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035Y1 -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035Y1
KR200245035Y1 KR2020010017348U KR20010017348U KR200245035Y1 KR 200245035 Y1 KR200245035 Y1 KR 200245035Y1 KR 2020010017348 U KR2020010017348 U KR 2020010017348U KR 20010017348 U KR20010017348 U KR 20010017348U KR 200245035 Y1 KR200245035 Y1 KR 200245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vortex
preventing
outflow
molten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문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7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0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03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와류방지용 슬래그(Slag) 유출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로 내의 용강 출강시 슬래그에 형성되는 와류(Vortex)를 방지하여 슬래그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와류방지판(9, 9')과, 이를 고정하면서 중앙부에 연결봉 관통구(11)가 형성된 와류방지판 고정베이스(10)로 이루어지는 슬래그 와류방지부(8)와, 와류방지판 고정베이스(10)에 형성된 연결봉 관통구(11)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연결봉(12)을 구비하면서 출강구(6)에 위치하여 용강(4)을 배출하고 슬래그(3) 유출을 방지하는 다트부(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는 전로 내의 용강출강시 출강중기 이후부터 출강구 직상부에 투입되어 슬래그 와류형성을 억제하여 출강시 슬래그 유출을 최소화함으로써 합금철의 실수율과 복인량을 증가시키고, 연속주조시 노즐막힘 현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APPARATUS FOR DECREASING OUTFLOW OF SLAG WITH PREVENTING VORTEX OF SLAG}
본 고안은 와류방지용 슬래그(Slag) 유출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로 내의 용강 출강시 슬래그에 형성되는 와류(Vortex)를 방지하여 슬래그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물질인 슬래그는 용강에 비하여 비중이 낮기 때문에 순수용강의 표면 위로 상승하여 용강의 상부에 부유하게 되는데, 이러한 슬래그는 전로 내에서 각종 반응을 통하여 발생하게 되며, 전로의 출강구를 통한 용강의 배출시 슬래그 유출량이 증가하게 되면 래이들 용강의 복인량이 감소하게되고, 용강의 탈산을 위한 탈산제 첨가량이 증가하게되며, 따라서 최종 얻어지는 합금철의 실수율도 감소하게 된다.
더욱이, 전로에서 용강을 출강할 때 슬래그 혼입량이 증가하게 되면 탈산생성물이 다량 생성되어 연속주소시 슬래그에 의한 석출물이 용강중에 섞여 배출되므로 배출노즐이 점점 좁아져 막히게 되어 슬래그 배출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로의 출강시 슬래그 유출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출강초기에는 전체 슬래그 유출량의 약 15%를 차지하며, 그 주요원인은 전로의 경동시 출강구로부터 유출되며, 출강중기에는 출강되는 용강에 의한 와류(Vortex) 형성으로 인하여 슬래그가 유출되는데, 형성되는 와류는 전로의 출강구로 배출되는 용강에 의하여 상하부 압력차가 발생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 때의 슬래그 유출량을 전체의 62%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며, 출강말기에는 전로의 직립시 출강구로부터 슬래그가 전체 유출량의 23%가 유출되는데, 이는 슬래그 커팅(Cutting)작업으로 제거할 수 가 있다.
이러한 상기 출강중기의 슬래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츨강구 직상부에 슬래그와 용강의 중간 비중을 갖는 슬래그 볼(Slag Ball)을 투입하여 출강 말기의 술래그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으며, 래이들에 설치한 슬래그 포트(Port)에 출강하여 슬래그를 포트 내에 남겨서 포트를 꺼내는 방법과, 출강초기에 석회석과 같은 슬래그 경화제를 투입하여 슬래그를 경화시켜 유출을 방지하는 방법과, 전로 출강구 직상부에 용강과 유사한 비중을 갖는 다트(Dart) 장치를 위치시켜 슬래그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슬래그 유출방지를 확실히 하기 위하여 전로 출강구에 공압 개폐장치(Pneumatic Slag Stopper)와 슬래그 유출감시장치(EMLI) 등을 채용하여 술래그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방지장치중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로(1) 출강구(6) 직상부에 용강(4)과 유사한 비중을 갖는 다트(Dart)(2) 장치를 위치시켜 슬래그(3)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슬래그 방지용 다트(2)의 경우, 확대 상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강중기에 배출되는 용강(4)에 의한 슬래그(3)층의 와류(Vortex)(7)의 형성으로 슬래그의 유출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본 고안은 전로 내의 용강 출강시 출강구에 위치하여 슬래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슬래그 방지용 다트(Dart) 상부에 슬래그 와류방지부를 구비하여 슬래그 와류형성을 억제하여 슬래그 유출을 방지하는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출강구 다트장치가 전로 내에 투입되어 기능을 발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출강구 다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의 슬래그 와류방지부를 나타내는 세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가 전로 내에 투입되어 기능을 발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로 2:다트 3:슬래그 4:용강 5:래이들 6:출강구 7:와류
8:와류방지부 9:와류방지판 10:고정베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로 내의 용강 출강시 출강구에 위치하여 슬래그 유출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와류방지판과, 이를 고정하면서 중앙부에 연결봉 관통구가 형성된 와류방지판 고정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슬래그 와류방지부와, 이의 슬래그 와류방지부의 와류방지판 고정베이스에 형성된 연결봉 관통구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연결봉을 구비하면서 출강구에 위치하여 용강을 배출하고 슬래그 유출을 방지하는 다트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슬래그 와류방지부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와류방지판 고정베이스의 좌우 측부의 맞은 편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류방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출강시 배출되는 용강에 의한 와류에 의해서 형성되는 슬래그 와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은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의 슬래그 와류방지부를 나타내는 세부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래그 유출방지용 다트장치(2) 상부에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와류방지부(8)를 위치시켜 용강배출시 슬래그에 형성되는 와류(7)를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즉, 용강배출시 전로(1)의 출강구로 배출되는 용강에 의하여 상하부 압력차가 발생하여 형성되는 와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와류방지판(9, 9')을 양측부에 구비하는 와류방지판 고정베이스(1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11)에 종래 다트장치(2)의 연결봉(12)을 관통시켜 고정클립(13)으로 고정하여 전로의 용강배출시 출강구 직상부에 투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와류방지부(8)의 재료는 용강에 의한 용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재를 이용하며, 특히 용강과 슬래그의 중간정도의 비중을 가지는 내화재를 이용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가 전로 내에 투입되어 기능을 발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는 전로(1) 내의 용강(4)을 출강구(6)를 통하여 레이들(5)로 배출할 때, 출강중기에 출강구(6) 직상부에 투입되어 용강을 배출하게 되는데, 확대 상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강배출에 의한 상하부 압력차에 의해서 형성되는 슬래그 와류(7)의 형성을 억제하여 출강중기 이후 슬래그(3) 유출을 최소화하여 양질의 용강(4)을 배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는 전로 내의 용강출강시 출강중기 이후부터 출강구 직상부에 투입되어 용강배출에 의한 상하부 압력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슬래그의 와류형성을 억제하여 출강시 슬래그 유출을 최소화하여 합금철의 실수율과 복인량을 증가시키고, 연속주조시 노즐막힘 현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로(1) 내의 용강(4) 출강시 출강구(6)에 위치하여 슬래그(3) 유출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와류방지판(9, 9')과, 이를 고정하면서 중앙부에 연결봉 관통구(11)가 형성된 와류방지판 고정베이스(10)로 이루어지는 슬래그 와류방지부(8)와,
    상기 슬래그 와류방지부(8)의 와류방지판 고정베이스(10)에 형성된 연결봉 관통구(11)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연결봉(12)을 구비하면서 출강구(6)에 위치하여 용강(4)을 배출하고 슬래그(3) 유출을 방지하는 다트부(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와류방지부(8)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와류방지판 고정베이스(10)의 좌우 측부의 맞은 편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류방지판(9, 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
KR2020010017348U 2001-06-11 2001-06-11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 KR200245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348U KR200245035Y1 (ko) 2001-06-11 2001-06-11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348U KR200245035Y1 (ko) 2001-06-11 2001-06-11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035Y1 true KR200245035Y1 (ko) 2001-10-17

Family

ID=7306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348U KR200245035Y1 (ko) 2001-06-11 2001-06-11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0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213A (ko) * 2002-08-05 2004-02-14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혼입 억제형 슬래그 다트
KR100973907B1 (ko) * 2008-04-22 2010-08-03 주식회사 포스코 다트
KR102132972B1 (ko) 2020-01-13 2020-07-13 유한회사 신성종합개발 볼텍스 킬러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213A (ko) * 2002-08-05 2004-02-14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혼입 억제형 슬래그 다트
KR100973907B1 (ko) * 2008-04-22 2010-08-03 주식회사 포스코 다트
KR102132972B1 (ko) 2020-01-13 2020-07-13 유한회사 신성종합개발 볼텍스 킬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2021B1 (en) Refractory article for preventing vortexing in a metallurgical vessel
KR101087318B1 (ko) 극저 탄소 주물편의 제조 방법
KR200245035Y1 (ko) 와류방지용 슬래그 유출저감장치
CA11399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lag and pouring molten steel out of a container such as a converter or the like
EP2373447B1 (en) Tundish impact pad
CA1234961A (en) Tundish with fluid flow control structure
JP2006088219A (ja) 溶融金属注湯ノズル及びその設置構造並びに溶融金属の注湯方法
KR100396090B1 (ko) 레이들의 포러스 플러그
KR101066761B1 (ko) 턴디쉬용 스토퍼
Badr et al. Refractory Solutions to Improve Steel Cleanliness
CN212734129U (zh) 一种导流冲击垫
KR200167562Y1 (ko) 연속주조용 침지노즐
CN219378957U (zh) 一种浸入式水口分流器
KR100779714B1 (ko) 침지노즐 폐쇄장치
CN106623879A (zh) 一种t型中间包用控流装置
CN111451489A (zh) 一种导流冲击垫
US20210323055A1 (en) Method of molten metal casting utilizing an impact pad in the tundish
KR100985299B1 (ko) 침지노즐
KR100328938B1 (ko) 전로슬래그유출방지장치
JPS6174762A (ja) 異鋼種の連続鋳造方法
KR940007145Y1 (ko) 고로의 대탕도내 용선레벨 자동조절장치
KR20010001094U (ko) 턴디쉬내의 고청정강 제조용 이중 댐
KR950008975Y1 (ko) 슬라브 고속주조용 침지노즐
KR100244629B1 (ko) 턴디쉬 슬래그 혼입방지용 롱노즐
KR20040013213A (ko) 슬래그 혼입 억제형 슬래그 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