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819B1 - 슬래그 다트 - Google Patents

슬래그 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819B1
KR100862819B1 KR1020020041224A KR20020041224A KR100862819B1 KR 100862819 B1 KR100862819 B1 KR 100862819B1 KR 1020020041224 A KR1020020041224 A KR 1020020041224A KR 20020041224 A KR20020041224 A KR 20020041224A KR 100862819 B1 KR100862819 B1 KR 100862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dart
specific gravity
molten steel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942A (ko
Inventor
최규인
정필교
박재하
장광일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41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819B1/ko
Publication of KR20040007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45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9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for retaining slag during the pouring of the metal or retaining metal during the pouring of the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53Tapholes; Opening or plugg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전로의 출강 작업중 용강의 출강작업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전로 출강구를 폐쇄시키어 용강상의 슬래그가 래들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래그 다트를 제공한다.
상기 슬래그 다트(120)는, 슬롯(122a)이 형성되고 전로 출강구(102)를 폐쇄시키는 다트헤드(122); 및, 상기 다트헤드(122)를 관통하여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결되는 강재로드(130)의 외곽으로 다수개의 유닛(126)들이 연결 조립되어 전로 출강구(102)내에 삽입토록 구성된 슬리브(124);를 포함하고, 상기 다트헤드(122)는 원주면(122b)이 개구되어 슬래그 또는 용강이 유입되어 다트헤드의 비중을 조정하는 다수의 비중조정홀(140)을 갖추며, 상기 비중조정홀은 전로(100)내의 슬래그(S)와 용강(M)간의 계면(T)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어 전로 투입시 슬래그가 유입되어 비중을 조정하는 제 3 비중조정홀(140c)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슬래그 다트 투입기를 이용하여 슬래그 다트를 출강구 상부에서 낙하시 슬래그 다트의 비중 및 낙하속도에 의해 출강구에 투입과 동시에 슬래그 다트가 출강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슬래그와 용강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다트헤드의 비중을 조정하기 때문에, 비중 조정폭이 다양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로, 전로출강구, 용강출강, 래들, 슬래그, 슬래그다트

Description

슬래그 다트{A SLAG DART}
도 1은 종래 슬래그다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슬래그다트를 도시한 조립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중 조정이 용이한 슬래그 다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비중조정홀이 용강과 슬래그 계면 상측에 위치되는 슬래그 다트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b)는 비중조정홀이 용강과 슬래그 계면 하측에 위치되는 슬래그 다트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슬래그 다트의 다트헤드 및 이에 형성되는 비중조정홀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용강과 슬래그 계면 상,하측에 5열의 제 1 비중조정홀이 형성된 다트헤드를 도시한 단면도
(b)는 용강과 슬래그 계면 상,하측에 3열의 제 1 비중조정홀이 형성된 제 다트헤드를 도시한 단면도
(c)는 용강과 슬래그 계면 하측에 제 2 비중조정홀이 형성된 다트헤드를 도시한 단면도
(d)는 용강과 슬래그 계면 상측에 제 3 비중조정홀이 형성된 다트헤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비중 조정이 용이한 슬래그다트에서 다른 원추형 비중조정홀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비중 조정이 용이한 슬래그다트에서 비중조정홀의 내부에 연소재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로 110.... 래들
120.... 슬래그 다트 122... 다트헤드
124.... 슬리브 126.... 슬리브 유닛
130.... 강재로드 140.... 비중조정홀
150.... 연소재 M....용강
S.... 슬래그 T.... 슬래그와 용강의 계면
본 발명은 전로의 출강 작업중 용강의 출강작업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전로 출강구를 폐쇄시키어 용강내의 슬래그가 래들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래그 다트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슬래그 다트 투입기를 이용하여 슬래그 다트를 출강구 상부에서 낙하시 슬래그 다트의 비중 및 낙하속도에 의해 출강구에 투입과 동시에 슬래그 다트가 출강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슬래그와 용강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다트헤드의 비중을 조정하기 때문에, 비중 조정폭이 다양하여 사용이 편리한 비중 조정이 용이한 슬래그 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에서 제조된 용철을 전로로 옮겨 산소 취련등의 정련작업과 기타 합금화처리를 행한 후 래들(laddle)로 용강을 출강하는 일관제철소에서 뿐만 아니라, 고철 등의 철원을 전기로 전로에서 아크열로 용융시켜 정련 및 합금화처리를 행한 후 래들로 용강을 출강하는 전기로업체에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로(100)로부터 래들(110)로 용강(M)을 출강시키는 작업시 정련공정에서 발생하여 용강(M)의 상부면에 비중 차이로 존재하는 슬래그(slag)(S)를 용강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즉, 전로(100)의 출강구(102)를 통하여 전로의 경동작업을 통하여 용강(M)을 래들(110)에 출강시키는 경우에는, 용강의 정련작업시 발생되는 용강보다 비중이 작은 슬래그(S)가 래들(110)에 혼입되지 않게 해야 하는데, 이는 슬래그가 정련공정을 거친 용강의 성분을 변화시키기 때문이고, 결국 효율적인 출강작업의 성패는 래들로 혼입되는 슬래그의 양을 얼마나 최소화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래그 다트(120)는,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슬롯(122a)이 다수개 형성되고 내화물로 속이 채워지게 제조된 깔대기 형상의 다트헤드(122)와, 상기 다트헤드(122)의 하부에 전로(100)의 출강구(102)에 삽입되도록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돌출부(126a)와 요홈(126b)을 갖춘 다수개의 유닛(126) 들이 조립되는 슬리브(124) 및, 상기 슬리브 (124)와 다트헤드(122)를 일체로 통과하여 다트헤드(122)의 상,하측 및 슬리브 하단부에 와셔(128)가 용접되어 다트헤드 (122)와 슬리브(124)를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고정시키는 강재로드(130)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종래의 슬래그다트(120)는 비중이 2.3인 슬래그 (slag)와 비중이 6.8 인 용강의 중간범위로 3~6의 비중을 갖는 슬래그 다트를 수요가가 원하는 대로 제작하여 사용하는데, 극저탄소강의 경우에 비중이 4.5-6으로 제작된 슬래그 다트(120)의 경우에는, 다트투입기(미도시)를 이용 출강구 상부에서 낙하시 비록 슬래그 다트가 용강의 비중보다는 낮지만 슬래그 다트(120)의 자체 자중과 전로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는 속도에 의해 슬래그다트(120)는 투입시 바로 전로 출강구(102)를 폐쇄시키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경우 용강의 출강이 진행중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즉, 전로의 용강 출강시 출강초기, 출강중기 및 출강말기로 나눈다면, 용강의 출강이 완료되지 않은 출강 말기 예를 들어, 용강의 전로 잔존량이 줄어든 용강의 출강말기에 슬래그다트를 투입시키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중과 낙하가속도에 의하여 용강이 완전하게 출강되지 않은 시점에서 바로 슬래그 다트(120)에 의하여 전로 출강구(102)를 폐쇄시키는 것이고, 이때 슬래그의 래들 혼입을 완전하게 차단하지만, 용강의 완전출강이 이루어 지지않는 더 큰 문제를 초래하는 것이다.
통상, 전로의 출강구(102)측에는 용강의 볼텍스(vortex,소용돌이)현상이 발생하고, 투입된 슬래그 다트가 낙하하려는 자연법칙에 의하여 출강구(102)의 내부에는 강한 (-)압이 가해지게 되어 전로 출강구(102)에 투입되어 폐쇄하는 슬래그 다트(120)는 출강구(102)에서 상부로 부상하지 못하고 출강구를 폐쇄시키게 된다.
결국, 용강의 출강이 거의 완료되는 시점에서 슬래그 다트가 전로 출강구를 폐쇄시키지 않고, 미리 전로 출강구(102)를 슬래그 다트(120)가 폐쇄시키면, 슬래그 다트의 다트헤드(122)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slot)(122a)를 통하여만 용강이 빠져나갈 수 있어 용강의 출강시간이 지연되어 생산 장애는 물론, 심한 경우 용강의 온도하락으로 회송 처리되는 문제점을 초래하는 것이다..
반대로, 극저탄소강의 경우 비중이 4 이하인 슬래그 다트(120)를 사용하는 경우, 극저탄소강의 특징인 용강탄소 0.04%이하를 관리함으로 인하여, 슬래그중에 철(T.Fe)성분이 증가하여 슬래그 비중이 4 이상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4 이하의 비중을 갖는 슬래그 다트(120)는 반대로 용강의 출강말기 슬래그의 래들 혼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래그 다트의 자체 비중을 조정하도록 한 비중조정이 가능한 슬래그 다트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0-212627호에서 개시되고 있는데, 상기 공보에서 개시된 슬래그 다트는 다트헤드의 상부측에 비중조정부를 형성시키어 슬래그 다트가 전로에 투입되면, 상기 비중조정부에 슬래그가 유입되어 슬래그 다트의 자체 비중을 조정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공보에서 개시된 종래의 다른 슬래그 다트는 다트헤드의 상부측 중앙부에 비중조정부인 홈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슬래그 다트가 슬래그와 용강의 계면부분에 다트헤드의 중앙부분이 위치된다는 점에서, 상기 종래의 다른 슬래그 다트는 슬래그만이 비중조정홀에 유입되어 슬래그 다트의 비중을 조정하기 때문에, 비중 조정폭이 다양하지 못하고, 특히 다트헤드의 상부 중앙측에 비중조정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다트투입기에 슬래그 다트를 장착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고리의 설치가 매우 어려운 사용상의 불폄함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슬래그 다트 투입기를 이용하여 슬래그 다트를 출강구 상부에서 낙하시 슬래그 다트의 비중 및 낙하속도에 의해 출강구에 투입과 동시에 슬래그 다트가 출강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슬래그와 용강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다트헤드의 비중을 조정하기 때문에, 비중 조정폭이 다양하여 사용이 편리한 비중 조정이 용이한 슬래그 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전로의 용강 출강시 슬래그의 래들 혼입을 방지토록 전로 출강구를 폐쇄시키는 슬래그 다트에 있어서,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전로 출강구를 폐쇄시키는 다트헤드; 및, 상기 다트헤드를 관통하여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결되는 강재로드의 외곽으로 다수개의 유닛들이 연결 조립되어 전로 출강구내에 삽입토록 구성된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트헤드는 원주면이 개구되어 슬래그 또는 용강이 유입되어 다트헤드의 비중을 조정하는 다수의 비중조정홀들을 갖춘 슬래그 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종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슬래그다트(12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슬래그 다트(120)는 실질적으로 전로(도 1의 100)의 출강구 (102)를 폐쇄시키는 다트헤드(122)와, 상기 다트헤드(122)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신장토록 연결 조립되어 슬래그다트(120)가 전로에 투입되면 다트헤드(122)가 뒤집어 지지 않고 전로 출강구의 폐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전로 출강구(102)에 삽입되는 슬리브(124) 및, 슬래그 다트(120)의 비중 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다트헤드 (122)에 갖추어진 비중조정홀(140)로서 나누어 질 수 있다.
즉, 상기 다트헤드(122)는 깔때기 형상으로 그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슬롯(122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슬롯(122a)은 전로 출강구를 슬래그 다트(120)가 폐쇄시키어도 미량의 잔존 용강이 통과하여 래들에 장입되도록 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124)는 여러개의 유닛(126)들이 몰타르로 그 상하 접촉 면이 접착된 상태에서 내측을 통과하고 상기 다트헤드(122)의 상,하측에서 와셔 (128)로서 고정되는 강재로드(130)에 의하여 슬리브(124)로 형성되는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124)는 슬래그 다트(120)의 전로 투입시 전로 출강구 (102)내에 삽입되게 된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슬래그 다트(120)의 특징적 구성인 비중조정홀(14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비중조정홀(140)은 상기 다트헤드(122)는 원주면(122b) 즉, 하방으로 경사진 원주면(122b)을 따라 순차로 배열되면서 일정폭과 깊이로 개구되어 슬래그 또는 용강이 유입되어 다트헤드(122)의 비중을 조정하여 전체적으로 슬래그 다트(120)의 비중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비중조정홀(140)은 다시 제 1-3 비중조정홀 (140a)(140b)(140c)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제 1-3 비중조정홀(140)들을 구분하는 기준은 전로(100)내의 슬래그(S)와 용강(M)간의 계면(T)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가가 그 구분기준이 되는데, 이를 상세하세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론, 상기 다트헤드(122)는 투입후 계면(T)상에 그 중앙부가 위치되도록 비중조정이 조정되어 제작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먼저, 도 4a 및 도 4b에서는 본 발명인 슬래그 다트(120)의 제 1 비중조정홀 (140a)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비중조정홀(140a)은 전로 (100)내의 슬래그(S)와 용강(M)간의 계면(T)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모두 형성되어 전로 투입시 슬래그(S)와 용강(M)이 동시에 하나의 다트헤드(122)에 유입되어 슬래그 다트(1)의 비중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a 및 도 4b에서는 슬래그와 용강의 계면(T)상에 위치되는 중앙의 비중조정홀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각각 2열 및 1열의 비중조정홀이 형성되어 슬래그 다트(120)의 전로 투입시 슬래그(S)와 용강(M)이 동시에 다트헤드(122)내에 유입되어 슬래그 다트의 비중을 조정하도록 하는 전체적으로 5열, 3열의 제 1 비중조정홀(140a)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비중조정홀(140a)을 갖춘 슬래그다트 (120)는 전로 투입시 용강의 탄소성분에 따라 비중이 각각 2-3 및 6-7인 슬래그(S)와 용강(M)이 동시에 다트헤드(122)내에 유입되기 때문에, 용강의 출강상태 즉, 용강의 출강 완료시점을 감안하여 슬래그 다트(120)를 급속하게 낙하 및 하강시키어 신속하게 출강구(102)를 폐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4c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비중조정홀(140b)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비중조정홀(140b)은 전로(100)내의 슬래그(S)와 용강(M)간의 계면(T)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어 전로 투입시 용강(M)만이 유입되기 쉽기 때문에, 용강의 탄소성분에 따라 용강의 비중만을 감안하여 슬래그 다트(120)의 비중을 조정할 수 있어 그 비중조정이 용이한 것이다.
다음, 도 4d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비중조정홀(140c)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비중조정홀(140c)은 전로(100)내의 슬래그(S)와 용강(M)간의 계면(T)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어 전로 투입시 슬래그(S)만이 유입되기 쉽기 때문에, 용강의 탄소성분에 따라 슬래그의 비중만을 감안하여 슬래그 다트(120)의 비중을 조정할 수 있어 그 비중조정이 용이한 것이다.
따라서, 도 4c 및 도 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3 비중조정홀(140b) (140c)은 제 1 비중조정홀(140a)에 비하여 유입되는 성분이 슬래그 또는 용강에 한정되기 쉽기 때문에, 슬래그 다트의 급속한 낙하 및 하강이 제 1 비중조정홀(140a)보다는 지연되지만, 슬래그 또는 용강 비중 하나만을 감안하여 슬래그 다트의 비중을 조정하기 때문에, 비중조정측면에서는 용이하고, 제 3 비중조정홀(140c)에는 비중이 용강에 비하여 낮은 슬래그만이 유입되기 때문에, 그 하강속도가 가장 낮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3 비중조정홀(140a)(140b)(140c)을 갖춘 다양한 슬래그 다트(120)로서 전로내의 용강 출강시점 즉, 용강의 출강량이 어느정도 인지 그리고 용강의 탄소성분을 감안하여 다양하게 적용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슬래그 다트(120)의 비중조정은 용강에 함유된 탄소성분에 따라 조정되어야 하는데, 아래의 표 1에서는 용강내 탄소함유량에 따른 비중조정홀의 형성갯수를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용강내 탄소성분과 비중조정홀들의 형성갯수
탄소함유량 (중량%) 제 1 비중조정홀 (5열)(도4a)(홀수) 제 1 비중조정홀 (3열)(도4b)(홀수) 제 2 비중조정홀 (도4c)(홀수) 제 3 비중조정홀 (도4d)(홀수)
0.05 이하 20 12 5 30
0.05-0.10 15 9 4 25
0.11-0.30 10 6 3 20
0.30 이상 5 3 2 15
따라서, 상기 표 1에 의하면, 각각의 제 1-3 비중조정홀(140a)(140b)(140c)들을 용강내 탄소함유량에 따라 선택하여 홀갯수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상기 제 1-3 비중조정홀(140)들은 5-10mm의 직경과 20-50mm의 깊이로 다트헤드(122)에 가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경우 상기 비중조정홀들의 직경이 5mm 이하이면, 슬래그(S) 또는 용강(M)의 홀내유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10mm 이상이면, 상기 비중조정홀(140)들이 실제로 가공 형성되는 다트헤드(122)가 비중조정홀의 직경이 커서 용강에 쉽게 침식되면서 전로 출강구(102)를 슬래그 다트(120)가 막아도 슬래그의 유출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중조정홀(140)들의 형성깊이도 20mm 보다 작으면 실제 슬래그 또는 용강의 유입량이 적어 슬래그 다트의 비중조정기능이 상실되고, 반대로 50mm보다 크면, 다량의 용강이 유입되어 다트헤드의 침식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중조정홀들은 그 내부로의 슬래그 또는 용강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여 슬래그 다트의 자체 비중조정을 원활하게 하도록 홀입구측 보다 내측방향으로 좁아지는 원추형형상(140')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이 경우에도 앞의 수치를 감안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중조정홀(140)들의 내부에 종이 또는 왕겨등과 같이 슬래그 다트의 전로 투입시 고온으로 연소되어 슬래그 또는 용강의 비중조정홀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연소재(150)의 삽입도 바람직하다.
즉, 용강의 출강말기시 다수의 비중조정홀(140)을 갖춘상태에서 상기 연소재 (150)로 채워진 슬래그 다트(120)는 전로에 투입되어도 바로 슬래그 또는 용강이 상기 비중조정홀(140)들에 유입되지 않고 연소된후 유입되기 때문에, 초기 비중이 낮아진 슬래그 다트가 낙하가속도등을 감안하더라도 전로 출강구(102)를 바로 폐쇄시키지 않고 연소재(150)의 연소후 슬래그 또는 용강이 유입되어 비중이 높아진 다음 출강구를 막기 때문에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연소재(150)는 종이, 왕겨 또는 나무등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고, 이경우 미차이지만 나무가 가장 연소가 지연되는 점을 감안하여 연소재의 사용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비중 조정이 용이한 슬래그 다트에 의하면, 슬래그 다트 투입기를 이용하여 슬래그 다트를 출강구 상부에서 낙하시 슬래그 다트의 비중 및 낙하속도에 의해 출강구에 투입과 동시에 슬래그 다트가 출강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용강의 미출강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슬래그와 용강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다트헤드의 비중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슬래그 다트의 비중 조정폭이 다양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전로의 용강 출강시 슬래그의 래들 혼입을 방지토록 전로 출강구를 폐쇄시키는 슬래그 다트에 있어서,
    다수의 슬롯(122a)이 형성되어 전로 출강구(102)를 폐쇄시키는 다트헤드 (122); 및, 상기 다트헤드(122)를 관통하여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결되는 강재로드 (130)의 외곽으로 다수개의 유닛(126)들이 연결 조립되어 전로 출강구(102)내에 삽입토록 구성된 슬리브(124);를 포함하고,
    상기 다트헤드(122)는 원주면(122b)이 개구되어 슬래그 또는 용강이 유입되어 다트헤드의 비중을 조정토록 하는 다수의 비중조정홀들을 갖추며,
    상기 비중조정홀은 전로(100)내의 슬래그(S)와 용강(M)간의 계면(T)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어 전로 투입시 슬래그가 유입되어 비중을 조정하는 제 3 비중조정홀(140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조정홀은 전로(100)내의 슬래그(S)와 용강(M)간의 계면(T)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형성되어 전로 투입시 슬래그와 용강이 동시에 유입되어 비중을 조정하는 제 1 비중조정홀(140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조정홀은 전로(100)내의 슬래그(S)와 용강(M)간의 계면(T)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어 전로 투입시 용강이 유입되어 비중을 조정하는 제 2 비중조정홀(14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다트
  4. 삭제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조정홀들은 5-10mm의 직경과 20-50mm의 깊이로 다트헤드(122)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다트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조정홀(140)들의 내부에는 연소재(150)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다트
KR1020020041224A 2002-07-15 2002-07-15 슬래그 다트 KR100862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224A KR100862819B1 (ko) 2002-07-15 2002-07-15 슬래그 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224A KR100862819B1 (ko) 2002-07-15 2002-07-15 슬래그 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942A KR20040007942A (ko) 2004-01-28
KR100862819B1 true KR100862819B1 (ko) 2008-10-13

Family

ID=3731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224A KR100862819B1 (ko) 2002-07-15 2002-07-15 슬래그 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8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76Y1 (ko) 2011-10-31 2013-06-04 (주)한국뮤녹스에너지 슬래그 차단 다트
WO2015020261A1 (ko) 2013-08-07 2015-02-12 (주)우진 슬래그 유출 방지 장치 및 여기에 사용되는 고압가스 분사 랜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907B1 (ko) * 2008-04-22 2010-08-03 주식회사 포스코 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443U (ko) * 1988-07-11 1990-02-06 김기원 옷걸이 걸이대의 조립구
JP2001152230A (ja) * 1999-11-29 2001-06-05 Intocast Japan Kk スラグ除去部材の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52231A (ja) * 1999-11-29 2001-06-05 Intocast Japan Kk スラグ除去部材のヘッド
KR200272310Y1 (ko) * 2002-01-28 2002-04-17 주식회사 영광 래들용 슬래그 유출방지 스토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443U (ko) * 1988-07-11 1990-02-06 김기원 옷걸이 걸이대의 조립구
JP2001152230A (ja) * 1999-11-29 2001-06-05 Intocast Japan Kk スラグ除去部材の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52231A (ja) * 1999-11-29 2001-06-05 Intocast Japan Kk スラグ除去部材のヘッド
KR200272310Y1 (ko) * 2002-01-28 2002-04-17 주식회사 영광 래들용 슬래그 유출방지 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76Y1 (ko) 2011-10-31 2013-06-04 (주)한국뮤녹스에너지 슬래그 차단 다트
WO2015020261A1 (ko) 2013-08-07 2015-02-12 (주)우진 슬래그 유출 방지 장치 및 여기에 사용되는 고압가스 분사 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942A (ko)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007081A1 (de) Rinnenofen
KR100862819B1 (ko) 슬래그 다트
US8591802B2 (en) Vortex inhibitor
KR100999987B1 (ko) 유체 주입 장치 및 주입 방법
EP1181489B1 (de) Lichtbogen- oder widerstandsschmelzofen
EP1373583B1 (de) Vorrichtung zur verhinderung des mitfliessens von schlacke beim abstich einer metallschmelze
KR101010620B1 (ko) 전로 출강시 볼텍스 억제형 슬래그 다트
DE2725813A1 (de) Metallurgischer schachtofen
WO1992010593A1 (de) Boden- oder wandausbildung für ein metallurgisches gefäss
KR100973919B1 (ko) 전로 출강시 슬래그 유출 방지장치
KR20000012230U (ko) 전로의 출강구 슬리브
KR200467276Y1 (ko) 슬래그 차단 다트
KR100862820B1 (ko) 슬래그 다트
JPH03274218A (ja) 多目的三重管ランス
KR200185441Y1 (ko) 슬래그의 초기유출 억제를 위한 용손형 프러그
KR100418753B1 (ko)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
DE403523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senreduktion
KR100635780B1 (ko) 가스 커튼의 형성을 위한 가스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전로 및 출강시 슬래그 유출 방지방법
KR100862840B1 (ko) 연속주조설비의 톱 노즐내로 유입되는 이물질 차단판
KR100966983B1 (ko) 출탕구 개공이 용이한 플러그
KR100356169B1 (ko) 전로 출강시 슬래그 유출 방지방법
DE2903211A1 (de) Lanze zum einspritzen von pulverfoermigem material in eine metallschmelze
KR20030021393A (ko) 슬래그 유출 방지용 다트
DE10235066B4 (de) Schieberlochstein
KR20020092517A (ko) 하주법(下注法)을 이용한 강괴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