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784B1 -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784B1
KR102566784B1 KR1020210055390A KR20210055390A KR102566784B1 KR 102566784 B1 KR102566784 B1 KR 102566784B1 KR 1020210055390 A KR1020210055390 A KR 1020210055390A KR 20210055390 A KR20210055390 A KR 20210055390A KR 102566784 B1 KR102566784 B1 KR 102566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safety valve
pressure
passag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8409A (ko
Inventor
전완재
이준혁
김재경
강용헌
이동형
Original Assignee
(주)모토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토닉 filed Critical (주)모토닉
Priority to KR102021005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78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8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006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1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with locking caps or locking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96Pressure regula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09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 B60K2015/03315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for hydro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탱크의 레귤레이터에 연계되는 안전밸브 장치에 있어서: 감압실(21)과 감압체(25)에 연통되는 입구유로(22), 출구유로(23), 밸브유로(24)를 갖춘 레귤레이터(20); 상기 레귤레이터(20)의 밸브유로(24)에 스프링(34)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스프링(34)의 탄성력을 변동하는 세팅스크류(35)를 구비하는 안전밸브(30); 및 상기 세팅스크류(35)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엔드캡(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수소탱크의 수소를 감압하여 공급하는 계통에서 압력밸브의 압력을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고 정비 과정의 잔압 제거와 세팅 압력 유지가 용이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장치 {Safety valve apparatus for hydrogen high pressure regulator}
본 발명은 고압 레귤레이터의 안전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소탱크에 고압으로 저장된 수소를 감압하여 공급하는 계통에 적용하기 위한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소탱크의 고압수소를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하는 계통에서 수소탱크의 레귤레이터로 1차 감압의 역할을 담당한다. 레귤레이터는 수소탱크를 연결하는 매니폴드에서 하나의 포트에 연결되어 충전압 또는 탱크압을 항시 입구측으로 전달한다. 수소공급 계통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감압 과정의 과도한 압력 증가에 대응하도록 레귤레이터에 안전밸브가 구비된다. 안전밸브는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정확한 압력 범위에서 개방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47412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969934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멀티 수소탱크를 갖는 수소 공급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수소탱크에만 인탱크 레귤레이터를 장착하고, 나머지 수소탱크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하여, 주행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를 통해 수소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선행문헌 2는 밸브포트에 결합되는 가이드몸체, 가이드 몸체에 결합되고 과압 발생시 밸브포트를 개방하는 밸브체, 밸브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밸브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부 스프링 및 가이드 몸체에 결합되고 밸브체의 개방 동작시 연료를 방출하는 방출배관을 포함한다. 이에, 과압을 방출하는 기능과 내부 연료를 방출하는 기능을 통합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은 안전밸브 개방 압력의 정밀도가 떨어지므로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정확한 압력 범위에서 작동 신뢰성이 미흡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47412호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공개일자 : 2009.11.0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969934호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공개일자 : 2018.04.19.)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탱크에 고압으로 저장된 수소를 감압하여 공급하는 계통에서 압력밸브의 압력을 정확하게 세팅하기 위한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비 과정에서 잔압을 제거하기 용이하고 정비후 재조립시 신속하게 세팅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소탱크의 레귤레이터에 연계되는 안전밸브 장치에 있어서: 감압실과 감압체에 연통되는 입구유로, 출구유로, 밸브유로를 갖춘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의 밸브유로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변동하는 세팅스크류를 구비하는 안전밸브; 및 상기 세팅스크류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엔드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레귤레이터는 밸브유로에서 외부로 직접 분기되는 벤트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안전밸브는 벤트홀의 개폐를 단속하도록 스프링에 지지되는 플란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세팅스크류는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서 각형홈을 동심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엔드캡은 안전밸브 상으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소탱크의 수소를 감압하여 공급하는 계통에서 압력밸브의 압력을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고 정비 과정의 잔압 제거와 세팅 압력 유지가 용이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일측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타측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탱크의 레귤레이터에 연계되는 안전밸브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수소연료전지 차량 등에 수소탱크(10)를 기반으로 탑재되는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안전밸브 장치는 안전밸브는 물론 이에 연계되는 구성품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수소탱크(10)가 매니폴드(12)로 연결된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레귤레이터(20)는 감압실(21)과 감압체(25)에 연통되는 입구유로(22), 출구유로(23), 밸브유로(24)를 갖춘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소탱크(10)의 매니폴드(12)에 연결되는 레귤레이터(20)는 압력감압 (예컨대 수소유량 1800LPM를 기준으로 875bar →16bar) 기능을 요체로 한다. 레귤레이터(20)의 감압실(21)은 측방향으로 입구유로(22) 및 출구유로(23)와 연통되고 하방향으로 밸브유로(24)와 연통된다. 감압체(25)는 감압실(21)의 상측 영역의 피스톤(25a)과 하측 영역의 샤프트(25b)로 구성된다. 피스톤(25a)과 샤프트(25b)는 각각의 스프링(25c)(25d)으로 지지된다.
한편, 레귤레이터(20)의 외면 일측에는 내부 유로에 연통되어 고압 또는 중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15)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레귤레이터(20)는 밸브유로(24)에서 외부로 직접 분기되는 벤트홀(2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직으로 형성되는 밸브유로(24)의 상단에 수평으로 교차하는 벤트홀(27)이 나타난다. 밸브유로(24)의 상단은 상방향으로 감압실(21)과 연통되는 동시에 경사진 방향으로 출구유로(23)와 연통된다. 벤트홀(27)은 후술하는 플란저(31)에 의하여 외부로 분기되는 유로를 개폐한다. 레귤레이터(20)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벤트홀(27)로 잔압을 제거하기 용이하다. 벤트홀(27)이 없는 경우 밸브유로(24)의 하단으로 별도의 퍼지밸브를 구성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34)의 탄성력을 변동하는 세팅스크류(35)를 구비하는 안전밸브(30)가 상기 레귤레이터(20)의 밸브유로(24)에 스프링(34)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레귤레이터(20)의 밸브유로(24)에 안전밸브(30), 스프링(34), 세팅스크류(35)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안전밸브(30)는 스프링(34)에 의하여 설정된 압력 이상에서 유로를 개방하여 레귤레이터(20)의 과압 상태를 해소한다. 안전밸브(30)는 밸브유로(24)에 운동형 오링(33)을 개재하여 긴밀하게 결합된다. 세팅스크류(35)는 안전밸브(30) 상에 동심으로 맞물리도록 수용되어 스프링(34)의 탄성력 변동을 유발할 수 있다. 안전밸브(30)와 세팅스크류(35)가 동심으로 결합되는 구조상 레귤레이터(20)의 과압 수소는 밸브유로(24)의 하단이 아닌 벤트홀(2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종래에는 안전밸브(30)에 설정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이 없어 레귤레이터(20)의 작동 정밀도와 신뢰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안전밸브(30)는 벤트홀(27)의 개폐를 단속하도록 스프링(34)에 지지되는 플란저(3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레귤레이터(20)의 밸브유로(24)에 플란저(31)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플란저(31)는 상단에 대략 원추형으로 돌출되는 헤드(32)를 통하여 감압실(21)로 연통되는 유로의 하단에 밀착된다. 플란저(31)의 밀착력은 세팅스크류(35)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34)의 탄성력으로 유지된다. 세팅스크류(35)가 상승하면 안전밸브(30)의 설정 압력도 높아진다. 반대로 세팅스크류(35)가 하강하면 안전밸브(30)의 설정 압력도 낮아진다. 플란저(31)의 헤드(32)에는 레귤레이터(20)의 정상 작동시 기밀을 유지하도록 또 다른 오링(33)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세팅스크류(35)는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서 각형홈(37)을 동심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세팅스크류(35)의 하단에 각형홈(37)이 형성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다. 각형홈(37)은 공구를 이용하여 세팅스크류(35)의 회전을 유발하는 형태이고, 이에 따라 플란저(31)의 밀착력, 즉 안전밸브(30)의 설정 압력을 변동하기 용이하다.
만일 플란저(31)의 밀착력이 소멸될 정도로 세팅스크류(35)를 하강시키면 플란저(31)가 벤트홀(27)을 개방하여 레귤레이터(20)의 내부 유로의 잔압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퍼지밸브를 생략하여도 안전밸브(30)의 설정압력 조정과 잔류수소 퍼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엔드캡(40)이 상기 세팅스크류(35)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3에서, 세팅스크류(35)의 하단에 엔드캡(40)이 맞물려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세팅스크류(35)는 안전밸브(30)의 설정압력을 미세하게 조절하도록 피치가 작은 반면 자동적으로 풀리거나 작업자 실수로 변동될 우려가 있다. 엔드캡(40)은 고정홈(42)에 의해 세팅스크류(35)의 하단에 긴밀하게 맞물린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엔드캡(40)은 안전밸브(30) 상으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체(45)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엔드캡(40)이 결합체(45)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결합체(45)는 안전밸브(3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엔드캡(40)은 일측에서 결합체(45)의 하단과 힌지로 결합된다. 엔드캡(40)을 하방향으로 밀면 세팅스크류(35)에서 분리되고 수직 상태로 회전되므로 세팅스크류(35)를 조절하기 용이하다. 세팅스크류(35)의 조절이나 정비 후 재조립시에 엔드캡(40)을 수평으로 올려 고정홈(42)을 맞물리면 세팅된 압력으로 유지된다. 엔드캡(40)이 결합체(45)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세팅스크류(35)의 임의적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수소탱크 12: 매니폴드
15: 압력센서 20: 레귤레이터
21: 감압실 22: 입구유로
23: 출구유로 24: 밸브유로
25: 갑압체 27: 벤트홀
30: 안전밸브 31: 플란저
32: 헤드 33: 오링
34: 스프링 35: 세팅스크류
37: 각형홈 40: 엔드캡
42: 고정홈 45: 결합체

Claims (5)

  1. 수소연료전지 차량에 탑재되는 수소탱크의 레귤레이터에 연계되는 안전밸브 장치에 있어서:
    감압실(21)과 감압체(25)에 연통되는 입구유로(22), 출구유로(23), 밸브유로(24)를 갖춘 레귤레이터(20);
    상기 레귤레이터(20)의 밸브유로(24)에 스프링(34)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스프링(34)의 탄성력을 변동하는 세팅스크류(35)를 구비하는 안전밸브(30); 및
    상기 세팅스크류(35)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엔드캡(40);을 포함하되,
    상기 레귤레이터(20)는 밸브유로(24)에서 외부로 직접 분기되는 벤트홀(27)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밸브(30)는 상단에 돌출되는 헤드(32)를 통하여 감압실(21)로 연통되는 유로에 밀착되어 벤트홀(27)의 개폐를 단속하도록 스프링(34)에 지지되는 플란저(31)를 갖추며,
    상기 세팅스크류(35)는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서 각형홈(37)을 동심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40)은 안전밸브(30) 상으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결합체(45)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장치.
KR1020210055390A 2021-04-29 2021-04-29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장치 KR102566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390A KR102566784B1 (ko) 2021-04-29 2021-04-29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390A KR102566784B1 (ko) 2021-04-29 2021-04-29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409A KR20220148409A (ko) 2022-11-07
KR102566784B1 true KR102566784B1 (ko) 2023-08-16

Family

ID=8404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390A KR102566784B1 (ko) 2021-04-29 2021-04-29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7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2846A (ja) * 2007-07-11 2010-10-14 ハイダック テクノロジ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圧力媒体の入っているタンク用の安全装置
KR101192166B1 (ko) * 2012-05-14 2012-10-17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KR101969934B1 (ko) * 2016-10-11 2019-08-13 (주)모토닉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412B1 (ko) 2008-04-28 2011-07-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수소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2846A (ja) * 2007-07-11 2010-10-14 ハイダック テクノロジ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圧力媒体の入っているタンク用の安全装置
KR101192166B1 (ko) * 2012-05-14 2012-10-17 주식회사 유니크 솔레노이드 밸브
KR101969934B1 (ko) * 2016-10-11 2019-08-13 (주)모토닉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409A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85394A1 (en) Fuel vapor control device
JP5805750B2 (ja) 過給油防止バルブ
US5740833A (en) Gas pressure regulator
US20020014227A1 (en) Gas flow regulation system
KR20090045435A (ko)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JP2016184259A (ja) 減圧装置
KR101764709B1 (ko) 유량 및 압력 조절형 감압밸브
CN101611252B (zh) 一种安全阀
KR102167508B1 (ko) 감압 기능을 구비한 고압용기용 밸브
AU2014291641B2 (en) Encapsulated valve with lever action
KR102566784B1 (ko)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안전밸브 장치
US7270117B1 (en) Fuel tank vent apparatus
JP2007146669A (ja) 燃料供給圧力調整装置
US10967733B2 (en) Fuel shutoff valve
JP2007138903A (ja) 燃料供給圧力調整装置
CN115355118B (zh) 燃料供给装置
JP2001084040A (ja) 水位調整装置
US11905131B2 (en) Pneumatic air booster
KR20200086048A (ko) 수소충전소용 안전밸브
KR20230084937A (ko) 수소 고압 레귤레이터용 복합밸브 구조
JP4775192B2 (ja) 燃料タンク用バルブ装置
KR101032327B1 (ko) 가스차량용 엘피아이 시스템에 적용되는 레귤레이터
KR20090088076A (ko) 보조 증압부를 갖는 가스용 레귤레이터
KR101244380B1 (ko) 피스톤 타입 레귤레이터
US10851910B2 (en) Fully-integrated, top-fill, pressureless flow-control module couplable to a pulsating pressurized fuel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