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606A - 다트 - Google Patents

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606A
KR20090111606A KR1020080037300A KR20080037300A KR20090111606A KR 20090111606 A KR20090111606 A KR 20090111606A KR 1020080037300 A KR1020080037300 A KR 1020080037300A KR 20080037300 A KR20080037300 A KR 20080037300A KR 20090111606 A KR20090111606 A KR 2009011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rt
gas
molten steel
converter
s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907B1 (ko
Inventor
문희철
김찬희
황지남
유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03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90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45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9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for retaining slag during the pouring of the metal or retaining metal during the pouring of the sl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출강구(2)가 구비된 노(爐)에 투입되어 슬래그(4)가 상기 출강구(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트 본체(20); 및 상기 노 내의 용강(3)에서의 와류발생에 의한 슬래그(4)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다트 본체(20)에 구비되어 용강(3)에 발생된 와류를 감쇄시키는 와류 억제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爐) 특히 전로의 용강 출강시에 노 내의 용강에 발생하는 와류를 감쇄시킬 수 있어서 와류에 의해서 슬래그가 전로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강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특수한 성질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용강에 투입되는 합금성분이 용강의 슬래그와 반응하는 양이 적게 되어 투입되는 합금성분의 양이 감소 되므로 용강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전로, 출강작업, 출강구, 다트, 와류, 와류발생 방지, 전향력

Description

다트{Dart}
본 발명은 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爐) 특히 전로의 용강 출강시에 용강에 발생하는 와류를 감쇄시킬 수 있어서 와류 발생으로 인해 슬래그가 전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트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전로(1)의 출강작업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전로(1)에서 정련과정을 거친 용강(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로(1)를 기울여서 전로(1)의 출강구(2)를 통해 전로(1) 외부로 배출되어 래들(6)에 담겨지게 된다.
래들(6)에 담겨진 용강(3)은 이동대차(7)에 의해서 다음 공정, 예컨대 연주공정으로 이송된다.
전로(1) 내에는 정련된 용강(3) 이외에도 정련과정에서 발생한 불순물인 슬래그(4)도 존재한다.
이러한 슬래그(4)는 용강(3)의 비중인 7.6 내지 7.8 보다도 낮은 2.5 내지 2.8의 비중을 가진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그(4)는 용강(3) 위에 부상된 상태로 층을 이루어 전로(1) 내에 존재하게 된다.
불순물인 슬래그(4)가 용강(3)과 함께 출강구(2)를 통해 전로(1) 외부로 배출되면 용강(3)에 인(P) 성분이 많아져서 용강(3)의 품질이 저하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수한 성질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용강(3)에 투입되는 알루미늄이나 망간 또는 주석 등의 합금성분이 용강(3)의 슬래그(4)와 반응하는 양이 많게 된다.
따라서, 투입되어야만 하는 합금성분의 양이 많아지므로 용강(3)의 제조원가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출강 초기에는 전로(1)에서 배출되는 슬래그(4) 중 약 15%가 전로(1)에서 배출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출강 중기에는 약 60%가 배출되고, 말기에는 약 25%가 배출된다고 알려져 있다.
출강 초기에는 슬래그(4)가 전로(1)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플러그(도시되지 않음)'라고 불리우는 것을 사용한다.
즉, 플러그로 출강구(2)를 막고 있다가, 이동대차(7)의 이동으로 출강구(2)가 래들(6) 상부에 위치하는 순간, 플러그가 용강(3)의 비중에 의해서 터지면서 용강(3)이 출강구(2)를 통해 래들(6)로 이송되기 시작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서, 전로(1)를 기울이면서 용강(3)보다 먼저 슬래그(4)가 전로(1)의 출강구(2)를 통해서 전로(1)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출강 말기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트(100)나, 슬래그 스토퍼, 또는 슬래그 체크볼 등을 이용하여 슬래그(4)가 전로(1)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트(100)는 도2의 (a)의 사시도와 (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강배출홈(220)이 형성된 반구형의 다트 헤드(210)와, 다트 헤드(210)의 아래에 구비된 다트봉(230) 및, 다트 헤드(210)의 상부에 구비된 철심(2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다트(100)는 출강 말기에 전로(1) 내에 투입된다.
다트 헤드(210)의 비중은 전술된 용강(3)의 비중인 7.6 내지 7.8과 슬래그(4)의 비중인 2.5 내지 2.8의 사이인 3.2 내지 3.6이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로(1) 내에 다트(100)가 투입되면, 다트 헤드(210)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강(3)과 슬래그(4)의 경계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래그(4)가 출강구(2)를 통해 전로(1) 밖으로 배출될 수 있을 정도로 전로(1) 내의 용강(3)의 높이가 낮아지면, 다트 헤드(210)가 출강구(2)를 막아서 슬래그(4)가 출강구(2)를 통해 전로(1)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전로(1) 내에 비교적 소량 존재하는 용강(3)은 다트 헤드(210)의 용강배출홈(220)을 통해 전로(1) 밖으로 배출되어 래들(6)로 이송된다.
한편, 출강 중기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구 자전으로 인한 전향력에 의해서 용강(3) 내에 발생된 와류(5)에 의해서 슬래그(4)가 출강구(2)를 통해 전로(1)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출강구(2)를 통해 출강이 진행됨에 따라 용강(3)의 높이가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경우, 급작스럽게 용강(3)의 높이가 낮아지지 않도록 용강(3)의 높이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전로(1)를 흔들어주는 경동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전로(1) 내의 용강(3)은 슬래그(4)가 덮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전로(1) 내의 용강(3)의 높이를 제대로 알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로(1)를 경동한다 하더라도 전로(1) 내의 용강(3)의 높이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낮아지도록 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반구의 경우에는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에 의해서 전로(1)의 용강(3) 내에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와류(5)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 초기에 와류(5)는 도3의 (a)와 같이 그 크기가 작고 그 위치도 출강구(2)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도3의 (b)와 (c) 같이 점점 커지면서 출강구(2)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출강구(2) 상부로 이동된 와류(5)에 의해 슬래그(4)가 출강구(2)를 통해 전로(1)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출강 중기의 슬래그(4)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전로(1)를 자주 경동하는 다경동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용강(3)이 슬래그(4)로 덮여 있어서 용강(3)의 정확한 전로(1)에서의 높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다경동만으로는 용강(3) 내의 와류발생을 완전히 방지하거나 감쇄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 특히 전로의 용강 출강시에 용강에 발생할 수 있는 와류를 감쇄시켜서 와류로 인하여 슬래그가 전로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출강구가 구비된 노(爐)에 투입되어 슬래그가 상기 출강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트 본체; 및
상기 노 내의 용강에서의 와류발생에 의한 슬래그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다트 본체에 구비되어 용강에 발생된 와류를 감쇄시키는 와류 억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트를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다트 본체는 다트 헤드; 및 상기 다트 헤드의 하부에 구비된 다트봉; 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다트 본체는 상기 다트 헤드의 상부에 구비된 철심을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다트 헤드에는 하나 이상의 용강배출홈이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와류 억제수단은 상기 다트 본체에 포함되는 다트 헤드 에 구비되되 가스가 분출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가스분출부재; 및 상기 가스분출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체; 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분출부재는 상기 가스발생체가 삽입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일측은 상기 다트 헤드에 연결되고, 타측은 가스가 분출되는 가스분출구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분출구는 용강에 발생된 와류의 회전방향으로 가스가 분출되도록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발생체는 열이 가해지면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물질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발생물질은 열이 가해지면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백운석(CaMg(CO3)2) 분말로 된 성형체 또는 백운석 알갱이로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발생물질은 열이 가해지면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석회석(CaCO3) 분말로 된 성형체 또는 석회석 알갱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爐) 특히 전로의 용강 출강시에 노 내의 용강에 발생하는 와류를 감쇄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용강에 발생된 와류에 의해서 슬래그가 전로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용강의 품질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수한 성질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용강에 투입되는 합금성분이 용강의 슬래그와 반응하는 양이 적게 되어 투입되는 합금성분의 양이 감소 된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용강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트의 일실시예의 주요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트(10)는 출강구(2)가 구비된 노(爐)에 투입되어 슬래그(4)가 출강구(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트 본체(20)와, 노 내의 용강(3)에서의 와류발생에 의한 슬래그(4)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다트 본체(20)에 구비되어 용강(3)에 발생된 와류를 감쇄시키는 와류 억제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爐)는 고로(도시되지 않음)에서 생산된 용선을 정련하는 전로(1)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노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노라도 가능하다.
다트 본체(20)에 구비된 와류 억제수단(30)에 의해서 전로(1) 내의 용강(3) 에 발생된 와류가 감쇄되어 와류에 의해서 전로(1) 내의 슬래그(4)가 출강구(2)를 통해 전로(1) 밖으로 배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트 본체(20)는 다트 헤드(21)와, 다트 헤드(21)의 하부에 구비된 다트봉(23)을 포함한다.
다트 본체(20)는 다트 헤드(21)의 상부에 구비된 철심(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트 헤드(21)에는 하나 이상의 용강배출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다트 헤드(21)는 본 실시예에서 그 비중이 슬래그(4)의 비중인 2.5 내지 2.8과 용강(3)의 비중인 7.6 내지 7.8의 사이인 3.2 내지 3.6이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다트 헤드(21)는 전로(1) 내에서 용강(3)과 슬래그(4)의 경계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다트봉(23)이 항상 아래로, 즉 중력방향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다트 헤드(21)가 용강(3) 위에 부상된 상태에서 엎어지거나 넘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용강(3)이 출강되면서 전로(1) 내의 용강(3)의 높이가 낮아지면, 다트봉(23)이 출강되는 용강(3)을 따라 출강구(2) 안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래그(4)가 전로(1)의 출강구(2)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도록 출강구(2)를 다트 헤드(21)에 의해서 막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트 헤드(21)의 상부에 구비된 철심(24)은 기계나 기구 등을 이용해서 이를 잡고 다트(10)를 전로(1)에 투입할 수 있게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다트(10)의 전로(1)에의 투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다트(10)를 전로(1)에 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작업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다트 헤드(21)에 형성된 4개의 용강배출홈(22)은 슬래그(4)가 출강구(2)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다트 헤드(21)가 전로(1)의 출강구(2)를 막는 경우, 전로(1) 내에 비교적 소량 남아 있는 용강(3)이 용강배출홈(22)을 통해서 출강구(2)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전로(1)에 비교적 소량 남아 있는 용강(3)을 전로(1)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트 헤드(21)의 비중은 본 실시예의 비중인 3.2 내지 3.6에 한정되지 않고 전로(1) 내에서 용강(3)과 슬래그(4)의 경계면에 위치할 수 있는 비중이라면 슬래그(4)와 용강(3)의 비중 사이의 어떠한 비중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다트 헤드(21)는 본 실시예에서는 반구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로(1) 내의 용강(3) 위에 안정되게 부상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용강배출홈(22)의 형상이나 개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트 헤드(21)가 출강구(2)를 막는 경우 전로(1) 내에 남아 있는 용강(3)이 이를 통해 전로(1)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형상이나 개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다트 헤드(21)와 다트봉(23)은 내화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용강(3)의 열에 의해서 손상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트 헤드(21)와 다트봉(23)은 내화물질 이외에도 용강(3)의 열에 의해서 손상되지 않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물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 억제수단(30)은 다트 헤드(21)에 구비되되 가스가 분출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가스분출부재(31)와, 가스분출부재(31)의 내부에 구비되며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체(33)를 포함한다.
가스분출부재(31)는 가스발생체(33)가 삽입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일측은 다트 헤드(21)에 연결되고, 타측은 가스가 분출되는 가스분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발생체(33)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가스분출부재(31)로부터 분출되어 가스분출부재(31)에 가스분출방향과 반대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가스분출구(32)는 용강에 발생된 와류(5)의 회전방향으로 가스가 분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북반구의 경우에는 지구자전에 의한 전향력에 의해서 발생된 와류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북반구에 있는 전로(1)의 용강(3)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와류(5)가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북반구에 있는 전로(1)를 예로 하여 4개의 가스분출부 재(31)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전체적으로 시계반대방향을 이루도록 가스분출부재(31)에 가스분출구(32)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가스가 분출되도록 가스분출구(32)가 각 가스분출부재(31)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트 본체(20)에는 이와는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가스가 분출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트(10)가 북반구에 있는 전로(1)내의 용강(3)에 발생된 와류(5) 내에 있게 되면, 시계반대방향인 와류(5)의 회전력과 다트 본체(20)에 작용하는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서로 간섭되거나 상쇄된다.
이에 의해서 와류(5)의 회전력이 감쇄되거나 소멸된다.
이에 따라 용강(3)에서의 와류(5)의 발생에 의해서 슬래그(4)가 전로(1)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북반구의 경우를 예로 하여 가스분출구(32)를 통한 가스분출이 전체적으로 시계반대방향이 되도록, 즉 가스 분출로 인하여 다트 본체(20)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가스분출부재(31)에 가스분출구(32)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와류(5)가 발생하는 남반구의 경우에는 가스분출구(32)를 통한 가스 분출이 전체적으로 시계방향이 되도록, 즉 가스 분출로 인하여 다트 본체(20)에 시계반대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가스분출구(32)가 가스분출부재(31)에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스분출구(32)는 이에서 분출되는 가스에 의해서 다트 본체(20)에 작용하는 회전력이 최대가 되도록 가스분출부재(31)와 직각을 이루도록 가스가 분출되며, 가스분출부재(31)의 일측 단부에 1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북반구에서는 다트 본체(20)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고 남반구에서는 시계반대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가스분출부재(31)에 형성되는 가스분출구(32)의 위치나 개수 또는 이에서 분출되는 가스가 가스분출부재(31)와 이루는 각도는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가스분출부재(31)는 내화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용강(3)의 열에 의해서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스분출부재(31)는 용강(3)의 열에 의해서 손상되지 않은 물질이라면 어떠한 물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가스발생체(33)는 열이 가해지면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물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용강(3)의 열이 다트(10)에 전해지면, 즉 다트(10)를 전로(1)에 투입하면, 가스발생물질을 포함하는 가스발생체(33)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가스분출부재(31)에 형성된 가스분출구(32)를 통해 가스가 분출된다.
가스발생물질의 일실시예로서 일정 온도 이상(알려진 바로는 500℃ 내지 700℃)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백운석(CaMg(CO3)2) 분말로 된 성형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백운석 분말로 된 성형체는 고온 고압으로 백운석 분말을 가열 및 가압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백운석 분말을 서로 접착해주는 바인더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백운석 분말을 가스분출부재(31) 내에 삽입가능한 성형체로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백운석 분말로 된 성형체 뿐만 아니라 백운석 알갱이를 가스발생물질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백운석 알갱이를 가스발생물질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갱이의 크기가 가스분출구(32)의 크기보다 크게 되도록 하여야만, 가스분출구(32)로 백운석 알갱이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가스분출부재(31)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백운석 분말로 된 성형체나 백운석 알갱이로 이루어진 가스발생물질을 포함하는 가스발생체(33)에 열이 가해지면, 아래의 화학 반응식에 따른 화학반응으로 가스발생체(33)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된다.
CaMg(CO3)2 → CaMgO2 + 2CO2
가스발생물질의 다른 실시예로서 일정 온도 이상(알려진 바로는 500℃ 내지 800℃)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석회석(CaCO3)의 분말로 된 성형체를 사용할 수 도 있다.
석회석 분말로 된 성형체도 백운석 분말로 된 성형체와 같이 고온 고압으로 석회석 분말을 가열 및 가압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석회석 분말을 서로 접착해주는 바인더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석회석 분말을 가스분출부재(31) 내에 삽입가능한 성형체로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석회석 알갱이를 가스발생물질로 사용할 수도 있다.
석회석 알갱이를 가스발생물질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알갱이의 크기가 가스분출구(32)의 크기보다 크게 되도록 하여야만, 가스분출구(32)로 석회석 알갱이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가스분출부재(31)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석회석 분말로 된 성형체나 석회석 알갱이로 이루어진 가스발생물질을 포함하는 가스발생체(33)에 열이 가해지면 아래의 화학 반응식에 따른 화학반응으로 가스발생체(33)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된다.
CaCO3 → CaO + CO2
전로(1) 내의 용강(3)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전술된 화학 반응식을 따라 가스발생체(33)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가스분출부재(31)의 가스분출구(32)를 통해 분출되게 된다.
가스발생물질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백운석 또는 석회석 분말로 된 성형체나 백운석 또는 석회석 알갱이 이외에도 용강(3)의 열에 의해서 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트의 일실시예의 가스분출부재와 다트 헤드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가스분출부재(31)에 전술된 바와 같은 백운석 또는 석회석 분말로 된 성형체나 백운석 또는 석회석 알갱이로 이루어진 가스발생물질을 포함하는 가스발생체(33)를 삽입한다.
이후, 다트 헤드(21)에 형성된 연결홈(25)에 가스분출부재(31)의 일측을 끼워넣으면 가스발생체(33)가 삽입된 가스분출부재(31)의 일측을 다트 헤드(21)에 연결시킬 수 있다.
가스분출부재(31)의 다트 헤드(21)로의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연결홈(25)에 암나사산을 형성시키고 가스분출부재(31)의 일측에 수나사산을 형성시키어 스크류 체결형태로 조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외에도 가스발생체(33)가 삽입된 가스분출부재(31)의 일측을 다트 헤드(21)에 연결시키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전로(1)에서의 정련이 끝난 용강(3)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강구(2)를 통해서 전로(1) 밖으로 배출된다.
용강(3)이 출강구(2)를 통해서 전로(1) 밖으로 배출되면, 전로(1) 내에서의 용강(3)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된다.
출강구(2)로의 용강(3)의 출강이 원활하지 못하면 전술된 바와 같이 북반구의 경우에는 용강(3)에 지구자전에 의한 전향력에 의해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와류(5)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다트(10)를 전로(1) 내에 투입하면, 용강(3)에 의해서 가스분출부재(31)의 가스발생체(33)에 열이 가해지게 된다.
가스발생체(33)에 가해진 열에 의해서 가스발생체(33)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이산화탄소 가스는 가스분출부재(31)의 가스분출구(32)를 통해 분출되게 된다.
가스분출구(32)를 통해서 분출되는 가스는 전체적으로 시계반대방향을 이루므로 다트 본체(20)에는 이와는 반대방향의, 즉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용강(3)에 발생된 와류(5)에 본 발명에 따른 다트(10)가 가스를 분출하면서 위치하게 되면, 용강(3)에 발생된 와류(5)의 시계반대방향의 회전력이 가스 분출로 인해서 다트 본체(20)에 작용하는 시계방향의 회전력에 의해서 감쇄되거나 상쇄되게 된다.
이에 따라, 용강(3)에 발생된 와류(5)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와류(5)가 소멸된다.
따라서, 전로(1) 출강시 슬래그(4) 배출의 60%를 차지하는 출강 중기의 와류(5) 발생에 의한 슬래그(4)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서, 전로(1)에서 배출되는 용강(3) 내의 슬래그(4) 함량이 감소되게 된다.
용강(3) 내의 슬래그(4) 함량이 감소되므로 용강(3)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용강(3) 내의 슬래그(4) 함량이 감소되므로, 특수한 성질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 용강에 투입되는 합금성분이 용강(3)의 슬래그(4)와 반응하는 양이 적게 되어 투입되는 합금성분의 양이 감소된다.
따라서, 용강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1은 일반적인 전로의 출강작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종래의 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전로 내에 발생된 와류에 의하여 슬래그가 전로의 출강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트의 일실시예의 주요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트의 일실시예의 가스분출부재와 다트 헤드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로 2 : 출강구
3 : 용강 4 : 슬래그
5 : 와류 6 : 래들
7 : 이동대차 10, 100 : 다트
20 : 다트 본체 21, 210 : 다트 헤드
22, 220 : 용강배출홈 23, 230 : 다트봉
24, 240 : 철심 25 : 연결홈
30 : 와류 억제수단 31 : 가스분출부재
32 : 가스분출구 33 : 가스발생체

Claims (10)

  1. 출강구(2)가 구비된 노(爐)에 투입되어 슬래그(4)가 상기 출강구(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트 본체(20); 및
    상기 노 내의 용강(3)에서의 와류발생에 의한 슬래그(4)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다트 본체(20)에 구비되어 용강(3)에 발생된 와류를 감쇄시키는 와류 억제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트 본체(20)는
    다트 헤드(21); 및
    상기 다트 헤드(21)의 하부에 구비된 다트봉(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트 본체(20)는
    상기 다트 헤드(21)의 상부에 구비된 철심(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트 헤드(21)에는 하나 이상의 용강배출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억제수단(30)은
    상기 다트 본체(20)에 포함되는 다트 헤드(21)에 구비되되 가스가 분출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가스분출부재(31); 및
    상기 가스분출부재(31)의 내부에 구비되며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체(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분출부재(31)는
    상기 가스발생체(33)가 삽입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일측은 상기 다트 헤드(21)에 연결되고,
    타측은 가스가 분출되는 가스분출구(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분출구(32)는 용강(3)에 발생된 와류(5)의 회전방 향으로 가스가 분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체(33)는 열이 가해지면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물질은 열이 가해지면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백운석(CaMg(CO3)2) 분말로 된 성형체 또는 백운석 알갱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물질은 열이 가해지면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석회석(CaCO3) 분말로 된 성형체 또는 석회석 알갱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트.
KR1020080037300A 2008-04-22 2008-04-22 다트 KR100973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300A KR100973907B1 (ko) 2008-04-22 2008-04-22 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300A KR100973907B1 (ko) 2008-04-22 2008-04-22 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606A true KR20090111606A (ko) 2009-10-27
KR100973907B1 KR100973907B1 (ko) 2010-08-03

Family

ID=4153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300A KR100973907B1 (ko) 2008-04-22 2008-04-22 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751B1 (ko) * 2018-08-31 2020-05-22 주식회사 포스코 배출구 폐쇄 장치 및 방법
KR20240025922A (ko) 2022-08-19 2024-02-27 주식회사 포스코 다트 장치, 다트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출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817B1 (ko) * 2000-12-07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제품용 단자장치 보호커버 및 이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KR200245035Y1 (ko) * 2001-06-11 2001-10-1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
JP2003138313A (ja) * 2001-10-30 2003-05-14 Intocast Japan Kk スラグ除去部材
KR100882094B1 (ko) * 2001-12-05 2009-02-10 주식회사 포스코 전로 출강중 슬래그의 래들 혼입 방지장치
KR100862819B1 (ko) * 2002-07-15 2008-10-13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907B1 (ko) 201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8555B (zh) Method of refining molten iron
JP2010111940A (ja) 真空脱ガス装置における複合ランスを用いた加熱・精錬方法
US7914602B1 (en) Process to reduce steel furnace slag carry-over during tapping
KR100973907B1 (ko) 다트
TWI652350B (zh) Melting iron desulfurization method and desulfurization device
JP6477333B2 (ja) スラグのフォーミング抑制方法
JP5855477B2 (ja) 溶銑の精錬方法
EP0171438A1 (en) Method for regulating components of molten iron flowing from shaft furnace
JP6753476B2 (ja) スラグフォーミング鎮静材及びスラグフォーミング鎮静方法並びに転炉吹錬方法
ES2934857T3 (es) Método para refinar metal fundido utilizando un convertidor
CN107250386A (zh) 用于金属制造和精炼的吹炼枪组件
JP5289906B2 (ja) 脱りん処理におけるフォーミング抑制方法
KR100423450B1 (ko) 전로에서 출강중 용강의 탈산방법
JP2019090078A (ja) 吹き込み用浸漬ランス及び溶融鉄の精錬方法
JP6358039B2 (ja) 溶鋼の脱硫方法
JP6939733B2 (ja) 減圧下での溶鋼の精錬方法
WO2005080610A8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metaux et alliages et installation destine a sa mise en oeuvre
JP6760237B2 (ja) 溶銑の脱珪処理方法
JP6798342B2 (ja) 低窒素鋼の溶製方法及びガス吹き付け装置
JP5289907B2 (ja) スラグのフォーミングを抑制するための酸化鉄源の投入方法
KR102156717B1 (ko) 전극봉 및 용강 처리 방법
JPH01252716A (ja) 溶融金属内への粉体吹込方法および粉体吹込用ランス
JP2018003132A (ja) 溶銑の精錬方法
JP6766796B2 (ja) スラグの鎮静方法
JP6466733B2 (ja) 溶銑の脱りん処理における固体酸素源の供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