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3431A -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3431A
KR20090113431A KR1020080039149A KR20080039149A KR20090113431A KR 20090113431 A KR20090113431 A KR 20090113431A KR 1020080039149 A KR1020080039149 A KR 1020080039149A KR 20080039149 A KR20080039149 A KR 20080039149A KR 20090113431 A KR20090113431 A KR 20090113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tank
fuel cell
solenoid valve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412B1 (ko
Inventor
황기호
김상현
최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412B1/ko
Priority to JP2008154172A priority patent/JP5368733B2/ja
Priority to DE102008043396A priority patent/DE102008043396A1/de
Priority to CN2008101735870A priority patent/CN101572320B/zh
Priority to US12/268,162 priority patent/US20090269624A1/en
Publication of KR2009011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431A/ko
Priority to US12/797,230 priority patent/US849204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1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concerning gas-producing pl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60K15/013Arrangement of fuel conduits of ga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006Gas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 Cell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수소탱크를 갖는 수소 공급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수소탱크에만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장착하고, 나머지 수소탱크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하여, 주행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를 통해 수소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수소탱크중 연료전지 스택쪽에 가까운 수소탱크 입구부에만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장착하고, 나머지 수소탱크 입구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만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제1~n개의 수소탱크를 연결시키는 고압라인에 고압수소를 제공하여 제1~n개의 수소탱크내에 수소가 충전되는 수소 충전 단계와, 차량 주행시 제1~n개의 수소탱크중 연료전지 스택쪽에 가까운 제1수소탱크의 수소만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수소 공급 단계와, 차량 주정차시 상기 제1수소탱크와 연결된 제2~n 수소탱크로부터 제1수소탱크로 수소가 주입되는 수소 전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연료전지, 수소탱크, 인탱크 레귤레이터, 솔레노이드 밸브, 수소 공급

Description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ydrogen of hydrogen tank}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수소탱크를 갖는 수소 공급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수소탱크에만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장착하고, 나머지 수소탱크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하여, 주행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를 통해 수소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스택, 연료전지 스택에 연료(수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시스템, 연료전지 스택에 전기화학반응에 필요한 산화제인 공기중의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공급 시스템, 연료전지 스택의 운전온도를 제어하는 열 및 물관리 시스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료공급시스템, 즉 수소 공급시스템의 수소탱크에는 350bar 정도의 고압 압축수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 저장된 압축수소는 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오프(on/off)에 따라 고압라인으로 방출된 후, 외장형 레귤레이터에서 350bar → 10bar로 감압되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된다.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탱크에 대한 수소저장 방법은 고압 압축(350bar, 700bar압축)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바, 외장형 레귤레이터의 사용으로 인하여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된 고압라인에 주행 중 350bar 또는 700bar의 압력이 상시 인가되며, 이로 인해 압력이 상시 걸리게 되는 부분의 피팅, 밸브, 튜브에 내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외장형 레귤레이터 대신에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적용하면, 고압 라인의 삭제를 통한 시스템 운용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고, 시스템 간소화 및 원가절감 효과 등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인탱크 레귤레이터는 싱글 탱크 시스템에서 효과적이며, 멀티 탱크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탱크에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적용함에 따라 원가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형의 싱글 탱크 시스템을 적용하기도 하지만, 이 대형의 싱글 탱크 시스템을 탑재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차체 및 샤시에 별도의 탑재공간을 최적으로 설계해야 하고, 또한 싱글 탱크는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주변 부품과 패키징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싱글 탱크에 비하여 그 부피가 작은 탱크를 여러개 탑재하는 멀티 탱크 방식이 차체 및 샤시 설계에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고, 주변 부품과의 패키징에 유리하므로,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면 멀티 탱크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수소 탱크를 1개 이상 적용하는 멀티 수소탱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수소탱크에만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장착하고, 나머지 수소탱크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하여, 원가 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주행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으로 수소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수소탱크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소탱크중 연료전지 스택쪽에 가까운 수소탱크 입구부에만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장착하고, 나머지 수소탱크 입구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만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n개의 수소탱크를 연결시키는 고압라인에 고압수소를 제공하여, 제1~n개의 수소탱크내에 수소가 충전되는 수소 충전 단계와; 차량 주행시, 제1~n개의 수소탱크중 연료전지 스택쪽에 가까운 제1 수소탱크의 수소만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수소 공급 단계와; 차량 주정차시, 상기 제1수소탱크와 연결된 제2~n 수소탱크로부터 제1수소탱크로 수소가 주입되는 수소 전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수소 충전 단계는: 상기 제1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인탱크 레귤레이터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2~n개의 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압수소의 압력에 의하여 모두 열리게 되어, 각 수소탱크내에 고압수소가 충진되는 것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수소 공급 단계는: 상기 제1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인탱크 레귤레이터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림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2~n개의 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는 닫힘으로 제어하여, 제1수소탱크내에 수소만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수소 전달 단계는: 상기 제1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인탱크 레귤레이터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닫힘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2~n개의 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는 열림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2~n개의 수소탱크내의 고압수소가 상기 제1수소탱크내에 전달되며 충진되는 것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n개의 수소탱크내 수소압력이 저압으로 떨어진 경우, 상기 제1수소탱크의 인탱크 레귤레이터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2~n개의 수소탱크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모두 열림으로 제어하여, 각 수소탱크내의 수소잔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수소 탱크를 1개 이상 적용하는 멀티 수소탱크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전지 스택에 가까운 하나의 수소탱크에만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장착하고, 나머지 수소탱크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만을 장착하여, 주행시 각 수소탱크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으로 수소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수소탱크에만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적용하므로, 원가절감을 크게 얻어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수소탱크 즉, 제1~n개의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멀티 수소탱크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전지 스택에 가까운 하나의 수소탱크에만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장착하고, 나머지 수소탱크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만을 장착시킨 점에 그 구성상 주안점이 있으며, 이에 종래의 멀티 수소탱크 시스템에서는 각 수소탱크마 다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적용함에 따라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지만, 본 발명은 하나의 수소탱크에만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적용하므로 원가절감을 크게 얻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복수개의 수소탱크 즉, 제1~n개의 수소탱크를 2개의 수소탱크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연료전지 스택에 가까운 수소탱크를 제1수소탱크로 칭하고, 제1수소탱크와 고안라인으로 연결되는 수소탱크를 제2수소탱크로 칭하기로 한다.
이에, 첨부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 스택(20)에 가까운 제1수소탱크(10)의 입구부에 제1솔레노이드 밸브(12)를 갖는 인탱크 레귤레이터(14)가 장착되고, 제2수소탱크(16)의 입구부에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18)만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수소탱크(10)와 제2수소탱크(16)의 입구부는 서로 고압라인(22)으로 연결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인탱크 레귤레이터(14)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18)가 서로 고압라인(22)으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인탱크 레귤레이터(14)의 출구측은 또 다른 저압 레귤레이터(24)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20)의 연료극쪽과 연결된다.
이렇게 복수개의 수소탱크중 연료전지 스택에 가까운 하나의 수소탱크에만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장착함에 따라, 수소 공급을 위한 제어 방법을 새로운 방식으로 적용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 충전시, 차량 주행시, 차량 주정차시마다 제1 수소탱크(10)의 인탱크 레귤레이터(14)에 내장된 제1솔레노이드 밸브(12)와, 제2수소탱크(16)에 장착된 제2솔레노이드 밸브(18)에 대한 온/오프 제어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20)에 대한 수소 공급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소 충전 단계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공급 장치로서, 수소 충전 단계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수소탱크(10,16) 입구부, 즉 상기 제1수소탱크(10)의 인탱크 레귤레이터(14)와 상기 제2수소탱크(16)의 제2솔레노이드 밸브(18)간에 연결된 고압라인(22)에 별도의 충전라인(26)을 연결시킨다.
이에, 수소충전소의 수소저장탱크(미도시됨)로부터의 고압수소가 상기 충전라인(26) 및 고압라인(22)으로 공급되면, 이때의 고압수소가 갖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인탱크 레귤레이터(14)에 내장된 제1솔레노이드 밸브(12)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어 제1수소탱크(10)내에 고압수소가 충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2수소탱크(16)의 제2솔레노이드 밸브(18)도 고압수소의 압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리게 되어 제2수소탱크(16)내에 고압수소가 충전되어진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솔레노이드 밸브(12,18)는 전원의 인가없이 압력차, 즉 고압수소의 압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열리게 되어, 제1 및 제2수소탱크(10,16)에 대한 고압수소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수소 공급 단계
수소 공급 단계는 차량의 주행시 연료전지 스택으로 수소가 공급되는 단계를 말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공급 장치로서, 수소 공급 단계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수소탱크(10,16)에 고압수소가 충진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면, 상기 인탱크 레귤레이터(14)에 내장된 제1솔레노이드 밸브(12)는 열림으로 제어되고, 동시에 상기 제2수소탱크(16)의 제2솔레노이드 밸브(18)는 닫힘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제1수소탱크(10)내의 고압수소만이 배출되는 동시에 인탱크 레귤레이터(14)에 의하여 저압(약 10bar)으로 조절된 후, 연료전지 스택(20)의 연료극쪽으로 공급된다.
수소 전달 단계
수소 전달 단계는 차량 주정차시, 제2수소탱크내의 고압수소가 제1수소탱크로 전달되며 충전되는 단계를 말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공급 장치로서, 수소 전달 단계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주행시 제1수소탱크(10)내의 수소만이 연료전지 스택(20)으로 공급되므로, 그 양이 줄어들 수 밖에 없고, 이에 차량의 주정차시 제2수소탱크(16)내의 수소를 제1수소탱크(10)로 재충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수소탱크(10) 입구부에 장착된 인탱크 레귤레이터(14)의 제1솔레노이드 밸브(12)를 닫힘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2수소탱크(16) 입구부에 장착된 제2솔레노이드 밸브(18)를 열림으로 제어하여, 제2수소탱크(16)내의 고압수소가 고압라인(22)을 따라 상기 제1수소탱크(10)내에 전달되어 충전되며, 이때의 충전은 제1 및 제2수소탱크(10,16)내의 수소압력이 동압이 될 때까지 진행된다.
이와 같이, 수소 충전 단계와, 수소 공급 단계와, 수소 전달 단계가 반복적으로 진행되다 보면, 제1 및 제2수소탱크의 수소압력이 저압 즉, 최저사용압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 및 제2수소탱크(10,16)내의 수소압력이 최저사용압력(약 10bar)으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제1수소탱크(10)의 인탱크 레귤레이터(14)의 제1솔레노이드 밸브(12)와, 상기 제2수소탱크(16)의 제2솔레노이드 밸브(18)를 모두 열림으로 제어하여, 제1 및 제2수소탱크(10,16)내의 수소잔량을 모두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로서, 수소 충전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공급 장치로서, 수소 공급 단계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공급 장치로서, 수소 전달 단계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수소 공급 장치로서, 각 수소탱크의 수소압력이 저압으로 떨어진 경우, 수소 잔량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수소탱크 12 : 제1솔레노이드 밸브
14 : 인탱크 레귤레이터 16 : 제2수소탱크
18 : 제2솔레노이드 밸브 20 : 연료전지 스택
22 : 고압라인 24 : 저압 레귤레이터
26 : 충전라인

Claims (6)

  1. 복수개의 수소탱크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소탱크중 제1수소탱크의 입구부에만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장착하고, 나머지 수소탱크 입구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만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2. 복수개의 수소탱크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n개의 수소탱크를 연결시키는 고압라인에 고압수소를 제공하여, 제1~n개의 수소탱크내에 수소가 충전되는 수소 충전 단계와;
    차량 주행시, 제1~n개의 수소탱크중 연료전지 스택쪽에 가까운 제1수소탱크의 수소만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수소 공급 단계와;
    차량 주정차시, 상기 제1수소탱크와 연결된 제2~n 수소탱크로부터 제1수소탱크로 수소가 주입되는 수소 전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소 충전 단계는:
    상기 제1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인탱크 레귤레이터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2~n개의 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압수소의 압력에 의하여 열리게 되어, 각 수소탱크내에 고압수소가 충진되는 것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소 공급 단계는:
    상기 제1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인탱크 레귤레이터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림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2~n개의 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는 닫힘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1수소탱크내에 수소만이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소 전달 단계는:
    상기 제1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인탱크 레귤레이터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닫힘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2~n개의 수소탱크 입구부에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는 열림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2~n개의 수소탱크내의 고압수소가 상기 제1수소탱크내에 전달되며 충진되는 것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n개의 수소탱크내 수소압력이 최저사용압력으로 떨어진 경우, 상기 제1수소탱크의 인탱크 레귤레이터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2~n개의 수소탱크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모두 열림으로 제어하여, 각 수소탱크내의 수소잔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039149A 2008-04-28 2008-04-28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47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149A KR101047412B1 (ko) 2008-04-28 2008-04-28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154172A JP5368733B2 (ja) 2008-04-28 2008-06-12 燃料電池用水素供給装置の制御方法
DE102008043396A DE102008043396A1 (de) 2008-04-28 2008-11-03 Wasserstoffversorgungssystem für eine Brennstoffzelle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selben
CN2008101735870A CN101572320B (zh) 2008-04-28 2008-11-06 用于燃料电池的氢供应系统和用于控制该系统的方法
US12/268,162 US20090269624A1 (en) 2008-04-28 2008-11-10 Hydrogen supply system for fuel cel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2/797,230 US8492047B2 (en) 2008-04-28 2010-06-09 Hydrogen supply system for fuel cel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149A KR101047412B1 (ko) 2008-04-28 2008-04-28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431A true KR20090113431A (ko) 2009-11-02
KR101047412B1 KR101047412B1 (ko) 2011-07-08

Family

ID=4111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149A KR101047412B1 (ko) 2008-04-28 2008-04-28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90269624A1 (ko)
JP (1) JP5368733B2 (ko)
KR (1) KR101047412B1 (ko)
CN (1) CN101572320B (ko)
DE (1) DE1020080433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679B1 (ko) * 2013-03-20 2014-05-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연료 공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6250B2 (ja) * 2010-03-09 2014-07-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圧ガス供給システムと燃料電池システム
DE102011104711A1 (de) * 2011-06-06 2012-12-06 Zoz Gmbh Fahrzeug mit mehreren Vorratsbehältern für Wasserstoff und Verfahren zur Anzeige der verfügbaren Vorratsmenge und Steuerung zur Entnahme
KR101219346B1 (ko) * 2011-06-09 201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용 수소연료 공급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299855B2 (ja) * 2012-03-12 2013-09-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DE102012204565A1 (de) * 2012-03-22 2013-09-26 Robert Bosch Gmbh Proportionalventil mit verbessertem Dichtsitz
KR101610476B1 (ko) 2014-06-27 2016-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화재 발생시 수소 탱크 안전성 경보 장치 및 방법
CN105644352A (zh) * 2014-11-14 2016-06-08 天津市优耐特汽车电控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燃气汽车电控装置系统
ITUA20161289A1 (it) * 2016-02-19 2017-08-19 Vicario Guido Francesco Edoardo Bombola mobile intercambiabile in fibra di carbonio con valvola di sicurezza ad innesto istantaneo nel circuito di utilizzo su nuovi veicoli elettrici a doppia energia per il rifornimento veloce di grandi numeri giornalieri di auto, per ottenere larghe autonomie chilometriche, per ottenere la totale autonomia di rifornimento con bombole di scorta, con una rete di stazioni di servizio semplificate ad alto isolamento termico ignifugo e acustico, prive di fabbisogno di suolo pubblico per soste, per la produzione e lo storage in spazi ridotti di grandi quantita' di idrogeno elettrolitico prodotto con energie rinnovabili. per il loro impiego per l'automotive e per il risanamento ambientale attraverso l'uso di acqua elettrolitica in sostituzione del petrolio: si forma un sistema integrato globale di mobilita' elettrica a doppia energia con range extender ad idrogeno.
JP6439986B2 (ja) * 2016-02-22 2018-12-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
US9841147B1 (en) 2016-05-23 2017-12-12 Twisted Sun Innovations, Inc. Gas storage device
US10059215B1 (en) 2017-03-08 2018-08-28 A3 Labs, Llc Energy source supply systems, energy source suppl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EP3759564B1 (en) * 2018-03-02 2022-12-21 Air Liquide Advanced Technologies U.S. LLC Mobile hydrogen dispenser for fuel cell vehicles
CN113074314B (zh) * 2020-01-03 2024-04-2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氢罐阀门保护支架以及燃料电池汽车
KR20210115850A (ko) * 2020-03-16 2021-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유량조절밸브
KR102566784B1 (ko) 2021-04-29 2023-08-16 (주)모토닉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장치
US11732843B2 (en) * 2021-07-19 2023-08-22 Caterpillar Inc. On-tank regulator for high-pressure tank
EP4202283A1 (en) * 2021-12-22 2023-06-28 Volvo Truck Corporation A hydrogen gas suppl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1762A (en) * 1996-08-16 2000-03-28 Impco Technologies, Inc. Control module for natural gas fuel supply for a vehicle
JP2001336450A (ja) 2000-05-26 2001-12-07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ガス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2002188794A (ja) * 2000-12-21 2002-07-05 Honda Motor Co Ltd 高圧水素タンクおよび高圧水素タンクの製造方法
JP3627670B2 (ja) 2001-05-16 2005-03-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高圧ガス容器の取付構造
JP2003090499A (ja) 2001-09-19 2003-03-28 Samtec Kk 高圧タンク装置
JP3960524B2 (ja) * 2002-03-13 2007-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ガス燃料供給装置
KR100456562B1 (ko) * 2002-07-03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공급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JP4040525B2 (ja) * 2003-04-30 2008-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水素充填装置
JP2005053358A (ja) * 2003-08-05 2005-03-03 Honda Motor Co Ltd 高圧ガス貯蔵装置
JP2005155869A (ja) * 2003-11-28 2005-06-16 Honda Motor Co Ltd ガス燃料充填方法
US7270209B2 (en) 2004-08-10 2007-09-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dular fuel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CN100410579C (zh) * 2004-09-28 2008-08-13 汉氢科技股份有限公司 可携式供氢系统
KR100805445B1 (ko) 2006-12-04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셧 다운시의 수소 공급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679B1 (ko) * 2013-03-20 2014-05-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연료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48063A1 (en) 2010-09-30
DE102008043396A1 (de) 2009-10-29
CN101572320A (zh) 2009-11-04
JP2009264575A (ja) 2009-11-12
CN101572320B (zh) 2013-08-07
KR101047412B1 (ko) 2011-07-08
JP5368733B2 (ja) 2013-12-18
US8492047B2 (en) 2013-07-23
US20090269624A1 (en)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412B1 (ko)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343754B2 (en) High pressure gas supply system and fuel cell system
US10403915B2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mobile object, and electric power supply method
US10177390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348522B (zh) 用于燃料电池的再循环回路
KR20160047515A (ko) 통합 전기화학 압축기 및 캐스케이드 저장 방법 및 시스템
KR20080110526A (ko) 순산소를 공급받는 연료 전지를 위한 정지 방법
CN101425591B (zh) 在燃料电池气室中避免气态夹杂污物的方法和燃料电池
KR20200060921A (ko) 차량용 수소 충전 및 방전 제어용 밸브 어셈블리
KR100969009B1 (ko) 연료전지 차량의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JP2014192047A (ja) 燃料電池車両の制御方法
CA2635764C (en) Vehicle fuel cell system
CN113251304B (zh) 一种用于燃料电池车的加氢系统及方法
KR101330691B1 (ko) 연료전지의 수소 재순환 시스템
JP6201830B2 (ja) 水素ガス供給装置
JP5166907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運転方法及び燃料電池エージングシステム
JP7460718B1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115127013A (zh) 一种撬装式增压加氢站系统及其加氢方法
JP509800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駆動方法
US20240097165A1 (en) Method for operating a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KR20110010454A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퍼징 방법
JP2007200625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の制御方法
JP2010125889A (ja) 水素用配管を備えた燃料電池車両および水素用配管の取り外し方法
KR20230108370A (ko) 연료전지 차량의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
JP200814707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