공방법
KR101184226B1 (ko) 철근망 구조물 연결장치 및 철근망 구조물 연결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US9359738B2 (en) Quick coupling for pipe pile
JP4753426B2 (ja) 鋼管の接合継手
KR102195847B1 (ko) 나선판을 갖는 파일 결합구조
CN101010465A (zh) 铁塔的基础构造
KR20080093387A (ko) 선단확장철판을 용접으로 설치한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US20210062523A1 (en) Anti-seismic performance reinforcement and crack repair structure of mason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ame
JP5797256B2 (ja) 薄肉鋼管杭の接合構造
CN111822935B (zh) 一种电除尘灰斗检修工艺
CN219060029U (zh) 一种预应力混凝土管桩的连接装置
JP5642988B2 (ja) 着脱式ガイド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鋼管杭の建込み方法
KR101051649B1 (ko) 파일의 이음장치
KR20190002062A (ko) 비용접 및 비볼트 체결방식의 파일 일체형 연결장치
CN108343069A (zh) 预制混凝土支护墙
JP4508901B2 (ja) 支柱の固定構造とその構築方法
JP6295029B2 (ja) 杭の埋め込み方法
JP2014105553A (ja) 土留壁構造、土留壁構造の構築方法
KR20190143204A (ko) 초고강도 콘크리트 파일 조인트
JP7422819B1 (ja) 補強用当板、管状部材補強構造及び補強用当板の施工方法
KR20080093389A (ko) 선단확장철판을 일체로 설치한 선단확장콘크리트파일.
JP2008082074A (ja) 杭と柱の接合構造
CN219005106U (zh) 一种钢筋笼制作辅助工具
KR20160075189A (ko) 강관파일보강기구
KR20150031089A (ko) 수중 설치 구조물 보강용 구조체 및 보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