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334A - 펌프를 구비한 세척 시스템 - Google Patents

펌프를 구비한 세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334A
KR20090111334A KR1020097017145A KR20097017145A KR20090111334A KR 20090111334 A KR20090111334 A KR 20090111334A KR 1020097017145 A KR1020097017145 A KR 1020097017145A KR 20097017145 A KR20097017145 A KR 20097017145A KR 20090111334 A KR20090111334 A KR 20090111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reservoir
liquid
tube
ball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란 탕호아이
마르레네 코리돈 신바니
예스페 그로엔달 룬드
라스 올라브 쉐티게르
Original Assignee
컬러플라스트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컬러플라스트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컬러플라스트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9011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08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04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rrigation fluid, e.g. conductivity or turbidity
    • A61M3/022Volum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58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by means of electric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61M3/0262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manually, e.g. by squeezing a bul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Devices for holding the cannula in position, e.g.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61M3/0295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with inflatabl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4Supporting bases, stands for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67An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09Liquid filling by evacuating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Abstract

세척 시스템(100)은 저장기로 액체를 붓기 위한 입구(110)를 구비한 저장기, 입구를 닫기 위한 밀폐 수단을 한정하는 입구, 인간의 체강으로 삽입용 삽입 단부(138)를 한정하는 삽입 부재, 적어도 하나의 개구(122)에 한정되는 삽입 부재, 삽입 부재를 구비하고 저장기와 유체 연결되는 액체 튜브(106)를 포함하고, 저장기와 상기 삽입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액체 튜브에 영구적으로 고정시킨다. 세척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
세척 시스템, 체강, 인체 개구, 삽입 부재, 벌룬, 펌프

Description

펌프를 구비한 세척 시스템 {IRRIGATION SYSTEM WITH A PUMP}
본 발명은 인간의 체강 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부재에 유체 연결된 저장기와 저장기에 수용된 액체를 삽입 부재의 출구를 통과하여 체강 안으로 펌프질하기 위한 펌프를 구비한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체에 세척을 수행하는 방법과 세척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떤 사용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세척 시스템을 매일같이 사용한다. 예를 들면 척추 손상, 척추 파열 혹은 다발성 경화증으로 고통을 겪는 사람들이 있다. 상기 시스템은 변비를 방지하고, 배설물을 비우는 데 소모되는 시간을 줄이고 독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종래 기술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병원에서 널리 사용되는 간단한 시스템은 항문 관장 세척을 하는 사람 위에 올려지는 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백은 항문을 통과하여 직장 안으로 삽입되는 카테터에 튜브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백 안의 액체는 압력의 차를 야기하는 사람과 백 사이의 높이 차이로 인하여 사람 안으로 삽입된다. 이 매우 간단한 시스템의 단점은 시스템을 작동하게 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압력 차이를 얻도록 사 람 위의 위치로 백을 올려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극복한 시스템이 미국 특허 공개 번호 US 2005/0148954 A1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 번호 US 2005/0148954 A1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는 수동 펌프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제어되는 맥동으로 세척액 또는 약을 공급하는 능력을 구비하여 장세척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장치는 환자의 직장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크기가 맞추어지는 스페큘럼(speculum)을 포함한다. 운반 라인은 스페큘럼 입구에 고정된다. 상기 운반 라인은 스페큘럼의 입구에 고정된다. 상기 수동 펌프는 상기 운반 라인에 직렬로 배치되고 제2 구역에 연결된다. 수 연결자와 암 연결자가 세척액 저장기를 구비한 운반 라인을 서로 연결한다. 제1 밸브는 운반 라인을 작동하기 위해 연결되고 세척액 저장기로부터 스페큘럼으로 액체가 흘러가게 한다. 또한 대안적인 밸브 구조가 개시되며, 수동 펌프가 운반 라인에 직렬인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수동 펌프는 열리고 닫히며, 따라서 세척액을 환자의 장 안으로 맥동하게 한다. 상기 장치는 출구에서 스페큘럼에 연결된 배출 라인을 더 포함한다. 배출 라인은 액체들과 씻겨진 물질들이 장으로부터 스페큘럼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스페큘럼 입구에 유체 연결된다.
비록 본 발명은 백을 높은 위치에 배치할 필요성을 극복했지만, 이것은 세척액을 인체 안으로 삽입하는 데에 뿐만 아니라 배출하는 데에 모두 사용되는 다소 복잡한 시스템이고 실시하기에는 많은 작용들이 필요하다.
미국 공개 번호 US 2006/0009732호에서는 다른 시스템들이 개시되어 있다. 시스템들 중 하나는 수동 펌프를 통하여 수동 제어 맥동을 세척액에 공급하는 능력 을 구비한 장세척기를 제공한다. 수동 펌프는 종래의 직렬 압축 밸브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공급 도관 또는 수동 펌프에 체크 밸브를 직렬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기 쉬운 간단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의 요소들이 사용 중에 갑자기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부품을 조립하는 것과 같은 장세척에서 소모되는 시간을 줄여서 환자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휴대하기에 간결한 구조로 제공되는 장세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한번 사용한 시스템을 청소할 필요 없이 장세척 후에 버릴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시스템에 비하여 분리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체강의 세척을 위한 장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저장기 안으로 액체를 붓도록, 입구 밀폐용 밀폐 수단으로 한정되는 입구를 구비한 저장기와
-인간의 인체 구멍을 통하여 체강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단부를 한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한정하는 삽입 부재와
-삽입 부재를 구비한 저장기가 유체 연결된 액체 튜브(즉, 액체를 보유 및/또는 처리하기 위한 튜브)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저장기와 삽입 부재가 영구적으로 액체 튜브에 고정된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영구적으로 고정되는"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예를 들면 용접 이음새, 접합 이음새 또는 밀봉 개스킷(gasket)과 같은 두 부재 사이의 유체 밀봉 이음새(fluid-tight seam) 또는 밀봉으로 한정되어서 두 개의 부재가 서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해된다. 두 개의 부재가 서로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다시 부착할 수 없게 벌어지고 상기 두 개의 부재는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손으로는 서로 다시 부착할 수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 부재 사이의 이음새는 두 개의 부재가 각각 서로로부터 끌어당겨 지는 경우 이음새가 부서질 가능성이 부재들 중 하나가 부서질 가능성에 비해 작거나 같은 정도로 충분히 견고하다.
상기 시스템은 자궁, 장(장 전체 시스템) 그리고 방광과 같은 어떠한 체강에서도 세척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 있어서, "장세척"이라는 단어는, 액체를 사용하여 위와 항문 사이의 소화/장 시스템의 어떤 부분의 세척/청소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장 전체 세척은 직장, 충수, 대장 및 소장, 즉 회장, 공장 및 십이지장을 세척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자연 항문 또는 인공 항문(소공)과 같이 사용자가 장 전체의 시스템의 배출구를 통하여 삽입된다.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자연 항문 또는 인공 항문(소공)과 같은 사용자의 장 시스템의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경우, 삽입 부재를 사용하여 세척액을 배출구에 대하여 장 시스템의 상류 방향으로 방출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는 장세척 시스템의 요소들을 조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을 잘못 조립할 위험이 제거된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제한된 수의 장치들만 지니고 있고 주로 단일 장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잘못된 조립으로 시스템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배설물 배출 장치의 어떠한 수단이 없는 상태로 방치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립을 잘못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조립을 잘못하면 화장실 바닥에 배설물이 흘러나올 수 있다. 또한, 미리 조립된 시스템은 종래 시스템에 비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쉽고 빠르다. 더 나아가, 사용자는 상기 시스템을 미흡하게 혹은 미숙하게 이해하지 않을 것이다. 간단한 시스템/과정은 세척 과정 동안에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도움받을 필요성을 줄이거나 완전히 없앰으로써 사용자의 독립성을 훨씬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저장기는 단품으로 만들거나, 플라스틱 포일/필름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부품을 함께 결합시켜서, 예를 들면 접착시키거나 용접시켜서 만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기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해서, 사용자가 액체가 저장기 안에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체 저장기가 투명하다. 저장기는, 저장기의 측벽 위에, 저장기에 수용된 액체의 부피를 표시하는 수단, 일례로 표시기(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는 액체 탭으로부터 흐르는 액체가 누출되지 않고 저장기로 흐를 수 있도록 액체 탭의 적어도 일부분이 입구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구는 저장기가 탭에서부터 흐르는 물로 채워지는 곳에 상기 입구/저장기를 액체 탭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으로, 즉 한 손을 사용하여 저장기를 액체 탭에 부착시키고 이어서 액체가 저장기로 흘러들어 가도록 동일한 하나의 손을 사용하여 탭의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나의 손을 사용하여 저장기를 채울 수 있게 된다.
상기 밀폐 수단은 액체가 입구를 통하여 저장기로 들어가면서 액체가 입구를 통하여 저장기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혹은 보충물로서, 상기 밀폐 수단은 입구에 고정되었을 때 액체가 입구를 통하여 저장기 안으로 그리고 저장기 밖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 혹은 나사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부재의 근위 삽입 단부(proximal insertion end)는, 예를 들면 인간의 항문을 통하여, 삽입 부재를 인간의 체강으로 삽입하기 위한 매끄러운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삽입 부재는 두 개, 세 개, 네 개 혹은 다섯 개 정도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한정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삽입 부재의 근위 단부에 대하여 배치되어, 삽입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경우(예를 들면 인공/자연 항문을 통하여), 개구(들)는 체강 내에 위치하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액체는 상기 체강 내에 수용된다.
저장기와 삽입 부재는 투명할 수 있는 액체 튜브에 의하여 유체 연결된다. 상기 튜브는 PVC/PP/PE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PUR 혹은 SEBS 화합물 같은 스티롤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열가소성 탄성체 또는 실리콘 혹은 라텍스와 같은 가교된 엘라스토머(cross-linked elastomer)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튜브는 포일 튜브의 형태를 취한다. 평평하고 휴대하기에 간결한 구성이 되도록 포일 튜브의 측벽은 서로를 향해 움직일 수 있고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하기 전에 그리고 사용 후에 사용자가 시스템을 정리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튜브"라는 용어는 액체 또는 기체들을 보유하고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긴 공동의 물체(예를 들면 원통형)로 한정되는 도관으로서 이해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저장기와 삽입 부재는 액체 튜브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기는 액체 튜브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삽입 부재가 액체 튜브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고 제3 실시예에서는 저장기와 삽입 부재 모두가 액체 튜브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저장기, 액체 튜브 및/또는 삽입 부재는 액체가 저장기를 향하여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부터 상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하는 동안, 예를 들면 체강 내에 존재하는 배설물 혹은 혈액으로 인하여 시스템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밸브가 액체 튜브의 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세척액이 흘러나오기 전에 일정한 양의 압력이 액체 튜브 안에 성립되도록 역류 방지 밸브는 또한 추가로 혹은 대안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것은 세척액이 액체 튜브로부터 의도치 않게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저장기에 수용된 액체를 액체 튜브를 통하여 삽입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 통과하여 밖으로 펌프질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펌프는 손 또는 발 또는 팔 또는 입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동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수동 펌프는 탄성 요소로 된 포일 펌프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단 탄성 요소를 압축하면 펌프에 수용된 액체 또는 기체와 같은 유체는 펌프로부터 배출되고, 탄성 요소를 압축하는 데 사용된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 요소는 그 편향되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스프링 혹은 개방 셀 형태의 폼(open celled foam)과 같은 형상 기억 재료일 수 있다. 탄성 부재는 플라스틱 포일/필름과 같은 포일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들은 종래 고무 펌프보다 무게가 가벼워서, 포일 펌프의 사용으로 사용자가 시스템을 운반이 더 쉬워진다. 또한, 상기 펌프는 휴대하는 도중에 시스템의 전체의 간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압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기 기체/가스 펌프와 같은 전기 펌프를 포함한다. 전기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손재주가 없는 환자들에게는 바람직하다. 전기 펌프는 다시 사용될 수 있도록 그리고 사용자가 저장기, 액체 튜브와 삽입 부재를 폐기할 수 있도록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펌프는 시스템에서 액체/기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전기 펌프는 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충전식 배터리는, 예를 들면 크랭크를 포함함으로써 수동식 발전기를 사용하거나 혹은 콘센트를 사용하는 것처럼 전력 공급부에 연결하여 재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크랭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배터리를 재충전할 수 있다. 손들/팔들 중 하나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사람이 발전기를 작동시키도록, 발전기에는 의자와 같은 제3 부재에 발전기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손/팔만으로도 충분히 크랭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재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전원 공급부에 의존적이지 않게 된다. 대부분의 공중 화장실에서는 전원 공급부를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위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자유와 독립성이 증대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예를 들면 발전기를 통하여 세척 장소와 다른 장소에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이로써 실제 세척 과정은 좀 더 빠르고, 좀 더 분리되고 그리고 덜 복잡해진다.
일 실시예에서, 수동 또는 전기 작동식 펌프는 페리스탤틱 펌프이고, 펌프가 액체와 접촉하지 않고 튜브를 통하여 액체를 펌프질하도록 상기 페리스탤틱 펌프 안으로 액체 튜브를 삽입할 수 있다. 이것은 펌프에 의하여 액체가 오염되고 반대로 액체에 의하여 펌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페리스탤틱 펌프는 사용자가 액체 튜브를 따라서 소망하는 어떤 위치에라도 펌프를 배치할 수 있게 하므로 사용의 자유가 증대된다.
일 실시예에서, 펌프의 작동으로 저장기에 수용된 액체가 삽입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하여 흘러나가도록, 펌프는 펌프 입구와 펌프 출구를 구비한 액체 펌프(즉 액체를 펌프질용 펌프)이고, 펌프 입구와 펌프 출구는 튜브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액체 펌프는 저장기를 향하여 펌프로부터 상류 방향으로 액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한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펌프는 시스템에서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액체 펌프이다. 일예로서 제어 유닛은 미리 정해진 과정으로 액체 튜브 안의 액체의 유속을 바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한번 또는 반복적으로 상기 과정을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척 과정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과정에 걸쳐서 유속을 바꿀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펌프는 일단 펌프가 작동하면 저장기 내의 기체 압력이 증가하도록 저장기에 대하여 배치된 기체 펌프(즉 기체 펌프질용 펌프)이므로, 저장기에 저장된 액체가 액체 튜브 안으로 그리고 하나 이상의 개구를 통하여 밖으로 이동(흐르게)하게 된다. 상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체 튜브는 저장기에 대하여 대부분의 액체 레벨에서 액체가 저장기의 출구 그리고/또는 액체 튜브의 입구를 덮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출구/입구는 저장기의 저부 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저장기를 팽창시키도록 그리고 액체 튜브 안으로 액체를 밀어 넣도록, 액체를 저장기 안에 채우는 데 사용되는 입구는 저장기가 상기 입구를 통하여 누출되는 공기가 없이 팽창될 수 있도록 밀폐될 수 있어야만 한다.
기체 펌프는, 예를 들면 함께 밀봉된 두 부분의 포일 형태인 저장기가 제공됨으로써 그리고 앞서 언급된 포일 펌프들 중 하나를 저장기에 일체화함으로써 저장기와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일 펌프들 중 하나를 저장기에 일체화하는 방법은 제조하기가 쉽고, 사용자에게 휴대하기 간결한 구조로 쉽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하기 편리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기체 펌프와 저장기를 유체 연결하는 기체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 튜브는 기체 펌프 및/또는 저장기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포일 튜브일 수 있다.
삽입 부재가 세척하는 동안에 체강 밖으로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 부재는 상기 삽입 부재가 신체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경우 체강 내에 삽입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수단은 삽입 부재가 신체 개구로 삽입되어 신체 개구에서 수축되는 비유지 형태와 신체 개구를 통하여 체강으로 삽입되면 유지 수단이 삽입 부재의 수축을 방지하는 유지 형태인, 두 형태 사이에서 바뀔 수 있다.
두 위치를 한정하도록 구성된 유지 수단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지 수단은 벌룬 펌프에 유체 연결된 벌룬을 포함하고, 상기 벌룬 펌프의 작동으로 상기 벌룬이 팽창하게 된다. 상기 벌룬은 기체 벌룬 혹은 액체 벌룬일 수 있다. 기체/액체 펌프는 앞선 언급에서 설명된 것처럼 포일 펌프일 수 있다. 유지 수단들은 삽입 단부의 외부 표면에 한정될 수 있다.
세척 시스템의 펌프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시스템은 벌룬 펌프와 기체 펌프 모두로 정의되는 스위치형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벌룬의 팽창과 저장기의 팽창 사이에서 스위치 할 수 있도록, 스위치형 펌프는 스위치형 펌프와 기체 벌룬을 유체 연결하는 제1 위치와 스위치형 펌프와 저장기를 유체 연결하는 제2 위치를 한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는 벌룬이 팽창하도록 제1 위치에 스위치를 위치하게 할 수 있고, 이어서 저장기에 포함된 액체를 액체 튜브로 그리고 더 나아가 체강으로 안으로 옮기도록 저장기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제2 위치에 스위치를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기는 두 개의 챔버, 액체 챔버와 기체 챔버로 나누어진다. 이것은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피막을 사용하여 나누어질 수 있고, 기체 챔버의 부피는 막이 제2 위치에 있을 때보다 제1 위치에 있을 때 더 작다. 기체 챔버가 압력을 받는 경우, 상기 챔버는 상기 피막이 제2 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도록 팽창되므로, 액체 챔버의 부피는 감소하고 상기 챔버에 포함된 모든 유체는 액체 튜브 안으로 옮겨진다. 두 개의 챔버 시스템의 장점은 액체를 저장기로부터 액체 튜브 안으로 옮기는 기체가 액체 튜브 안에서 에어 포켓(air pocket)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기체 펌프는 벌룬에 유체 연결되고, 벌룬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저장기 안으로 액체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과압 밸브(over-pressure valve)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기가 팽창하면 저장기에 수용된 액체가 액체 튜브 안으로 옮겨진다. 상기 실시예의 장점은 오직 하나의 펌프만 제공되면 충분하고 벌룬 튜브와 기체 튜브 사이에서 스위치되는 스위치가 불필요하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 부재에 코팅을 팽윤시켜 (삽입에 앞서) 잘 미끄러지는 표면을 생성하기 위한 친수성 표면을 구비하여 제공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삽입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삽입 부재의 전부 정도의)이 운반 중에 저장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저장기 안을 물로 채우는 경우, 상기 친수성 코팅에 상기 물을 대면 팽윤 과정이 시작된다. 이 실시예에서, 저장기는 몇몇의 유체 연결된 챔버들로 다시 나누어질 수 있고, 상기 챔버들 중 하나는 거의 모든 높이의 물에서, 친수성 코팅에 상기 액체를 대도록 배치된다.
또한, 저장기는 저장기의 배출 경로를 생성하지 않고 저장기로부터 삽입 부재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저장기는 삽입 부재의 외부 표면에 팽윤 매체(액체)를 대기 쉽도록 구성된 팽윤 구획과 상기 구획에 수용된 액체가 액체 튜브로 이동되기 쉽도록 압축되도록 구성된 압축 구획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팽윤 구획과 압축 구획이 동일하다. 앞선 실시예에서, 삽입 단부의 제거로 두 구획 사이의 경로가 폐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압축 구획의 압축으로 상기 구획에 수용된 액체가 팽윤 구획이 아닌 액체 튜브로 옮겨질 수 있다. 그러나 팽윤 구획에 삽입 단부가 제공되는 경우, 두 구획은 경로를 통하여 유체 연결되고 따라서 압축 구획에 채워진 액체가 팽윤 구획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압축 구획과 팽윤 구획이 같은 경우, 상기 언급된 경로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는 팽윤 구획과 압축 구획을 물로 채우도록 물을 저장기에 채울 수 있다. 삽입 단부에 30초 정도의 시간 동안 액체(팽윤 매체)를 대는 경우, 친수성 코팅이 팽윤되는 것은 충분히 보장되고 삽입 단부는 팽윤 구획으로부터 제거된다. 일단 제거되면, 팽윤 구획과 압축 구획의 경로는 자동적으로 폐쇄되고, 사용자는 액체를 액체 튜브로 옮기기 위하여 압축 구획을 압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경로가 팽윤 구획으로부터 삽입 단부를 제거하기 전에 또는 후에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저장기의 입구는 팽윤 구획에 연결된 제1 경로와 압축 구획에 연결된 제2 경로를 한정한다. 입구 안으로 물이 채워지는 경우, 물은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통하여 두 구획 안으로 흘러갈 것이다. 또한 입구가 밀폐되는 경우, 팽윤 구획과 압축 구획이 유체 연결되지 않도록 저장기가 한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압축 구획의 압축으로 팽윤 구획 안으로 물이 옮겨지지 않게 되고, 심지어 삽입 단부가 팽윤 구획으로부터 제거되지 않은 경우에도 물이 옮겨지지 않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기는 압축 구획과 팽윤 구획으로 모두 사용되는 하나의 구획만으로 한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삽입 부재는 저장기의 입구를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고, 그 결과 저장기 안에 채워진 액체로 삽입 부재를 팽윤 매체(상기 액체)에 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펌프는 펌프의 외부 표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단을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이 외부 표면에 일시적으로 고정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펼치도록 움직이는 경우, 따라서 펌프의 구획은 기체/액체가 구획에 흡수되도록 팽창한다. 또한 손가락들이 서로를 움켜쥐도록 움직이는 경우, 구획은 구획에 수용된 기체/액체가 기체 튜브, 벌룬 튜브 혹은 액체 튜브와 같은 튜브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압축된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표면에 손가락들을 고정시키는 수단은 글로브 부분의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글로브 부분은 또한 펌프의 구획을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펌프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손을 글로브에 집어넣어 손가락들을 펼치고 움켜쥐도록 움직인다. 펌프는 앞서 언급된 것처럼 하나 이상의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가 글로브의 형태인 경우, 펌프 벽들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바닥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글로브 펌프는 펌프를 압축된 상태로 있게 하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므로 펌프 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구획의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손가락들을 펼치도록 힘을 가해야 하고, 구획을 수축시키기 위해서 손가락 압력을 풀어야 한다.
펌프가 구획의 외부 표면으로 손가락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하는 동안 벽이 사용자에 의하여 서로 멀리 떨어지도록 움직이기 때문에, 펌프는 (앞서 설명된 것처럼) 벽을 서로 멀리 떨어뜨리는 힘을 가하는 탄성 요소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이것은 매우 휴대하기 간결한 구조의 펌프와 세척 장치를 가능하게 한다.
제2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양태에 따른 세척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간의 체강의 세척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액체 입구를 통하여 저장기 안으로 액체를 채우는 단계,
-인간의 신체 개구를 통하여 체강으로 삽입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체강 안으로 저장기로부터 액체의 적어도 일부를 펌프질하도록 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체강에서 삽입 부재를 수축시키는 단계, 그리고
-시스템을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강은 인간의 장 시스템(장)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언급된 단계들은 언급된 순서대로 실행되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삽입 부재가 저장기에 액체를 채우기 전에 삽입될 수 있는 것처럼 순서가 다를 수 있다. 저장기에 채워진 액체는 물일 수 있다. 채우는 단계는 입구를 밀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기를 비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기는 판을 구비한 포일 백이고 상기 판을 제거하면 사용자가 저장기를 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기를 비우는 단계는
-배출 출구를 생성하도록 판을 제거하는 단계와,
-남아 있는 액체가 배출 출구를 통하여 밖으로 흘러가도록 저장기를 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체강 내에서 삽입 부재를 유지하고 신체 구멍 밖으로 삽입 부재가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팽창시키는 단계, 및/또는
-삽입 부재가 체강에서 수축되도록 유지 수단을 수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실시 양태에 따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양태의 특징(들) 및/또는 요소(들)와의 모든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양태에 따른 세척 시스템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체 튜브를 저장기에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삽입 부재에 액체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액체 펌프의 입구에 액체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액체 펌프의 출구에 액체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저장기에 기체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기체 펌프에 기체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삽입 부재의 외부 표면에 벌룬을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벌룬에 벌룬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벌룬 펌프에 벌룬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기체 튜브와 벌룬 튜브에 스위치형 펌프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그리고
-저장기를 기체 챔버와 액체 챔버로 나누는 막을 저장기의 벽에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들은
-용접에 의해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또는
-접합에 의해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실시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양태의 특징(들) 및/또는 요소들과의 모든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콘 형태의 유지 요소를 구비한 일회용 세척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벌룬 카테터에 의해 유지 요소가 한정되는 일회용 세척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펌프가 스위치를 구비한 펌프로서 제공되는 일회용 세척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유체 펌프와 벌룬 펌프가 하나의 단일 유닛으로 결합된 일회용 세척 시스템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펌프가 액체 튜브에 일체화된 일회용 세척 시스템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삽입 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사용자에 의하여 운반될 수 있도록 밀착된 상태의 세척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포일 펌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f는 개별 배치형 펌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액체 튜브에 일체화된 직렬 펌프와 콘 형태의 유지 요소를 구비한 일회용 세척 시스템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a와 도 11b는 기체 챔버와 액체 챔버로 나누어지는 세척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2는 삽입 부재가 운반 중에 팽윤 준비가 된 저장기를 구비한 세척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3은 공기를 저장기로 유도하기 위한 과압 밸브를 구비한 세척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4a와 도 14b는 세척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자동 밸브를 도시한다.
도 15는 세척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저장기(102), 삽입 부재(104), 액체 튜브(106) 및 기체 펌프(108)를 포함하는 일회용 세척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저장기(102)는 예를 들면 용접이나 접착으로 두 장의 포일을 함께 결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포일은 SEBS 또는 PUR과 같은 스티롤 블록 공중합체(Styrol-Block-Copolymer)와 같은 열가소성 탄성체 또는 폴리프로필렌(PP), PE와 PVC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기(102)는 수계액체(water-based liquid)와 같은 액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입구(110)(도면 부호 108은 물/액체 레벨을 나타낸다.)를 통하여 저장기로 상기 액체를 붓을 수 있다. 입구(110)는 액체가 입구(110)를 통하여 저장기(102)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 형태의 밀폐 수단(미도시)을 한정한다. 입구는 액체를 저장기(102)로 유도하기에 적합한 경사진 표면(105)을 한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입구(110)는 입구의 측벽들의 적어도 상대적인 위치에서 최소한 3 cm2의 단면적으로 한정된다.
저장기(102)는 100 내지 300mbar 사이 정도, 150 내지 250mbar 정도, 200mbar 정도와 같이 적어도 100mbar의 압력에 견딜 수 있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기(102)는 내부의 압력이 압력 레벨과 같이 미리 정해진 압력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틈이 생기기 쉽고, 이것은 사용자의 신체 강(腔) 내부를 불안하게 한다.
도 1에서, 저장기(102)는, 즉 두 개의 단접(113)으로 만들어진 사각형 저부(112)를 구비한 자립식 백으로 제공된다. 자립식이라는 것은 저장기가 부분적으로 채워진 경우 저장기는 바닥이나 수조 내부 같은 표면 위에 지지되지 않고 세워 질 수 있다. 저장기는 판(114) 세척에 이어서 떼어지도록 적용되는 판(114)으로서 한정되고, 그 결과 사용자는 세척 후에 저장기를 비울 수 있다. 판(114)은 저장기(102)의 꼭대기의 저장기의 한 측면으로부터 확장되는 약한 구역을 제공하는 즉 단접으로 만들어진, 티어 라인(116, tear line)을 한정한다. 저장기(102)는 즉 열 수 있는 밸브와 같이, 저장기(102)를 비우는 다른 어떤 적합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기에 존재하는 액체의 부피를 측정 하도록, 저장기(102)는 즉 저장기의 표면에 인쇄되는, 부피 척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액체 튜브(106)는 영구적으로 저장기(102)에 고정되며 포일 튜브와 같은 평평한 튜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액체 튜브는 PVC/PP/PE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PUR 혹은 SEBS 합성물과 같은 스티롤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열가소성 탄성체 또는 실리콘이나 라텍스와 같이 가교된 탄성 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저장기(102)와 삽입 부재(104)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공하도록 삽입 부재(104)에 역체 튜브(106)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 부재(104)가 액체 튜브(106)의 확장부로서 제공된다.
삽입 부재(104)는 액체 튜브(106)보다 더 뻣뻣할 수 있고, 삽입 부재의 삽입을 용이하도록 구성된 겔로 코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삽입 부재(104)의 외부 표면은 친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친수성 물질에 30초 정도의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물과 같은 액체를 대는 경우, 물을 대기 이전보다 더 표면이 매끄러워지게 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삽입 부재(104)는 종이, 카톤(carton),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 또는 탄성 중합체(elastomer)와 같은 콘 형상의 보유 수단(118)으로 한정된다.
저장기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세척 시스템(100)은 기체 튜브(120)를 통과하여 저장기(102) 안으로 연결되는 기체 펌프(108)를 포함한다. 일단 기체 펌프가 작동하면, 저장기(102)는 팽창하고 그에 따라 저장기에 수용된 액체가 액체 튜브(106) 안으로 그리고 삽입 부재(104)의 개구(122)를 통과하여 밖으로 옮겨진다. 팽창된 저장기가 기체 펌프(108)의 입구(미도시)를 통과하여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체 펌프(108)는 입구를 통하여 기체가 펌프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체가 기체 펌프(108)로 흡입될 수 있게 하는 역류 방지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기체 펌프(108)는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포일 펌프이다. 저장기에 수용된 액체가 액체 튜브(106)로 확실히 이동하도록 튜브 입구(107)는 어떠한 액체 높이에서도 입구가 물에 덮이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도 2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지 수단(118)이 팽창형 벌룬(124)의 형태로 제공되었다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세척 시스템(100)은 벌룬을 팽창시키도록 벌룬 튜브(128)를 통과하여 팽창형 벌룬(124)에 연결된 벌룬 펌프(126)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팽창형 벌룬(124)과 벌룬 펌프(128)에 벌룬 튜브(128)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벌룬 펌프(126)는 기체 펌프(108)에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체 튜브(106)와 기체 튜브(120) 가 서로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두 개의 튜브는, 즉 이음 없는 단일한 요소로서 한정되는 일체형 요소로서 한정된다. 또한 도 2의 실시예에서, 액체 튜브(106)와 벌룬 튜브(128)가 서로 각각 부착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대안적인 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3에서 벌룬 펌프(126)와 기체 펌프(108)는 스위치형 펌프(130)로서 한정되는 하나의 단일 유닛으로서 일체화된다. 또한, 스치위형 펌프(130)는 액체 튜브(106)를 따라서 어떠한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별 배치형 펌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치형 펌프는, 예를 들면 벌룬 튜브(128)에 놓이거나 대안적으로 기체 튜브(120)에 놓일 수 있다.
스위치형 펌프(130)는 사용자가 저장기(102)의 팽창과 팽창형 벌룬(124)의 팽창 사이에서 변경할 수 있는 스위치(132)를 포함한다. 스위치(132)는 스위치형 펌프(130)가 저장기(102)와 유체 연결되는 제1 위치와 스위치형 펌프(130)가 팽창형 벌룬(124)에 유체 연결되는 제2 위치 중에서 변경할 수 있다. 스위치(132)가 제1 위치에 놓이는 경우 스위치는 팽창형 벌룬(124)이 수축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제2 위치에 놓이는 경우 스위치(132)는 저장기(102)가 수축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스위치형 펌프(130)는 상기 튜브에 펌프(130)를 유체 연결하도록, 하나는 기체 튜브 입구(120)에 절개 삽입하고 하나는 벌룬 튜브(128)에 절개 삽입하는 두 개 공동 관통 부재(미도시)를 한정한다. 또한, 벌룬 튜브(128)와 기체 튜브(120)는 처음에 동일한 튜브에 의해 한정되기 때문에, 펌프(130)에는 두 개의 튜브(120, 128) 사이의 유체 연결을 방지하는 수단(미도시)이 포함된다. 이러 한 수단들은 상기 두 개의 관통 부재들 사이에 존재한다. 상기 공동 관통 부재들은 도 9에 좀 더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실시예는 기체 펌프(108)와 벌룬 펌프(126)가 서로 각각 부착된 두 개의 분리형 장치로서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3과는 다르고, 그에 따라 도 3의 스위치(132)는 제거된다. 펌프(108, 126)들을 튜브(120, 128)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도 3에서 설명된 부착 방법과 유사하다.
도 5의 시스템은 펌프 장지(6)가,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직렬 밀봉 펌프 장치라는 점에서 도 2와 다르다. 펌프는 대안적으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개별 배치형 펌프이다. 액체 튜브(106)와 기체 튜브(120)는 저장기(102)와 삽입 부재(104)에 영구적으로 고정된 이중 루멘 튜브 형태로 제공된다.
도 6은 삽입 부재(104)를 개시한다. 삽입 부재(104)는, 벌룬 도관(134)과 액체 도관(136)인 동일하게 확장되는 두 개의 도관을 한정한다. 사용할 때에 벌룬 도관(134)은 벌룬 튜브(128)에 유체 연결되고 액체 도관(136)은 액체 튜브에 유체 연결된다. 삽입 부재(104)는 근위 단부(138)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144)로서 한정된다. 세척 중에 저장기(102)로부터 옮겨진 물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122)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체강 안으로 배출된다. 근위 단부(138)는 자연/인공 항문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개구를 통과하여 체강 안으로 삽입되는 동안 불편함을 줄이도록 구성된 매끄러운 표면으로 한정된다. 또한, 삽입 부재(104)는 세척하는 동안 삽입 부재가 체강 안으로 얼마나 깊이 삽입되어야 하는지를 가리키는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서 삽입 부재(104)는 일부 실시예에서는 표시부와 항문이 정렬되도 록 삽입되어야 한다. 비록 팽창형 벌룬의 크기는 사용자와 벌룬의 길이에 따라 다른 크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팽창형 벌룬(124)은 100 내지 300ml 범위의 기체를 채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벌룬은 PUR, SEBS, 실리콘, 클로로펜(cloropen), 니트릴(nitril) 또는 천연 라톡스와 같은 탄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벌룬은 대안적으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PP 또는 PE와 같은 비탄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에 의해 운반되는 압축된 상태의 세척 시스템(100)을 개시한다. 상기 압축된 상태에서는, 압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튜브(137), 삽입 부재(104) 및 펌프(135)가 저장기 주변을 감싸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요소들이 접혀진 저장기 위에 접혀진 상태로 제공된다.
도 8a와 도 8b는 앞서 언급된 포일 펌프(139)의 일 실시예를 개시하며, 상기 포일 펌프는 열류 방지 밸브(미도시)를 포함하는 기체 입구(140)를 한정하고 상기 역류 방지 펌프는, 즉 기체 입구(140)를 통과하여 포일 펌프(139)로부터 기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로지 기체가 상기 포일 펌프(139) 안으로 들어가기만 하도록 국제 공개 번호 WO 2005/048890호에 개시된 포일 펌프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다. 또한, 포일 펌프(139)는 기체 출구(142)를 한정한다. 포일 펌프(139)는 도 8b에 보이는 것과 같은 오픈 셀 형태의 폼(144)을 포함하고, 포일(145)로 둘러싸인다. 포일 펌프(139)는 세척 후에 그리고 깡통 또는 용기 안에 시스템을 분리하여 폐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떼어내어 저장기를 수축하게 할 수 있는 펌프 판(146)을 포함한다.
도 9a 내지도 9f는 사용자가 액체 튜브(106)와 기체 튜브(120)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튜브의 어느 위치에라도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별 배치형 펌프(148)를 개시한다. 도 9a와 도 9b에서는 액체 튜브(106)가 제1 오목부(150)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열린 구조에 있는 개별 배치형 펌프(148)를 도시한다. 또한, 배치형 펌프(148)는 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것처럼 기체 튜브(120)를 수용하는 제2 오목부(152)를 한정한다. 개별 배치형 펌프(148)는 힌지(158)를 통하여 함께 힌지 연결되는 상부 부분(154)과 하부 부분(156)을 포함한다. 상부 부분(154)은 상부 부분(154)과 하부 부분(156)을 스냅-록(snap-lock) 하도록 하부 부분(156)의 스냅 만곡부(16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스냅 돌출부(160)를 한정한다. 또한, 상부 부분(154)과 하부 부분(156)은 각각 제1 오목부(150)와 제2 오목부(152)를 포함한다.
배치형 펌프(148)는 포일(145) 내부에 밀봉된 탄성, 오픈 셀 형태의, 폼(144)을 포함할 수 있다. 포일(145)은 SEBS 또는 PUR과 같은 스티롤 블록 코폴리머 같은 열가소성 탄성체 혹은 폴리프로필렌(PP), PE 및 PVC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포일일 수 있다.
기체 튜브(120)를 개별 배치형 펌프(148)와 유체 연결하기 위하여, 개별 배치형 펌프(148)는 상부 부분(154)과 하부 부분(156)을 스냅 연결하는 동안 기체 튜브(120)에 침투하는 절개 날을 구비한 캐뉼러(164)를 포함한다.
도 9f는 닫힌 상태의 상기 배치형 펌프(130)를 개시하고, 상부 부분(154)과 하부 부분(156)이 스냅 록(snap-locked)되어 캐뉼러(164)가 기체 튜브(120)에 침투한다. 따라서, 폼(144)을 압축하면 폼(144)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분의 기체가 캐뉼 러(164)를 통과하여 기체 튜브(120) 안으로 옮겨진다. 폼을 팽창시키고 기체(공기)를 다시 채우기 위해 폼(144)은 복수의 개구들을 한정할 수 있고 폼을 압축하는 중에는 폼을 압축하는 사용자의 손이 상기 개구들을 덮지만, 손을 제거하면 상기 개구들은 폼이 다시 채워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배치형 펌프(130)는 사용자의 손이 제거되면 기체 튜브(120) 밖으로 기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직렬 펌프(166)를 사용하여 저장기(102)에 수용된 액체를 삽입 부재(104)의 개구(122)를 통하여 배출한다는 점에서 도 5의 시스템과는 다른 일회용 세척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시한다. 따라서, 도 10에서 저장기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 저장기(102)로부터 액체를 배출시키지 않고 직렬 펌프(166)를 사용하여 저장기(102) 밖으로 액체를 흡수함으로써 액체는 배출된다. 직렬 펌프(166)는 펌프 하류 방향으로 액체가 직렬 펌프(166)에 대하여 상류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한다. 일단, 직렬 펌프(166)를 압축하면 펌프에 수용된 액체는 하류 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직렬 펌프(166)를 감압하게 되면 펌프의 하류 방향의 액체가 직렬 펌프(166)의 챔버 내부로 흡수된다. 직렬 펌프(166)는 앞서 언급된 것처럼 탄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과 도 5는 도 10의 유지 부재(118)가 도 1과 관련하여 도시된 것과 같은 콘 형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1a와 도 11b는 세척 시스템의 저장기(102)의 일부를 개시한다. 간결성을 위해서 저장기(102)의 하부 부분만을 도 11a에서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 11a의 저장기는 앞서 언급된 것처럼 밀폐할 수 있는 입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저장 기(102)의 단면이 도 11b에 도시되어 있다. 저장기(102)는 세 개의 포일 시트(168, 170, 172)를 포함하고, 포일 시트 중의 하나는 저장기(102)를 기체 챔버(174)와 액체 챔버(176)로 나누는 막(172)을 한정한다. 세 개의 포일 시트(168, 170, 172)는 가장자리(178)를 따라서,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하여 서로 부착된다.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는 액체 챔버(176)에 물을 채우고 입구(미도시)를 밀폐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앞서 언급된 펌프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기체 챔버(174)에 압력을 가한다. 이것으로 기체 챔버(174)가 팽창하게 되어 액체 챔버(176)의 부피가 감소되고 액체 챔버(176)에 담겨 있는 모든 액체는 액체 튜브(106)로 옮겨진다. 기체 챔버(174)의 부피의 증가는 도 11b에 도시되어 있고 선(172)은 기체 챔버(174)가 팽창하기 전의 막의 위치를 나타내며, 파선(172′)은 기체 챔버(174)가 압축되는 경우 막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2는 운반하는 도중의 삽입 부재(104)가 저장기(102)에 제공된 세척 시스템(100)을 개시한다. 저장기(102)는 구획(174)에 수용된 액체를 액체 튜브(106)로 옮기기 위하여 압축되도록 구성된 압축 구획(174)을 한정한다. 또한, 저장기(102)는 삽입 부재(10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팽윤 구획(176)을 한정한다. 팽윤 구획(176)과 압축 구획(174)은 통로(178)를 통하여 유체 연결된다. 세척 시스템(100)이 사용자에 운반되는 경우, 삽입 단부(104)는 팽윤 구획(176) 내부에 갖추어지고 팽윤 공정을 시작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물과 같은 액체를 입구(110)를 통하여 압축 구획(174)에 채워야 한다. 통로(178)로 인하여 액체는 압축 구획(174)에서 팽윤 구획(176)으로 흘러, 삽입 부재(104)의 외부 표면 위의 친수성 코팅에 팽윤 매체 (액체)를 대게 된다.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사용자는 팽윤 구획(176)으로부터 삽입 부재(104)를 제거하고 삽입 부재(104)를 체강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로(178)는 삽입 부재(104)를 일단 제거하면 통로(178)가 닫히도록 구성되므로 압축 구획(174)의 압축으로 액체가 팽윤 구획(176)으로 옮겨지지 않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통로가 미국 특허 번호 4,581,763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통로를 수동으로 닫아야만 한다. 통로가 닫히고, 압축 구획은 압축되는 경우, 구획에 담겨 있는 모든 액체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액체 튜브(106)로 옮겨진다.
도 13은 액체 튜브(106)를 통하여 삽입 부재(104)에 연결된 저장기(102)를 포함하는 세척 시스템(100)을 개시한다. 상기 삽입 부재(104)는 벌룬 펌프(126)에 의하여 팽창될 수 있는 벌룬 형태의 유지 수단(118)을 포함하는데, 상기 벌룬 펌프(126)는 벌룬 튜브(128)를 통하여 벌룬으로 연결된다. 벌룬 튜브(128)는 밸브(180) 내부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높은 경우 열릴 수 있도록 구성된 과압 밸브(180)를 포함하므로 기체는 기체 튜브(120)를 통하여 저장기 안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벌룬 펌프(126)는 또한 기체 펌프(108)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는 개구(110)를 통하여 액체를 저장기(102) 안에 채우고 삽입 부재(104)를 체강 안으로 삽입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펌프(108, 126)를 작동시킴으로써 벌룬을 팽창시키고 삽입 부재(104)를 체강 내에 유지시킨다.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가 저장기(102) 안으로 유도되며 그러면 상기 저장기는 팽창한다. 팽창 공정으로 저장기(102)에 수용된 모든 액체가 액체 튜브(106)를 그리고 삽입 부재(104)를 통과하여 밖으로 옮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3에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자동 밸브(200)를 개시하고 스위치(132)는 전류 자동 밸브로 교체되고, 도 13과 관련하여 자동 밸브는 과압 밸브(180)로써 사용된다.
자동 밸브는 피스톤(203)이 미끄러질 수 있게 배치되는 피스톤 챔버(202)를 포함하는 밸브 하우징(201)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피스톤은 축(206)에 의하여 분리된 제1 및 제2 피스톤 헤드(204, 205)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입구 채널(207)이 챔버(202) 안과 유체 연결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제1 및 제2 출구 채널(208, 209)이 제공된다. 스프링(210)이 제1 출구 채널(208)에 가깝게 피스톤 챔버의 단부에 제공된다. 도 14에서는 피스톤 헤드(204)가 제1 출구 채널 경로(208)를 막지만 두 피스톤 헤드 사이에서 입구 채널은 제2 출구 채널(209)로 유체 연결이 가능하며, 스프링의 크기는 도 14A에서 도시된 제1 위치로 피스톤이 편향될 수 있도록 한다. 압력 채널(211)은 제2 출구 채널(209)과 압력 챔버(212)와 연통하도록 하며 상기 압력 챔버(212)는 제2 피스톤 헤드(205)와 스프링 반대편의 피스톤 챔버의 단부 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피스톤 챔버 구역으로 제공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함께 밸브를, 즉 과압 밸브(180)를 사용하는 경우 입구 채널(207)은 펌프(108, 126)에 연결되고, 제1 출구 채널(208)은 기체 튜브(120)에 연결되고 제2 출구 채널(209)은 벌룬 튜브(128)에 연결된다.
펌프질이 시작되면 기체가 입구 채널에서부터 제2 출구 채널을 통과하여 밖으로 그리고 벌룬 튜브를 통과하여 벌룬 안으로 펌프된다. 압력이 벌룬에 형성되 면, 동일한 압력이 압력 챔버(212)에 생성된다. 스프링(210)의 크기를 적절한 크기로 함으로써 벌룬(그리고 또한 압력 챔버)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스프링이 압축되기 때문에 피스톤은 도 14B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이동하고, 도 14B에서는 제2 피스톤 헤드가 제2 출구 채널을 폐쇄하고 제1 피스톤 헤드가 옮겨짐으로써 제1 출구 채널이 노출된다. 이것은 입구 채널에서부터 제1 출구 채널까지 그리고 저장기 안으로 기체 튜브(120)를 통하여 유체 연결을 제공한다.
이해되는 것과 같이 피스톤의 이동 축을 따라서 볼 때 제1 및 제2 출구 채널 사이에 제1 입구 채널이 배치되며 그런 식으로 피스톤 헤드 중 어느 것도 피스톤의 제1 또는 제2 위치에서 입구 채널을 덮지 않게 된다.
도 15는 저장기(302)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기(302)와 액체 튜브(303)를 한정하는 저장기 백(301)을 포함하는 세척 시스템(300)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액체 튜브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아일릿(305, eyelet)을 구비한 직장 카테터/프로브 형태의 삽입 부재(304) 안으로 확장되고, 상기 아일릿을 통하여 세척액이 배출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삽입 부재(304)는, 예를 들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원추 혹은 팽창 가능한 벌룬과 같은 유지 수단을 구비하여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유지 수단은 세척이 수행되는 동안 직장 안에서 삽입 부재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기 백(301)은 용접(306)을 따라서 함께 용접된 플라스틱 시트의 형태이다. 액체 튜브는 저장기 백의 첫 번째 절반에 연결되고, 저장기의 반대 방향의 두 번째 절반에는 개구(307)가 제공된다. 개구는 세척액으로 저장기를 채울 수 있게 한다. 개구는 저장기에 액체를 쉽게 부을 수 있지만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일 방향 포일 밸브(308)를 구비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포일 밸브는 종래 기술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저장기 백을 제조하는 경우, 즉 두 개의 포일 시트는 함께 용접되고 제2 챔버(309)는 포일 시트 주변 구역을 용접함으로써 제공된다. 제2 챔버에는 폼 형태의 탄성 부재(310)가 제공된다. 제2 챔버는 기체(특히 공기)가 제2 챔버로 들어가지만 흘러나오지 않게 하는 역류 방지 밸브(미도시)를 통하여 백 외부와 연결된다. 더 나아가, 제2 챔버는 기체가 제2 챔버로부터 저장기에 들어가게 하지만 다른 방향으로 흐르지 않게 하는 제2 일 방향 포일 밸브(311)를 통하여 저장기와 연결된다. 일 방향 밸브는 종래 기술로서 공지되어 있고, 당업자는 본 실시예에 가장 적합한 밸브를 찾는 데 어떤 어려움도 없을 것이다.
따라서, 제2 챔버가 압축되면 공기가 저장기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어서 제2 챔버가 해제되는 경우 탄성 요소로인하여 팽창할 것이고 기체는 제2 구획 안으로 흡입될 것이다. 이러한 압축과 해제가 반복되면, 펌프 액션을 발생시키고, 상기 펌프 액션으로 저장기 안에서 세척액에 저장기로부터 액체 튜브 안으로 그리고 아일릿을 통하여 외부로 힘을 가하는 압력을 발생시킨다.
더 나아가, 편향 된 밸브(312)를 액체 튜브에 제공될 수 있다. 편향된 밸브는 저장기 내부에 미리 정해진 압력이 생성될 때까지 유체가 저장기로부터 액체 튜브를 통하여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세척 시스템이 의도치 않게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역류를 방지하고 대장 내의 내용물이 액체 튜브를 통하여 저장기 안으로 흘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편향된 밸브는 이러한 방향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해할 수 있듯이 펌프를 포함하는 전체 저장기 백이 하나의 용접 단계로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도 15에 개시된 실시예는 쉽게 제조될 수 있다.

Claims (26)

  1. 저장기 안으로 액체를 붓도록, 입구 밀폐용 밀폐 수단으로 한정되는 입구를 구비한 저장기와,
    인간의 인체 구멍을 통하여 체강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단부를 한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한정하는 삽입 부재와,
    삽입 부재를 구비한 저장기가 유체 연결된 액체 튜브를 포함하는 체강을 세척용 세척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저장기와 삽입 부재가 액체 튜브에 영구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그리고 상기 저장기로부터 액체를 펌프질하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수동 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펌프가 탄성 요소를 구비한 포일 펌프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는 오픈 셀 형태의 폼(foam)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전기 펌프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펌프는 크랭크로 구성되는 수동식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크랭크는 작동되는 경우 전기 펌프의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발전기에 의해 충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페리스탤틱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튜브는 포일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펌프 입구와 펌프 출구를 구비한 액체 펌프이고, 상기 펌프 입구와 펌프 출구를 튜브에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펌프의 작용으로 저장기에 수용된 액체가 삽입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하여 흘러나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11. 재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펌프는 시스템에서 액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미리 정해진 과정으로 유속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13.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저장기에 대하여 배치되어 일단 펌프가 작동하면, 저장기의 기체 압력이 증가하므로 저장기에 수용된 액체가 액체 튜브 안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기체 펌프와 저장기를 유체 연결하는 기체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튜브는 포일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16.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튜브를 기체 펌프 및/또는 저장기에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1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는 신체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경우 체강에서 삽입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벌룬 펌프의 작용으로 벌룬이 팽창하도록 벌룬 펌프에 유체 연결된 벌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기체 벌룬 및/또는 액체 벌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20. 제13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벌룬 펌프와 기체 펌프를 한정하는 스위치형 펌프를 포함하고, 스위치형 펌프가 기체 벌룬에 유체 연결되는 제1 위치와 스위치형 펌프가 저장기에 유체 연결되는 제2 위치를 한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수단은 삽입 부재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용 세척 시스템.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척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간의 체 강 세척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액체 입구를 통하여 저장기 안으로 액체를 채우는 단계,
    인간의 신체 개구를 통하여 체강 안으로 삽입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체강 안으로 저장기로부터 액체의 적어도 일부를 펌프질하도록 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체강에서 삽입 부재를 수축시키는 단계, 그리고
    시스템을 폐기하는 단계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을 수행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저장기를 비우는 단계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을 수행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체강 내에서 삽입 부재를 유지하고 신체 구멍 밖으로 삽입 부재가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팽창시키는 단계, 및/또는
    삽입 부재가 체강에서 수축되도록 유지 수단을 수축하는 단계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강 세척을 수행하는 방법.
  25.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척 시스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액체 튜브를 저장기에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삽입 부재에 액체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액체 펌프의 입구에 액체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액체 펌프의 출구에 액체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저장기에 기체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기체 펌프에 기체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삽입 부재의 외부 표면에 벌룬을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벌룬에 벌룬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벌룬 펌프에 벌룬 튜브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기체 튜브와 벌룬 튜브에 스위치형 펌프를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그리고
    저장기를 기체 챔버와 액체 챔버로 나누는 막을 저장기의 벽에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시스템 제조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용접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또는
    접착에 의하여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시스템 제조 방법.
KR1020097017145A 2007-01-19 2008-01-21 펌프를 구비한 세척 시스템 KR200901113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116407P 2007-01-19 2007-01-19
EP20070001124 EP1946786A1 (en) 2007-01-19 2007-01-19 An irrigation system with a pump
US60/881,164 2007-01-19
EP07001124.2 2007-01-19
PCT/EP2008/050630 WO2008087220A1 (en) 2007-01-19 2008-01-21 An irrigation system with a pum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334A true KR20090111334A (ko) 2009-10-26

Family

ID=380935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145A KR20090111334A (ko) 2007-01-19 2008-01-21 펌프를 구비한 세척 시스템
KR1020097017144A KR20090111333A (ko) 2007-01-19 2008-01-21 개별 배치형 펌프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144A KR20090111333A (ko) 2007-01-19 2008-01-21 개별 배치형 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20100063436A1 (ko)
EP (3) EP1946786A1 (ko)
JP (2) JP2010516314A (ko)
KR (2) KR20090111334A (ko)
CN (2) CN101583385A (ko)
AT (1) ATE554810T1 (ko)
AU (2) AU2008206892A1 (ko)
BR (2) BRPI0806734A2 (ko)
CA (2) CA2673753A1 (ko)
WO (2) WO20080872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5675C2 (ru) * 2016-09-06 2020-11-05 Фритц Рук Офтальмологише Зюстеме Гмбх Емкость для вмещения жидкост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3208B1 (en) 2007-09-28 2019-06-26 Hollister Incorporated Multi-layer odor barrier tube, and combination odor barrier tube and odor barrier collection bag
US8936583B2 (en) 2007-09-28 2015-01-20 Hollister Incorporated Multi-layer catheter tubes with odor barrier
US8905981B2 (en) * 2009-04-08 2014-12-09 Coloplast A/S Pump with integrated control unit
ITBO20090250A1 (it) * 2009-04-22 2010-10-23 Med Europ Europ Medical Supplie S S R L Kit per il lavaggio di condotti anatomici, del tipo dell'intestino e simili.
WO2011018093A1 (en) 2009-08-14 2011-02-17 Coloplast A/S Click-on mechanism for a pump
AU2012287189B2 (en) 2011-07-22 2016-10-0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Nerve modulation system with a nerve modulation element positionable in a helical guide
GB2496900A (en) * 2011-11-25 2013-05-29 Welland Medical Ltd Pneumatic irrigation system
DK2671602T3 (en) 2012-06-07 2017-04-03 Dentsply Ih Ab Rinse system which includes dual pumps
DK2679259T3 (en) * 2012-06-29 2017-07-24 Dentsply Ih Ab ENGINE RINSE SYSTEM
US9402968B2 (en) * 2012-07-11 2016-08-02 Mercy Medical Research Institute, Inc. Colorectal delivery device
DK2810669T3 (en) 2013-06-03 2016-06-06 Dentsply Ih Ab Cylindrical container kollapsbar
AU353420S (en) 2013-06-03 2014-01-22 Dentsply Ih Ab Rectal catheter
AU2014312045B2 (en) 2013-08-30 2019-03-14 Hollister Incorporated Device for trans anal irrigation
DK3166661T3 (en) 2014-07-08 2019-04-23 Hollister Inc Portable transanal flushing device
CA2954015C (en) 2014-07-08 2022-08-09 Hollister Incorporated Trans anal irrigation platform with bed module
AU2015317450B2 (en) * 2014-09-19 2019-10-17 Coloplast A/S An anal irrigation system
WO2018009818A1 (en) 2016-07-08 2018-01-11 Hollister Incorporated Body cavity irrigation integrated manual controller and pump device, system and method
DK3481460T3 (da) 2016-07-08 2020-06-22 Hollister Inc Udformning af en trådløs elektronisk pumpe til en legemshuleirrigationsindretning
USD848608S1 (en) * 2016-10-21 2019-05-14 Coloplast A/S Base unit for anal irrigation and controller
US11596422B2 (en) 2016-11-03 2023-03-07 Hollister Incorporated Adjustable bowel treatment arm
DK179383B1 (en) 2016-11-08 2018-05-28 Mbh International As A nozzle for an enema device, a packaging including the nozzle, and an enema device comprising the nozzle
US11497844B2 (en) 2016-12-14 2022-11-15 Hollister Incorporated Transanal irrigation device and system
EP3338827B1 (en) * 2016-12-22 2021-08-11 Dentsply IH AB Motorized catheter system with improved inflation control
CA176931S (en) 2017-04-04 2018-07-24 Dentsply Ih Ab Catheter
DK179667B1 (en) * 2017-06-30 2019-03-14 Mbh-International A/S An enema device and a method of refilling said device with an enema
CN109907905B (zh) * 2017-12-12 2021-03-16 樊佃霞 一种智能排便护理床
US11724087B2 (en) * 2018-09-11 2023-08-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prim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12C (ko)
FR1222961A (fr) 1959-04-25 1960-06-14 Appareil irrigateur pour explorations intestinales aux rayons chi à l'aide de préparations à contraste
FR1460776A (fr) 1965-10-14 1966-01-07 Porges Sonde urétérale pour dissolution de calculs rénaux
US3398743A (en) * 1965-10-20 1968-08-27 Shalit Shimon Closed system irrigating apparatus for viscus organs
US3459175A (en) * 1966-04-08 1969-08-05 Roscoe E Miller Medical device for control of enemata
US3453969A (en) * 1967-12-13 1969-07-08 Aqua Tec Corp Liquid pump for oral hygiene apparatus and the like
US3766920A (en) * 1971-07-21 1973-10-23 Ezem Co Enemata administering device
US3889676A (en) * 1973-03-30 1975-06-17 Ezem Co Enemata administering device
US3990448A (en) * 1974-08-26 1976-11-09 Plastronics, Inc. Enema tip
JPS55145094A (en) 1979-04-27 1980-11-12 Masabumi Shimizu Expansionable air bag coupled with flexible air filling tool
DE3010841A1 (de) * 1980-03-21 1981-10-08 Ulrich Dr.med. 6936 Haag Uthmann Katheder
FR2554353B2 (fr) 1982-11-17 1986-07-25 David Noel Perfectionnement aux sondes rectales pour lavements barytes
US4525156A (en) * 1983-02-16 1985-06-25 Benusa John E Method for stomach lavage
HU191765B (en) 1985-01-16 1987-04-28 Sandor Lovasz Device for automatic controlling of permanent bladder irrigation
US4723944A (en) * 1986-06-05 1988-02-09 Jensen Ole R Fluid collection receptacle with improved non-return valve
US4874363A (en) * 1986-07-25 1989-10-17 Abell Walter L Colon hydrotherapy and evacuator system
US4755168A (en) * 1987-01-27 1988-07-05 Pat Romanelli Medical drainage pump with irrigation
US5180387A (en) * 1987-09-17 1993-01-19 Neurodynamics, Inc. Angled hole ventricular catheter with non-circular bore
CA1329080C (en) 1988-09-22 1994-05-03 Aegis Medical, Inc. Rectal insertion device and control valve means therefor
US5019056A (en) * 1988-09-22 1991-05-28 Aegis Medical, Inc. Bowel care apparatus
US5021044A (en) 1989-01-30 1991-06-04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Catheter for even distribution of therapeutic fluids
ATE129867T1 (de) * 1990-04-04 1995-11-15 Ferton Holding Einrichtung zur bespülung oder kontinuierlichen drainierung des gewebes oder körperhöhlen des menschlichen oder tierischen organismus.
US5197950A (en) * 1990-07-20 1993-03-30 Clayton Ralph S Scheduled bowel management system
DE9012429U1 (ko) * 1990-08-30 1990-10-31 Johnson & Johnson Medical Gmbh, 2000 Norderstedt, De
JPH04124162U (ja) * 1991-04-23 1992-11-11 株式会社プランニング・アイ 注腸用アタツチメント
DE4128420A1 (de) * 1991-08-28 1993-03-04 Pardes Spezialstruempfe Gmbh & Irrigator
CA2052300A1 (en) * 1991-09-26 1993-03-27 Med-Pro Design, Inc. Co-axial catheter
US5250024A (en) * 1992-08-24 1993-10-05 Kensey Nash Corporation System for introducing a therapeutic agent into the rectum
US5300022A (en) * 1992-11-12 1994-04-05 Martin Klapper Urinary catheter and bladder irrigation system
US5527276A (en) * 1993-01-12 1996-06-18 Arthroscopic Assistants, Inc. Flexible inflow/outflow cannula
US5807359A (en) * 1993-06-08 1998-09-15 Bemis Manufacturing Company Medical suction system
US5405319A (en) * 1993-12-30 1995-04-11 Abell; Roy Bowel evacuation system
US5380276A (en) * 1994-02-28 1995-01-10 The Kendall Company Dual lumen catheter and method of use
DK171585B1 (da) 1994-04-18 1997-02-10 Coloplast As Tampon- eller lukke-indretning til legemskanaler hos dyr eller mennesker
US5605545A (en) * 1994-05-05 1997-02-25 Northgate Technologies Incorporated Tubing system for delivering fluid to a surgical site
US5499970A (en) * 1994-08-23 1996-03-19 Zimmer, Inc. Debridement tip
JP2742765B2 (ja) 1994-10-05 1998-04-22 規方 田熊 吸引用カテーテル
US5810202A (en) * 1994-10-20 1998-09-22 Rick R. Wascher, P.C. Disposable self-dispensing pressurized package for delivery of sterile fluids and solutions
JPH08131538A (ja) * 1994-11-11 1996-05-28 Sumitomo Bakelite Co Ltd 排便処理装置
US5685844A (en) * 1995-01-06 1997-11-11 Abbott Laboratories Medicinal fluid pump having multiple stored protocols
US5746721A (en) 1995-02-15 1998-05-05 C.R. Bard, Inc. Pulsed lavage pump with integral power source and variable flow control
US5643228A (en) * 1995-11-13 1997-07-01 Uresil Corporation Catheter
DK172924B1 (da) 1995-12-01 1999-10-04 Maersk Medical As Indretning til brug ved udskylning af legemshulrum
US5833658A (en) * 1996-04-29 1998-11-10 Levy; Robert J. Catheters for the delivery of solutions and suspensions
US5946741A (en) * 1996-11-22 1999-09-07 Moon; In E. Hygienic, removable toilet attachment for enema, douche or colonic irrigation
US6468245B2 (en) * 1996-11-27 2002-10-22 Colorplast A/S Irrigation device
US6394996B1 (en) 1997-01-07 2002-05-28 C. R. Bard, Inc. System for aspirating and irrigating tract wounds
US6106506A (en) * 1997-03-04 2000-08-22 Innovatec Medical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colonic lavage
DE19733278C2 (de) * 1997-08-01 1999-11-11 Storz Endoskop Gmbh Druckbehälter zum Beaufschlagen eines in diesem aufgenommenen, mit einer medizinischen Flüssigkeit gefüllten flexiblen Beutels mit Druck
HUP9903396A3 (en) 1997-11-21 2001-06-28 Baxter Internat Inc Deerfield Multiple lumen access device
SE9704712D0 (sv) 1997-12-17 1997-12-17 Astra Ab Medical device
AU4481599A (en) 1998-05-15 1999-12-06 Great Chyren Co., Ltd. Enema syringe, enema syringe auxiliary and injector and enema method using them
US6554798B1 (en) * 1998-08-18 2003-04-29 Medtronic Minimed, Inc. External infusion device with remote programming, bolus estimator and/or vibration alarm capabilities
EP1018325A1 (en) 1999-01-04 2000-07-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for the collection of bodily waste with visual inspection means
AUPQ115499A0 (en) * 1999-06-24 1999-07-15 Colocare Holdings Pty Limited Colostomy pump device
US6533763B1 (en) * 1999-12-06 2003-03-18 James A. Schneiter Harmonic flow catheter
JP4050445B2 (ja) * 2000-06-23 2008-02-20 テルモ株式会社 継管具、接続口作製具および継管システム
CN2474150Y (zh) * 2000-09-29 2002-01-30 傅群立 妇女医疗冲洗器
WO2003030968A1 (en) * 2001-10-12 2003-04-17 Coloplast A/S Bowel irrigation system and probe therefore
US6918898B2 (en) * 2002-06-11 2005-07-19 Lori L. King Closed drainage system for irrigating ostomies
WO2004006993A1 (en) * 2002-07-12 2004-01-22 Coloplast A/S Irrigation system
US7147627B2 (en) * 2002-08-21 2006-12-12 Hollister Incorporated Bowel management system
JP4017488B2 (ja) 2002-09-30 2007-12-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頭上カム軸式内燃機関のカム軸軸受構造
EP1556125B1 (en) * 2002-10-23 2006-08-23 Coloplast A/S Coupling device
US7331949B2 (en) * 2003-02-27 2008-02-19 Margaret Grahn Marisi Urinary catheter with check valve
US20040261194A1 (en) 2003-06-27 2004-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article treating system
US20050148954A1 (en) * 2003-10-08 2005-07-07 Roy Abell Method for delivering a colonic lavage
DE602004025373D1 (de) 2003-11-19 2010-03-18 Coloplast As Vorrichtung zur verhinderung von rückfluss in einem sammel-system und/oder probenentnahmesystem für körperflüssigkeit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vorrichtung
US7270647B2 (en) * 2004-03-04 2007-09-18 Boehringer Technologies, L.P. Apparatus for vacuum-assisted irrigation and drainage of a body cavity
EP1758636A2 (en) * 2004-04-02 2007-03-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evice and systems for the intermittent drainage of urine and other biological fluids
US8518021B2 (en) * 2004-05-27 2013-08-27 Baxter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rapeutic delivery of medication
US20060009732A1 (en) 2004-07-06 2006-01-12 Michael Hardy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colonic lavage
JP4615926B2 (ja) * 2004-07-30 2011-01-19 テルモ株式会社 無線自動認識デバイス(rfid)及び薬剤自動認識システム
US7981073B2 (en) * 2006-03-30 2011-07-19 Moellstam Anders Method and device for irrigation of body cavities
US8001984B2 (en) * 2006-06-06 2011-08-23 Sasaki Larry S Laparoscopic lens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5675C2 (ru) * 2016-09-06 2020-11-05 Фритц Рук Офтальмологише Зюстеме Гмбх Емкость для вмещения жидкост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49230B2 (en) 2017-12-26
WO2008087221A2 (en) 2008-07-24
US20140135691A1 (en) 2014-05-15
JP2010516315A (ja) 2010-05-20
WO2008087220A1 (en) 2008-07-24
CA2673750A1 (en) 2008-07-24
JP2010516314A (ja) 2010-05-20
CN101583386B (zh) 2012-01-25
KR20090111333A (ko) 2009-10-26
US20100063436A1 (en) 2010-03-11
EP2125070A1 (en) 2009-12-02
ATE554810T1 (de) 2012-05-15
CN101583385A (zh) 2009-11-18
AU2008206893A1 (en) 2008-07-24
BRPI0806743A2 (pt) 2011-09-13
EP1946786A1 (en) 2008-07-23
EP2125070B1 (en) 2012-04-25
US8663180B2 (en) 2014-03-04
EP2125071A2 (en) 2009-12-02
AU2008206892A1 (en) 2008-07-24
WO2008087221A3 (en) 2008-10-09
CA2673753A1 (en) 2008-07-24
BRPI0806734A2 (pt) 2011-09-13
CN101583386A (zh) 2009-11-18
US20100174252A1 (en)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1334A (ko) 펌프를 구비한 세척 시스템
ES2710359T3 (es) Dispositivo para el drenaje de heces
EP1649839B1 (en) Stoma plug
EP1946785A1 (en) An irrigation system
US20030073974A1 (en) Bowel irrigation probe
EP2776087B1 (en) Transanal irrigation kit
EP2237813B1 (en) An irrigation system
US9744069B2 (en) Device for stool drainage
CN113456332B (zh) 一种适用于造口袋的残留物去除结构
CN210020801U (zh) 新式消化内科用胃管
WO2022002340A1 (en) An irrigation system
CN113384391A (zh) 一种流量可控的造口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