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753B1 -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 - Google Patents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753B1
KR100418753B1 KR10-2001-0039269A KR20010039269A KR100418753B1 KR 100418753 B1 KR100418753 B1 KR 100418753B1 KR 20010039269 A KR20010039269 A KR 20010039269A KR 100418753 B1 KR100418753 B1 KR 10041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cutting mechanism
molten metal
tapping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3451A (ko
Inventor
이승환
성해숙
이희영
Original Assignee
이승환
성해숙
이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환, 성해숙, 이희영 filed Critical 이승환
Priority to KR10-2001-0039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75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45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9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for retaining slag during the pouring of the metal or retaining metal during the pouring of the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53Tapholes; Opening or plugg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강 정련공정에서 출탕 중 슬래그 혼입방지를 위해서 사용하는 슬래그 컷팅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강정련 공정중 용융금속의 출탕공정에서 슬래그의 혼입을 방지하고, 용융금속만을 출탕하기 위해 사용되는 슬래그 컷팅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헤드부 형상을 깔대기, 원뿔, 3각뿔 또는 4각뿔 모양의 속이 빈 철강재로 하되, 이것의 내부 중간에 철강판재 등으로 고정하거나 상면에 다수의 홀을 내고, 이 헤드부 상하부에 수직으로 하여 철봉으로 접합(나사형의 끼우는 방법 또는 용접 등)한 후 표면층을 1700℃이상에서 녹지 않는 MgO-Al2O3-C계의 내화재로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강정련 과정에서 출탕시 슬래그 혼입방지를 위하여 투입되는 가볍고 견고하면서 기존의 까다로운 슬래그 컷팅기구는 지금까지 알려진 필수조건을 탈피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제조가 간편해짐에 따라 값싼 슬래그 컷팅기구를 제공할 수 있고, 조업측면에서는 전로출탕작업시 취급이 용이해짐에 따라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 {Slag Cutting Device for Minimizing Carry Over Slag in Steelmaking Process}
본 발명은 제강 정련공정에서 출탕 중 슬래그 혼입방지를 위해서 사용하는 슬래그 컷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로 및 레이들(Ladle) 정련후 용탕을 출탕하는 과정중 출탕말기에 상층의 슬래그(Slag)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전로 및 레이들 내에 투입되는 슬래그 컷팅기구를 구성함에 있어, 헤드부 형상을 깔대기, 원뿔, 3각뿔 또는 4각뿔 모양의 속이 빈 철강재로 하되, 이것의 내부 중간에 철강판재 등으로 고정하거나 상면에 다수의 홀을 내고, 이 헤드부 상하부에 수직으로 하여 철봉으로 접합(나사형의 끼우는 방법 또는 용접 등)한 후 표면층을 1700℃이상에서 녹지 않는 MgO-Al2O3-C계의 내화재로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전로 출탕과정에서 볼텍스 현상에 의해 혼입되는 슬래그의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비중 조정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공정은 용선예비정련∼전로정련∼2차정련공정으로 구성되며, 이 과정을 통해 얻어진 용강은 연속주조공정을 거쳐 수요자가 원하는 주편을 제조한다.
상기의 제강공정에서 전로 및 레이들내 용강 상부에는 반드시 슬래그층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련과정을 거친 용강은 최종품질의 규격을 만족하고자 2차 정련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전로에서 2차 정련을 실시하기 위해 운반 및 정련용기인 수강레이들에 용강이 출탕된다.
도1은 상기의 일례로써 전로(1) 출탕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출탕하는과정에서는 지구의 자전에 의해 생기는 볼텍스(Vortex) 현상 때문에 용강(4)과 슬래그(5)의 자유표면이 형성되어 와류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와류현상에 의해 용강(4) 상부의 비중이 작은 슬래그(5)가 출탕구(2)를 통하여 수강레이들(6)로 유출된다. 이러한 현상은 제강공정에서 단지 수강레이들(6)에서 뿐만 아니라, 각종 비철제조 및 전기로 조업시에도 마찬가지로 출탕을 포함하는 모든 공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상기의 일련의 출탕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와류에 따른 슬래그(5) 혹은 저비중의 상부물질의 혼입과정을 억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 혹은 기구들이 적용되고 있는데, 제강공정 중 전로(1)에서는 출강중기에 용강(4)과 슬래그(5)의 중간 정도의 비중(3.0 ∼ 5.5)을 가지며 내부는 내화성이 강한 산화물과 비중 조정용 철분으로 구성된 구형의 슬래그 볼이 있으며, 이외에도 깔대기 모양의 내부에 철심을 삽입하고 여기에 비중 조정용으로써 고 비중의 크롬산화물과 철산화물을 적정비율로 배합하여 노내에 투입시 슬래그와 용강의 사이에서 부유하고 있다가 적정시점에서 출탕구(2)를 폐쇄하는 슬래그 다트(3, 국내특허출원번호 제1999-4406호 참조)등이 있다. 상기한 슬래그 컷팅기구(Slag Cutting Device)들은 배재-장입-취련-출탕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제강공정을 한 주기로 하여 매주기마다 출탕말기에 슬래그 커팅기구를 투입하여 슬래그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전로 정련작업이 끝난 전로내 용탕을 레이들로 출탕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로를 경동하여 수평방향으로 기울이면서 시작되며 총 출탕시간은 통상 4∼7분이 소요된다. 이때 총출탕시간의 60%∼70% 시점에 슬래그 다트의 전로 출탕구에 상부로부터 삽입을 위해 구동장치를 작동하여 슬래그 다트 철강재 파이트 상단부와 체결 고정한 다음 전로 출탕구 상부로 이동시켜 낙하 삽입할 위치에서 일단 멈춘 후 출탕구에 슬래그 컷팅기구의 하부 철봉 하단부가 출강부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슬래그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투입되는 컷팅기구가 구비해야 할 기본조건은 다음의 것을 만족하여야 한다.
1) 비중이 용강(약7.0)보다 작고, 슬래그(2.5∼3.0)보다 커야한다.
2) 고온의 용강 및 슬래그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용융되지 않고 견뎌
야 하므로 내화재의 융점이 높아야 한다.(1700℃이상)
3) 운반이나 취급이 용이하도록 강도가 높고 상온상태에서 순식간에
고온영역으로 투입되어야 하므로 열충격이 강해야 한다.
4) 고온의 슬래그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내화재 자체가 내침식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한편, 종래 슬래그 유출 방지를 위한 슬래그 컷팅기구들을 살펴보면, 내부에 철이나 강이 내장되고 외부는 내화재료로 구성된 것으로 비중이 슬래그와 용강의 중간정도가 되어 슬래그와 용강의 계면에 위치하고 있다가 슬래그가 유출되기 전에 출탕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2(a)의 슬래그체크볼(Slag Check Ball, 한국 공고특허번호 81-197호)이나 도 2(b)의 슬래그컷팅디스크(Slag Cutting Disc, 한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85-5320호) 또는 도 2(c)의 테이퍼드 후로우팅 프러그(Tapered Floating Plug, 통상 슬래그 다트라고 함)등이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의 것들은 출탕구 상부의 슬래그와 용탕의 계면에 위치해야하고, 그 물질은 상기의 1)∼4)의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내화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국내특허출원번호 제1999-4406호는 전로 출탕말기에 슬래그 유출을 방지하고, 용융금속만을 배출하기 위한 슬래그 다트에 관한 것으로써, 슬래그 다트내부에 홈을 만들어 출탕구를 폐쇄한 후 잔탕이 존재하는데, 출탕구를 폐쇄하더라도 상기한 홈을 통하여 잔탕을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도 2(d) 참조) 이것 또한 다트 헤드부가 내화재로 제조되어야 한다.
상기한 내용이외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0-2443호 (도 2(e))는 슬래그 다트 헤드부인 내화재 내부에 홀을 내어 출탕구가 막힌후에도 잔류용탕을 흘러보낼 수 있도록 한 사례도 있다.
상기한 도 2에 도시한 다양한 종래의 슬래그 컷팅기구는 어느 경우이든 출탕구를 폐쇄하는 재료는 고온에서 내화성이 뛰어나야 하고, 비중은 슬래그와 용탕의 중간영역의 값을 가져야 하며, 열간상태에서 적정 강도 이상을 가져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컷팅기구는 무거워서 다루기가 힘들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래그 컷팅기구들이 갖추어야 하는 조건을 탈피하면서도 슬래그 컷팅기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안출한 것으로, 출탕시 발생되는 와류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슬래그 컷팅기구를 구성하되, 슬래그 컷팅기구를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속이 빈 철강재로 만들어진 헤드부, 투입기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철봉으로 만들어진 헤드부 상면 중심축 부분 및 중공(中孔)의 내화재 슬리브와 그 내부의 철봉으로 조합된 헤드부의 하부 또는 슬래그 컷팅기구의 외부 표층부를 고온의 내화재로 피복한 것으로 구성하여 고온의 출탕과정에서 볼텍스 현상에 의해 혼입되는 슬래그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는, 도 3(a)∼(d)와 같은 깔대기 모양, 원뿔, 3각뿔 또는 4각뿔 모양의 속이 빈 철강재와 이것의 상면에 내부 중간에 도 3(a)와 같이 철강판재 등으로 고정하거나 도 3(b)∼(c)와 같이 다수의 홀(Hole)을 내어 구성하며, 이렇게 구성된 것의 헤드부 상하부에 철봉으로 접합(나사형의 끼우는 방법 또는 용접 등)하여 구성시킨다. 이렇게 구성 된 것에 표면층을 1700℃ 이상의 고온의 슬래그 및 용강에도 견디는 내화재를 피복함으로써 완성된다. 한편 상기의 슬래그 컷팅기구의 헤드부 하면은 중앙부를 연결하는 철봉을 접합할 수 있도록 하되, 하부 연결 철봉 외주면에는 도 4(c)와 같이 내화재의 슬리브로 둘러싸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 즉, 상기의 슬래그 컷팅기구에 있어서, 컷팅기구의 헤드부 하부에 결합되어 전로의 출탕구에 삽입되는 내화물로 제조된 슬리브와 컷팅기구의 헤드부를 조합, 설치하도록 하되 상기 슬리브 내부에 철봉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의 슬래그 컷팅기구의 헤드부 형상이 도 3(c)∼(d)와 같은 3각뿔 또는 4각뿔의 모양인 경우에는 헤드부에 별도의 홈이 없이도 잔탕을 흘러보낼 수 있게 된다. 반면 도 3(a)∼(b)와 같이 깔대기형이나 원뿔형인 경우에는 출탕구 형상이 원형인 경우, 출탕말기 헤드부가 원통형의 출탕구에 폐쇄되었을 때 잔탕이 다량 전로내에 남게 되어 출탕실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기므로 잔탕을 흘려보낼 수 있는 다수의 홈이 필요하게 되므로, 출탕구 컷팅기구 헤드부의 형상이 출탕구와 동일한 구형의 경우에는 홈이 필요하며, 헤드부의 형상이 비구형인 경우에는 홈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조된 슬래그 컷팅기구는 헤드부가 도 4와 같이 속이 빈 철강판재로 되어 있어 종래 적정비중의 내화재로 반드시 제조되어야 하는 것에 비해 자체 비중이 낮아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의 철강판재 바깥 표층 피복층에는 1700℃이상의 고온에서도 용융되지 않는 고융점의 MgO-Al2O3-C 계 내화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제조된 슬래그 컷팅 기구가 출탕과정에서 투입되어 슬래그 혼입을 방지하는 메커니즘(Mechanism)을 도 6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4(a)∼(c)에 도시한 본 발명의 슬래그 컷팅기구는 상온에서 투입기에 의해 출탕구 상부 슬래그와 용탕층 속으로 낙하 투입시 속이 빈 슬래그 컷팅기구 헤드부 상면의 다수의 홀 또는 상층부를 통해 고온의 슬래그 및 용탕이 흘러 들어가서 슬래그와 용탕이 내부에 고이게 된다. 이때 철강판재 외부에 고융점 내화재의 피복층이 있기 때문에 슬래그 컷팅기구의 헤드부의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피복층은 슬래그와 용탕계면에 위치하되, 출탕류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투입개시부터 출탕이 완료될때까지 내침식성을 가지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슬래그 컷팅기구는 출탕중 출탕구 상부에 투입되기 전에 슬래그 비중보다 작으나 출탕구 상부에 낙하 투입되면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슬래그와 용탕과 접촉하면 부력이 발생하여 낙하속도가 줄면서 슬래그와 용강 속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컷팅기구의 속이 빈 헤드부 상면에 뚫어진 다수의 홀을 통해 슬래그와 용탕이 흘러들어가게 되면 슬래그 컷팅기구의 투입전의 비중보다 높아지면서 서서히 부상된다. 이 과정을 거친 슬래그 컷팅기구의 헤드부는 도 6 및 도 7(a)∼(d) 과정을 거쳐 슬래그와 용탕 사이의 계면에 위치하게 되어 별도의 비중조정이 필요없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로의 출탕작업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사용하는 슬래그 유출 방지 기술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슬래그 컷팅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슬래그 컷팅기구의 헤드부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서의 슬래그 혼입방지 기구를 도시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혼입방지 기구를 도시한 제1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혼입방지 기구를 도시한 제2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로 2: 출탕구
3: 슬래그 다트 4: 용강
5: 슬래그 6: 수강레이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로의 슬래그 혼입 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슬래그 컷팅기구는 속이 빈 철강재 표면에 내화재로 피복된 깔대기, 원뿔, 3각뿔, 4각뿔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헤드부와 이 컷팅기구의 상하면 중앙을 철봉으로 연결 조합되도록 만들어진 철봉축과, 헤드부 하면과 결합되는 철봉에 중공(中孔)의 관형상의 슬리브 혹은 1700℃ 이상에서 내침식성을 갖는 피복층, 그리고 컷팅기구의 헤드와 슬리브가 철봉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철봉 하단부의 고정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컷팅기구 제조시 헤드부분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재료는 속이 빈 철강의 판재이고, 상면에는 다수의 구멍을 내어 컷팅기구의 출탕시출탕구 상부 투입시 슬래그 및 용탕이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들을 피복하고 있는 내화재는 1700℃이상의 고융점 MgO-Al2O3-C계로 구성되며, 비중은 슬래그컷팅기구의 출탕구 상부에서 투입시 슬래그와 용탕 속으로 낙하될 때 컷팅기구의 헤드부 상면의 구멍을 통하여 용탕과 슬래그가 흘러들어가게 됨에 의해 자연적으로 슬래그와 용탕의 중간영역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슬래그 컷팅 헤드부와 연결되어 있는 철봉 외주부의 하부홈에 결합되는 중공(中孔)의 내화물로 구성된 슬리브는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슬리브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슬리브는 중앙의 철봉이 관통 삽입되는 슬리브 중공(中孔)과 결합되도록 관형상으로 상단부에는 돌출부와 하단의 홈부가 부정형의 내화시멘트에 의해 접합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형상의 슬리브는 슬래그 컷팅 헤드부 하부의 철봉 외부에 삽입 장착한 후, 철봉의 최하단부에서는 고정핀을 이용하여 조이면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핀의 체결 목적은 조립한 관통형의 내화재 슬리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전로 출탕구에 본 발명의 슬래그 컷팅기구를 사용하면 전로를 경동하여 용탕을 레이들에 출탕할때 용탕상부의 슬래그가 레이들로 혼입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슬래그 컷팅기구 투입시 자연적으로 비중은 슬래그와 용강의 중간영역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슬래그 컷팅기구는 비중조정을 위한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슬래그 컷팅기구 헤드부의속이 빈 철강재의 두께가 얇은 판재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내부에 철강볼타입 또는 적정 크기의 철강재 등을 별도로 넣어 비중을 조정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슬래그 컷팅기구와 본 발명의 슬래그 컷팅기구를 실제 전로출탕시 전로내에 투입하여 나타나는 양상을 도식적으로 표현하여 도 5, 도 6 및 도 7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5는 종래의 것으로 먼저 컷팅기구를 투입장치를 이용하여 출탕구 상부 위치로 이동시켜 도5(a)와 같이 한 다음 컷팅기구를 낙하 투입하면 컷팅기구는 슬래그와 용탕을 통과하면서 자중에 의해 도 5(b)와 같이 내려가게 된다. 다음은 용탕의 부력에 의해 도 5(c)와 같이 다시 부상하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도 5(d)와 같이 슬래그와 용탕 계면에 위치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일례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써, 도 5와 마찬가지로 컷팅기구가 낙하 투입되면 슬래그와 용탕 계면에 위할 때까지의 과정은 같으나, 본 발명의 슬래그 컷팅기구는 출탕구 상부에 도6(a)와 같이 컷팅기구는 투입장치에 의해 출탕구 상부로부터 낙하 투입되면 슬래그와 용탕을 뚫고 통과하면서 하강하고 이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컷팅기구 헤드부 빈공간으로 슬래그와 용탕이 흘러들어가면서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중이 큰 용탕을 아래에, 슬래그는 위에 채워지고, 최종적으로는 도 6(d)와 같이 슬래그와 용탕이 채워진 상태로 컷팅기구는 슬래그와 용탕 계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됨에 따라 슬래그와 용탕 속에 들어있는 컷팅기구는 자연적으로 비중이 슬래그와 용탕의 중간영역에 있을 수밖에 없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강은 전로정련후와 유사한 성분범위를 갖는 용강으로서, C:0.03∼0.06%, Mn:0.08∼0.15%, P:0.012∼0.015%, S:0.010∼0.015%였으며, 용강온도는 1660∼1700℃였다. 슬래그 컷팅기구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기를 이용하여 출탕구 상부로부터 낙하시켜 슬래그와 용강을 통과하도록 하였고 이때의 슬래그 컷팅기구의 투입시점은 종래와 본 발명 모두 동일한 출탕개시 60%이다. 이때 사용된 컷팅기구의 헤드부의 모양은 깔대기 형태이며, 물질 구성 및 비중은 표 1과 같다.
[표 1]
구분 구 성
비중
종래 Cr2O3 Al2O3
MgO Fe2O3
25.1% 24.0%
8.1% 3.540.8%
본 발명 2.9피복층 : MgO-Al2O3-C계외부 : 철강재의 3mm 두께의 판재내부 : 빈 공간
2.9
본 발명의 슬래그 컷팅기구의 출탕중 슬래그 유출 방지효과 및 출탕구 폐쇄직후 잔탕량 및 출강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100톤 규모의 전로를 이용하였다. 종래의 슬래그 컷팅기구와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슬래그 컷팅기구를 출탕 3분경에 슬래그 컷팅기구 투입장치를 이용하여 전로내 출탕구 상부에 투입하였다. 실시횟수는 각각 9회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표 2와 같다.
[표 2]
표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강시간은 본 발명의 슬래그 컷팅기구를 사용한 경우 5.3∼6.5분이고 종래의 것을 사용한 경우는 5.5∼6.3분으로 거의 동등하였으며, 슬래그유출량 또한 종래의 것은 차아지(charge) 당 450∼750kg이고 본 발명의 것은 차아지 당 430∼740kg으로 종래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한편 잔탕량은 본 발명의 경우와 종래의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3 차아지 출강이 완료된 후 슬래그 팬(slag pan)내의 용강 지금을 칭량해 본 결과 3.6톤 및 3톤으로써 차아지당 평균 1.0∼1.2톤의 잔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사실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슬래그 컷팅기구와 종래의 것과는 별다른 유의차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강정련 과정에서 출탕시 슬래그 혼입방지를 위하여 투입되는 가볍고 견고하면서 기존의 까다로운 슬래그 컷팅기구는 지금까지 알려진 필수조건을 탈피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제조가 간편해짐에 따라 값싼 슬래그 컷팅기구를 제공할 수 있고, 조업측면에서는 전로출탕작업시 취급이 용이해짐에 따라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제강정련 공정중 용융금속의 출탕공정에서 슬래그의 혼입을 방지하고, 용융금속만을 출탕하기 위해 사용되는 슬래그 컷팅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헤드부 형상을 깔대기, 원뿔, 3각뿔 또는 4각뿔 모양의 속이 빈 철강재로 하되, 이것의 내부 중간에 철강판재 등으로 고정하거나 상면에 다수의 홀을 내고, 이 헤드부 상하부에 수직으로 하여 철봉으로 접합(나사형의 끼우는 방법 또는 용접 등)한 후 표면층을 1700℃이상에서 녹지 않는 MgO-Al2O3-C계의 내화재로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헤드부 하면은 중앙부를 연결하는 철봉을 접합할 수 있도록 하되, 하부와 연결되는 철봉 바깥을 중공(中孔)의 내화재인 슬리브로 둘러싸고 철봉의 최하단부에서는 고정핀을 이용하여 조이면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슬래그 컷팅기구의 헤드부는 상면에 다수의 홀 및 빈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슬래그 컷팅기구의 출탕구 상부로부터 투입시 슬래그와 용탕 속으로 낙하되어 슬래그 및 용탕을 통과하여 슬래그와 용탕 계면에 위치하는 사이에 컷팅기구의 헤드부 상면의 다수의 홀 및 빈 공간을 통하여 슬래그와 용탕이 흘러 들어가게 됨에 의해 자체 비중이 자연적으로 슬래그와 용탕의 중간영역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
KR10-2001-0039269A 2001-07-02 2001-07-02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 KR10041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269A KR100418753B1 (ko) 2001-07-02 2001-07-02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269A KR100418753B1 (ko) 2001-07-02 2001-07-02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451A KR20030003451A (ko) 2003-01-10
KR100418753B1 true KR100418753B1 (ko) 2004-02-18

Family

ID=2771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269A KR100418753B1 (ko) 2001-07-02 2001-07-02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393A (ko) * 2001-09-06 2003-03-15 이승환 슬래그 유출 방지용 다트
KR100887091B1 (ko) * 2008-09-05 2009-03-04 (주)티엠씨 외장케이블 보호 피복 제조용 철선의 도금층 커팅 장치
CN110029256B (zh) * 2019-04-19 2020-10-23 青海民族大学 一种提高az91镁合金耐腐蚀性能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443Y1 (ko) * 1986-12-30 1990-03-26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슬래그 유출방지 프러그
KR20000055654A (ko) * 1999-02-09 2000-09-15 손성은 제강로의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443Y1 (ko) * 1986-12-30 1990-03-26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슬래그 유출방지 프러그
KR20000055654A (ko) * 1999-02-09 2000-09-15 손성은 제강로의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451A (ko) 200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76844B (zh) 一种清理中间包上水口结瘤物的装置和方法
CN109249013A (zh) 一种用于精炼钢包的引流砂填充结构及加砂工艺
CN105364028A (zh) 一种球墨铸铁球化处理包堤坝的砌筑方法
KR100418753B1 (ko)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
MXPA00012305A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hermetizacion dle una abertura de sangria en recipientes metalurgicos.
KR200453673Y1 (ko) 슬래그 다트
CA2931391C (en) Tap-hole refurbishing
JP3252909B2 (ja) 転炉のフラッシュスラグで湯出し鋼の汚染を防止する方法と装置
CN100354434C (zh) 用材料成分的改善来避免初渣混入排出钢水的装置
KR100429408B1 (ko) 슬래그 다트
CN104388615B (zh) 一种浇铸用的固体冷却介质的使用方法
KR20030021393A (ko) 슬래그 유출 방지용 다트
CN100999771A (zh) 低密度转炉出钢挡渣器
KR20030001132A (ko) 출탕중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다트
WO2013188993A1 (zh) 球化处理方法
KR20000055654A (ko) 제강로의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다트
KR20030000565A (ko) 제강정련 슬래그 혼입방지용 슬래그 컷팅기구의 조성물
KR200272310Y1 (ko) 래들용 슬래그 유출방지 스토퍼
US5018709A (en) Making a taphole
KR19990000768A (ko) 전로의 슬래그 유출방지장치
KR101049845B1 (ko) 슬래그 혼입 방지용 부유물
KR100340280B1 (ko) 슬래그 체크콘을 이용한 래들의 슬래그 배출시기 체크방법및 이에 사용되는 슬래그 체크콘
JP2005113192A (ja) 転炉内スラグの流出防止具
KR200238013Y1 (ko) 슬래그 다트
CN116397063A (zh) 高炉残铁沟预制件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